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걸그룹
    2025-11-0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3,962
  • ‘혼문’ 완성됐다… 케데헌 ‘골든’ 빌보드 1위

    ‘혼문’ 완성됐다… 케데헌 ‘골든’ 빌보드 1위

    K팝 아이돌과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높은 이해도로 호평을 받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주제가 ‘골든’(Golden)이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 ‘핫 100’ 1위에 올랐다. 빌보드는 11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게재한 오는 16일자 차트 예고 기사에서 ‘골든’이 전주보다 한 단계 미국 팝스타 올라 알렉스 워렌의 ‘오디너리’(Ordinary)를 제치고 차트 정상을 차지했다고 전했다. ‘케데헌’은 퇴마사이자 K팝 걸그룹인 ‘헌트릭스’가 악령이자 K팝 보이그룹 ‘사자보이스’를 물리치고 ‘혼문’을 완성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작품 속 핵심 장치인 혼문은 악귀로부터 전 세계 사람들을 보호하는 방어막 역할을 하며, ‘헌트릭스’의 목소리로 완성되는 방패를 의미한다. ‘케데헌’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 수록곡들을 K팝 범주로 본다면, ‘골든’은 여성 가수가 부른 K팝으로는 처음 ‘핫 100’ 1위를 차지한 기록을 갖게 됐다. 이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K팝 가수는 그룹 방탄소년단(BTS·6곡)과 팀 멤버 지민(1곡)·정국(1곡)뿐으로, K팝으로는 2년 만에 정상을 밟았다. ‘골든’은 또 영미 싱글차트를 모두 석권한 최초의 K팝이 됐다. 이 곡은 앞서 영국 오피셜 싱글차트 톱100에서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 이후 K팝으로는 13년 만에 1위에 올랐다. ‘케데헌’은 미국 소니픽처스 애니메이션이 제작했고, 미국의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됐다. 한국에서 탄생한 통상적인 K팝과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흥미로운 점은 서구권 주류 음악 시장에서 ‘골든’을 비롯한 ‘케데헌’ OST를 K팝으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영국 오피셜 차트 측은 지난 1일 ‘헌트릭스의 골든이 13년 만의 K팝 오피셜 차트 1위가 됐다’는 제목의 기사를 냈다. 빌보드도 “‘골든’은 ‘핫 100’ 차트를 정복한 K팝과 관련된 9번째 노래로, 여성 보컬리스트들이 부른 첫 번째 (1위) 곡이기도 하다”고 소개했다. 발매사인 미국 리퍼블릭 레코드 역시 공식 홈페이지에서 ‘케데헌’ OST를 K팝 앨범으로 분류하고 있다. ‘케데헌’은 비록 한국 자본으로 만들어진 콘텐츠는 아니지만, K팝과 한국을 빼놓고는 성립할 수 없는 스토리와 스타일로 구성돼 있다. ‘골든’은 SM엔터테인먼트 연습생 출신 작곡가 이재, 서울 출신인 래퍼 겸 싱어송라이터 레이 아미, 미국 뉴저지 출신인 오드리 누나가 불렀는데 이들은 모두 한국계 미국인이다. 또 K팝 기획사 더블랙레이블의 유명 음악 프로듀서 테디·24가 이재와 함께 ‘골든’을 작곡했다. 더블랙레이블의 24, 쿠시, 빈스 등은 OST 수록곡 ‘소다 팝’(Soda Pop)과 ‘유어 아이돌’(Your Idol)도 작곡했다. ‘골든’의 가사에는 ‘어두워진 앞길 속에’, ‘영원히 깨질 수 없는’, ‘밝게 빛나는 우린’과 같은 한국어 구절이 일부 포함돼 있다. ‘골든’은 애니메이션 서사와 맞물린 완성도, 귀에 맴도는 멜로디와 시원시원한 고음 등으로 공개 직후부터 화제를 모으며 최고의 히트곡으로 인기를 모았다. 이 곡의 고음 구간은 가창력을 보여주는 바로미터처럼 받아들여지면서 S.E.S. 출신 바다를 비롯해 다비치의 이해리, 마마무의 솔라, 엔믹스의 릴리, 아이브의 안유진, 소향, 에일리, 권진아 등 숱한 K팝 스타들의 ‘골든 챌린지’가 이어지기도 했다.
  • 계성학교 ‘50계단’서 바라보는 서문시장: 대구 근대사의 생생한 파노라마 [한ZOOM]

    계성학교 ‘50계단’서 바라보는 서문시장: 대구 근대사의 생생한 파노라마 [한ZOOM]

    대구의 심장부, 서문시장의 역동적인 풍경을 한눈에 담을 수 있는 특별한 장소가 있다. 바로 계성학교의 50계단이다. 이곳에 서면 왁자지껄한 시장의 활기 너머로 대구의 오랜 역사와 문화가 한데 얽혀 펼쳐진다. 조선 3대 시장에서 전국 최대 야시장으로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시장하면 서울의 경동시장이나 남대문시장이 먼저 떠오르지만, 조선시대 3대 시장은 수도 한양에서 멀리 떨어진 대구의 ‘대구장’, 평양의 ‘평양장’, 그리고 논산의 ‘강경장’이었다. 당시 대구장은 영남 지역의 농산물과 수공예품이 모이는 상업 중심지였다. 대구장의 역사는 지금의 서문시장으로 이어진다. 원래 대구읍성 북문 밖에 있었던 시장은 1601년 경상감영이 대구에 설치되면서 서문 밖으로 이전했고, 이후 ‘서문시장’이라 불리기 시작했다. 조선 후기에는 “서문시장에 가면 구하지 못할 물건이 없다”는 말이 돌 정도로 번성했다. 현재 서문시장은 1920년대 일제강점기에 지금의 위치인 대구 중구 대신동으로 강제 이전돼 형성됐다. 일제는 도시 구조 재편을 명분으로 ‘천황당지’를 매립하고 이곳에 시장을 옮겼다. 서문시장은 오늘날 대구의 대표적인 야간 관광명소인 ‘야시장’으로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50계단 품은 근대 교육의 요람, 계성학교 서문시장 옆에는 1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계성학교가 자리하고 있다. 1906년 미국인 선교사 제임스 아담스에 의해 설립된 계성학교는 영남 최초의 신식 교육기관이었다. 학교가 들어선 남성로는 원래 대구읍성 남쪽 성벽이 있던 자리로, 일제가 성벽을 허물고 도로를 내면서 생겨난 길이다. 선교사들은 이곳을 대구 근대화의 거점으로 삼아 계성학교·신명여학교 등 교육시설, 제중원(현 동산의료원) 같은 의료기관을 세웠다. 특히 계성학교 내 ‘아담스관’은 1919년 3월 8일 대구 만세운동 당시 독립선언문이 인쇄된 장소로, 근대 교육과 애국의 상징이 되었다. 최근에는 걸그룹 ‘뉴진스’의 뮤직비디오 ‘Ditto’ 촬영지로 알려져 많은 팬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상업과 근대 문화의 절묘한 만남 서문시장과 계성학교는 불과 수십 미터 거리에 위치하며, 대구의 상업과 근대 문화를 상징하는 두 개의 심장 역할을 해왔다. 일제가 의도했든 아니든, 상업 중심지인 서문시장이 근대화 거점인 남성로 옆으로 이전되면서 대구는 도시 성장의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계성학교의 50계단에서 서문시장을 내려다보는 것은 단순히 시장의 풍경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대구의 과거와 현재, 전통과 근대가 공존하는 특별한 역사를 마주하는 경험이다. 왁자지껄한 시장의 활기와 고요한 근대 건축물들이 빚어내는 이 독특한 조화는 대구라는 도시가 품고 있는 특별한 이야기를 조화롭게 들려준다.
  • 계성학교 ‘50계단’서 바라보는 서문시장: 대구 근대사의 생생한 파노라마

    계성학교 ‘50계단’서 바라보는 서문시장: 대구 근대사의 생생한 파노라마

    대구의 심장부, 서문시장의 역동적인 풍경을 한눈에 담을 수 있는 특별한 장소가 있다. 바로 계성학교의 50계단이다. 이곳에 서면 왁자지껄한 시장의 활기 너머로 대구의 오랜 역사와 문화가 한데 얽혀 펼쳐진다. 조선 3대 시장에서 전국 최대 야시장으로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시장하면 서울의 경동시장이나 남대문시장이 먼저 떠오르지만, 조선시대 3대 시장은 수도 한양에서 멀리 떨어진 대구의 ‘대구장’, 평양의 ‘평양장’, 그리고 논산의 ‘강경장’이었다. 당시 대구장은 영남 지역의 농산물과 수공예품이 모이는 상업 중심지였다. 대구장의 역사는 지금의 서문시장으로 이어진다. 원래 대구읍성 북문 밖에 있었던 시장은 1601년 경상감영이 대구에 설치되면서 서문 밖으로 이전했고, 이후 ‘서문시장’이라 불리기 시작했다. 조선 후기에는 “서문시장에 가면 구하지 못할 물건이 없다”는 말이 돌 정도로 번성했다. 현재 서문시장은 1920년대 일제강점기에 지금의 위치인 대구 중구 대신동으로 강제 이전돼 형성됐다. 일제는 도시 구조 재편을 명분으로 ‘천황당지’를 매립하고 이곳에 시장을 옮겼다. 서문시장은 오늘날 대구의 대표적인 야간 관광명소인 ‘야시장’으로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50계단 품은 근대 교육의 요람, 계성학교 서문시장 옆에는 1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계성학교가 자리하고 있다. 1906년 미국인 선교사 제임스 아담스에 의해 설립된 계성학교는 영남 최초의 신식 교육기관이었다. 학교가 들어선 남성로는 원래 대구읍성 남쪽 성벽이 있던 자리로, 일제가 성벽을 허물고 도로를 내면서 생겨난 길이다. 선교사들은 이곳을 대구 근대화의 거점으로 삼아 계성학교·신명여학교 등 교육시설, 제중원(현 동산의료원) 같은 의료기관을 세웠다. 특히 계성학교 내 ‘아담스관’은 1919년 3월 8일 대구 만세운동 당시 독립선언문이 인쇄된 장소로, 근대 교육과 애국의 상징이 되었다. 최근에는 걸그룹 ‘뉴진스’의 뮤직비디오 ‘Ditto’ 촬영지로 알려져 많은 팬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상업과 근대 문화의 절묘한 만남 서문시장과 계성학교는 불과 수십 미터 거리에 위치하며, 대구의 상업과 근대 문화를 상징하는 두 개의 심장 역할을 해왔다. 일제가 의도했든 아니든, 상업 중심지인 서문시장이 근대화 거점인 남성로 옆으로 이전되면서 대구는 도시 성장의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계성학교의 50계단에서 서문시장을 내려다보는 것은 단순히 시장의 풍경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대구의 과거와 현재, 전통과 근대가 공존하는 특별한 역사를 마주하는 경험이다. 왁자지껄한 시장의 활기와 고요한 근대 건축물들이 빚어내는 이 독특한 조화는 대구라는 도시가 품고 있는 특별한 이야기를 조화롭게 들려준다.
  • K팝 퇴마 열풍… 그 뒤엔 힙한 고증

    K팝 퇴마 열풍… 그 뒤엔 힙한 고증

    벌·국화 등 전통 매듭 노리개 착용무대·의상엔 단청 문양… 갓도 인기민화에서 따온 호랑이·까치 캐릭터국립중앙박물관 굿즈도 품절 대란 K팝 아이돌을 소재로 하는 넷플릭스 장편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작품에 등장하는 한국 문화유산에 관한 관심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걸그룹 헌트릭스가 퇴마사로 활약하며 보이그룹 사자보이스로 위장한 저승사자로부터 인류를 지켜 낸다는 내용의 케데헌은 꼼꼼한 고증을 거친 한국적 요소들이 자연스럽게 담겼다는 평가를 받는다. 먼저 헌트릭스의 리더 루미를 비롯해 미라, 조이가 착용한 노리개를 보면, ‘벌매듭’, ‘국화 매듭’, ‘생쪽 매듭’, ‘나비 매듭’ 등 다양한 전통 매듭이 사용됐음을 알 수 있다. 노리개는 조선시대 저고리 고름이나 치마 허리에 다는 장신구다. 다양한 형태와 문양, 화려한 색채를 띤 노리개는 단조로운 우리 전통 의상에 화려하고도 섬세한 미를 더한다. 궁중에서부터 평민에 이르기까지 널리 애용한 장신구다. 박형민 국가무형유산 매듭장 이수자는 “전체적인 이미지는 현대적인 느낌이 많이 들어갔고 일부 밑부분 수술을 풍성하게 늘어트린 모양은 전통 방식은 아니다”라면서도 “자세히 살펴보면 제작진이 매듭 기법을 상당히 공부한 것을 알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케데헌을 통해 우리 전통 매듭의 아름다움이 널리 알려지는 것 같아 기쁘다”고 덧붙였다. 사자보이스의 리더 진우와 루미 사이를 오가는 전령 호랑이(더피)와 까치(서씨)는 한국 민화의 단골 소재로 ‘호작도’(작호도)에서 가져왔다. 전통적으로 호랑이의 그림은 재앙이나 사악한 기운을 막는 벽사(귀신을 물리침)의 수단으로 활용됐다. 호랑이가 까치와 함께 그려진 연유를 정확하게 설명하는 문헌이 전하지는 않는다. 다만 호작도가 새해를 축하하는 뜻으로 임금이 신하에게 내려 주던 그림으로 인기가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호랑이와 까치의 조합에는 새해를 맞은 즐거움과 기대가 담긴 것으로 추정된다. 사자보이스가 특유의 소품으로 활용하는 갓 도 눈에 띈다. 흔히 알고 있는 흑립은 조선시대에 사용됐지만 갓의 시초는 삼국시대로 본다. 경주 금령총에서 출토된 신라 입형백화피모 모자나, 고구려 감신총 벽화에 등장하는 패랭이를 쓴 인물들이나, 신라 원성왕이 꿈에 복두를 벗고 소립을 썼다는 삼국유사의 기록 등을 통해 기원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헌트릭스의 공연 무대와 의상에는 화려한 단청 문양이 수놓아 있다. 또 뮤직비디오, 무대 배경에는 조선시대 임금이 앉던 ‘어좌’와 ‘일월오봉도’가 등장한다. 일월오봉도는 왕의 권위와 태평성대를 상징하는 병풍으로, 해와 달, 다섯 산봉우리, 소나무, 폭포 등을 대칭 구도로 그린 그림이다. 주로 어좌 뒤에 배치돼 왕의 존재를 상징했다. 최근 케데헌에 등장하는 문화유산의 굿즈가 품절되는 등 열풍을 실감 중인 국립중앙박물관의 관계자는 “박물관에서 직접 관련 문화유산을 찾아본다면 더 깊이 감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 [씨줄날줄] 유튜버 징벌 배상

    [씨줄날줄] 유튜버 징벌 배상

    걸그룹 ‘아이브’ 멤버 장원영에 대한 가짜뉴스를 퍼뜨린 유튜브 채널 ‘탈덕수용소’가 막대한 수익을 올려 빌라를 구매한 사실이 최근 알려져 공분을 샀다. 장원영 측은 이 채널의 익명 정보를 구글을 통해 알아내 손해배상 소송을 걸어 ‘사이버 레커’(의혹이나 루머 유포 채널)를 상대로 처음 승소했다. 변호인 측은 “범죄 수익 추징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빌라 등을 가압류했다고 밝혔다. 가짜뉴스를 만들어 유포하는 유튜버들이 자극적 내용으로 구독자를 늘려 광고 수익과 슈퍼챗 등 돈벌이에 골몰해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다. 연예인, 정치인 등을 대상으로 허위 사실을 양산해 명예훼손의 고소·고발전으로 이어진다. 그래 봤자 솜방망이 처벌로 잠시 문을 닫았다가 아무렇지 않게 다시 등장한다. 대규모 구독자를 거느린 가짜뉴스 채널은 많게는 월 수입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을 올리지만 탈세도 빈번하다. 유튜버들의 가짜뉴스를 단속하기 위해 해당 영상·채널 삭제, 정보통신망법 등에 따른 징역 또는 벌금형,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접속 차단 등 행정 조치가 이뤄지고는 있다. 그러나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해외 플랫폼에는 손쓸 방도가 없어 ‘규제 사각지대’라는 지적이 많다. 처벌을 강화하는 정보통신망법 개정안과 유럽연합(EU)의 ‘디지털서비스법’ 도입, 유튜버에 대한 금융거래 및 불법 수익 몰수 등을 담은 법안이 추진 중인 까닭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가짜뉴스로 돈을 버는 일이 너무 많다”며 가짜뉴스 유튜버들을 어떻게 할지 검토하라고 법무부에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형사 처벌로는 안 된다. 가장 좋은 처벌은 징벌 배상”이라고 대안까지 콕 집었다. 가짜뉴스를 뿌리 뽑는 해법으로 손해액의 3~5배까지 배상금을 부과하는 징벌적 손해배상이 논의 테이블에 올랐다. 보수, 진보 가리지 않는 엄격한 잣대로 가짜뉴스에 기생하는 유튜버들을 공론장에서 털어 내야 할 시점이다.
  • ‘케데헌’ 덕에 화제된 서울 명소…루미·진우가 데이트한 ‘이곳’ [뚜벅뚜벅 대한민국]

    ‘케데헌’ 덕에 화제된 서울 명소…루미·진우가 데이트한 ‘이곳’ [뚜벅뚜벅 대한민국]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영화 속 배경으로 등장한 서울 명소들이 ‘성지순례’ 장소로 떠올랐다. 지난 6월 공개 직후 넷플릭스 글로벌 1위를 차지한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유명 걸그룹 ‘헌트릭스’가 화려한 무대 뒤 퇴마 활동으로 세상을 지키는 이야기를 담은 판타지 애니메이션이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OST는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 200’에서 2위를 차지하고, ‘헌트릭스’가 부른 ‘골든’은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에서 정상에 올랐다. K팝이 영국에서 1위에 오른 것은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 이후 13년 만이다. 소셜미디어(SNS)상에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장소에 관심을 갖고 여행을 계획하는 글로벌 팬들이 많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달 취임 3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대해 “눈물이 날 정도로 고마운 작품”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하면서 화제를 모은 서울 관광 명소 4곳을 소개한다. 1. 종로구 낙산공원 성곽길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주인공 루미와 진우가 만나 속마음을 털어놓은 곳은 종로구에 있는 낙산공원 성곽길이다. 서울에서 가장 아름다운 야경을 볼 수 있는 낙산공원 성곽길은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시민 휴식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낙산공원 중앙광장에는 낙산전시관과 주차장, 매점 등 편의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낙산공원 성곽길은 이화동 벽화마을을 비롯해 흥인지문, 한양도성길 등으로 이어져 한 번에 둘러보기 좋다. 낙산공원 성곽길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북촌한옥마을 역시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배경으로 등장했다. 루미와 진우가 골목과 지붕을 오가며 듀엣곡 ‘프리’를 부르는 모습이 나와 눈길을 끌었다. 북촌한옥마을은 한옥의 아름다움과 골목의 정겨움을 느낄 수 있는 곳으로 기념사진을 남기기에 제격이다. 2. 중구 명동거리 명동거리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남자 아이돌 그룹 ‘사자보이즈’가 처음으로 등장해 ‘소다팝’ 무대를 선보인 곳이다. 서울을 대표하는 쇼핑명소인 명동에는 브랜드 매장과 백화점을 비롯해 다양한 가게들이 밀집되어 있다. 쇼핑뿐만 아니라 맛집과 카페가 즐비해 외국인 여행객들에게 오랜 기간 사랑받았다. 명동의 주요 관광지로는 명동성당, 명동예술극장, 만화의 거리 등이 있다. 특히 1934년에 지어져 한국문화예술의 선구자 역할을 해온 명동예술극장에서는 연극, 뮤지컬 등 공연뿐만 아니라 연기경연대회 등 다채로운 행사가 열린다. 명동에 자리 잡은 만화의 거리 ‘재미로’는 한국을 대표하는 캐릭터들로 가득 차 있어 만화 애호가라면 방문해볼 만한 곳이다. 3. 중구 남산 N서울타워 서울을 상징하는 N서울타워는 여러 차례 영화에 등장한다. 케이팝 걸그룹 ‘헌트릭스’가 팬들의 마음을 얻어 악령을 물리치는 마지막 공연 역시 N서울타워를 배경으로 한다. N서울타워는 서울 방문 시 꼭 가야 할 관광명소로 꼽히며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게임’에도 등장한 바 있다. 2005년부터 남산공원에 일반승용차와 택시 통행이 금지되어 남산 서울타워까지 가려면 순환버스, 케이블카 등을 이용하거나 도보로 올라야 한다. 남산 둘레길은 가파르지 않아 가볍게 산책하기 좋고, 봄이면 벚꽃이 피고 가을이면 단풍이 물들어 사계절 내내 사랑받는 나들이 명소다. 해발 480m 높이에 있는 전망대에서는 서울 시내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360도의 파노라마 뷰를 자랑하는 N서울타워 전망대의 입장료는 성인 2만6000원, 청소년 2만원이다. 전망대 외에도 케이블카, 사랑의 자물쇠, 하트 의자 등 다양한 즐길 거리가 있어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방문하기에 안성맞춤이다. 4. 광진구 청담대교 ‘헌트릭스’가 지하철 위에서 악령과 맞서 싸운 곳은 광진구에 있는 청담대교다. 광진구 자양동과 강남구 청담동 사이를 연결하는 1211m 길이의 청담대교에서는 한강을 만끽하고 서울의 석양과 야경을 눈에 담을 수 있다. 지하철 7호선을 타고 청담대교를 건너 자양역에서 내리면 뚝섬 한강공원이 있다. 뚝섬은 수변광장, 장미정원을 비롯해 어린이놀이터, 한강 이야기전시관 등 즐길 거리가 풍부해 시민들의 나들이 장소로 사랑받는 곳이다. 특히 여름에는 수영장과 음악분수가 운영되고 겨울에는 눈썰매장과 스케이트장이 열리기도 한다.
  • 아이브, 이달 25일 ‘아이브 시크릿’으로 7개월 만에 컴백

    아이브, 이달 25일 ‘아이브 시크릿’으로 7개월 만에 컴백

    걸그룹 ‘아이브’가 이달 말 새 미니앨범으로 7개월 만에 팬들에게 돌아온다. 소속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는 아이브가 오는 25일 네 번째 미니앨범 ‘아이브 시크릿’(IVE SECRET)을 발매한다고 1일 밝혔다. ‘아이브 시크릿’은 아이브가 지난 2월 발매한 ‘아이브 엠파시’ 이후 6개월 만에 공개하는 새 앨범이다. 아이브는 전날 소셜미디어(SNS)에 신보 타이틀곡 제목인 ‘엑스오엑스지’(XOXZ)와 함께 포스터를 공개했다. 포스터에는 멤버 6명이 날개를 단 동물 형상, 종이학 등 다양한 소품을 들고 있는 모습이 담겼다. ‘XOXZ’는 지난달 27일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SBS 가요대전 썸머’에서 일부가 선공개된 바 있다. 아이브는 지난 2월 발매된 ‘아이브 엠파시’를 포함해 최근 국내에서 발매한 앨범 5장 모두 밀리언 셀러를 달성했다. 이번 미니 앨범으로 6연속 밀리언 셀러를 달성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 걸그룹 전 멤버, ‘술집서 일하다 남편 만나’ 악성 루머 유포자 고소

    걸그룹 전 멤버, ‘술집서 일하다 남편 만나’ 악성 루머 유포자 고소

    그룹 앨리스 출신 소희(본명 김소희·25)가 사생활 관련 헛소문을 유포한 가해자를 고소, 검찰의 수사 결과를 기다리게 됐다. 소희는 지난 30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최근 터무니없는 허위사실로 인해 불편한 일을 겪게 됐고 고소를 진행하게 됐다. 현재 사건은 수사기관에 송치된 상태”라고 시작하는 글을 게시했다. 소희가 올린 문자메시지 캡처 사진에는 ‘(소희가) 서울서대문경찰서에 고소한 정보통신망법 위반(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 협박 등 혐의를 받는 A씨 사건에 대한 경찰 조사가 종료돼 서울서부지검에 송치됐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소희는 “연습생 시절부터 시작해 2017년 데뷔 후 은퇴하기까지 연예계에서 10년 동안 단 한 번도 떳떳하지 못한 행동을 한 적이 없었다”라며 “언제나 앞만 바라보며 제 자리에서 묵묵히 최선을 다해왔고, 제 일에 대한 자부심도 있었으며 그만큼 책임감 있게 걸어왔다고 믿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다 함께 촬영했던 동료의 생일파티에서 지금의 남편을 만나 자연스럽게 결혼으로 이어지게 됐고, 지금은 제 인생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했다. 소희는 “그러던 중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 등 팔로워 수가 많은 대상을 상대로 루머를 퍼뜨리는 계정에서 저에 대한 허위 글이 올라왔다는 제보를 받게 됐다”며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 경고만 하고 넘어갔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가해자는 점점 선을 넘기기 시작했다”며 “제가 술집에서 일하다 남편을 만났다는 터무니없는 이야기부터 시작해 ‘내가 소희를 봤다’, ‘어디서 일했다’는 식의 조작된 대화 캡처 이미지까지 만들어 유포했고 가족까지 언급하며 협박을 해왔다”고 전했다. 소희는 “저는 연예계 활동을 하며 누구보다 열심히 살아왔고, 제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왔기에 오랜 시간 지켜온 진심과 명예가 왜곡되고 의심받는 듯한 상황에 마음이 참 힘들었다”면서 “다행히 가해자에게 피해를 입은 분들께서 용기를 내 직접 제보해 주셨고, 그 덕분에 사건은 빠르게 수사기관에 송치됐다”고 했다. 소희는 그러면서 “이번 일은 선처 없이 끝까지 갈 예정”이라며 “이런 일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소희는 2017년 SBS 예능 ‘K팝스타6 - 더 라스트 찬스’에서 준우승을 차지, 같은 해 앨리스 멤버로 데뷔했다. 지난해 5월 15세 연상 비연예인 사업가와 결혼하면서 그룹을 탈퇴하고 연예계를 은퇴했다.
  • 王자 선명 ‘복근티’ 6만원대… 전 세계 열광 ‘케데헌’ 굿즈 화제

    王자 선명 ‘복근티’ 6만원대… 전 세계 열광 ‘케데헌’ 굿즈 화제

    역대급 글로벌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는 K팝 소재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공식 굿즈(상품)가 최근 대폭 확대 출시돼 작품 속 아이돌 그룹 헌트릭스와 사자보이즈에 푹 빠진 팬들 사이에서 화제다. 31일 현재 넷플릭스 공식 상품 판매 웹사이트에는 ‘케데헌’ 관련 55종의 굿즈가 판매되고 있다. ‘케데헌’이 전 세계적인 흥행 돌풍을 일으킨 초기엔 그 인기에 비해 굿즈 종류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이후 휴대전화 케이스, 컵, 에코백, 각종 의류 등이 지속적으로 추가되면서 팬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가장 최근 추가된 굿즈 중에선 특히 영화 속 캐릭터들의 모습을 재현해볼 수 있는 의류 제품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사자보이즈의 근육질 멤버 애비의 ‘왕(王)자 복근’이 드러난 몸매를 그대로 올김 티셔츠는 첫 대면 당시 애비의 복근을 보고 주인공 걸그룹 헌트릭스 멤버들이 눈에서 하트를 발사하던 장면을 떠오르게 한다. 이 제품은 6만 8000원에 판매 중이다. 소셜미디어(SNS) 계정 프로필을 헌트릭스 멤버 조이로 설정하고 ‘케데헌’에 심취해 있는 한 외국인 팬은 복근 티셔츠 캡처 사진을 올리면서 “나 운다. 공식 굿즈로 나오다니”라고 말했다. 헌트릭스의 또 다른 멤버 미라가 입었던 잠옷도 언급이 많은 제품 중 하나다. 시큰둥한 표정의 북극곰이 잠옷 전체를 채울 만큼 큼직하게 그려진 게 특징이다. 다만 작품 속 원피스형 잠옷이 판매용으로는 맨투맨 스타일로 짧아졌고 질감과 디테일 역시 큰 차이를 보여 공식 굿즈 중 가장 비싼 축에 속하는 8만 9000원이라는 가격은 다소 아쉽다는 평이 나온다. 한편 공개 6주차를 맞은 ‘케데헌’은 여전히 식을 줄 모르는 인기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넷플릭스는 전날 “‘케데헌’이 공식적으로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사상 최고 시청 수를 기록한 작품에 등극했다”고 밝혔다. ‘케데헌’은 현재 누적 1억 3420만 시청 수를 기록 중이다. 종전 넷플릭스 역대 최고 흥행 애니메이션 기록은 2023년 공개된 ‘레오’로 7주차에 1억 120만 시청 수를 달성한 바 있다. K팝을 소재로 한 ‘케데헌’은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도 선풍적인 인기를 모으며 엄청난 파급력을 자랑하고 있다. 지난 29일 빌보드가 발표한 최신 차트에 따르면 헌트릭스가 부른 ‘골든’(Golden)은 메인 싱글차트인 ‘핫100’에서 2위를 차지했다. 이달 초 81위로 차트에 진입한 뒤 23위, 6위, 4위, 2위로 수직 상승했다.
  • [데스크 시각] K콘텐츠 300조원 시대를 여는 열쇠

    [데스크 시각] K콘텐츠 300조원 시대를 여는 열쇠

    2025년은 한국 대중문화의 기념비적인 해다. K팝의 기틀을 닦은 SM엔터테인먼트, 한국 영화와 K드라마의 전 세계적인 확산에 기여한 CJ ENM이 모두 창립 30주년을 맞았다. 뿐만 아니라 걸출한 뮤지션들을 배출한 국내 인디음악과 K뮤지컬의 새 지평을 연 ‘명성황후’,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영화제인 부산국제영화제도 올해 30돌을 맞는다. 때문에 1995년은 K콘텐츠 시대의 원년으로 불린다. 문민정부의 출범 이후 X세대를 중심으로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향유했고 케이블TV의 개국으로 K콘텐츠가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지난 30년 동안 K팝은 미국 빌보드차트를 석권할 정도로 급성장했고 한국 영화와 드라마도 전 세계인이 주목하는 주류 문화 반열에 올랐다. K팝을 소재로 한 넷플릭스 장편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글로벌 흥행은 K콘텐츠의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사례다. 이 작품은 K팝 시장의 특징을 고스란히 반영했고 극중 걸그룹 헌트릭스와 보이그룹 사자보이스가 부르는 노래에는 한글 가사가 포함됐다. ‘케데몬’의 OST ‘골든’은 오스카 주제가상의 유력 후보로 떠올랐다. 하지만 이처럼 양적 팽창기를 지난 K콘텐츠는 중대한 국면을 맞이했다. 질적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을 요구받고 있으며 무엇보다 K콘텐츠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K콘텐츠 업계는 대외적으로 제작 능력에 대해 인정을 받았지만 내부적으로는 구조적인 위기에 직면했다. 국내 영화계를 중심으로 극장 연간 관객 1억명대가 붕괴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드라마와 예능 등 방송 콘텐츠의 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쏠림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국내 방송사와 OTT 등 플랫폼의 경쟁력이 약화하며 영상 콘텐츠 제작사들은 글로벌 OTT의 눈치를 봐야 하는 형국이 됐고 글로벌 OTT의 시장 지배적 위치는 더욱 강화됐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토종 OTT 플랫폼이 떠오르고 있지만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두 회사의 합병 시 총 1127만 구독자를 확보해 넷플릭스(1450만)의 대항마가 될 수 있지만 주주들의 이해관계가 얽혀 합의 도출이 잘 되지 않고 있다. 토종 OTT 플랫폼은 경쟁력 있는 지식재산권(IP)을 통해 K콘텐츠의 하청 기지화를 막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다. 향후 글로벌 OTT 시장에 진출한다면 일본의 유넥스트나 홍콩의 뷰처럼 범아시아 지역으로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2030년까지 K콘텐츠 산업 시장 규모 300조원 시대를 열겠다는 비전을 선포했다. 최휘영 신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도 지난 29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K콘텐츠 시장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 구상을 밝혔다. 대한민국을 5대 문화강국으로 만들겠다는 정부의 청사진은 반갑지만 반드시 간과하지 말아야 할 사항이 있다. 문화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일이기에 보다 섬세하고 정교한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한류는 단순한 콘텐츠 수출을 넘어 문화적, 사회적 의미를 지닌 현상이다. 거시적으로 문화제국주의에 빠지지 않고 전 세계인과 소통하고 콘텐츠 제작 환경을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도록 끌어올리는 것이 필요하다. 나아가 K콘텐츠의 창작과 유통, 소비가 선순환되는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 이 대통령의 말처럼 우리는 백범 김구 선생이 그토록 원하던 문화강국 초입에 서 있다. 숫자보다 더 중요한 것은 진정성이다. 한류는 한국적인 정서가 담긴 보편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국경과 인종을 초월한 문화적 감수성으로 소통했다. 이 같은 한류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것이 진정한 K콘텐츠 300조원 시대를 여는 열쇠일 것이다. 이은주 문화체육부 차장
  • “爸爸有家庭暴力,却要求我们回去吗?”…NewJeans方使用极端比喻引发争议

    “爸爸有家庭暴力,却要求我们回去吗?”…NewJeans方使用极端比喻引发争议

    在NewJeans与所属公司ADOR之间的专属合约纠纷持续发酵之际,NewJeans方在法庭上使用极端比喻的行为近日被曝光,引发了广泛争议。 在24日于首尔中央地方法院民事合议41部举行的第三次辩论中,NewJeans方的代理律师使用了极端的比喻来表达拒绝返回ADOR- HYBE体系的立场:“妻子看到丈夫的脸就想吐,法院怎么能说‘就这么生活下去’呢?”、“养大我们的妈妈被赶走了,却要求我们回到那个有家庭暴力的爸爸身边,还说会给我们找个更好的妈妈。” 成员们在请愿书中表示:“回到ADOR就像要求校园暴力受害者回到有加害者的学校一样”,并指出他们对ADOR的信任已经破裂,在管理期间曾遭受抑郁和噩梦的折磨。此外,他们还表示:“如果是以前的ADOR,我们可能会回去”,但“现在的ADOR已经被HYBE掌控”。 ADOR方面则强调:“解除合约的理由不成立”,并坚持专属合约的有效性。他们认为,仅凭前ADOR代表闵熙珍的解雇就主张合约无效是不合理的。 对于NewJeans方的这种比喻,网民们的反应不一。 有人表示:“能感受到他们的绝望心情”,但也有人批评:“加害者-受害者框架过于极端”、“在法律纠纷中使用情感诉求会适得其反”。特别是有人指出:“艺人试图决定公司代表人选是霸权行为”。 另一方面,法院将调解日期定为8月14日,并敦促双方提出切实可行的调解方案。多数观点认为,如果NewJeans方不能提供“信任关系破裂”的具体证据或“合约不公平性”的证据,胜诉的可能性非常渺茫。此次冲突是最终会以戏剧性的和解收场,还是法律斗争愈演愈烈,引起了K-pop行业的广泛关注。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뉴진스-어도어 갈등 격화… 법정 공방 속 ‘극단적 비유’ 논란 가열 걸그룹 뉴진스와 소속사 어도어 간 전속계약 분쟁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뉴진스 측이 법정에서 사용한 ‘극단적 비유’가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커지고 있다. 양측의 갈등이 단순한 계약 문제를 넘어 감정적인 골마저 깊어졌음을 시사한다. “아내가 남편 얼굴만 봐도 토할 것 같은데…”“학교 폭력 피해자에게 가해자 학교로 돌아가란 것”지난 24일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합의41부에서 열린 3차 변론기일에서 뉴진스 측 법률대리인은 하이브-어도어 체제 복귀를 강력히 거부하며 충격적인 비유를 사용했다. 대리인은 “아내가 남편 얼굴만 봐도 토할 것 같은데, 법원이 ‘그냥 살아’라고 할 수 있냐”고 반문하며 “길러주던 엄마는 쫓겨났는데 가정폭력을 일삼던 아빠가 더 좋은 엄마를 붙여줄 테니 들어오라는 말”이라고 덧붙였다. 멤버들 역시 탄원서를 통해 “어도어 복귀는 학교폭력 피해자에게 가해자가 있는 학교로 돌아가라는 것”이라며 현재 어도어에 대한 신뢰가 완전히 파탄났음을 주장했다. 이들은 “예전 어도어라면 돌아갈 것”이라면서도 “지금의 어도어는 하이브에 장악돼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어도어 측은 “계약 해지 사유는 성립하지 않는다”라며 전속계약 유효성을 재차 강조했다.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의 해임만으로는 뉴진스 측 계약 무효 주장이 성립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절박한 심정”vs.“감성 호소 역효과”…엇갈리는 여론뉴진스 측의 이 같은 비유를 접한 누리꾼들의 반응은 첨예하게 엇갈린다. 일각에서 “절박한 심정이 느껴진다”며 멤버들의 상황에 공감하는 의견을 보이는 반면, “가해자-피해자 프레임은 과하다”, “법적 분쟁에 감성 호소는 역효과”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특히 “소속 연예인이 회사 대표까지 정하려 드는 건 갑질”이라는 지적도 나오는 등 이번 사태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쏟아지고 있다. 8월 14일 조정기일 지정… 극적 합의 이뤄질까재판부는 양측에 실질적 조정안 마련을 당부하며 8월 14일로 조정기일을 지정했다. 현재로서는 뉴진스 측이 ‘신뢰 관계 파탄’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나 ‘계약의 불공정성’을 명확히 제시하지 않는 이상 승소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번 분쟁이 단순한 법정 공방을 넘어 K팝 산업의 지형도를 뒤흔들 중대한 분수령이 될지, k팝 팬들과 업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 “爸爸有家庭暴力,却要求我们回去吗?”…NewJeans方使用极端比喻引发争议

    “爸爸有家庭暴力,却要求我们回去吗?”…NewJeans方使用极端比喻引发争议

    在NewJeans与所属公司ADOR之间的专属合约纠纷持续发酵之际,NewJeans方在法庭上使用极端比喻的行为近日被曝光,引发了广泛争议。 在24日于首尔中央地方法院民事合议41部举行的第三次辩论中,NewJeans方的代理律师使用了极端的比喻来表达拒绝返回ADOR- HYBE体系的立场:“妻子看到丈夫的脸就想吐,法院怎么能说‘就这么生活下去’呢?”、“养大我们的妈妈被赶走了,却要求我们回到那个有家庭暴力的爸爸身边,还说会给我们找个更好的妈妈。” 成员们在请愿书中表示:“回到ADOR就像要求校园暴力受害者回到有加害者的学校一样”,并指出他们对ADOR的信任已经破裂,在管理期间曾遭受抑郁和噩梦的折磨。此外,他们还表示:“如果是以前的ADOR,我们可能会回去”,但“现在的ADOR已经被HYBE掌控”。 ADOR方面则强调:“解除合约的理由不成立”,并坚持专属合约的有效性。他们认为,仅凭前ADOR代表闵熙珍的解雇就主张合约无效是不合理的。 对于NewJeans方的这种比喻,网民们的反应不一。 有人表示:“能感受到他们的绝望心情”,但也有人批评:“加害者-受害者框架过于极端”、“在法律纠纷中使用情感诉求会适得其反”。特别是有人指出:“艺人试图决定公司代表人选是霸权行为”。 另一方面,法院将调解日期定为8月14日,并敦促双方提出切实可行的调解方案。多数观点认为,如果NewJeans方不能提供“信任关系破裂”的具体证据或“合约不公平性”的证据,胜诉的可能性非常渺茫。此次冲突是最终会以戏剧性的和解收场,还是法律斗争愈演愈烈,引起了K-pop行业的广泛关注。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뉴진스-어도어 갈등 격화… 법정 공방 속 ‘극단적 비유’ 논란 가열 걸그룹 뉴진스와 소속사 어도어 간 전속계약 분쟁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뉴진스 측이 법정에서 사용한 ‘극단적 비유’가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커지고 있다. 양측의 갈등이 단순한 계약 문제를 넘어 감정적인 골마저 깊어졌음을 시사한다. “아내가 남편 얼굴만 봐도 토할 것 같은데…”“학교 폭력 피해자에게 가해자 학교로 돌아가란 것”지난 24일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합의41부에서 열린 3차 변론기일에서 뉴진스 측 법률대리인은 하이브-어도어 체제 복귀를 강력히 거부하며 충격적인 비유를 사용했다. 대리인은 “아내가 남편 얼굴만 봐도 토할 것 같은데, 법원이 ‘그냥 살아’라고 할 수 있냐”고 반문하며 “길러주던 엄마는 쫓겨났는데 가정폭력을 일삼던 아빠가 더 좋은 엄마를 붙여줄 테니 들어오라는 말”이라고 덧붙였다. 멤버들 역시 탄원서를 통해 “어도어 복귀는 학교폭력 피해자에게 가해자가 있는 학교로 돌아가라는 것”이라며 현재 어도어에 대한 신뢰가 완전히 파탄났음을 주장했다. 이들은 “예전 어도어라면 돌아갈 것”이라면서도 “지금의 어도어는 하이브에 장악돼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어도어 측은 “계약 해지 사유는 성립하지 않는다”라며 전속계약 유효성을 재차 강조했다.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의 해임만으로는 뉴진스 측 계약 무효 주장이 성립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절박한 심정”vs.“감성 호소 역효과”…엇갈리는 여론뉴진스 측의 이 같은 비유를 접한 누리꾼들의 반응은 첨예하게 엇갈린다. 일각에서 “절박한 심정이 느껴진다”며 멤버들의 상황에 공감하는 의견을 보이는 반면, “가해자-피해자 프레임은 과하다”, “법적 분쟁에 감성 호소는 역효과”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특히 “소속 연예인이 회사 대표까지 정하려 드는 건 갑질”이라는 지적도 나오는 등 이번 사태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쏟아지고 있다. 8월 14일 조정기일 지정… 극적 합의 이뤄질까재판부는 양측에 실질적 조정안 마련을 당부하며 8월 14일로 조정기일을 지정했다. 현재로서는 뉴진스 측이 ‘신뢰 관계 파탄’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나 ‘계약의 불공정성’을 명확히 제시하지 않는 이상 승소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번 분쟁이 단순한 법정 공방을 넘어 K팝 산업의 지형도를 뒤흔들 중대한 분수령이 될지, k팝 팬들과 업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 이은지 맞아? “살이 너무 많이 빠졌다” 걸그룹 몸매 변신

    이은지 맞아? “살이 너무 많이 빠졌다” 걸그룹 몸매 변신

    개그우먼 이은지의 달라진 외모에 탁재훈이 유쾌한 의심을 던졌다. 29일 방송된 SBS 예능 ‘신발 벗고 돌싱포맨’에는 배우 박소현, 개그우먼 이은지, 이미주가 게스트로 출연했다. 이날 탁재훈은 등장한 이은지를 보며 “살이 너무 많이 빠졌다”고 놀라워했고, 박소현 역시 “라디오 할 때는 이런 몸매가 아니었는데 너무 예뻐졌다”고 덧붙이며 달라진 이은지의 외모를 칭찬했다. 이에 이은지는 “라디오 하면서 체력적으로 너무 힘들더라. 운동을 시작했더니 살이 빠졌다”고 설명했다. 그러자 탁재훈은 “요즘 남자 만나냐”고 묻더니 “둘 중 하나다. 위고비 아니면 남자”라고 의심해 좌중을 웃게 했다. 이은지가 “있다면 어떡하실 건데요?”라고 장난스럽게 반응하자, 탁재훈은 “있건 없건 난 좀 찐 게 좋다”고 응수해 분위기를 달궜다.
  • 속눈썹 한 올에 “오오~”… 오사카 ‘K뷰티 토크쇼’ 시선 집중

    속눈썹 한 올에 “오오~”… 오사카 ‘K뷰티 토크쇼’ 시선 집중

    “아래 속눈썹을 이 한국식 불고데기로 살짝 밑으로 내려 주면 트임 효과로 눈이 훨씬 커 보여요.” ●뷰티팁·‘세이마이네임’ 루틴 등 호응 불로 달군 얇은 꼬치로 아래 속눈썹을 지그시 눌러 주자 객석 여기저기에서 ‘오오’ 하는 감탄사가 터졌다. 에스파와 세이마이네임 등 인기 걸그룹의 메이크업을 담당해 온 아티스트 이서원 조이187 실장은 “족집게에 볼륨형 마스카라를 묻혀 아래 속눈썹을 정리하면 훨씬 편하게 연출할 수 있다”며 아이돌 메이크업에 활용하는 자신의 노하우를 아낌없이 공개했다. 지난 27일 주오사카한국문화원 누리홀에서 K뷰티와 한국식 라이프스타일을 주제로 한 토크 프로그램 ‘K뷰티 위드 세이마이네임’이 열렸다. 이번 행사는 전날 열린 ‘2025 K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인 재팬’에 이어 연이어 개최됐다. 주오사카한국문화원이 주최하고, 서울신문이 후원했다. 이날 행사장을 찾은 180여명의 관객은 K뷰티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객석을 가득 메웠다. 약 1시간 30분간 진행된 프로그램은 이 실장의 아이돌 메이크업 시연과 세이마이네임의 뷰티 루틴, 생활 습관 토크까지 실전 팁이 가득한 구성으로 관객들의 호응을 끌어냈다. 이 실장은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여름 메이크업’을 주제로, 땀과 더위에도 무너지지 않는 한국식 아이돌 메이크업을 선보였다. 이 실장의 팬이라는 재일교포 3세 전이화(38)씨는 “한국에선 컨실러를 여러 부위에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 같아 신선했다”며 “평소 (이 실장의) 인스타그램을 팔로하며 화장법도 참고하고 있다. 가까이에서 메이크업 시연을 볼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오사카문화원 “K뷰티 매력 계속 전파” 이어 등장한 세이마이네임은 K뷰티 추천 아이템과 자신의 뷰티팁 등을 소개했다. 소하는 “한국 컨실러는 펜슬, 리퀴드, 팟타입(작은 용기에 담긴 크림 제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고 커버력도 좋다”며 ‘K컨실러’를 추천했다. 준휘는 “턱과 코에도 블러셔를 발라 생기 있는 얼굴을 연출한다”며 자신만의 메이크업 팁을 공개했다. 피부 관리에 대한 실용적인 조언도 이어졌다. 소하는 “열감을 낮추기 위해 선풍기를 틀고 ‘시카’나 ‘히알루론산’ 성분이 든 제품을 자주 쓴다”고 귀띔했고, 리더 히토미는 “얼굴이 붓지 않도록 소금은 피하고, 후추 정도만 뿌리는 식습관을 유지한다”고 했다. 주오사카한국문화원 관계자는 “K뷰티가 얼마나 깊이 현지 젊은이들의 일상에 들어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며 “이 매력을 전할 기회를 계속해서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타노시메! K팝 커버댄스”… 일본 팬덤 달군 ‘문화 창작’ 무대

    “타노시메! K팝 커버댄스”… 일본 팬덤 달군 ‘문화 창작’ 무대

    예선 113개 팀 중 15개 팀 본선행10인조 소녀 구성 ‘에임하이’ 우승“한국 데뷔가 꿈… 9월 대회도 최선”더위 속 1000명 넘는 관객과 축제“곡 이해·무대 몰입도 뛰어나”호평무대연출·콘셉트까지 창의성 발휘“참가자들, 한국 문화 주체적 창작” “타노시메!”(즐겨!) 35도에 육박한 무더위 속에서도 K팝 커버댄스 무대를 향한 일본 팬들의 열기는 식지 않았다. 지난 26일 일본 오사카성 공원 내 쿨재팬파크 오사카 WW홀 주변은 공연 시작 두 시간 전부터 몰린 인파로 북적였다. 마련된 1100여석의 객석은 응원봉과 우치와(응원부채)를 든 관객들로 금세 가득찼다. 한국 아이돌 무대를 직접 재현하며 즐기는 세계 최대 규모의 K팝 커버댄스 축제 ‘2025 K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인 재팬’이 성황리에 열렸다. 서울신문과 주오사카한국문화원이 공동 주최하고, 서울시와 한국연예제작자협회,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 서울관광재단, 올케이팝, 블랙클로버, 펜타클 등이 후원했다. 올해 15회를 맞은 이번 페스티벌에는 사전 영상 심사를 통과한 15개 팀이 본선에 올랐다. 지난 4월부터 시작된 예선에는 총 113팀이 참가해 지난해보다 23팀이 늘었다. ‘K팝이 좋아서 시작했다’는 열한 살 최연소 참가자부터 대학생 동아리와 전문 댄서까지 다양한 경력의 참가자들이 눈에 띄었다. 오사카뿐만 아니라 도쿄, 홋카이도 등 일본 각지에서 모인 참가팀들은 안무는 물론 메이크업과 의상, 무대 구성까지 높은 완성도를 보여 줬다. 여성 팀이 11팀, 남성 2팀, 혼성 2팀이었다. 공연 심사 전 무대 뒤편에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대기실에서는 참가자들이 마지막까지 동선을 맞추고, 거울 앞에서 표정을 점검하거나 서로 의상을 정리해 주며 무대에 오를 준비를 마쳤다. 한 참가자는 스마트폰으로 연습 영상을 보면서 타이밍을 복기했다. “할 수 있어”라며 서로를 격려하며 호흡을 맞추는 팀도 있었다. 홋카이도에서 이번 무대를 위해 비행기를 탔다는 가와시마 료카(27)는 유창한 한국어로 “K팝이 너무 좋아 먼 길을 달려왔다”면서 “오늘 모든 것을 보여 주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이번 행사에는 한국과 일본, 태국 출신 멤버로 구성된 글로벌 K팝 걸그룹 ‘세이마이네임’(Say My Name)의 멤버 7명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슈퍼주니어와 NCT 그룹 등의 안무를 맡아 온 오스피셔스 댄스팀장이자 SM엔터테인먼트 연습생 트레이닝 총괄이었던 임대형 안무가도 함께 심사위원으로 나서 전문성을 더했다. 심사위원들은 팀워크, 표정 연기, 곡의 분위기 전달력과 개성 등을 집중적으로 평가했다. 이날 행사의 우승은 유아(YooA)의 ‘본보야지’를 커버한 10인조 소녀 팀 ‘에임하이’(Aim High)에게 돌아갔다. 12세부터 15세 사이의 소녀들로 구성된 이 팀은 주황색으로 의상을 통일하고 섬세한 안무와 넓은 무대 사용, 곡의 분위기를 살린 감정 표현을 펼쳐 관객과 심사위원들을 사로잡았다. 오사카의 한 댄스스튜디오 출신인 에임하이는 지난해 행사에서 특별상을 받은 팀으로, 팀명과 멤버 구성을 바꿔 올해 우승에 재도전했다. 팀의 리더 이노우에 세이(13)는 “다른 팀들의 실력이 너무 높아 우승은 기대하지 않았는데 믿기지 않는다”며 “댄스뿐 아니라 표현력과 표정까지 매일 연습했다”고 했다. 이들은 전원 한국 데뷔를 꿈꾸는 아이돌 지망생이다. 이노우에는 “어렸을 때 한국의 아이돌 그룹 레드벨벳의 무대를 보고 충격을 받아 이후 K댄스와 노래에 빠지게 됐다”며 “오는 9월 서울에서 열리는 세계 대회에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임 안무가는 에임하이에 대해 “곡에 대한 이해와 무대 몰입도가 뛰어났다”며 “힘을 줄 부분과 뺄 부분을 정확히 구분해 퍼포먼스의 밀도를 높인 점이 인상적이었다”고 평했다. 공연 후에는 참가자 전원이 무대에 올라 함께 춤을 추는 시간이 마련됐다. 20여분간 랜덤으로 재생된 K팝 음악에 맞춰 각자의 개성과 리듬을 뽐냈고 무대 위는 다시 하나의 축제가 됐다. 이어진 깜짝 이벤트에서는 참가자들이 세이마이네임의 신곡 안무를 직접 커버하며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관객석에서도 환호가 터졌고 일부는 자리에서 일어나 함께 춤을 추며 열기를 더했다. 일본 국민 아이돌 AKB48로 데뷔해 한국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에서 재데뷔한 세이마이네임의 리더 히토미(24)는 “참가자들의 열정과 실력에 깜짝 놀랐다”면서 “이 자리를 통해 정말 많은 에너지를 받았다. 참가자들 중에 나중에 후배 아이돌로 만날 수 있는 분들이 있지 않을까 기대가 된다”고 말했다. K팝 커버댄스는 단순한 팬덤을 넘어 하나의 ‘문화 창작’ 형태로 자리잡고 있다. 아이돌의 안무를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무대 연출과 콘셉트까지 자신만의 스타일로 해석하며 창의성을 발휘하는 참가자들이 늘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일본에서는 K팝 커버댄스를 계기로 한국어를 배우거나, 한국에서의 아이돌 데뷔를 꿈꾸는 지망생들도 많아지고 있다. K팝 커버댄스 페스티벌은 현재 전 세계에서 지역 예선이 진행되고 있다. 오사카 외에도 미국 LA, 호주 시드니, 태국 방콕, 홍콩 등에서 대표 선발이 이어진다. 각국의 우승팀은 오는 9월 서울에서 열리는 ‘월드 파이널’에서 글로벌 K팝 팬들과 함께 무대를 꾸밀 예정이다. 김혜수 주오사카한국문화원장은 “K팝은 이제 전 세계인이 공유할 수 있는 문화 언어가 됐다”며 “이번 무대에 선 참가자들은 단순히 춤을 추는 것이 아니라 한국 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그것을 표현해 낸 주체적인 창작자들”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젊은 세대가 음악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연결되는 과정이야말로 진정한 문화 교류”라며 “주오사카한국문화원은 앞으로도 K팝을 비롯한 한국 문화를 직접 즐기고 누릴 수 있는 무대와 기회를 적극적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케데헌’ 경사났네, OST까지 터졌다…빌보드 싱글 2위

    ‘케데헌’ 경사났네, OST까지 터졌다…빌보드 싱글 2위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 ‘골든’(Golden)이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 ‘핫 100’에서 또 한 번의 순위 상승을 기록했다. 28일(현지시간) 빌보드에 따르면 애니메이션 속 인기 걸그룹 헌트릭스가 부른 ‘골든’은 ‘핫 100’에서 전주보다 2계단 상승한 2위를 차지했다. 이달 초 81위로 싱글차트에 데뷔한 ‘골든’은 이후 23위, 6위, 4위, 2위를 기록하며 정상권에 진입했다. ‘골든’은 이번 차트 집계 기간 스트리밍은 2570만회를 기록했고 에어플레이(라디오 방송 점수)는 전주보다 109% 증가한 370만점, 판매량은 4000장을 각각 기록했다. 빌보드는 스트리밍 데이터와 에어플레이, 판매량 데이터를 종합해 ‘핫 100’ 순위를 산출한다. ‘골든’은 빌보드 ‘글로벌’(미국 제외)과 ‘글로벌 200’ 차트에서도 모두 1위를 차지했다. 걸그룹 블랙핑크의 ‘뛰어’(JUMP)는 ‘글로벌’(미국 제외) 2위, ‘글로벌 200’ 3위로 그 뒤를 이었다. 이와 함께 걸그룹 트와이스의 ‘스트래티지’(STRATEGY)는 ‘핫 100’ 92위로 처음 진입했다. 트와이스가 ‘핫 100’에 진입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 “6년 남친과 동거 끝나” 걸그룹 멤버, 결별 소식

    “6년 남친과 동거 끝나” 걸그룹 멤버, 결별 소식

    그룹 레이디스 코드 멤버 애슐리(본명 최빛나·33)가 6년간의 연애를 마무리하고 혼자 살게 됐다고 밝혔다. 애슐리는 지난 21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다시) 혼자 사는 것’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려 이같은 근황을 직접 전했다. 영상에서 애슐리는 “이제 다시 혼자 살게 됐다. 6년 사귄 남자친구와 헤어졌고, 집도 새로 구해 이사했다”고 털어놨다. 이어 “헤어진 지 두 달 정도 됐다. 아직 치유 중이지만, 조금씩 평온을 찾아가고 있다”고 고백했다. 애슐리는 “함께 살던 사람과 이별하는 건 처음이었다. 이별 직후엔 너무 힘들어 한국을 떠나 뉴욕에 다녀왔다”고 말했다. 지난 2주간 이삿짐을 정리하느라 바쁜 시간을 보냈다는 애슐리는 “아직도 정리하지 못한 짐가방이 많다”며 “뉴욕에서는 가족과 친구들을 만나면서 큰 위로를 받았다”고 했다. 그는 또 “내 인생이 끝난 줄 알았는데 그들이 던진 한마디 한마디가 큰 위안이 됐다. 결국 인생은 계속되고, 이 일은 지나갈 거라는 걸 알게 됐다”고 덧붙였다. 애슐리는 결별 사실을 고백하게 된 이유에 대해 “처음엔 부끄럽고, 말하고 싶지 않았다. 하지만 어느 순간 ‘왜 내가 창피해해야 하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건 인생의 일부일 뿐”이라며 “모든 걸 다 이야기할 순 없겠지만, 이별도 끝도 이야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애슐리는 2013년 레이디스 코드로 데뷔해 ‘나쁜 여자’, ‘예뻐 예뻐’ 등을 발표하며 사랑받았다. 이듬해 9월 교통사고로 멤버 은비와 리세가 세상을 떠난 후 애슐리, 소정, 주니 3인 체제로 활동해왔다. 2020년 소속사와 계약 종료 후 멤버들은 각자의 길을 가고 있다.
  • “자택에 외부인 무단침입…활동 중단” 걸그룹 멤버 ‘충격 근황’

    “자택에 외부인 무단침입…활동 중단” 걸그룹 멤버 ‘충격 근황’

    그룹 빌리 하루나가 활동을 임시 중단한다. 25일 소속사 미스틱스토리는 “최근 하루나의 거주지에 외부인이 물리력을 행사하여 출입문을 강제로 훼손, 무단 침입하여 아티스트에게 위협을 가하는 중대한 사건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어 “사건 발생 직후 당사는 즉시 경찰에 신고하고 아티스트의 거주지를 이전하였으며, 의료 기관을 방문하여 정밀 검사를 진행한 결과 아티스트는 일정 기간 심리적 안정을 취하고 휴식을 병행할 필요가 있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빌리는 하루나를 제외하고 6인 체제로 활동을 이어간다. 하루나의 복귀 일정은 미정이다. 소속사는 본 사안의 심각성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가해자에 대해 경찰 수사와 함께 선처 없는 강력한 민형사상의 법적 대응을 취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하루나가 충분한 치료와 회복을 거쳐 안정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당사는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면서 “아티스트의 안전을 위협하는 그 어떠한 행위에 대해서도 선처 없는 강경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빌리는 지난 2021년 11월 데뷔했다.
  • “가정폭력 아빠한테 돌아가라니” 뉴진스 근황 “악몽 꾸고 우울증 약 먹어”

    “가정폭력 아빠한테 돌아가라니” 뉴진스 근황 “악몽 꾸고 우울증 약 먹어”

    국내 최대 연예기획사 하이브 산하 레이블 어도어와 전속계약 분쟁을 벌이고 있는 걸그룹 뉴진스가 “어도어에 대한 전속계약 해지 요구는 타당하지 않다”는 법원의 판단에 대해 “가정폭력 아빠에게 돌아가라는 격”이라고 항변했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전날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41부(부장 정회일)는 어도어가 뉴진스를 상대로 제기한 전속계약 유효 확인 소송 세번째 변론기일을 열었다. 이날 뉴진스의 법률대리인은 “어도어와 하이브로 돌아가라는 말은 마치 학교 폭력 피해자에게 다시 가해자가 있는 학교로 돌아가서 견디라는 이야기와 같다”며 전속계약 해지 요구가 정당하다고 주장했다. 뉴진스 측은 자신들의 처지를 “학교폭력 피해자”, “오랑캐로부터 보호받지 못하는 백성”, “오빠에게 맞는 동생” 등에 비유하며 현재 체제의 어도어로 돌아갈 수 없다고 맞섰다. 뉴진스의 법률대리인은 “유능한 장수가 전쟁에서 혁혁한 공을 세우고 국민들이 장수를 따르게 됐는데, 장수가 왕에게 직언하니 목을 베어버린 상황”이라며 “장수를 치고 나니 국민들은 외부와 오랑캐로부터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능한 장수’는 뉴진스를 성공시킨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 ‘국민’은 뉴진스 자신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유능한 장수 목을 베어 국민들 보호 못 받아”민 전 대표를 ‘홈스쿨링으로 길러주던 엄마’, 하이브를 ‘가정폭력을 하던 아빠’에 비유하며 “엄마는 쫒겨났는데 아빠가 더 좋은 엄마를 붙여줄 테니 돌아오라는 것”이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멤버 하니의 이른바 ‘무시해’ 사건에 대해서도 하이브 및 어도어가 하니를 거짓말쟁이로 몰고 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쏘스뮤직(르세라핌 소속사), 빌리프랩(아일릿 소속사)과의 갈등에 대해서는 “오빠가 동생을 때리는 집안싸움”에 비유하며 “오빠가 동생을 때리는데 (하이브가) ‘집안일이니까 참아’, ‘맞을 짓 했네’라며 보호해주지 않는다”는 주장을 폈다. 뉴진스 측은 민 전 대표가 떠난 어도어를 ‘유심칩만 바꾼 휴대전화’에 비유하며 “기계는 같아도 내 휴대전화가 아니다. 지금의 어도어를 신뢰할 수 없다”고 맞섰다. 그러면서 민 전 대표에 대해 하이브가 감사에 착수해 분쟁이 수면 위로 드러났던 지난해 4월 이전의 어도어 체제로 돌아간다면 복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뉴진스 측은 1년 반 가까운 분쟁 과정에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도 밝혔다. 뉴진스 측은 “(하이브) 사옥 근처만 가도 심장이 뛰고, 갔다 오고 나면 우울증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라며 “그런 피고들에게 무조건 계약을 이행해라, 나와서 춤추고 노래하라고 하는 건 피고의 인격권을 존중하지 않는 것”이라고 항변했다. 뉴진스 멤버들이 작성했다는 탄원서도 공개됐다. 멤버들은 “지난 1년간의 시간은 정말 악몽과 같았다. 우울감에 시달리고 악몽을 꾸다 일어나는 일이 많았다”고 밝혔다. “하이브 사옥 근처만 가도 심장 뛰어”이에 어도어는 “사건의 본질은 연습생이 연예인으로 성공한 뒤 변심한 것”이라며 맞섰다. 어도어 측은 “하이브는 210억원을 투자해 전폭 지원했고 뉴진스는 글로벌 스타가 돼 1인당 50억원 이상의 정산금을 수령했다”면서 뉴진스를 위해 정규앨범 발매, 월드 투어, 팬 미팅 등 각종 계획을 준비했는데도 뉴진스 측이 거부해 미뤄지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어 “전속계약이 파기되면 멤버들에게는 치명적인 손해이며, 어도어의 존립 자체도 위태로워진다”면서 “이런 식의 전속계약 파기 시도가 용인된다면 그 누구도 K팝 산업에 투자하지 않을 것이고, 이는 K팝의 붕괴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재판부는 다음 달 14일을 조정기일로 정하고, 직접 조정을 진행하기로 했다. 또 조정이 불발될 경우를 대비해 오는 10월 30일을 선고기일로 지정했다. 뉴진스는 지난해 11월 어도어가 전속 계약을 위반해 계약이 해지됐다고 주장하며 독자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이에 어도어는 뉴진스와 계약이 유효하다며 법원에 전속계약 유효확인 소송을 내고 멤버들의 독자적 활동을 막아달라며 가처분 신청도 냈다. 법원은 어도어가 낸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는 한편, 뉴진스가 어도어의 승인 없이 독자 활동을 할 경우 멤버별로 위반행위 1회당 10억원을 어도어에 지급하라고 결정했다.
  • “공무원이 꿈” 선처 호소…뉴진스 숙소 침입 20대 ‘벌금형’

    “공무원이 꿈” 선처 호소…뉴진스 숙소 침입 20대 ‘벌금형’

    법원이 걸그룹 뉴진스의 숙소에 무단 침입해 물건을 훔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20대 남성 A씨에게 벌금 1000만원을 선고했다. 서울서부지법 형사9단독 김민정 판사는 23일 건조물 침입 및 절도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벌금 1000만원을 선고했다. 검찰은 앞서 A씨에게 징역 10개월을 구형한 바 있다. A씨는 지난해 12월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뉴진스 숙소에 두 차례 무단 침입해 옷걸이·플래카드 등 잡다한 물건을 훔친 혐의로 기소됐다. 뉴진스가 지난해 11월 소속사 어도어와 전속계약을 종료하고 해당 숙소를 비운 틈을 타 범행이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A씨는 지난달 11일 열린 결심공판에서 모든 공소 사실을 인정했고 “공무원의 꿈을 이룰 수 있게 기회를 달라. 아프신 어머니를 보살피며 잘 살겠다”고 선처를 호소했다. 변호인도 A씨가 초범이고 수사에 성실히 협조했으며 범행을 깊이 반성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선처를 요청했다. 재판부는 “범행 장소가 연예인이 더 이상 거주하지 않는 숙소로, 직접적인 사생활 침해 우려가 상대적으로 낮았다”며 “A씨가 수사 과정에서 범행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태도를 보였고, 과거 처벌 전력이 없는 초범인 점 등을 종합했다”고 양형 이유를 설명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