[열린세상] 사람이 산다는 것/방은령 한서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교수
지난 겨울방학동안 셋째를 출산한 대학원생이 재래시장 마니아가 되어 돌아왔다. 정갈한 대형슈퍼마켓을 즐겼던 그녀는 임신말기에 재래시장을 주로 찾았다고 한다. 산달이 가까워졌을 때,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것은 그녀에게 정말 고역이었다. 깨끗하고 친절했지만 그뿐, 어느 한구석 쉬어갈 틈이 없었다.
그러나 재래시장은 달랐다. 점포아주머니들은 배가 남산만한 임부가 지나가는 것을 그냥 지나치지 않았다.“아휴 힘들겠수, 이리 와서 좀 쉬다 가.” 의자를 내미는 사람, 마실 것을 건네는 사람, 어떤 이는 떡도 주면서 격려했다. 물건 파는 것과 상관없이 그저 산달이 가까워진 임부가 안쓰러워 정을 베푼 것이다. 제자는 큰 감동을 받았다.
20여년 전의 일들이 생각났다. 대전 변두리에 신혼살림을 차렸던 난, 처음에 아파트 주민들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었다.13평 5층짜리 서민아파트단지였는데, 주민들은 거의 사생활이 없을 정도로 공동체(?) 생활을 하고 있었다. 우리 동 5층에 살던 50대의 아주머니는 수시로 내집을 들락거렸다. 시장갈 때는 계단을 내려오면서 층마다 벨을 누르곤, 같이 가겠느냐, 안 가면 뭐 사다줄까 묻곤 했다. 밖에서 돌아오는 길엔 계단을 올라가면서 층마다 현관문을 두드리며, 사온 것을 나눠주거나 숨이 찬다고 물을 달라곤 했다. 화단의 잡초 뽑을 때는 물론, 공중목욕탕에 갈 때도 여지없이 벨을 눌러댔다. 그러면 사람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나와 왁자지껄 떠들면서 즐겁게 동행하는 것이다.
박사과정을 밟으며 시간강사를 하던 나는 집안 살림과 공부에 쫓길 때마다 동네아주머니들의 참견이 무척 곤혹스러웠다. 매번 못한다고 말하기도 불편했고, 어느 땐 왜 이렇게 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방해하나 화도 났다. 일요일에는 더 기가 막혔다. 새벽 5시쯤이면 어김없이 5층에서 계단에 물 끼얹는 소리가 났는데, 그 소리가 나면 바로 아래층에서 바톤을 이어받아 물청소를 해야 했던 것이다.
일요일 아침 곤하게 잘 시간에 깨어나 물청소하는 것이 내겐 고역이었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우리 라인에 사는 어느 누구도 이런 생활을 불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일요일 새벽에도 기다렸다는 듯 나와서 신나게 물을 끼얹으며 왁자지껄 떠들다간 아무렇지도 않게 각자 집으로 들어갔다. 그때 서울새댁의 눈에 비친 이들의 모습은 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존중하지 않는 정말 이상한 사람들이었다.
요즘 와서 얼마 전까지 잊고 지내던 사람들이 자꾸 생각난다. 나를 귀찮게 하고, 짜증나게 했던 옛날 동네 아주머니들이다. 그러나 지금 내 기억 속에 이들은 아주 따뜻하게 다가온다. 입덧 때문에 괴로워할 때 억지로 밥을 먹여주고, 부침개를 갖다 주며 열심히 공부하라던 아주머니들. 우리 큰애를 가족처럼 돌봐주던 사람들이었다.3년후 내가 서울로 이사갈 땐 모두 함께 나와 배웅하면서, 이별을 아쉬워했었다. 어리석게도 난 이제서야 그들의 보석 같은 마음을 느끼게 된다. 지금 난 우리 아파트 같은 동에 누가 살고 있는지 잘 모른다. 물론 이건 다 내 탓이다. 바쁘다는 핑계로 이웃과의 교류를 많이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도 나에 대해 별로 궁금해하지 않는 것 같다. 우리 아파트에서 극히 일부만이 우리 집 벨을 누른다. 만약 내가 층층마다 벨을 누르며 시장에 같이 가자고 하면 사람들은 어떤 반응을 할까. 이 사람 저 사람에게 목욕탕에 같이 가자고 하고, 일요일 새벽 부스럭거리며 계단 청소를 한다면 어떻게 될까. 분명히 관리사무소로부터 경고를 받을 것이고, 어쩌면 아파트에서 쫓겨날지도 모른다.
세상이 각박하고 흉흉해서 그럴까. 아니면 나이 탓일까. 재래시장 아주머니의 툴툴대던 소리와 이웃 아주머니의 소박한 참견들이 무척 그립고 고맙다.‘그게 사람 사는 것이지’ 이런 말이 무슨 말인지도 이제 조금 알 것 같다.
방은령 한서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