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공공시설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 애니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184
  • 99.9% 잠자는 세금포인트… 몰라서 못 쓰고, 알고도 쓸 곳 적네요

    99.9% 잠자는 세금포인트… 몰라서 못 쓰고, 알고도 쓸 곳 적네요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A씨는 법인세 신고·납부를 앞두고 고민에 빠졌다. 일감이 줄어 직원들에게 매달 월급을 주는 것도 빠듯한 데다 얼마 전 제조 공장에 물이 새면서 시설 복구 비용이 만만찮게 들었기 때문이다. 당장 내야 할 세금에 부담을 느꼈던 A씨는 관할 세무서로부터 ‘세금 포인트’ 제도를 소개받았다. 그동안 꼬박꼬박 성실하게 세금을 내 세금 포인트가 쌓였으니 이 포인트를 담보로 법인세 납부 기한 연장을 신청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A씨는 “그동안 냈던 세금이 포인트로 쌓이고 있는지 전혀 몰랐다”며 “다른 중소기업이나 납세자도 세금 포인트 제도를 널리 활용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개인과 법인이 낸 세금에 대해 일정 포인트가 쌓이고 적립된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세금 포인트’ 제도의 사용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납세자의 사용 실적은 0.1%에도 미치지 못한다. 납세자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세금 포인트 제도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세청은 납세자가 성실하게 세금을 냈다는 데 보람을 느끼고 올바른 납세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세금 포인트 제도를 도입했다. 마트, 카페 등에서 물건을 사면 포인트를 적립해 주는 것처럼 개인이 낸 소득세와 중소기업이 낸 법인세에 대해 일정 포인트가 쌓이는 방식이다. 자금 사정이 어려워지는 등 당장 세금을 낼 수 없는 납세자가 징수 유예 또는 납부 기한 연장을 신청할 때 세금 포인트를 활용할 수 있다. 세금을 미루는 대신 증권이나 부동산 같은 담보를 내야 하는데 이때 세금 포인트를 담보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홍보 부족 등으로 납세자들이 세금 포인트 제도를 잘 알지 못해 사용 실적은 매우 저조하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일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세금 포인트 사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월까지 개인 납세자는 누적된 세금 포인트 59억점 중 361만점을 사용했다. 사용 실적은 0.061%로 매우 낮다. 사용 건수는 3511건이며 세금 포인트를 사용해 면제받은 담보 금액은 2617억원이다. 연도별 실적을 보면 2015년에는 누적 포인트 36억 1800만점 중 사용 포인트는 228만점(0.063%)에 불과했다. 지난해에도 누적포인트 52억 2400만점 중 369만점을 사용해 사용 실적은 0.075%에 그쳤다. 앞서 2016년 사용 실적은 0.060%, 2017년 0.063% 등으로 0.1%에도 미치지 못한다. 법인 납세자는 지난 10월 기준 누적된 세금포인트 6억 7000만점 가운데 274만점(0.4%)을 사용했다. 사용 건수는 2018건이며 세금 포인트로 인해 면제받은 담보 금액은 2749억원이다. 지난해는 누적 포인트 5억 2300만점 가운데 274만점(0.52%)을 썼다. 2016년 사용 실적은 0.4%, 2017년 0.52% 등으로 1%에 미치지 못했다. 세금 포인트 사용 실적이 저조한 이유로는 낮은 인지도가 꼽힌다. 김 의원은 “세금 포인트 제도에 대해 일반 국민이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신청 수요 자체가 많지 않아 제도 활용 확대에 한계가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국세청은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2017년 세금 포인트 사용 기준을 포인트 100점 이상에서 50점 이상으로 완화했다. 이듬해에는 50점 이상에서 1점 이상으로 낮췄으나 이에 따른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납세자가 징수 유예 또는 납부 기한 연장을 신청할 때만 세금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혜택이 많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공영주차장, 고궁 등 공공시설 이용 할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문화행사 초청 등으로 세금 포인트 활용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 의원은 “세금 포인트 제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현재의 징수 유예 또는 납부 기한 연장 신청만 가능한 포인트 사용 범위를 실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각종 혜택 제공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세청은 국민들이 세금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과 함께 단기적으로는 대국민 홍보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국세청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 관계 부처 등과의 협의를 통해 활용 범위와 대상을 넓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 99.9% 잠자는 세금포인트… 몰라서 못 쓰고, 알고도 쓸 곳 적네요

    99.9% 잠자는 세금포인트… 몰라서 못 쓰고, 알고도 쓸 곳 적네요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A씨는 법인세 신고·납부를 앞두고 고민에 빠졌다. 일감이 줄어 직원들에게 매달 월급을 주는 것도 빠듯한 데다 얼마 전 제조 공장에 물이 새면서 시설 복구 비용이 만만찮게 들었기 때문이다. 당장 내야 할 세금에 부담을 느꼈던 A씨는 관할 세무서로부터 ‘세금 포인트’ 제도를 소개받았다. 그동안 꼬박꼬박 성실하게 세금을 내 세금 포인트가 쌓였으니 이 포인트를 담보로 법인세 납부 기한 연장을 신청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A씨는 “그동안 냈던 세금이 포인트로 쌓이고 있는지 전혀 몰랐다”며 “다른 중소기업이나 납세자도 세금 포인트 제도를 널리 활용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개인과 법인이 낸 세금에 대해 일정 포인트가 쌓이고 적립된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세금 포인트’ 제도의 사용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납세자의 사용 실적은 0.1%에도 미치지 못한다. 납세자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세금 포인트 제도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세청은 납세자가 성실하게 세금을 냈다는 데 보람을 느끼고 올바른 납세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세금 포인트 제도를 도입했다. 마트, 카페 등에서 물건을 사면 포인트를 적립해 주는 것처럼 개인이 낸 소득세와 중소기업이 낸 법인세에 대해 일정 포인트가 쌓이는 방식이다. 자금 사정이 어려워지는 등 당장 세금을 낼 수 없는 납세자가 징수 유예 또는 납부 기한 연장을 신청할 때 세금 포인트를 활용할 수 있다. 세금을 미루는 대신 증권이나 부동산 같은 담보를 내야 하는데 이때 세금 포인트를 담보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홍보 부족 등으로 납세자들이 세금 포인트 제도를 잘 알지 못해 사용 실적은 매우 저조하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일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세금 포인트 사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월까지 개인 납세자는 누적된 세금 포인트 59억점 중 361만점을 사용했다. 사용 실적은 0.061%로 매우 낮다. 사용 건수는 3511건이며 세금 포인트를 사용해 면제받은 담보 금액은 2617억원이다.연도별 실적을 보면 2015년에는 누적 포인트 36억 1800만점 중 사용 포인트는 228만점(0.063%)에 불과했다. 지난해에도 누적포인트 52억 2400만점 중 369만점을 사용해 사용 실적은 0.075%에 그쳤다. 앞서 2016년 사용 실적은 0.060%, 2017년 0.063% 등으로 0.1%에도 미치지 못한다. 법인 납세자는 지난 10월 기준 누적된 세금포인트 6억 7000만점 가운데 274만점(0.4%)을 사용했다. 사용 건수는 2018건이며 세금 포인트로 인해 면제받은 담보 금액은 2749억원이다. 지난해는 누적 포인트 5억 2300만점 가운데 274만점(0.52%)을 썼다. 2016년 사용 실적은 0.4%, 2017년 0.52% 등으로 1%에 미치지 못했다. 세금 포인트 사용 실적이 저조한 이유로는 낮은 인지도가 꼽힌다. 김 의원은 “세금 포인트 제도에 대해 일반 국민이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신청 수요 자체가 많지 않아 제도 활용 확대에 한계가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국세청은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2017년 세금 포인트 사용 기준을 포인트 100점 이상에서 50점 이상으로 완화했다. 이듬해에는 50점 이상에서 1점 이상으로 낮췄으나 이에 따른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납세자가 징수 유예 또는 납부 기한 연장을 신청할 때만 세금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혜택이 많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공영주차장, 고궁 등 공공시설 이용 할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문화행사 초청 등으로 세금 포인트 활용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 의원은 “세금 포인트 제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현재의 징수 유예 또는 납부 기한 연장 신청만 가능한 포인트 사용 범위를 실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각종 혜택 제공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세청은 국민들이 세금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과 함께 단기적으로는 대국민 홍보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국세청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 관계 부처 등과의 협의를 통해 활용 범위와 대상을 넓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 문병훈 서울시의원, 서울시 부지 매입 과정 강력 질타

    서울시의회 문병훈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초3)은 서울시 문화본부 예산(안) 심사에서 부동산 시세차익을 노리는 변심에도 대책 없는 서울시의 부지 매입 과정에 대해 강력하게 질타했다. 서울시 문화본부는 공유재산 심의를 통해 서울공예박물관 부지의 매입을 결정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소유주의 1차 변심으로 부지 중 일부를 매입하지 못하고 해당 부지를 제외한 나머지 부지를 중심으로 서울공예박물관 건립에 착수했으나, 사업진행 중 해당 부지 소유주의 2차 변심으로 인해 다시 부지를 매입한 후 건립계획을 변경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서울시는 소유주의 단순 변심으로 인해 기존 매입 예상금액보다 약 7억원이 추가적으로 소요됐다. 문 의원은 토지 소유주의 변심에 의해 서울시의 행정이 좌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단순 변심에 의한 행정무력화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또한 서울시의 모습은 다른 공공시설 건립사업에 있어서도 원소유주들에게 부동산 시세차익 시도를 조장할 수 있는 나쁜 선례를 남겼다는 점에서 향후 강력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문 의원은 “부동산 시세차익 시도라는 나쁜 선례까지 남기면서 무리하게 사업을 진행해야할 필요성이 있었는지 의문”이라고 하면서 “앞으로는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진심어린 성찰을 통해 이와 같은 사태가 재발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력하게 질타하면서 서울시의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주문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유대인 아동에게 폭언 퍼부은 흑인 남성…무슬림 여성이 제지

    유대인 아동에게 폭언 퍼부은 흑인 남성…무슬림 여성이 제지

    유대인 어린이와 그 가족에게 인종차별적 발언을 한 흑인 남성이 체포됐다. 23일(현지시간) PA통신에 따르면 영국 경찰은 지하철에서 유대인 어린이 학대 사건이 발생한 지 하루 만에 용의자의 신병을 확보했다. 신원이 공개되지 않은 흑인 용의자는 22일 런던 지하철에서 마주친 유대인 가족을 ‘사탄’이라고 몰아붙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10세 미만으로 추정되는 유대인 어린이에게 성경을 들이밀고 협박하는 등 학대를 저질렀다. 당시 지하철에 타고 있었던 크리스 앳킨스는 “흑인 남성은 유대인을 ‘사탄의 회당’으로 묘사한 성경 구절을 읽어내려갔다”고 설명했다. 그는 모자를 쓴 흑인 남성이 키파(야물커, 유대인 남자들이 쓰는 작고 테두리 없는 모자)를 착용한 유대인 남성과 어린 소년에게 얼굴을 들이밀며 위협을 가하는 영상도 함께 공개했다. 영상에는 흑인 승객이 유대인 가족에게 “유대인이 예수를 죽였다, 유대인은 사기꾼이다, 우리의 유산을 가로채려 한다”고 쏘아붙이는 장면이 담겨 있다. 아버지로 보이는 유대인 남성이 “무시하라”며 아들을 다독이는 와중에도 흑인 남성의 폭언은 멈출 줄 몰랐다. 심지어 자신을 말리려 나선 승객에게 “맞기 싫으면 물러서라”고 협박했다. 그때, 히잡을 쓴 무슬림 여성 한 명이 “여기 아이들도 있다”며 흑인을 가로막고 나섰다. 승객들은 그녀가 매우 단호한 태도로 용의자를 제지했다고 입을 모았다. PA통신은 아스마 슈웨이트라는이름의 이 무슬림 여성이 주의를 끌기 위해 말을 거는 등 적극적으로 유대인 가족을 보호했다고 전했다. 그녀는 “두 아이의 엄마인 나 역시 그런 상황에 처했다면 누군가 도와주길 바랐을 것”이라면서 “다시 그때로 돌아간다 해도 똑같이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흑인 남성은 세 명의 아이들을 데리고 런던 지하철을 탄 유대인 부부에게 매우 공격적이었다”면서 “제발 그들에게 관심을 멀리하기를 바랐다”고 밝혔다. 이후 영상을 촬영한 앳킨스는 소년과 자리를 바꿔 유대인 가족과 흑인 사이에 끼어들었으며, 다른 승객도 합세해 말을 붙이며 흑인의 주의를 끌었다. 그 사이 유대인 가족은 지하철에서 내려 현장을 빠져나갔다. 이 같은 반(反)유대주의는 최근 영국과 이탈리아 등 유럽을 중심으로 부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9월 유럽축구연맹 챔스리그 첼시 대 발렌시아 경기가 열린 영국 런던의 한 경기장에서는 유대인을 비난하는 인종차별 응원가가 울려 퍼졌다. 이탈리아에서는 절반 이상이 '인종차별을 해도 괜찮다'는 답변을 내놓은 설문조사 결과가 나와 교황이 직접 나서 우려를 표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전 세계에 또 반유대주의가 일고 있다”면서 “유대인들은 우리의 형제고 박해받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영국 경찰은 어린이를 포함한 유대인 가족에게 폭언을 퍼부은 흑인 용의자에게 아동 학대 및 공공시설 내 소란 등의 혐의를 적용할 방침이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 종이컵 2021년부터 카페서 사용 금지…배달음식 일회용 수저도

    종이컵 2021년부터 카페서 사용 금지…배달음식 일회용 수저도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2021년부터 카페,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종이컵 사용도 금지된다. 포장·배달음식을 먹을 때 쓰던 일회용 수저도 2021년부터 사용할 수 없다. 환경부는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주재로 열린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한 중장계 단계별 계획을 논의해 수립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계획에 따르면 카페, 페스트푸드점, 식당 등 식품접객업소에서 2021년부터 종이컵 사용이 금지된다. 현재 차가운 음료를 주로 담는 플라스틱컵이 금지된 것처럼 따뜻한 음료를 주로 담는 종이컵도 사용이 금지되는 것이다. 환경부는 또 매장에서 머그잔 등에 담아 마시던 음료를 중간에 테이크아웃하는 경우 일회용컵 사용에 따른 비용을 추가로 지불하도록 했다. 이 역시 2021년부터 시행된다. 테이크아웃잔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소비자가 일회용컵에 담아 음료를 살 때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내고 컵을 반환하면 보증금을 돌려주는 ‘컵 보증금제’ 도입도 다시 추진된다. 2002~2008년 시행 후 폐지된 컵 보증금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법안이 국회에서 논의 중이다. 플라스틱 빨대는 2022년부터 사용이 금지되고, 세척시설을 갖춘 장례식장에선 2021년부터 일회용컵·식기 사용이 금지된다. 아울러 현재 백화점, 쇼핑몰, 대형 슈퍼마켓 등에서만 사용할 수 없는 비닐봉지는 2022년부터 편의점과 같은 종합 소매업, 제과점에서도 사용이 금지된다. 환경부는 더 나아가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면 2030년까지 모든 업종에서 비닐봉지 사용을 전면 금지하기로 했다. 포장·배달음식을 먹을 때 쓰던 일회용 숟가락·젓가락도 2021년부터 사용할 수 없다. 필요하면 소비자가 일회용 숟가락·젓가락을 구매해야 한다. 정부는 포장·배달 용기도 친환경 소재나 다회용기로 전환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샴푸, 린스, 칫솔, 면도기 등 일회용 위생용품은 2022년부터 50실 이상 숙박업, 2024년부터 모든 숙박업에서 무상 제공할 수 없게 된다. 플라스틱 포장재 규제도 강화된다. 정부는 정기적으로 같은 곳에서 배송되는 택배의 경우 2022년까지 스티로폼 상자 대신 재사용 상자를 이용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아울러 파손 위험이 적은 택배 상품은 과대 포장을 막기 위해 내년에 포장 공간 비율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종이 완충재, 물로 된 아이스팩, 테이프 없는 상자 등도 업계와 협의해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또 1+1 제품, 묶음 상품처럼 이미 포장된 제품을 이중으로 포장해 판매하는 행위는 내년부터 금지된다. 이런 계획들을 시행하기 위해 정부는 내년부터 관련 업계와 자발적 협약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공공 부문 회의, 행사, 공공시설 등에서 먼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제도를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민간 부문 참여를 위해서는 현재 가정에서 수도, 전기, 가스 사용량을 줄이거나 친환경 제품을 사면 일정액을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해주는 ‘에코 머니 포인트 제도’를 다회용기 사용 때도 적립해주기로 했다. 환경부는 단계별 계획들이 제대로 이행할 경우 2022년까지 일회용품 사용량이 35% 이상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 1.5㎞ ‘휠체어 동행’… 배려를 배우다

    1.5㎞ ‘휠체어 동행’… 배려를 배우다

    “전동 휠체어를 처음 타 봤는데 길을 나서기도 전에 장애물이 있으면 어쩌나 걱정이 엄습하더군요. 매번 변화무쌍한 보도를 이동해야 하는 장애인 분들은 오죽하겠습니까. 오늘 체험을 바탕 삼아 보도블록 하나를 깔아도 약자들을 먼저 생각하고 배려하는 도시 계획을 세우겠습니다.” 유동균 마포구청장이 지난 15일 오전 구청 광장에 전동 휠체어를 타고 등장했다. 기온이 뚝 떨어지고 비까지 내리긋는 궂은 날씨였지만 휠체어 탑승을 강행한 이유가 있다. 하반기 두 번째 ‘찾아가는 민생 현장 탐방’으로 공공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일상을 체험하며 이들이 어떻게 하면 공공시설을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기 위해서였다. 이날 구청에서부터 전동 휠체어를 타고 광장으로 나온 유 구청장 옆에는 장애로 휠체어를 타고 생활하는 회사원 김수진(36)씨가 함께 했다. 마포구청에서 마포중앙도서관까지 1.5㎞ 구간을 이동, 도서관 시설을 이용해 보며 불편한 점, 개선점 등을 세밀히 짚어 보기 위한 동행이었다. 구청 앞 광장을 지나 차도 하나를 건너자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보도가 펼쳐졌다. 유니버설 디자인이란 이용하는 사람이 성별, 나이, 장애, 언어 등과 관계없이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이다. 평소 장애인 인권과 삶의 질 향상에 주력해 온 유 구청장은 지난해 11월 ‘서울시 마포구 유니버설 디자인 조례’를 제정하면서 신축, 증축, 개축하는 지역의 모든 공공시설은 이를 도입하도록 했다. 그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실질적인 목표는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마찬가지로 불편함 없이 일상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오늘 휠체어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도로를 지나가 보니 흔들림이 적어 몸에 무리가 덜 가고 점자 보도블록, 금연구역 표시 등으로 안전과 편의를 높인 게 확인됐다”고 말했다. 동행한 김씨도 “과거엔 도로에 중간중간 턱이 있고 울퉁불퉁해 속도를 내야 할 때마다 불편했는데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도로는 순조로운 이동이 체감된다”고 했다. 구는 내년 리모델링하는 마포아트센터를 포함해 어린이집, 경로당 등 377곳을 전수조사해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하는 데 7억 6000만원을 투입한다. 36억 5000만원을 들여 월드컵로, 독막로 등 지역 곳곳의 보행 환경도 개선한다. 유 구청장은 “오늘 현장 탐방에서 나온 제안은 모두 구정에 반영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구민들이 공감하고 삶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꾸준히 빚어 내겠다”고 약속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 이란, 시위대 1000명 체포에… 美 “치명적 무력진압 규탄”

    최고지도자 “폭동”… 백악관 “시위 지지” 미국과 이란 간 신경전이 2라운드에 돌입했다. 이란 핵문제에 이어 반정부 시위를 둘러싸고 이란이 강경 진압에 나서자 미국은 반정부 시위를 지지하며 무력 진압을 강력히 규탄하고 나섰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이란 정부는 17일(현지시간) 휘발유 가격 인상에 항의해 수도 테헤란 등 전역에서 벌어진 시위를 ‘폭동’으로 규정하고 시위 참여자를 대규모로 검거하면서 조기 진압에 나섰다. 시위대는 테헤란을 지나는 주요 도로에 차량을 세워 길목을 점거하고 반정부 구호를 외쳤다. 일부는 공공시설을 훼손하기도 했다. 이란 최고 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이날 연설에서 “국민은 정부에 요구사항을 말할 수 있지만 관공서와 은행에 불을 지르고 폭력을 행사하는 것은 폭도들이 불안을 조성하려는 행위”라며 시위를 ‘폭동’으로 규정했다. 앞서 시위대는 전날 케르만샤 지역 경찰서를 공격해 경찰관 1명이 사망했다. 이란 정부는 시위를 막기 위해 16일 밤부터 테헤란 등에서 인터넷 통신을 전면 차단하기도 했다. 이란 정보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여러 도시에서 15~16일 사회 불안을 일으킨 자들의 신원을 모두 확인했다”며 “이란 사회의 안전을 책임지는 부서로서 이들에 대해 적절히 조치하고 결과를 곧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정보부는 지난 이틀간 전국 은행 100곳과 상점 57곳이 시위대의 방화로 소실됐다며 그러나 인명 피해는 아직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또 시위에 참여한 시민을 ‘문제 유발자’라고 칭하고 이들의 수가 8만 7400명에 이르지만 이들 중 대부분이 시위를 구경하는 수준이었다고 평가절하했다. 이란 경찰은 이들 가운데 폭력 행위나 시위를 선동한 혐의로 1000명을 체포했다. 이에 대해 미 백악관은 이날 성명을 내고 이란의 반정부 시위를 전폭적으로 지지했다. 스테파니 그리셤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에서 “미국은 이란 국민의 평화적 반정부 시위를 지지한다”며 “우리는 시위대에 가해진 치명적 무력과 심각한 통신 제한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 과천시,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민관합동 점검…정부과천청사 등 공공시설 대상

    경기도 과천시는 정부과천청사 등 공공시설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점검에 나선다. 시는 18일부터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차에 대해 민관합동 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은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공간이다. 그럼에도 불법 주차와 주차방해, 표지 부당 사용 등의 사례가 빈번하게 적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과태료 부과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시는 이번 경기과천시 장애인편의증진기술지원센터와 함께 집중 점검에 나섰다. 다음달 10일까지 실시하는 이번 점검 대상은 각 동 행정복지센터 등 공공시설과 서울대공원, 국립과천과학관 등 문화시설이다.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불법 주차, 표지 부당사용, 주차방해 행위, 주차장 내 위반행위 등 7개 부분에 대해 이뤄진다. 특히 주차표지 위·변조 사용 시에는 2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김진년 사회복지과장은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주차 합동 점검으로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의 이동 편의가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 中대사관 “홍콩 사태 정확히 알길”...韓대학생“한국 민주주의 무시”(종합)

    中대사관 “홍콩 사태 정확히 알길”...韓대학생“한국 민주주의 무시”(종합)

    최근 일부 대학 캠퍼스에서 홍콩 시위 지지 여부를 두고 한국인과 중국인 학생 간 대립이 발생하자 주한 중국대사관이 유감을 표명하고 자국 입장에 대해 이해를 구했다. 그러자 시위를 지지하는 한국 대학생들이 중국대사관을 비판하는 성명을 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15일 홈페이지에 올린 대변인 담화에서 ”최근 홍콩 상황이 국제사회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면서 ”여러 이유로 관련 사실이 객관적이지 않아 일부 지역, 특히 개별 대학 캠퍼스에서 중국과 한국 청년 학생들의 감정대립 상황이 발생해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중국의 청년 학생들이 중국의 주권을 해치고 사실을 왜곡하는 언행에 분노와 반대를 표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동시에 중국 정부는 해외에 사는 중국 국민들이 현지 법률과 규정을 준수하고, 이성적으로 애국 열정을 표현하며, 자신의 안전을 지키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연세대와 고려대 등에서 홍콩 시위 지지 현수막이 중국인 유학생으로 추정되는 이들에게 훼손되는 일이 잇따르자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인 유학생들이 홍콩 사태에 대한 분노하는 것은 애국심에서 우러난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그럼에도 대학가 홍콩 지지 현수막 훼손 등 불법 행위는 현행법상 잘못된 것이니 이 부분은 자제시키도록 노력하겠다는 뜻을 담은 것으로 풀이된다. 주한 중국대사관 측은 최근 홍콩 시위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그는 ”홍콩은 중국의 특별행정구역“이라며 ”홍콩의 중국 귀속 이래, 일국양제 정책과 ‘홍콩인이 홍콩을 통치한다’는 고도의 자치 방침이 효과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홍콩 민중의 권리와 자유는 법에 의거해 완전히 보장된다“고 밝혔다. 이어 ”그러나 모두 알다시피 지난 몇 개월 동안 일부 세력은 계속 폭력을 사용하여 문제를 일으키고 공공시설을 부수고 태우며 무차별적으로 평범한 시민에게 해를 가했다“면서 ”이는 어느 법치사회, 문명사회에서도 허용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중국은 일국양제를 견지한다는 방침을 바꿀 수 없다. 우리는 홍콩 특구 정부가 당면 문제를 해결하고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서 ”우리는 또한 우호적인 이웃인 한국인들이 이를 이해하고 지지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그러자 대학생 단체인 ‘홍콩의 진실을 알리는 학생모임’(학생모임)은 이날 긴급 성명을 내 ”주한중국대사관의 담화는 중국인 유학생들이 각 대학교에 걸린 홍콩 민주화 시위를 지지하는 대자보와 현수막을 훼손하는 것을 옹호하고 있다“며 이를 ”한국의 민주주의를 전면적으로 무시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누구나 자신의 의견을 개진할 권리가 있고 이는 홍콩의 민주화 시위에 반대하는 사람들에게도 마찬가지“라며 ”건전한 비판과 토론이 오고 가는 대학가의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행위는 그 어떠한 논리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 대학생들이 배운 양심과 지성은 홍콩 시민들의 자유와 권리를 외치고 있다“며 ”이러한 역사를 먼저 겪고 공부한 우리 한국의 대학생들은 절대로 홍콩 시민들의 투쟁을 외면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다음은 중국대사관 대변인 담화 전문 驻韩国使馆发言人谈香港局势(주한중국대사관 대변인이 홍콩 상황을 설명드립니다.) 近来,香港局势日益受到国际社会关注 由于各种原因,有关事实未能得到客观如实反映(최근 홍콩 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만 여러 이유로 사실이 객관적으로 반영되지 않고 있습니다.) 导致韩国一些地方,特别是个别大学校园内出现中韩两国部分青年学生感情对立情况,令人遗憾(한국의 일부 지역, 특히 몇몇 대학 캠퍼스에서 중국과 한국의 청년 학생 사이에 감정 대립이 벌어지고 있어 유감입니다.) 香港是中国的特别行政区 香港回归以来 “一国两制” “港人治港” 高度自治方针得到切实贯彻落实,香港民众各项权利和自由依法得到充分保障(홍콩은 중국의 특별행정자치구입니다. 홍콩은 (1997년) 반환된 뒤로 일국양제, 항인치항라는 높은 수준의 자치 정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되고 있어 홍콩 인구의 권리와 자유가 법에 따라 완전히 보장됩니다.) 但众所周知,几个月来,部分势力不断使用暴力制造事端,打砸焚烧公共设施,无差别残害普通市民(그러나 지난 몇 달간 일부 세력이 끊임없이 폭력을 이용해 사건을 만들고 공공시설을 파괴하며 일반인들에게 해를 끼쳤습니다.) 这在任何法治社会、文明社会都是不会被允许的(이번 건은 법치주의 사회, 문명사회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것입니다.) 香港的问题不可能在动乱和无序中解决,止暴制乱、恢复秩序是当前香港最迫切的任务(홍콩 문제는 난동과 무질서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폭동으로부터 질서를 회복하는 것은 홍콩의 가장 중요한 과제입니다.) 中国坚持一国两制方针不会变(중국은 일국양제 방침을 변함없이 견지하고 있습니다.) 我们相信 香港特区政府能解决好目前的问题,克服目前的困难(홍콩특별자치구는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고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我们也希望友好邻国韩国的民众对此予以理解和支持(또 우리 이웃인 한국 국민들이 이에 대해 이해하고 지지해주길 희망합니다.) 中国青年学生对损害中国主权 歪曲事实的言行表示愤慨和反对,理所应当,也是情理之中(중국의 청년 학생들은 중국의 주권을 훼손하고 사실을 왜곡하는 것에 분노하고 반대합니다. 이는 지극히 당연하고 정당한 일입니다.) 同时,中国政府一贯要求海外的中国公民遵守当地的法律法规,能够理性表达爱国热情,注意保护自身安全(동시에 중국 정부는 해외에 사는 중국 시민들에게 지역법규를 준수하고 이성적인 차원에서 애국심을 표현하며 자신의 안전을 지키도록 주의를 기울일 것을 일관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我们希望广大在韩中国留学生努力学习,为促进韩国社会对中国的全面了解以及中韩友好关系发展作出自己的积极贡献(우리는 한국과 중국 유학생들이 열심히 공부하고 중국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이해를 높이고 중국과 한국 간 우호 관계 발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기를 희망합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 中대사관 “중국 학생 분노 당연”…홍콩 지지 학생들 “대자보 훼손 옹호하나”

    中대사관 “중국 학생 분노 당연”…홍콩 지지 학생들 “대자보 훼손 옹호하나”

    대사관 “한·중 대학생 감정대립 유감” 담화시위 지지 측 “홍콩 민주화 요구 무시하는 것”주한 중국대사관이 최근 대학가에서 홍콩 시위 지지를 둘러싸고 한국과 중국 학생 간 갈등이 발생한 것과 관련해 유감을 표명했다. 이에 대해 ‘홍콩의 진실을 알리는 학생모임’(학생모임)은 “중국 대사관이 홍콩 상황을 왜곡하려 한다”며 즉각 반발했다. 학생모임은 15일 오후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성명을 내고 “민주주의 훼손을 정당화하는 주한 중국대사관 담화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성명에서 “대사관은 담화에서 홍콩의 권리가 보장된다고 밝혔으나, 이는 홍콩에서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고 있는 시민들의 요구를 완전히 무시하는 것”이라며 “홍콩 시민들의 정당한 의사 표시마저 부당하게 탄압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홍콩 경찰의 폭력 진압을 통해 시민 사망자 및 부상자가 나오고, SNS에서 그 상황이 실시간으로 공유되고 있다”며 “중국 당국과 홍콩 정부는 시민들과 대화를 통해 사태를 평화롭게 수습해야 할 의무가 있으나, 정당한 권리를 외치는 시민들을 폭도로 규정하며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중국 정부를 비판했다.주한 중국대사관은 이날 오전 홈페이지에 “중국과 한국 학생들의 감정대립이 발생한 것에 대해 유감”이라는 내용의 대변인 담화문을 발표했다. 이 담화문에서 대사관 측은 “홍콩의 중국 귀속 이래, 일국양제 정책과 고도의 자치 방침이 효과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홍콩 민중의 권리와 자유는 법에 의거해 완전히 보장된다”면서 “그러나 지난 몇 개월 동안 일부 세력은 계속 폭력을 사용하여 문제를 일으키고 공공시설을 부수고 태우며 무차별적으로 평범한 시민에게 해를 가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일부 대학에서 대자보와 현수막이 훼손·철거된 것과 관련해 “중국의 청년 학생들은 중국의 주권을 해치고 사실을 왜곡하는 언행에 분노와 반대를 표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학생모임은 “대사관의 담화는 중국인 유학생들이 각 대학교에 걸린 대자보와 현수막을 훼손하는 것을 옹호하고 있다”며 “한국의 민주주의를 전면적으로 무시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한국의 대학생들은 홍콩 시민들의 투쟁을 외면하지 않을 것”이라며 “주한 중국대사관은 즉각 역사인식을 재고하고 담화문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 주한중국대사관 “한중 학생 대립 유감...홍콩 사태 정확히 알길”

    주한중국대사관 “한중 학생 대립 유감...홍콩 사태 정확히 알길”

    최근 일부 대학 캠퍼스에서 홍콩 시위 지지 여부를 두고 한국인과 중국인 학생 간 대립이 발생하자 주한 중국대사관이 유감을 표명하고 자국 입장에 대해 이해를 구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15일 홈페이지에 올린 대변인 담화에서 ”최근 홍콩 상황이 국제사회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면서 ”여러 이유로 관련 사실이 객관적이지 않아 일부 지역, 특히 개별 대학 캠퍼스에서 중국과 한국 청년 학생들의 감정대립 상황이 발생해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최근 연세대와 고려대 등에서 홍콩 시위 지지 현수막이 중국인 유학생으로 추정되는 이들에게 훼손되는 일이 잇따라 이슈가 되자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대변인은 ”중국의 청년 학생들은 중국의 주권을 해치고 사실을 왜곡하는 언행에 분노와 반대를 표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동시에 중국 정부는 해외에 사는 중국 국민들이 현지 법률과 규정을 준수하고, 이성적으로 애국 열정을 표현하며, 자신의 안전을 지키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인 유학생들이 홍콩 사태에 대한 분노하는 것은 애국심에서 우러난 것이지만 그럼에도 대학가 홍콩 지지 현수막 훼손 등 불법 행위는 있어서는 안 된다는 뜻을 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변인은 ”한국과 중국에서 공부하는 대다수의 학생이 열심히 공부하고 한국 사회의 중국에 대한 전면적인 이해와 한중 우호 관계의 발전을 촉진하는데 긍정적 기여를 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주한 중국대사관 측은 최근 홍콩 시위에 대한 입장도 자세히 밝혔다. 그는 ”홍콩은 중국의 특별행정구역“이라며 ”홍콩의 중국 귀속 이래, 일국양제 정책과 ‘홍콩인이 홍콩을 통치한다’는 고도의 자치 방침이 효과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홍콩 민중의 권리와 자유는 법에 의거해 완전히 보장된다“고 밝혔다. 이어 ”그러나 모두 알다시피 지난 몇 개월 동안 일부 세력은 계속 폭력을 사용하여 문제를 일으키고 공공시설을 부수고 태우며 무차별적으로 평범한 시민에게 해를 가했다“면서 ”이는 어느 법치사회, 문명사회에서도 허용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대변인은 ”홍콩 문제는 동란과 무질서 속에서 해결될 수 없다“면서 ”폭력을 중지시키고 혼란을 통제해 질서를 회복하는 것은 현재 홍콩의 가장 시급한 임무“라고 밝혔다. 또 ”중국은 일국양제를 견지한다는 방침을 바꿀 수 없다. 우리는 홍콩 특구 정부가 당면 문제를 해결하고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서 ”우리는 또한 우호적인 이웃인 한국인들이 이를 이해하고 지지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중국대사관 대변인 담화 전문 驻韩国使馆发言人谈香港局势(주한중국대사관 대변인이 홍콩 상황을 설명드립니다.) 近来,香港局势日益受到国际社会关注 由于各种原因,有关事实未能得到客观如实反映(최근 홍콩 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만 여러 이유로 사실이 객관적으로 반영되지 않고 있습니다.) 导致韩国一些地方,特别是个别大学校园内出现中韩两国部分青年学生感情对立情况,令人遗憾(한국의 일부 지역, 특히 몇몇 대학 캠퍼스에서 중국과 한국의 청년 학생 사이에 감정 대립이 벌어지고 있어 유감입니다.) 香港是中国的特别行政区 香港回归以来 “一国两制” “港人治港” 高度自治方针得到切实贯彻落实,香港民众各项权利和自由依法得到充分保障(홍콩은 중국의 특별행정자치구입니다. 홍콩은 (1997년) 반환된 뒤로 일국양제, 항인치항라는 높은 수준의 자치 정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되고 있어 홍콩 인구의 권리와 자유가 법에 따라 완전히 보장됩니다.) 但众所周知,几个月来,部分势力不断使用暴力制造事端,打砸焚烧公共设施,无差别残害普通市民(그러나 지난 몇 달간 일부 세력이 끊임없이 폭력을 이용해 사건을 만들고 공공시설을 파괴하며 일반인들에게 해를 끼쳤습니다.) 这在任何法治社会、文明社会都是不会被允许的(이번 건은 법치주의 사회, 문명사회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것입니다.) 香港的问题不可能在动乱和无序中解决,止暴制乱、恢复秩序是当前香港最迫切的任务(홍콩 문제는 난동과 무질서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폭동으로부터 질서를 회복하는 것은 홍콩의 가장 중요한 과제입니다.) 中国坚持一国两制方针不会变(중국은 일국양제 방침을 변함없이 견지하고 있습니다.) 我们相信 香港特区政府能解决好目前的问题,克服目前的困难(홍콩특별자치구는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고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我们也希望友好邻国韩国的民众对此予以理解和支持(또 우리 이웃인 한국 국민들이 이에 대해 이해하고 지지해주길 희망합니다.) 中国青年学生对损害中国主权 歪曲事实的言行表示愤慨和反对,理所应当,也是情理之中(중국의 청년 학생들은 중국의 주권을 훼손하고 사실을 왜곡하는 것에 분노하고 반대합니다. 이는 지극히 당연하고 정당한 일입니다.) 同时,中国政府一贯要求海外的中国公民遵守当地的法律法规,能够理性表达爱国热情,注意保护自身安全(동시에 중국 정부는 해외에 사는 중국 시민들에게 지역법규를 준수하고 이성적인 차원에서 애국심을 표현하며 자신의 안전을 지키도록 주의를 기울일 것을 일관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我们希望广大在韩中国留学生努力学习,为促进韩国社会对中国的全面了解以及中韩友好关系发展作出自己的积极贡献(우리는 한국과 중국 유학생들이 열심히 공부하고 중국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이해를 높이고 중국과 한국 간 우호 관계 발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기를 희망합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 쌀의 굴욕… 39년 만에 생산량 최저

    쌀의 굴욕… 39년 만에 생산량 최저

    올해 쌀 생산량이 370만t대로 내려앉았다. 4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39년 만에 가장 적은 생산량을 기록했다. 태풍 등 기상여건 악화와 경지 감소 등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74만 4000t을 기록했다. 지난해(386만 8000t) 대비 3.2%(12.4t) 줄었다. 냉해 피해로 355만t을 기록한 1980년 이후 최저치다. 수확량이 가장 많았던 1988년(605만 3000t)의 5분의3 수준이다. 2012년부터 2015년(432만 7000t)까지 증가하던 쌀 생산량은 2016년 감소로 돌아선 뒤 올해까지 4년 연속 줄었다. 2017년(397만 2000t) 이후 3년 연속 400만t을 밑돌았다. 쌀 재배 면적도 72만 9814㏊로 지난해(73만 7673㏊)보다 1.1% 줄었다. 통계청은 정부의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 건물 건축, 공공시설 등 택지 개발에 따른 경지 감소 등으로 재배 면적이 줄었다고 밝혔다. 10a당 생산량은 지난해 524㎏에서 올해 513㎏으로 2.2%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벼가 익어 가는 시점인 9월 이후 한반도를 지나간 태풍 링링·타파·미탁 등으로 인해 강수량이 늘고 일조량이 줄어든 영향 탓에 10a당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줄었다”고 말했다. 농촌 고령화 현상에 따라 벼농사를 기피하는 추세도 강해지고 있다. 지난해 농촌 인구 고령화율(65세 인구 비율)은 44.7%로 1965년 3.2%에 비해 41.5% 포인트 상승했다. 이에 따라 논벼 농가 비중은 1985년 82.9%에서 지난해 37.9%로 줄었다. 쌀 소비가 줄고 있는 점도 생산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1.0㎏(1일 167.3g)이었다. 최고치였던 1970년 136.4㎏(1일 373.7g)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국민 1인당 1일 에너지 공급량에서 쌀이 차지하는 비중도 1965년 56.0%에서 2017년 23.1%로 줄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약 6만t의 쌀 공급 부족이 예상된다”면서 “지난달 하락한 산지 쌀값은 이달 5일 상승으로 전환됐고, 앞으로도 벼 가격 상승세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 청년주거난·주차난 다 잡은 동작

    서울 동작구가 공영주차장 복합개발로 청년 주거난과 주차 문제를 해결한다. 동작구는 지난 6일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와 상도1동과 사당1동 공영주차장을 복합 개발하기로 합의하고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구가 추진하는 공영주차장 복합화 사업은 주민들의 발길이 끊긴 낡은 공공시설을 대학생, 사회초년생 등 청년층을 위한 주택과 지역에서 필요한 시설로 재건축하는 프로젝트다. 이번 협약에 따라 구는 SH공사와 함께 상도1동 청석 거주자 우선 주차장(1068㎡)과 사당1동 한누리 공영주차장(1323㎡) 부지에 행복주택 복합건물을 착공한다. 내년 10월 첫 삽을 떠 2022년 상반기에 마무리한다. 청석주차장 부지에는 지하 2층~지상 5층, 연면적 3476㎡ 규모로 창업보육센터, 행복주택 36가구, 주차장이 들어선다. 한누리 공영주차장에는 지하 3층~지상 6층, 연면적 3817㎡에 행복주택 46가구와 주차장이 건립된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 LG, 전국 433개 초중고에 공청기 1만 100대 지원 완료

    LG, 전국 433개 초중고에 공청기 1만 100대 지원 완료

    LG가 미세먼지에 취약한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위해 전국 433개 초·중·고교 등에 공기청정기 1만 100대 무상 지원을 완료했다고 5일 밝혔다. LG는 앞으로 3년 동안 공기청정기 필터 교체와 애프터서비스(AS)도 무상 제공키로 했다. 이에 총 지원 규모는 당초 약 150억원에서 약 220억원으로 늘었다. 전국적으로 사상 최고 미세먼지가 장기간 이어지던 지난 3월 LG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보다 건강한 환경에서 공부하고 생활하도록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구광모 LG 대표를 비롯한 경영진 뜻을 모아 공기청정기 1만대 무상지원을 결정했었다. 이후 정부 관계부처와 협의해 공기정화시설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전국의 168개 초등학교, 124개 중학교, 91개 고등학교를 비롯해 도서관, 수련원 등 청소년 공공시설 등에 최근까지 대용량 공기청정기를 설치했다. 그 동안 LG전자 창원공장의 공기청정기 생산라인이 풀가동됐다. 이번에 보급된 LG 대용량 퓨리케어 공기청정기는 초등학교 교실 면적의 약 1.5배 이상인 최대 100㎡의 넓은 공간에서도 빠르고 효율적으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고 LG는 설명했다. 앞서 LG는 올해부터 전국 262개 모든 아동복지생활시설에도 공기청정기 3100대를 무상 지원해 나가고 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 [길섶에서] 공중전화의 진화/김균미 대기자

    며칠 전 서울 광화문 사거리를 지나는데 지하도 입구에 있는 공중번호 부스가 눈에 들어왔다. 수도 없이 지나다니던 길이었는데, 거기에 공중전화 부스가 있었는지 의식도 못 했다. 휴대전화가 필수품이 되면서 공중전화는 지하철역이나 공항에서 볼 수 있는 ‘희귀’한 시설이 됐다. 동전을 넣고 공중전화를 걸어 본 게 언제였는지 기억조차 가물가물하다. 그날따라 광화문 사거리의 공중전화가 눈에 띈 건 산뜻한 외양 때문이었다. 은행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사이에 두고 최신형 공중전화 2대가 설치돼 있었다. 신기하게 쳐다보니 지인이 이런 나를 더 신기하게 바라본다. 공중전화 부스에 ATM이 설치된 게 2011년 하반기부터니까 만 8년이나 됐다. 공중전화의 진화는 끝이 없다. 자동심장충격기(AED)가 설치된 곳도 있고, 위기 상황에 대피할 수 있는 안심부스 역할을 하는 공중전화 부스도 있다. 이젠 전기차충전소에, 미세먼지측정소 역할까지 한다. 존재감이 떨어져 가는 공중전화가 위력을 발휘할 때가 있다. 이동통신망이 불통일 때, 급한 전화를 해야 하는데 휴대전화 배터리가 똑 떨어졌거나 까먹고 나왔을 때다. 전국에 5만여대가 남아 있다는 공중전화. 애물단지가 아닌 고마운 공공시설로 만드는 건 사용자 몫이다. kmkim@seoul.co.kr
  • [월요 정책마당] 생활SOC, 삶의 질과 안전의 필수 기반/박선호 국토교통부 제1차관

    [월요 정책마당] 생활SOC, 삶의 질과 안전의 필수 기반/박선호 국토교통부 제1차관

    십수 년 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재관으로 프랑스에 머물며 본 파리의 거리는 웅장한 건물들이 질서정연하게 자리잡고 있었다. 그러나 1800년대 초반만 해도 파리는 그리 쾌적한 도시가 아니었다. 건축물과 도로 등이 계획 없이 만들어지며 무질서하게 뒤엉켜 있었고 상하수도 등의 기반 시설도 제대로 없었다. 파리가 지금의 근대적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1870년쯤이다. 당시 황제인 나폴레옹 3세는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방사형으로 뻗은 큰 도로, 학교와 병원 등의 생활편의시설, 상하수도와 녹지공간 등의 생활인프라를 중점적으로 확충했다. 선진국들은 오래전부터 도서관, 체육관, 보육시설 등 생활인프라를 ‘있으면 좋은 것’이 아닌 ‘반드시 갖춰야 하는 것’으로 인식해 왔다. 영국에서는 최소한의 생활 환경을 보장하는 ‘국가 최소기준’ 개념이 1942년 ‘베버리지 보고서’에 제시되었다. 미국은 대공황 시절 댐·도로 등 중대형 사회간접시설(SOC)과 함께 공원 등 일상생활 시설에도 많은 투자를 했다. 독일은 국민이 국토 어디서나 같은 수준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공시설 정책을 수립했다. 최근에는 국제기구들도 계층 간 생활수준의 차이나 인프라 이용에 대한 ‘사회적 배제’ 문제 해결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포용적 성장’을 제시하고 생활인프라의 보편적 접근성을 강조했다. 학자들은 ‘매슬로 욕구 단계’ 이론을 SOC에 접목해 경제가 발전할수록 안전과 복지 등 고차원적 사회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인프라 공급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내놓은 세계경제전망에서 올해 우리나라 1인당 국내총생산이 구매력평가 기준 3만 9059달러로 세계 32위이고 2021년에는 일본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다. 이처럼 우리 경제가 선진국 수준에 올라서며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인프라의 확충이 화두가 됐다. 하지만 아직 우리의 생활인프라는 부족하다. 지역 간 인프라 격차는 더 큰 문제다. 실내체육관의 경우 신도시는 1만 3000~2만 6000명당 1개지만 구도심은 10만 명당 1개인 곳도 있다. 정부는 모든 국민들이 생활인프라를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난 4월 ‘생활SOC 3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도서관, 체육관, 보육시설, 공원 등 생활SOC 확충에 중점을 두고 국민의 안전과 연관된 부분도 빠짐없이 챙긴다는 취지다. 경제발전을 뒷받침하는 도로, 철도 등 중대형 SOC 건설은 필수적인 소요에 집중한다. 국토교통부도 내년 생활SOC 사업에 투자를 강화하고자 한다. 철도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엘리베이터 등의 승강설비와 역사 냉방시설, 장애인과 노약자 등을 위한 교통약자시설, 건널목 등 승객 편의시설을 확대 설치한다. 도로의 각종 표지물과 횡단보도 야간조명 등 안전시설을 집중 정비하고 사고가 잦은 급커브 등의 위험 구간도 개선한다. 노후화된 도로 교량과 터널 등에도 충분히 투자할 예정이다. 지역 주민들이 재난과 범죄로부터 더욱 두텁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112·119 긴급출동망 등을 연계하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투자도 확대한다. 주차난 해소를 위한 지자체 공영주차장 건립 지원도 늘리고, 시민의 휴식을 위한 공원 조성에도 더욱 신경 쓸 예정이다. 도시재생사업도 꾸준히 추진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 맞춤형 마을도서관, 주차장, 문화ㆍ체육시설 등 주민편의 생활인프라를 신속히 공급할 계획이다. 생활SOC를 향한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다. 생활SOC의 확대로 전국의 모든 마을이 ‘더 안전하고 더 품격 있는’ 공간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 [월요 정책마당] 생활SOC, 삶의 질과 안전의 필수 기반/박선호 국토교통부 제1차관

    [월요 정책마당] 생활SOC, 삶의 질과 안전의 필수 기반/박선호 국토교통부 제1차관

    십수 년 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재관으로 프랑스에 머물며 본 파리의 거리는 웅장한 건물들이 질서정연하게 자리잡고 있었다. 그러나 1800년대 초반만 해도 파리는 그리 쾌적한 도시가 아니었다. 건축물과 도로 등이 계획 없이 만들어지며 무질서하게 뒤엉켜 있었고 상하수도 등의 기반 시설도 제대로 없었다. 파리가 지금의 근대적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1870년쯤이다. 당시 황제인 나폴레옹 3세는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방사형으로 뻗은 큰 도로, 학교와 병원 등의 생활편의시설, 상하수도와 녹지공간 등의 생활인프라를 중점적으로 확충했다. 선진국들은 오래전부터 도서관, 체육관, 보육시설 등 생활인프라를 ‘있으면 좋은 것’이 아닌 ‘반드시 갖춰야 하는 것’으로 인식해 왔다. 영국에서는 최소한의 생활 환경을 보장하는 ‘국가 최소기준’ 개념이 1942년 ‘베버리지 보고서’에 제시되었다. 미국은 대공황 시절 댐·도로 등 중대형 사회간접시설(SOC)과 함께 공원 등 일상생활 시설에도 많은 투자를 했다. 독일은 국민이 국토 어디서나 같은 수준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공시설 정책을 수립했다. 최근에는 국제기구들도 계층 간 생활수준의 차이나 인프라 이용에 대한 ‘사회적 배제’ 문제 해결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포용적 성장’을 제시하고 생활인프라의 보편적 접근성을 강조했다. 학자들은 ‘매슬로 욕구 단계’ 이론을 SOC에 접목해 경제가 발전할수록 안전과 복지 등 고차원적 사회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인프라 공급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내놓은 세계경제전망에서 올해 우리나라 1인당 국내총생산이 구매력평가 기준 3만 9059달러로 세계 32위이고 2021년에는 일본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다. 이처럼 우리 경제가 선진국 수준에 올라서며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인프라의 확충이 화두가 됐다. 하지만 아직 우리의 생활인프라는 부족하다. 지역 간 인프라 격차는 더 큰 문제다. 실내체육관의 경우 신도시는 1만 3000~2만 6000명당 1개지만 구도심은 10만 명당 1개인 곳도 있다. 정부는 모든 국민들이 생활인프라를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난 4월 ‘생활SOC 3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도서관, 체육관, 보육시설, 공원 등 생활SOC 확충에 중점을 두고 국민의 안전과 연관된 부분도 빠짐없이 챙긴다는 취지다. 경제발전을 뒷받침하는 도로, 철도 등 중대형 SOC 건설은 필수적인 소요에 집중한다. 국토교통부도 내년 생활SOC 사업에 투자를 강화하고자 한다. 철도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엘리베이터 등의 승강설비와 역사 냉방시설, 장애인과 노약자 등을 위한 교통약자시설, 건널목 등 승객 편의시설을 확대 설치한다. 도로의 각종 표지물과 횡단보도 야간조명 등 안전시설을 집중 정비하고 사고가 잦은 급커브 등의 위험 구간도 개선한다. 노후화된 도로 교량과 터널 등에도 충분히 투자할 예정이다. 지역 주민들이 재난과 범죄로부터 더욱 두텁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112·119 긴급출동망 등을 연계하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투자도 확대한다. 주차난 해소를 위한 지자체 공영주차장 건립 지원도 늘리고, 시민의 휴식을 위한 공원 조성에도 더욱 신경 쓸 예정이다. 도시재생사업도 꾸준히 추진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 맞춤형 마을도서관, 주차장, 문화ㆍ체육시설 등 주민편의 생활인프라를 신속히 공급할 계획이다. 생활SOC를 향한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다. 생활SOC의 확대로 전국의 모든 마을이 ‘더 안전하고 더 품격 있는’ 공간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 도시 성장 동력 발굴한 ’군포도시공사 1일 공식 출범

    다양한 개발사업으로 성장 동력을 발굴할 경기 군포도시공사가 공식 출범했다. 시는 1일 출범식을 갖고 도시공사 공식업무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시는 기존 군포시설관리공단 조직에 개발사업부를 신설해 공사 구성을 마쳤다. 5개 부서 13개 팀에서 251명이 근무한다. 2008년 6월 설립한 군포시 시설관리공단은 공공시설을 10여년 동안 관리·운영해 왔다. 앞으로 새로 출범한 공사는 체육문화, 교통, 환경자원 등 공공시설 18개소를 운영한다. 특히 토지·주택 개발·공급·임대, 위락단지(관광지와 리조트) 조성·관리업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여기에 산업단지 조성·관리, 교통 관련 시설 건설·유지관리 업무도 포함한다. 시는 운영 이익이 발생하면 재투자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해 시민 생활편의와 복리를 향상시킬 계획이다. 이와 관련 도시공사 첫 사업으로 2020년 하반기에 본격적인 건립을 추진할 군포1동 복합문화복지행정타운 조성 참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지역 내 공공 유휴부지 개발 등 개발이익의 지역 내 재투자를 전제로 한 공공 개발 중점의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한대희 군포시장은 “도시공사가 도시의 잠재력을 끌어내 군포가 수도권 중심 도시로 성장하는 기반을 만들어 도시의 새로운 100년 역사를 이끌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 [인사] 행정안전부, 충남 아산시, 매일산업, 한국금융연구원

    ■ 행정안전부 ◇ 국장급 전보 △ 주민등록번호변경위원회 사무국장 김성엽 ■ 충남 아산시 ◇ 서기관 승진 △ 평생학습문화센터소장 김성호 ◇ 사무관 전보 △ 사회복지과장 윤연옥 △ 둔포면장 유지상 △ 축수산과장 김동윤 △ 온양1동장 김만태 △ 도로과장 한영석 △ 공공시설과장 박종열 △ 감사위원장 정영제 ■ 매일산업 △ 편집국장 이강미 ■ 한국금융연구원 ◇ 발령 △ 임진 가계부채연구센터장
  • ‘범죄는 조선인’ 日극우세력 혐한 전시회, 공공기관에서 버젓이

    ‘범죄는 조선인’ 日극우세력 혐한 전시회, 공공기관에서 버젓이

    일본 극우세력들이 주도한 ‘혐한 전시회’가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시설에서 버젓이 개최돼 파문이 일고 있다. 자지체장은 뒤늦게 법적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일 단교’, ‘반이민’ 등을 내건 극우세력 정치단체인 일본제일당은 지난 27일 ‘일본인을 위한 예술제 아이치 토리카에나하레 2019-표현의 자유전’을 열었다. 지난 8월 위안부 피해자를 상징하는 ‘평화의 소녀상’ 등을 전시했다가 일본 정부와 우익세력의 압력 및 협박에 전시가 중단됐던 진보진영 작가들의 전시회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표현의 부자유전·그 후’의 제목을 비튼 것이다. 전시는 재일 한국인과 아이치 트리엔날레 관계자들에 대한 혐오를 부추기는 것들로 채워졌다. 이승만 전 대통령의 초상화가 불타는 장면이 담긴 영상이 상영됐고 ‘범죄는 언제나 조선인’ 등 혐한 내용이 적힌 카드 등도 전시됐다. 일본제일당 대표이자 대표적 혐한단체 ’재일 특권을 용납하지 않는 시민의 모임‘(재특회)의 전 회장 사쿠라이 마코토가 흰색 저고리에 검정색 치마를 입고 평화의 소녀상을 조롱하는 퍼포먼스와 연설을 했다.‘헤이트스피치‘(혐오선동발언)에 반대하는 일본 시민단체는 전시 장소인 아이치현 여성종합문화센터 윌아이치에 “부당한 차별적 언동을 할 경우 시설 이용을 불허할 수 있다”는 아이치현의 시설이용규정을 근거로 행사를 중단시키라고 요구했지만, 윌아이치 측은 “판단이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거부했다. 아이치 트리엔날레 실행위원장을 맡았던 오무라 히데아키 아이치현 지사는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 전시회를 헤이트스피치 행사로 규정하고 “윌아이치 측이 행사를 중단시키지 않은 것은 부적절했다”고 지적했다. 오무라 지사는 “전시를 중단시키지 않고 진행한 윌아이치에 대해 법적 조치 여부를 포함해 가능한 대응 조치를 검토하라고 지시했다”며 일본제일당에 대한 법적 조치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런 (헤이트스피치) 활동을 어떻게 막을지는 솔직히 말해 매우 어려운 과제로, 많은 분들의 다양한 지혜를 모으고 싶다”고 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