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지내세요] 월간지 기자변신 ‘생활철학자’ 황필호 씨
“국민탤런트와 국민가수는 있지만 국민잡지는 없어요. 사람의 마음에 잔잔히 파고드는 철학성이 있는 우리의 ‘길벗’이 됐으면 좋겠어요.”
생활철학자로 잘 알려진 황필호(69) 전 강남대교수가 잡지사 기자로 새로운 필력을 과시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해 10월 서영훈(85) 전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국민잡지를 표방하면서 발간한 월간지 ‘우리 길벗’에서 편집주간과 현장을 뛰는 기자를 동시에 맡은 것.
따라서 황 전 교수는 기획 아이디어를 짜내기 위해 쟁쟁한 자문위원들과 한달에 한번씩 만나 향기나는 토론도 벌인다. 즉 강만길 광복6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장, 김우창 고려대 명예교수, 송상용 한양대 석좌교수, 김경재 한신대 교수, 김철 전 천도교 교령, 정길생 건국대 총장, 진교훈 서울대 명예교수, 최창무 천주교 광주대교구 주교, 이광규 서울대 명예교수 등이다.
황 전 교수는 지금까지 종교철학 서적 19권을 포함해 사회철학 8권, 여성철학 4권, 여행철학 3권, 문학철학 5권, 철학수필 15권 등 70여권의 철학시리즈를 발간할 만큼 남다른 창작의욕을 보여온 터여서 이같은 그의 변신은 학계에서도 주목거리다.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자택에서 만났다. 먼저 “폭로성과 선정적 잡지가 많은 이 시대에 철학적으로 다가가는 그런 잡지,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떳떳한 잡지를 만들고 싶다.”면서 “비록 적자를 면치 못하겠지만 열심히 뛰면 국민들이 좋아하는 잡지가 되지 않겠느냐.”고 의욕을 보였다.
이어 “과거 ‘어느 철학자의 편지’라는 잡지를 7년동안 발간했으나 IMF위기때 접었다.”면서 때문에 두번 다시 잡지와 인연을 맺지 않겠다고 다짐했으나 서 전 총재의 간곡한 권유에 못이겨 수락했다고 고백했다.
“잡지를 이끌어가는 근본바탕은 ‘철학의 생활화와 생활의 철학화’입니다. 비디오에 오염된 문화가 판을 친다는 것은 우리 지성인의 책임이지요. 이런 잡지를 제대로 내지 못해 망한다면 정말 문제가 아닌가요?”
취재기자로서 우리 사회에 필요한 사람을 발굴하는 것도 중요한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최근에는 인터뷰를 안하기로 소문난 곽선희 북한 평양과학기술대 이사장을 직접 만나 기사화한 것도 큰 소득이라고 귀띔했다.
평소에 ‘철학을 위한 철학을 하려면 차라리 컴퓨터로 돈이나 벌어라.’는 말로 ‘삶과 철학’을 주창해왔다. 일상을 살면서 ‘왜’와 ‘어떻게’를 생각하지 않는다면 삶에 무슨 의미가 있느냐는 것. 그러면서 나이들어 즐겁게 늙는 여섯가지 방법을 들려준다. 즉 ▲소언(小言)과 약언(弱言)을 실천하고 ▲뭐든 자주 생각하고 행동을 하며 ▲또 건강을 위해 운동을 꾸준히 하고 ▲봉사정신으로 기쁨을 느끼고 ▲용서와 포용의 마음을 간직하고 ▲죽음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자신도 건강을 위해 7년째 매주 금요일 북한산행을 거르지 않고 있다. 또 인근 정발산 공원을 매일 찾아 생각의 산책을 한다. 일주일에 두차례 강남대와 경희대에 철학강의를 나가며 기사마감때는 서울 마포구 공덕동 사무실에서 밤샘하는 경우도 있다. 요즘 집에서는 ‘종교철학 12강좌’와 ‘칼릴 지브란의 사상과 생애’를 집필 중이며, 필생의 역작으로 ‘종교철학개론’을 쓸 계획이다.
김문기자 k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