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개인 투자자
    2025-11-01
    검색기록 지우기
  • 가수 비
    2025-11-01
    검색기록 지우기
  • 수상
    2025-11-01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081
  • ‘미공개정보 이용’ 에코프로 이동채 전 회장 징역 2년 확정

    ‘미공개정보 이용’ 에코프로 이동채 전 회장 징역 2년 확정

    미공개 정보를 통해 거액의 부당 이득을 얻은 혐의로 기소된 이동채(64) 전 에코프로그룹 회장에게 실형이 확정됐다. 대법원 1부(주심 오경미 대법관)는 18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이 전 회장에게 징역 2년과 벌금 22억원, 추징금 11억여원을 선고한 원심을 상고 기각으로 확정했다. 대법원은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원심판결에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2020년 1월∼2021년 9월 에코프로비엠의 중장기 공급계약 관련 정보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개되기 전 차명 계좌로 미리 주식을 사들인 후 되팔아 11억여원의 시세차익을 올린 혐의로 지난해 5월 불구속기소 됐다. 1심은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 벌금 35억원 등을 선고했지만 2심은 “선의의 투자자를 고려하지 않고 개인 이익을 위해 범행한 점에서 죄책이 가볍지 않다”며 실형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했다. 유사한 범행으로 함께 기소된 에코프로 부사장 박모씨 역시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한 원심이 확정됐다. 에코프로그룹은 이차전지 열풍에 힘입어 올해 4월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하는 대기업집단에 합류했다. 최근에는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원사 가입도 신청했다. 에코프로그룹의 지주사인 에코프로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4조 816억원이며 전날 기준 시가총액은 29조 6632억원으로 코스닥 시가총액 2위다.
  • 이차전지·초전도체 잠잠해지니… ‘로봇 테마주’ 극성

    이차전지·초전도체 잠잠해지니… ‘로봇 테마주’ 극성

    개미(개인투자자) 사이에서 이차전지와 초전도체를 잇는 테마주로 로봇주가 각광받으면서 또다시 쏠림 현상에 대한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회사 실적·가치와 상관없이 분위기에 휩쓸려 주식을 사고파는 ‘뇌동매매’로 주식시장이 투기판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시장에서 로봇테마 대장주인 레인보우로보틱스 주가는 이날 13만 8000원에 장을 마쳤다. 지난달 초(7월 3일)만 하더라도 9만 4600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한 달 새 45.9% 급등했다. 같은 기간 유진로봇(54.0%), 티로보틱스(24.9%), 미래컴퍼니(6.1%), 에스비비테크(8.9%) 등도 가파르게 상승했다. 삼성전자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착수와 정부 국책 과제에 로봇 개발이 선정됐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달 들어 대장주 레인보우로보틱스 거래대금은 2조 9691억원으로 전체 코스피·코스닥 종목 중 10위를 차지했으며, 유진로봇도 9267억원으로 38위로 뛰어올랐다. 지난달에는 두 종목 모두 상위 50위권 안에도 들지 못했으나 이달 들어 단숨에 상위권을 꿰찬 것이다. 쏠림 현상이 극심해지자 한국거래소는 지난 9일 유진로봇에 대해 투자경고 지정 예고 공시를 올렸다. 거래일 기준 10일째 되는 24일까지 주가 흐름이 이상 급등으로 판단되면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올해 들어 국내 증시는 이차전지에서 초전도체로 테마를 옮겨 가며 극심한 쏠림 현상을 보였다. 특정 주가 이상 급등에 따른 불공정거래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한국거래소가 지정하는 투자경고종목 건수는 올해 들어 142건으로 이미 지난해 한 해(134건)를 뛰어넘었다. 한편 증권 업계는 ‘묻지마 투자’ 광풍을 억제하기 위해 관리에 나섰다. 삼성증권은 이달 초부터 자사 이용 고객들의 검색량과 매수·매도 주문이 많은 종목을 실시간으로 집계해 순위로 보여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NH투자증권은 9일 오후 6시부터 에코프로에이치엔을 신용·대출 불가 종목으로 변경하고 증거금률을 100%로 상향했다.
  • 코스닥 진정되니 코스피 ‘빚투’ 활활… 신용융자 10조 연일 돌파

    코스닥 진정되니 코스피 ‘빚투’ 활활… 신용융자 10조 연일 돌파

    코스피시장에 ‘빚투’(빚내서 투자) 경고등이 켜졌다. 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코스피시장 신용거래융자 잔고 규모가 지난 8일 10조 5282억원으로 또 연중 최고를 찍었다.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투자자가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에서 빌린 돈이다. 이달 들어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지난 1일 10조 1260억원, 2일 10조 2490억원, 3일 10조 3160억원, 4일 10조 3830억원, 7일 10조 4640억원으로 연일 연중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코스피시장의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10조원을 넘어선 건 지난해 9월 23일(10조 280억원) 이후 약 10개월 만이다. 반면 그간 에코프로 형제주를 중심으로 달궈졌던 코스닥시장 빚투는 진정되는 모양새다. 코스닥시장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지난 7일 기준 9조 8810억원이었다. 지난달 28일 이후 7거래일 연속 10조원을 넘어서지 않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지난달 말 에코프로 형제주의 거침없던 상승세에 제동이 걸리면서 코스닥시장의 빚투 현상도 주춤한 것으로 보고 있다. 김지산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특정 업종과 테마 중심으로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쌓이면 수급이 악화될 때 주가 조정폭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 증권사의 반대 매매와 기관들의 손절매 등으로 개인들의 피해가 커질 수밖에 없어 위험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코스피는 엿새 만에 반등해 전장보다 1.21% 오른 2605.12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지수도 1.86% 오른 908.98로 마쳤다. 초전도체 관련주들은 혼조세로 거래를 마쳤다. 대창(1.44%), 신성델타테크(14.66%) 등은 상승했지만 서남(-18.80%), 모비스(-1.42%), 서원(-3.91%) 등은 하락 마감했다.
  • “예상 맞았다”…12년 전 전재산 ‘비트코인’ 올인한 남성

    “예상 맞았다”…12년 전 전재산 ‘비트코인’ 올인한 남성

    암호화페 비트코인이 등장한 지 약 14년이 지난 가운데, 약 12년 전 전재산을 비트코인에 투자한 남성의 근황이 전해져 눈길을 끌었다. 이 남성은 당시 비트코인에 대해 모두가 회의적인 반응을 보일 때 ‘매수’를 주장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6일(한국시간) 영국 메트로, 유니래드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칠레의 가상화폐 투자자 다빈치 제레미는 개인 비행기, 요트 등을 타고 여행을 즐긴다. 또 그는 부유층이 자주 온다는 휴양지 모나코 몬테카를로와 두바이를 즐겨찾는다. 실제 그는 인스타그램에 휴양지에서 휴가를 즐기는 자신의 모습을 올리며 호화로운 삶을 과시하고 있다. 제레미는 원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사업가였다. 그러다 지난 2011년 3월 비트코인을 알게됐다. 당시 비트코인 1개 가격은 67센트(876원)였다. 이후 두 달 사이 비트코인 1개 가격은 115.75달러(15만원)가 됐고, 순식가에 그가 보유한 비트코인의 가격은 170배 이상 올랐다.제레미는 자신의 유튜브를 통해 “비트코인에 투자를 하면 10년 뒤 백만장자가 되어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그는 비트코인 투자를 강력하게 추천했고, 곧 제레미의 예상이 맞았다는 것이 증명됐다. “비트코인 투자해라, 10년 뒤 백만장자 될 것”…주장한 男 10년 뒤, 2021년 최고조에 달한 비트코인 1개의 가치는 무려 6만 1000달러(한화 약 7981만원)였다. 2021년에 비해 가격이 다소 떨어지긴 했지만, 6일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8시 40분 기준) 비트코인 시세는 2만 9054달러(약 3800만원)를 기록했다. 제레미가 당시 어느정도의 금액을 투자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전 재산을 투자한 만큼 그가 막대한 수익을 거뒀을 것으로 분석된다.그는 최근 급등락을 반복하는 불안정한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자신의 생각도 전했다. 제레미는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의 비트코인 결제 중단 발언으로 시장이 흔들렸을 때도 절대 동요하지 말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렇게 해서는 절대 일론 머스크와 같은 부를 쌓지 못할 것”이라며 “등락 폭에 일희일비하지 말라”고 조언했다. 또 최근의 하락세에 대해 그는 “걱정할 것 없다. 일시적인 하락이다. 우리는 잃은 돈을 되찾을 것”이라며 투자자들을 안심시켰다.다만 여전히 전문가들은 암호화폐는 신중하게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최근 암호화폐를 증권으로 볼 것이냐 여부에 대해 미국 법원에서 엇갈린 판결이 나와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암호화폐는 판매 방식에 따라 증권이 아닐 수 있다는 판결이 나온 지 한 달도 안 돼, 판매 방식과 상관 없이 암호화폐는 증권이라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이날 뉴욕 맨해튼 연방법원의 제드 레이코프 판사는 암호화폐는 증권이라며 “판매 방식에 따라 증권 여부를 구분하는 것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13일 뉴욕지방법원 아날리사 토레스 판사가 암호화폐 리플 소송에서 “리플이 기관 투자자들에게 판매될 때는 증권이지만, 일반 대중에게는 증권이 아니다”라는 판결한 것을 정면 반박한 것이다.
  • 이번엔 초전도체로 개미들 ‘우르르’…과열 경고등

    이번엔 초전도체로 개미들 ‘우르르’…과열 경고등

    ‘꿈의 물질’로 일컬어지는 상온·상압 초전도체 발견에 성공했다는 국내 연구진 주장에 개미(개인투자자)들이 이번에는 초전도체 관련주로 확 쏠렸다. 연구 결과가 학계의 확실한 검증을 채 거치지도 않은 상태에서 관련 기업 주가가 연일 폭등하자 ‘묻지마 투자’ 우려도 커지고 있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초전도체 관련주 서남은 이날 개장 직후 상한가로 직행, 전 거래일과 견줘 29.94% 급등한 1만 98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 1일부터 3거래일 연속 상한가다. 이 회사 주가는 올해 들어 1000~3000원대 박스권에서 횡보해왔으나 지난달 22일 국내 연구진이 상온·상압 초전도체(LK99)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는 논문을 발표하자 지난달 27일부터 6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초전도체 관련주로 묶인 덕성 역시 이날 전 거래일과 견줘 29.89% 뛴 9690원으로 장을 마치며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 외에 서원(29.98%), 대창(29.99%) 모비스(19.40%) 등도 초강세를 보였다.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하향 소식에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증시가 새파랗게 질렸지만 초전도체를 향한 투자 심리에는 불이 붙은 것이다. 코스피지수는 지난 2일 1.90% 하락한 데 이어 이날도 0.42% 떨어진 2605.39로 장을 마감했으며, 코스닥지수는 2일 3.18% 하락한 뒤 이날 1.16% 반등한 920.32로 장을 마쳤다. 한국거래소는 지난 2일 서남을 투자 경고 종목으로 지정한 이후에도 매수 쏠림이 계속되자 오는 4일 하루 동안 거래를 정지하기로 했다. 초전도체 상용화 여부는 물론 연구 결과가 아직 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문만 믿고 덜컥 주식을 사는 ‘묻지마 투자’를 경계해야 한다는 우려도 크다. 국내 초전도체 전문가들로 구성된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검증위원회 논의를 거쳐 논문상의 LK99를 상온 초전도체로 볼 수 없다는 결론을 밝혔다. 해당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에서는 LK99가 초전도체 특유의 ‘마이스너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 이차전지 폭등에 분주해진 개미들…증권사 앱 접속자 급증

    이차전지 폭등에 분주해진 개미들…증권사 앱 접속자 급증

    이차전지 열풍 속에 지난달 주요 증권사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에 접속한 투자자들이 가파르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5개 증권사(미래에셋·삼성·한국투자·KB·NH투자증권) 일일활성이용자(DAU) 평균은 약 86만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6월(76만명)과 비교해 한 달 새 12%가량 늘었다. 올해 1월 59만명 수준이었던 이들 5개 사 평균 DAU는 4월 75만명대로 늘어난 뒤 6월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다 지난달 이차전지 주가가 크게 오르자 개미(개인투자자)들이 저마다 매매에 뛰어들면서 MTS 이용량이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차전지 열풍을 견인한 ‘에코프로 형제주’ 거래가 큰 폭 늘었다. 지난달 개인투자자의 에코프로 누적 거래대금은 26조 3000억원으로 전월(11조 1000억원)보다 2.4배 늘었다. 같은 기간 에코프로비엠 거래대금도 3조 1000억원에서 20조 2000억원으로 6.5배 급증했다. 지난달 코스피·코스닥 시장 하루평균 거래대금은 27조 174억원으로 집계돼 2021년 8월(27조 4532억원) 이후 처음으로 27조원대로 올라섰다. 6월(19조 1235억원)과 비교하면 41% 불어났다.
  • 외국인·기관 쌍끌이에 ‘코스피 연고점’ 경신… 이차전지주 약세

    외국인·기관 쌍끌이에 ‘코스피 연고점’ 경신… 이차전지주 약세

    코스피가 1일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에 힘입어 올해 들어 가장 높은 2660대로 올라섰다. 장중 에코프로비엠, 금양 등 이차전지 회사의 임원들이 지난달 고점에 주식을 매도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주가가 한때 출렁였다. 지난달 외국인들이 가장 많이 쓸어 담은 주식도 에코프로와 같은 이차전지주로 나타났다. 코스피는 전장보다 1.31% 상승한 2667.07에 장을 마쳤다. 지수가 2660대를 밟은 건 지난해 6월 초 이후 약 1년 2개월 만이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999억원, 3304억원어치를 순매수했고, 개인은 5499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이날 삼성전자 주식을 가장 많이 쓸어 담았다. 순매수액은 외국인이 1261억원, 기관이 838억원이다. 카카오는 7.02% 급등했다. 코스닥은 전장보다 0.40% 오른 939.67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오전 장중 952.12까지 치솟으며 직전 고점(7월 26일 장중 고가 956.40) 돌파를 눈앞에 뒀으나 장중 에코프로비엠, 금양 등 이차전지 관련 주의 임원들이 지난달 고점에 주식을 매도했다는 소식에 에코프로비엠 등 이차전지주가 약세로 돌아서면서 한때 926.75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금융감독원 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 임원 4명은 결제일 기준으로 지난달 27~28일 자사주 5790주를 장내 매도, 약 26억원을 현금화했다. 회사 주요 임원들이 자사주를 처분할 정도로 주가가 최고점에 달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한편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첫 거래일(1월 2일)부터 지난달 말(7월 31일)까지 외국인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10조 8701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기관과 개인투자자는 각각 8조 9934억원, 1021억원 상당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지난 7월 한 달에도 외국인들은 국내 주식 8184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개인은 1조 8942억원어치를 매수했으며, 기관은 2조 5592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외국인들이 지난 7월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도 에코프로 형제주였다. 에코프로 1조 1552억원, 에코프로비엠 1조 636억원어치를 각각 순매수했다. 삼성전자는 7920억원으로 외국인 순매수 종목 3위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지난 6월까지만 하더라도 외국인들의 최애 종목은 삼성전자였다. 이들은 1~6월 삼성전자를 12조 789억원어치 순매수했으며, 같은 기간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은 각각 1조 2006억원과 4700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코스피시장의 대표적인 이차전지 종목인 포스코홀딩스는 같은 기간 외국인들이 4조 4187억원어치를 팔아치워 외국인 순매도 종목 1위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난 7월에는 흐름이 바뀌었다. 외국인들이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을 대거 사들이면서 7월 외국인 매수 종목 1~2위가 됐다. 에코프로 형제의 고평가 논란 속에 공매도로 짭짤한 수익을 올리려 했던 외국인들이 개미 군단의 맹렬한 매수세에 울며 겨자 먹기로 ‘쇼트 스퀴즈’를 동원했다는 분석이다. 쇼트 스퀴즈란 주가 하락을 예상해 주식을 빌려 판 공매도 투자자가 주가 상승 시 더 큰 손실을 막기 위해 해당 종목을 비싼 값에 사서 되갚는 거래 방식이다. 실제 에코프로 주가는 지난 6월 말 75만 4000원에서 지난달 말 120만 7000원으로 60.08% 급등했고, 공매도 잔고는 6월 말 166만 539주에서 지난달 27일 기준 65만 4725주로 60.57% 쪼그라들었다.
  • 에코프로 100만원 붕괴… 파랗게 질린 이차전지株

    에코프로 100만원 붕괴… 파랗게 질린 이차전지株

    파죽지세로 솟구치는 이차전지주에 열광했던 시장이 공포로 새파랗게 물들고 있다. 주가가 오를 데까지 올랐다는 인식이 확산되자 ‘빚투’(빚내서 투자) 청산마저 가세해 이차전지 주가는 폭락을 거듭하는 중이다. 27일 코스닥시장에서 에코프로는 전장보다 19.79% 급락한 98만 5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불과 하루 전인 26일 오전만 하더라도 주가가 쭉쭉 오르며 150만원 선을 돌파했지만 오후부터 매물이 쏟아지며 전장 대비 5.03% 하락한 122만 8000원으로 주저앉더니 이날 들어 더 폭락해 100만원 선마저 붕괴된 것이다. 이차전지 관련주는 이날 코스닥과 코스피를 막론하고 모래성처럼 일제히 무너졌다. 코스피시장에서 포스코홀딩스는 5.71%, 포스코퓨처엠은 13.21%, LG에너지솔루션은 6.90%, 금양은 22.47% 각각 떨어졌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에코프로비엠이 17.25%, 엘앤에프가 9.13%의 낙폭을 나타냈다. 코스닥 시가총액은 지난 25일 454조 571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달성한 뒤 이날 427조 8000억원으로 이틀 새 26조 7710억원 쪼그라들었고, 코스피 시가총액도 같은 기간 2090조 160억원에서 2064조 6960억원으로 25조 3200억원 줄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87% 내린 883.79에 장을 마쳤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796억원, 2713억원을 순매수했지만, 개인투자자들이 4225억원을 순매도해 지수를 끌어내렸다. 이차전지 투자에 너 나 할 것 없이 뛰어든 개미들이 계속되는 고점론 속에 공매도마저 크게 늘어나자 주식 청산을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에코프로비엠의 경우 공매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결과 이날 하루 공매도 거래가 원천 금지되기도 했다. 이차전지 열풍에 단타를 노리고 뛰어든 빚투도 크게 불어나 우려를 더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코스피·코스닥시장 전체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26일 20조 1179억원으로 지난 4월 24일(20조 4319억원) 이후 약 3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 에코프로 열풍에 널뛰는 코스닥… ‘제2 IT버블’ 경고음 커진다

    에코프로 열풍에 널뛰는 코스닥… ‘제2 IT버블’ 경고음 커진다

    이차전지 열풍에 올라탄 에코프로가 시중 자금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는 가운데 ‘제2 정보기술(IT) 버블’을 경계해야 한다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맹렬하게 소용돌이치는 투자 열기 사이로 조만간 시장이 붕괴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번지고 있다. 26일 코스닥시장에서 에코프로는 전장(129만 3000원) 대비 5.03% 내린 122만 8000원에 장을 마쳤다. 장중에는 전장보다 무려 19.03% 폭등한 153만 9000원까지 치솟으며 최고가 기록을 경신했지만 오후 들어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급전직하했다. 에코프로 형제주로 묶이는 에코프로비엠 역시 이날 장중 58만 4000원을 찍은 뒤 빠르게 하락하며 전장보다 1.52% 내린 45만 5000원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지수도 크게 출렁였다. 장 초반 956.40까지 급등하며 1년 6개월 만에 최고점을 찍었지만 결국 전장보다 4.18% 내린 900.63으로 장을 마감했다. 그간 에코프로를 등에 업은 코스닥의 상승세는 주요국 중에서도 두드러질 정도였다. 올해 첫 거래일부터 지난 25일까지 코스닥 시가총액은 143조원 불었고, 코스피 지수는 39.98% 상승했다. 주요 20개국 가운데 아르헨티나 메르발지수(127.69%) 상승률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며, 일본 닛케이225지수(27.09%)와 미국 나스닥지수(36.18%) 상승률보다도 높다.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4조 4810억원, 8020억원을 순매도했지만 개인이 7조 7020억원을 순매수하며 증시를 밀어 올렸다. 그만큼 불확실성 우려도 커지고 있다. 코스피200변동성지수(VKOSPI)는 이날 종가 기준 14.53을 기록하며 이달 들어 14.1% 상승했다. 변동성지수는 통상 증시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 ‘공포지수’로 불린다. 변동성지수가 높아졌다는 것은 투자자들의 불안심리와 매도세가 강해졌다는 의미다. 이달 들어 코스피지수는 0.39% 하락한 반면 코스닥지수는 1.28% 올랐다. 시장에서는 2000년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를 강타했던 ‘IT 버블’ 붕괴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닷컴버블의 주인공인 새롬기술 주식은 1999년 8월 공모가 2300원으로 코스닥에 상장된 뒤 이듬해인 2000년 3월 28만 2000원까지 급등하며 6개월 만에 150배 치솟는 등 회사 시총도 재계 7위로 올라섰으나 그해 말부터 곤두박질치며 5000원대로 추락했다. 증시 관계자는 “셀트리온그룹주 쏠림 현상이 극심했던 2018년 상반기에도 코스닥지수가 급등했으나 2018년 하반기 들어 결국 조정받았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거래소는 에코프로비엠과 LS일렉트릭을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해 27일 하루 동안 공매도 거래를 금지한다고 밝혔다.
  • 코스닥 시총 역대 최대… ‘빚투’ 다시 10조 넘었다

    코스닥 시총 역대 최대… ‘빚투’ 다시 10조 넘었다

    거세게 휘몰아치는 이차전지 돌풍을 타고 코스닥 시가총액(시총)이 역대 최대로 불어났다.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주가 폭락 사태로 한동안 잠잠했던 ‘빚투’(빚내서 투자) 역시 고개를 들고 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 시총은 454조 5705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지난 21일 세운 451조 8301억원의 역대 최대 기록을 단 4일 만에 갈아치웠다.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97년 1월 3일 기준 시총(7조 9250억원)과 견주면 61.3배로 불었다. 코스닥지수는 10.06포인트(1.08%) 상승해 939.96으로 장을 마쳤다. ‘에코프로 형제주’를 중심으로 과열된 투자심리가 코스닥 시총을 밀어올렸다.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 주가는 올해 들어 각각 12배, 5배 폭등했고, 에코프로 그룹주로 묶이는 에코프로에이치엔도 같은 기간 2배 급등했다. 에코프로 그룹주가 코스닥시장에서 차지하는 시가총액 비중은 올해 초만 하더라도 약 4%에서 이날 기준 18%로 늘었다. 코스피를 포함한 전체 주식시장으로 넓히면 에코프로비엠 시총은 이날 10위로 올라서며 코스피 종목인 현대차(11위)마저 눌렀고, 뒤이어 에코프로가 12위를 차지했다. 코스피시장에서도 이차전지 종목인 포스코홀딩스는 전날 16.52% 치솟으며 1988년 상장 이후 하루 상승률로는 사상 최고치를 찍은 데 이어 이날도 2.49%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 갔다. 포스코홀딩스를 비롯해 포스코퓨처엠과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DX, 포스코스틸리온 등 포스코그룹주 시총은 연초 대비 3배 뛰었다. 코스피는 전날 대비 7.93포인트(0.30%) 상승한 2636.46으로 장을 마쳤다. 개인 홀로 1조 3728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조 3493억원, 695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잠잠해졌던 빚투 역시 성행할 기세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코스닥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지난 24일 기준 10조 562억원을 기록하며 다시 10조원 넘어섰다. 신용거래융자는 개인투자자가 증권사로부터 돈을 빌려 주식에 투자한 돈으로, 빚투 현황을 고스란히 보여 준다. 2021년 9월 10일 11조 7060억원으로 사상 최대로 불었다가 금리 상승으로 지난해 10월 18일 기준 7조 3861억원까지 떨어졌으나 이차전지 돌풍을 등에 업고 다시 오르고 있다.
  • 혁신 칼 뽑는 ‘우리’… 내부통제 업무 거쳐야 지점장 승진

    혁신 칼 뽑는 ‘우리’… 내부통제 업무 거쳐야 지점장 승진

    우리금융지주가 내부통제 혁신안을 내놨다. 지난해 700억원대 횡령 사건을 포함해 우리은행의 최근 6년간 금융사고액이 1000억원을 넘는 등 내부통제 부실 지적이 잇따르자 신고 직원에겐 최대 10억원의 포상금을 주는 안까지 나왔다. 우리금융은 20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실효성을 강화한 현장중심 내부통제 혁신방안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이 지난 3월 취임 당시 최우선 경영 방향으로 제시한 ‘빈틈없는 내부통제 시스템 구축’을 구체화한 것이다. 우선 전 계열사 영업 일선에 내부통제만 담당하는 인력을 배치한다. 우리은행은 이달 초 인사에서 지점장급 이상의 내부통제 전담인력 33명을 각 영업본부에 배치했는데, 다른 자회사에도 하반기 내 배치를 추진하고 있다. 또 임직원 인식 제고를 위해 전 직원이 최소 한 번은 내부통제 업무경력을 갖출 것을 의무화하는 한편 지점장 승진 평가에 관련 경력을 필수요건으로 반영하기로 했다. 우리금융 준법감시인 전재화 상무는 “통상 지점장 승진까지 20년 정도 걸리는데 그동안 준법 감시는 물론 리스크나 내부회계 관리, 금융소비자 보호, 검사 등 내부통제 관련 업무를 경험하도록 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그룹 내부자신고 외부접수 채널을 도입해 사각지대를 해소한다. 신고한 직원에 대해서는 금융사고 손실 예방금액 등을 고려해 최대 10억원의 포상금을 주도록 했다. 우리금융이 이처럼 내부통제를 강조하는 데는 최근 몇년 사이 우리은행에서 내부통제 미흡으로 인해 발생한 여러 사건·사고가 배경이 됐다. 우리은행은 2019년 파생결합상품(DLF)을 판매하면서 원금손실 가능성을 언급하지 않아 논란이 일었으며, 이듬해엔 1조 6000억원의 환매 중단을 불러온 라임 펀드의 부실성을 미리 알고 있었음에도 이를 투자자들에게 고지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나며 불신이 가중됐다. 지난해 4월엔 기업개선부 소속 직원이 700억원대 횡령을 저지른 일이 알려지면서 은행 내부에서도 내부통제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최근엔 미래에셋증권이 조성한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GFGC) 빌딩 대출용 펀드에 사실상 전액 손실이 발생하면서 여기에 개인 돈을 끌어들여 투자한 우리은행 역시 불완전 판매 의혹이 일고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열린 정기이사회에서 해당 투자 관련 펀드로 손실을 입은 고객에게 일부 보상해 주는 안건을 서둘러 통과시켰으나 투자자들은 불완전 판매가 있었는지 살펴보고 소송을 제기하기로 했다.
  • 우리은행, 서둘러 펀드 투자금 보전 결정한 까닭은

    우리은행, 서둘러 펀드 투자금 보전 결정한 까닭은

    미래에셋증권의 2800억원 규모 홍콩 오피스빌딩 투자 펀드 자산이 약 90% 손실 처리하는 쪽으로 확정된 가운데 개인투자자들의 돈을 모아 이 펀드에 투자했던 우리은행은 손실 확정 한 달 전에 이미 일부 투자금을 개인들에게 보상해 주기로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달 열린 정기이사회에서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GFGC) 투자 관련 펀드로 손실을 입은 고객을 대상으로 일부 보상해 주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앞서 미래에셋증권은 2019년 6월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 빌딩에 2800억원을 대출하는 메자닌(중순위) 상품을 내놨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빌딩 가격이 급락하자 싱가포르투자청 등 선순위 대출자는 빌딩을 싼값에 매각해 원금을 회수한 반면 중순위 대출자인 미래에셋 측은 피해를 보게 됐다. 2800억원 중 미래에셋증권이 자기 자금으로 300억원을 투자하고 나머지 1150억원은 증권·보험사 등이 자기 자금으로 투자했는데 이 중 우리은행이 고객 돈을 모아 투자한 게 765억원 규모에 달한다. 현행법에 따르면 판매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설명을 생략하는 불완전판매 등의 극히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금융기관이 자의적으로 고객 손실을 보전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는데, 손실이 확정되기 한 달 전에 우리은행 이사회는 이미 고객 돈을 상당 부분 보상해 주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를 두고 그동안 펀드 판매로 물의를 일으킨 전례가 많아 빠르게 조처를 취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우리은행은 최근 수년간 불완전판매 논란으로 몸살을 앓아 왔다. 1조 6000억원어치 환매 중단을 불러온 라임펀드 사태와 관련해 우리은행은 2017년부터 금융사 중 최대 규모인 3600억원을 팔았는데, 부실 위험이 큰 것을 알면서도 해당 상품을 팔았다는 이유로 손태승 전 우리금융그룹 회장에게 중징계가 내려졌다. 뒤이어 2019년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와 연계한 파생결합상품(DLF)을 팔았다가 이례적으로 원금 전액을 날려 분쟁에 휩싸였고, 지난 3월 펀드 상품 판매 설명의무를 위반해 금융당국으로부터 2억 50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받기도 했다. 이 밖에 2017년 설명 의무 위반을 이유로 고객에게 734억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당해 현재 3심에 대응 중이다. 우리은행 측은 “고객과의 신뢰 회복 차원에서 자율 조정을 거쳐 원금 일부를 보상하는 것”이라며 “이사회는 불완전판매 논란과 관련해 불명확한 상황이라고 판단했으며 이 경우 법령에 따라 사적 화해 수단으로 손실을 보상해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일단 고객 자금 765억원 중 일부를 자체 보상해 준 뒤 운용사를 대상으로 채권추심과 구상권 청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 中제재 당한 기업이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자 벌어진 일 [대만은 지금]

    中제재 당한 기업이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자 벌어진 일 [대만은 지금]

    지난해 8월 중국으로부터 제재를 받은 대만 기업 톈량의료(스카이라)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인정한다고 밝히자 중국이 제재 해제 조치를 내렸다. 14일 대만 언론들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대만판공실은 전날 "톈량의료에 대해 깊은 과오가 있었다며 징계조치를 취소한다"고 밝혔다. 천빈화 대만판공실 대변인은 "톈량의료가 근 1년 간 여러 차례에 걸쳐 자료를 보내며 상황을 설명하면서 관리가 소홀했음을 인정했다"고 말했다. 천 대변인은 이어 "회사 대표는 최근 대만 매체를 통해 '대만독립'은 전쟁을 유발시키고 평화롭고 안정적인 양안관계만이 양안간 경제무역 협력에 이득이 된다고 말했다"며 "대표와 기업은 92공식(하나의 중국 원칙을 인정하되 각자 표기에 따름)을 지지하고 대만독립을 반대하며 대만독립과 관련된 단체 및 기관과 명확히 선을 긋겠다고 밝혔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톈량의료는 자신의 잘못을 깊이 깨닫고 양안관계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표명했다며 관련 부처에서는 해당 기업에게 내린 중국 조직, 기업, 개인 등과의 거래, 협력 금지 및 기업인에 대한 입국 금지를 취소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대만독립에 결연히 반대하는 기업과 투자자는 중국에서 이익을 얻게 될 것이며 현재 3개 기업에 대한 징계 조치는 변경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LED 제조로 유명한 라이트온의 계열사인 톈량의료는 지난해 8월 3일 중국으로부터 대만독립 단체들과 관련이 있다며 제재를 받았다. 당시 중국은 당시 미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에 대한 보복조치로 대만민주기금회, 국제합작발전기금회 및 톈량의료를 포함 기업 4곳에 제재 조치를 내렸다. 톈량의료는 지난해 8월 중국의 제재 명단 발표 직후 발표한 성명서에서 "관련 기금회가 주최한 수업에 2018년 퇴사한 직원이 참가한 것을 확인했으며 등록비 3000대만달러(12만원)은 회사에서 지급한 적도 없고, 관련 단체에 기부금도 낸 적이 없다"며 "진실을 알아주기를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해 13일 대만 외교부는 자국 민간단체와 기업에 압박을 가한 중국에 엄중히 견책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외교부는 자유와 민주주의,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세계의 보편적 가치를 무시하고 맹목적으로 정치권력을 휘둘러 대만 조직과 기업을 압박하고 정치적 요구에 굴복하도록 했다며 엄중히 견책한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중국이 재재한 두 재단은 글로벌 민주발전과 국제개발협력을 촉진하는 단체이며 제재 당한 기업 역시 사회적 책임이 큰 민간기업이라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이어 "(중국의 제재가) 인민의 자유무역을 중시하고 국제사회가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추구하는 것과 완전히 배치된다"며 "양안관계에 이롭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산당 정권의 불합리한 본질을 부각시켰다"고 강조했다. 외교부는 그러면서 "중국은 양안이 서로 종속관계가 아니라는 사실을 직시하고 정치적 조작에 의한 강압과 탄압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모든 대만 제조업체 및 단체 부과한 부당한 제재를 즉시 해제할 것을 촉구했다.
  • ‘큰손’ 된 이수만, 中 드론택시 업체에 투자

    ‘큰손’ 된 이수만, 中 드론택시 업체에 투자

    SM엔터테인먼트를 떠난 이수만 전 총괄프로듀서(PD)가 중국 자율주행항공 기업 ‘이항’(Ehang)의 개인 투자자로 나섰다. 이항은 12일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의 음악 프로듀서, 기업가, 케이팝과 SM의 설립자인 이수만이 이끄는 여러 전략적 투자자와 총 2300만 달러(약 300억원) 규모의 신주 발행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항은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으로 도심항공교통(UAM) 솔루션인 ‘드론 택시’ 개발사로 유명하다. 이 전 총괄도 이날 오전 이항을 통해 “잠재력이 큰 도심항공교통 산업의 장기 투자자로서 투자와 협업을 통해 기회를 포착하고 이항의 성장에 기여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이 전 총괄은 올 들어 이항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논의를 본격 진행해 왔다. 그가 지난 3월 설립한 개인회사인 ‘블루밍그레이스’도 기술 기반 사업을 주된 투자 분야로 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총괄은 이미 해외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및 기술 관련 사업에 투자한 법인 수가 상당한 규모에 달하는 ‘큰손 투자자’로 알려졌다. 그는 올 들어 자신이 갖고 있던 SM 지분 대부분을 하이브에 매각한 뒤 해외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그는 최근 몽골에 나무심기 기금 1억원을 기부하기도 했다.
  • “미래 향해 간다”…SM 떠난 이수만, 300억원 투자 참여한 곳

    “미래 향해 간다”…SM 떠난 이수만, 300억원 투자 참여한 곳

    SM엔터테인먼트 설립자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가 ‘드론 택시’를 만드는 중국 자율주행항공기 업체 이항(Ehang)에 거액을 투자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 전 총괄이 투자한 법인 수만 수십 개에 달한다. 12일 이항 측은 “한국의 저명한 음악 프로듀서이자 기업가이며 K팝을 대표하는 다국적 연예기획사인 SM엔터테인먼트의 설립자인 이수만이 이끄는 여러 전략적 투자자와 총 2300만 달러(약 297억원) 규모의 사모 방식 신주 발행을 위한 인수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항은 “이수만과 상호 보완적인 강점을 활용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도심항공교통(UAM)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협력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수만을 ‘대표 투자자’라고 소개했지만, 2300만 달러 중 구체적으로 얼마를 투자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따르면 이항과 이 전 총괄은 2019년부터 교류해 왔다. ‘문화와 기술의 융합’을 주장해 온 이 전 총괄은 드론 시대에 큰 관심을 가지고 이항의 기술 발전을 지켜봐 왔다고 한다. 그러다 올해 들어 양측 사이에 전략적 파트너십에 대한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이수만은 “잠재력이 큰 신흥 UAM 산업의 장기 투자자로서 이항과의 협업을 통해 기회를 포착하고 성장에 기여하게 돼 기쁘다”며 “첨단 교통기술과 대중문화가 융합해 지속 가능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이 일에 동참하게 돼 뿌듯하다”고 말했다. 후아지 후 이항 회장은 “혁신 기술, 미래 항공 모빌리티와 자율 비행체에 대한 이수만의 관심과 열정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했다. 한편 이수만은 보유했던 SM 주식 대부분을 하이브에 매각한 뒤 해외를 중심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사업과 기술 관련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지난 3월 이수만은 SM을 떠나며 “나는 미래를 향해 간다”며 “세계가 함께 하는 음악의 세상은 기술과 음악의 접목이어야 하고 그것의 목표는 지속 가능한 세상에 대한 기여”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ESG와 문화 기술 사업을 펼치는 개인 회사 ‘블루밍 그레이스’를 설립하고, 몽골 나무 심기에 1억원을 기부하기도 했다.
  • 역대급 ‘바이 재팬’… 엔화 예금·ETF 올라타 볼까

    역대급 ‘바이 재팬’… 엔화 예금·ETF 올라타 볼까

    원·엔 환율이 8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엔테크(엔화+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향후 일본은행의 통화 완화 정책이 중단돼 엔화 가치가 오르면 환차익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날 기준 원·엔 재정환율(오후 3시 30분 기준)은 100엔당 897.29원을 기록했다. 2020년 3월부터 가파르게 하락하던 원·엔 환율이 900원 이하로 떨어진 것은 2015년 6월 25일(897.91원) 이후 약 8년 만에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최근 기록적인 약세를 띠고 있는 엔화가 조만간 강세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엔화 약세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일본은행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이 연내 중단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다만 엔저에 따른 일본 수출기업 실적 개선을 감안할 때 엔화 약세가 구조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는 관측도 없지 않다. 최근 엔화 약세에 따른 엔테크 방법으로 엔화 예금과 일본 상장지수펀드(ETF) 및 개별주식 투자가 거론된다. 엔화 예금 통장은 연 금리가 약 1% 내외로 낮지만 환율 변동에 따른 차익을 남길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시중 은행에서 외화 예금 통장을 개설한 뒤 엔화가 쌀 때 원화를 엔화로 환전해 예금 통장에 넣어 두었다가, 나중에 엔화가 비싸졌을 때 다시 원화로 환전하는 방식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기업과 개인의 엔화 예금은 지난 2월부터 3개월째 전월 대비 감소세를 이어가다가 지난 5월 들어선 9억 3000만 달러(1조 2100억원)까지 급증했다. 국내 투자자들이 엔화가 충분히 싸다고 판단해 엔화 예금에 대거 돈을 예치한 것으로 풀이된다. 싼 값의 엔화로 ETF·주식을 사들여 차익을 보는 방법도 인기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투자자의 일본 주식 매수 건수는 4만 4752건으로 2011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2만 6272건) 대비로는 70% 증가한 수준이다. 올 상반기 일학개미 사이에서 가장 인기 많았던 ETF는 ‘아이셰어즈 미국채 20년물 엔화 헷지 ETF’로 1억 36만 달러(1307억원) 매수 결제가 이뤄졌다. 미국의 20년물 이상 장기 국채에 엔화로 투자하는 상품이다. 향후 미 금리 인하에 따른 채권가격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데다 엔화가 절상하면 환차익까지 얻을 수 있어 레버리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상반기 일본 개별주식 투자로는 소니가 3000만 달러(391억원)로 가장 인기가 많았으며, 뒤이어 소프트뱅크(2422만 달러·315억원), Z홀딩스(2168만 달러·282억원), 닌텐도(2097만 달러·273억원), 미쓰비시(1483만 달러·193억원) 등의 순이었다.
  • 삼성전자·카카오로 재미 못 보는 개미들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가 펄펄 날고 코스피도 2600선을 돌파하며 훈풍이 불고 있지만 개인투자자들은 국내 대표 기술주인 삼성전자와 카카오에서 좀처럼 재미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미들이 10조원어치 팔아치운 삼성전자는 글로벌 반도체 업황 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올해 상반기 저점 대비 30% 이상 상승한 반면 개미들이 500억원어치를 사들인 카카오는 고점 대비 30% 하락했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장중 7만 3200원까지 올라 지난달 29일 기록했던 52주 신고가(7만 3400원) 돌파를 시도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2월 23일 이후 1년 4개월 만인 지난달 29일 장중 7만 3000원을 넘은 뒤 이날 재차 7만 3000원을 돌파하며 랠리를 이어 가고 있다. 올해 저점(5만 5400원·1월 3일) 대비 31.2%까지 뛰어올랐다. 이 같은 상승세에 따른 수익은 개미들 대신 외국인들이 누리는 모양새다. 개미들은 올해 들어 삼성전자 주식을 10조 325억원어치 순매도했다. 그간 6만~7만원대에 삼성전자 주식을 매수했던 개미들이 ‘8만전자’를 기다리지 못하고 ‘탈출’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외국인은 글로벌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에 12조 78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 외국인 순매수 1위 종목에 올랐다. 삼성전자가 오는 7일 2분기 실적을 발표하는 가운데 증권가는 삼성전자의 실적 전망을 점차 끌어올리고 있다. 그간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을 2000억원 선으로 내다보고 있었으나 이날 SK증권은 “보수적 마케팅 등 비용 통제 효과로 전망치보다 높은 실적을 거둘 것”이라며 영업이익을 5000억원으로 내다봤다. 3분기부터는 감산 효과가 본격화되며 영업이익이 3조원 선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가 하면 씨티그룹이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10만 5000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등 하반기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반면 카카오 주가는 이날 5만 1000원대로 마감되며 지난달 26일(5만원) 이후 5거래일 만에 5만원대를 회복했다. 카카오는 2월 초 7만원을 돌파하며 순풍을 이어 가는 듯했으나 지난달 23일 4만원대로 떨어진 뒤 30일에는 장중 4만 8400원대까지 내려갔다. 카카오 주가는 올해 들어 고점(7만 900원·2월 9일) 대비 30.8% 주저앉았다. 개미들은 카카오 주가가 ‘바닥’을 찍었다는 기대감에 565억원어치 순매수했지만 외국인이 426억원어치 팔아치웠다. 경기와 기준금리에 민감한 성장주인 탓에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긴축과 주요 수익원인 광고의 부진한 실적이 발목을 잡고 있다. 시장에서는 2분기에도 영업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7%가량 감소한 1422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헬스케어 등에 투자하고 있지만 후발주자라는 한계와 투자 부담이 걸림돌이다.
  • 자동차 개소세 5% 환원… 타인 정보 SNS 유포 땐 스토킹 처벌 [하반기 이렇게 달라집니다]

    올해 하반기부터 자동차 개별소비세율이 3.5%에서 기본세율 5.0%로 환원돼 구매 가격이 소폭 인상된다. 해외여행을 갔다가 돌아올 때 휴대품 세관 신고와 세금 납부는 모두 스마트폰으로 이뤄진다. 영화 관람료로 지출한 비용은 연말정산에서 30%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제 타인의 개인정보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유포한 ‘온라인 스토킹’ 행위자도 처벌받는다. 오는 9월 4일은 ‘제1회 고향 사랑의 날’로 지정됐다. 9월 25일부터 병원 수술실 폐쇄회로(CC)TV 설치가 의무화되면서 의료분쟁을 보다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10월 19일부터는 택배·순찰 로봇이 거리를 활보하게 된다. 올해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주요 제도를 분야별로 살펴본다. 보건·복지·고용환자·보호자 요청 땐 수술 장면 촬영외국인 계절근로자 8개월까지 체류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 9월 25일부터 전신마취 등 환자의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수술을 진행하는 의료기관은 수술실 내부에 CCTV를 설치해야 하고, 환자나 보호자의 요청에 따라 수술 장면을 촬영해야 한다. ●세척제 유형 표시 변경 7월부터 세척제 유형이 ‘1종·2종·3종’에서 ‘용도’로 바뀐다. 1종은 과일·세척용, 2종은 식품용 기구·용기용, 3종은 식품제조·가공장치용이다. 젖병 세척제에는 ‘식품용 기구·용기용’이라고 표시된다. ●중장년·청년 일상돌봄 서비스 지원 돌봄이 필요한 중장년과 질병을 앓고 있는 가족을 돌보는 ‘가족돌봄청년’에게 일상돌봄 서비스가 하반기부터 새롭게 도입된다. 돌봄 서비스는 재가 돌봄, 가사를 비롯해 심리 지원, 간병 교육, 병원 동행, 교류 증진 가운데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지원한다.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직무능력은행제 도입 9월 1일부터 개인의 교육·훈련·경력·자격 등 다양한 직무능력에 대한 인정서를 발급하는 ‘직무능력 인정·관리체계’가 시행된다. 기업은 구직자의 직무능력정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채용이나 인사에 활용할 수 있다. ●고용·산재보험료 고액·상습체납자 공개 기준 강화 올해 하반기부터 고용·산재보험료를 1년 이상, 5000만원 이상 체납한 사람의 인적사항이 공개된다. 이전까지는 2년 이상, 10억원 이상이었는데 공개 기준이 더 강화되는 것이다. ●기간제·파견근로자 잔여 유산·사산휴가 급여 지급 7월부터 유산·사산휴가 기간 중 근로계약 기간이 만료된 기간제·파견근로자에게도 남은 휴가 기간에 대한 유산·사산휴가 급여가 지급된다. 지금까지는 출산 전후 휴가 기간 중에 근로계약이 만료된 경우에만 남은 기간에 대한 출산 전후 휴가 급여 상당액을 지급받을 수 있었다. ●휴게시설 설치 의무화 확대 8월 18일부터 휴게시설 미설치 또는 설치·관리 기준 위반으로 과태료를 부과하는 대상이 되는 사업장의 범위가 상시근로자 50인 이상 사업장에서 20인 이상 사업장으로 확대된다. ●외국인 계절근로자 체류 기간 확대 농어촌의 계절적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하반기부터 현행 5개월인 외국인 계절근로자(E8)의 체류 기간이 3개월 범위에서 연장돼 최장 8개월간 취업이 가능해진다. 교육·보육·가족300개 학교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 시범 도입 9월부터 300개 내외의 디지털 선도학교가 AI 기반 코스웨어(교육용 프로그램)를 활용해 수업을 진행한다. 학생의 학습활동을 분석하고 맞춤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AI 디지털 교과서는 2025년 3월부터 학교 현장에 도입된다. ●행정처분 학원의 ‘편법 폐원’ 금지 10월 19일부터 학원·교습소·개인과외교습자가 행정처분이 진행 중일 때 폐원·폐소 신고를 할 수 없게 된다. ●은둔형 청소년도 위기청소년 특별지원 은둔형 청소년도 위기청소년 특별지원 대상에 포함돼 기초생계비 월 65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아동 양육비를 받는 한부모가족 자녀도 위기청소년이면 특별지원을 받을 수 있다. ●성매매 경고문구 게시 대상 확대 9월 1일부터 청소년유해매체물로 지정된 랜덤 채팅 애플리케이션에 ‘성매매 경고문구’를 게시해야 한다. 위반 시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스토킹 방지법 시행·피해자 지원 강화 7월 18일부터 스토킹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돼 스토킹 행위 발생 단계부터 주거·의료·법률지원 등 피해자 보호조치가 이뤄진다. 금융·재정·조세영화 관람 소득공제… 연금계좌 확대 해외여행자 모바일앱으로 세관 신고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내수 활성화를 위해 30% 인하된 3.5%가 적용됐던 자동차 개소세율이 기본세율인 5.0%로 환원된다. 7월 1일 이후 자동차 제조장에서 반출되는 국산차와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수입차부터 적용된다. ●개소세 과세표준 경감제도 도입 7월부터 자동차 제조사가 직접 소비자에게 물품을 판매할 때 개소세 과세표준은 판매가격이 아닌 유통·판매마진을 고려한 기준판매 비율만큼 경감된 가격으로 적용된다. 그동안 수입차보다 국산차에 더 많은 개소세가 매겨져 온 것을 평등하게 개선한 것이다. ●여행자 휴대품 모바일로 세관 신고 7월 17일부터 해외여행자는 모바일 앱 ‘여행자 세관신고’를 통해 과세 대상 물품을 신고하고 세금을 납부할 수 있다. 앞서 지난 5월 1일부터 여행자 휴대품 신고서 작성 의무가 폐지됐다. ●신용카드 소득공제 대상에 영화 관람료 추가 7월 1일 이후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현금으로 결제한 영화 관람료도 연말정산 때 도서·공연 등 사용분과 함께 30%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무증빙 해외송금 한도 확대 7월 4일부터 증빙 서류 없이 해외로 송금할 수 있는 돈이 기존 5만 달러에서 10만 달러로 늘어난다. 기업이 기획재정부나 한국은행에 사전 신고해야 하는 외화 차입 규모도 연 3000만 달러에서 5000만 달러로 상향 조정된다. ●골프장 과세체계 개편 7월부터 그동안 개소세를 내지 않았던 일반 비회원제 골프장에도 개소세 1만 2000원이 부과된다. 교육세·농어촌특별세 7200원, 부가가치세 1920원을 더하면 총 2만 1120원이다. ●연금계좌 추가 납입 확대 7월부터 부부 중 1명이 60세 이상인 고령의 1주택자가 주택을 팔고 나서 가격이 낮은 주택을 사면 그 차액을 최대 1억원까지 연금계좌에 납입해 노후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 소비자가 은행, 저축은행, 카드·캐피털사에서 받은 신용대출 정보를 온라인으로 조회하고 더 유리한 조건으로 갈아탈 수 있는 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가 지난 5월 3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 폐지 12월 14일부터 외국인 투자자는 금융감독원에 사전 등록을 하지 않고 여권번호를 활용해 국내 상장증권에 투자할 수 있다. 부동산·교통전세사기 피해자 임대·매입 신속 지원 ●전세사기 피해자 신속 지원 7월 2일 이후 전세사기 피해자는 임차주택을 낙찰받을 수 있고, 계속 거주를 희망하면 공공이 매입한 뒤 임대주택으로 공급한다. ●공인중개사 책임·역할 강화 10월 19일부터 공인중개사는 임대차 중개 시 임차인이 확인해야 할 주요 정보에 대한 열람 권한을 설명해야 한다. 중개 보조원은 중개 의뢰인을 만날 때 반드시 신분을 밝혀야 한다. ●상습 다주택 채무자 성명 공개 9월 29일부터 상습 다주택 채무자의 성명·나이·주소 등의 정보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에 공개된다. 공개 대상은 3년 이내 2건, 합산 2억원 이상 채무가 발생한 임대인이다.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기 콘센트 확대 7월부터 이동식 콘센트 설치 기준이 주차단위구획의 4% 이상에서 7% 이상으로 확대되고 2025년부터는 10% 이상으로 늘어난다. ●국내 공항 짐 배송 서비스 확대 승객의 짐을 대신 찾아 숙소까지 배송하는 서비스가 7월 말부터 기존 제주공항에서 김포·김해·대구·청주·광주공항으로 확대 운영된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횟수 상향 7월부터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가 최대 60회까지 적립된다. 형사·법무보이스피싱 벌금 범죄 수익 5배까지 ●보이스피싱 처벌 수위 강화 11월 17일부터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해 1년 이상의 유기징역 또는 범죄 수익의 3배 이상 5배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온라인 스토킹도 강력 처벌 7월부터 개인정보나 위치정보를 온라인에 유포하는 행위, 온라인 사칭 행위 등도 스토킹 행위로 처벌된다. ‘반의사불벌’ 조항 폐지로 스토킹 가해자는 피해자 의사와 상관없이 처벌받는다.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수사·재판 지원 강화 10월부터 수사·재판 과정에서 진술 조력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나이 기준이 13세 미만에서 19세 미만으로 확대된다. 또한 미성년·장애 성폭력 피해자는 수사·재판 과정에서 국선 변호사를 선임할 수 있다. ●마약 재활 전담 교정시설 운영 9월부터 일부 교정시설을 마약 재활 전담 교정시설로 지정하고 보건의료 인력, 중독심리사 등 전문 인력을 배치해 마약중독 치료·재활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외국인도 비대면 금융 서비스 이용 법무부가 외국인등록증 진위 확인 시스템을 구축함에 따라 국내 체류 외국인은 7월 3일부터 영주증, 외국국적동포 국내거소신고증을 포함한 외국인등록증으로 각종 비대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농림·수산·식품전국 단위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 출범 11월부터 전국 단위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이 출범한다. 판매자와 구매자는 전국 단위로 가격을 비교할 수 있고, 거래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예약 거래 방식이 도입된다. ●천원의 아침밥 사업 지원 규모 확대 대학생에게 아침밥을 1000원에 제공하는 ‘천원의 아침밥 사업’의 지원 규모가 수요 급증에 따라 69만명에서 234만명으로 3.4배 확대된다. ●유통 전 종자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검사 확대 7월부터 신품종 보호 출원이나 생산·수입 판매 신고 시 LMO 검사 대상 품목이 8개에서 13개로 늘어난다. 기존 검사 품목 8개에 토마토·멜론·피망·파프리카·파파야가 추가된다. ●음식점 내 수산물 원산지 표시 품목 확대 7월부터 음식점 내 원산지 표시 대상 품목에 가리비·우렁쉥이(멍게)·방어·전복·부세 등 5종이 추가된다. 기존 대상은 넙치·참돔·고등어 등 15종이었다. ●가축전염병 예방을 위한 방역 기준 개선 10월 19일부터 닭·오리 사육업체에만 적용하던 소독설비·방역시설의 설치 기준이 메추리·칠면조·거위·타조·꿩·기러기 사육업에도 확대 적용된다. 산업·중기·에너지신축 건축물 광케이블 설치 의무화 ●신축 건축물 광케이블 설치 의무화 10기가 인터넷 서비스 확산을 위해 6월 7일부터 신축 건축물 내 광케이블 설치가 의무화된다. ●인허가 타임아웃제 도입 7월부터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인허가 타임아웃제’가 도입된다. 인허가 요청이 최대 60일 이내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 안전성 검사제 도입 전기차에 탑재됐던 사용 후 전지를 폐기하지 않고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에 재활용할 수 있도록 10월 19일부터 재사용 전지 안전성 검사 제도가 시행된다. ●납품대금 연동제 도입 10월 4일부터 주요 원재료가 있는 모든 위·수탁 거래 시 위탁기업에 ‘납품대금 연동 약정서’를 반드시 발급해 줘야 한다. ●송·변전 설비 주변 지역 주민에게 주거환경개선비 지원 7월 4일부터 345㎸ 이상 송·변전 설비 주변 지역 주택 소유자는 1200만~2400만원 범위에서 주거환경개선비를 신청해 받을 수 있다. ●유명 상표 선의의 선사용자 보호 9월 29일부터 국내에 널리 알려진 유명 상표와 같거나 유사한 상표를 부정한 목적 없이 먼저 사용했다면 앞으로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행정·안전·질서어린이 보호구역엔 노란색 횡단보도 ●고향 사랑의 날 지정 고향의 가치와 소중함을 되새기자는 취지로 9월 4일 제1회 고향 사랑의 날이 시행된다. ‘9월 4일’은 ‘고향 사랑’과 발음이 비슷해 대국민 공모에서 많은 지지를 얻었다. ●실외 이동 로봇 보도 통행 허용 10월 19일부터 물류 배송·순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외 이동 로봇이 ‘자동차’가 아닌 ‘보행자’에 포함돼 보도 통행이 가능해진다. ●공중화장실 대변기 칸막이 설치 기준 마련 7월 21일부터 공중화장실 불법촬영 예방을 위해 대변기 칸막이 아랫부분은 바닥과 5㎜ 이내여야 하고, 윗부분은 천장에서 30㎝ 이상 공간을 둬야 한다. ●어린이 보호구역 노란색 횡단보도 도입 7월 4일부터 운전자가 어린이 보호구역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노란색 횡단보도가 설치된다. ●카카오·네이버에서도 SRT 승차권 예매 가능 7월부터 SRT 승차권 예매, 자동차 검사 예약, 수목원 예약 등을 네이버·네이버지도·카카오T·KB스타뱅킹 앱에서 할 수 있다. ●해수욕장 알박기 텐트 규제 6월 28일부터 전국 280여개 해수욕장에서 텐트를 비롯한 야영용품을 알박기로 방치하면 관할 지자체가 즉시 제거할 수 있다. 반환받으려면 물건 처리에 든 비용을 내야 한다. 국방·병무임관 예정 모든 군 간부 마약류 검사 ●군 간부 마약류 검사 확대 8월 1일부터 임관 예정인 군 간부와 장기 복무를 지원한 모든 군 간부를 대상으로 건강검진에서 마약류 검사를 시행한다. ●장병 맞춤형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7~8월 사이 군 장병의 정신건강을 위해 ‘마음건강’ 모바일 앱이 신설된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개인별 맞춤형 마음건강 회복 콘텐츠를 제공한다. ●육군 통신장비운용병 지원 자격 확대 8월부터 통신장비 분야 비전공자나 관련 면허·자격증이 없는 사람도 육군 통신장비운용병에 지원할 수 있다. ●병무 민원 상담 예약 서비스 도입 11월부터 휴일이나 야간에 병무청 AI 챗봇을 통해 상담받다가 추가로 자세한 상담이 필요하면 원하는 시간에 전문 상담원과 다시 상담할 수 있다. ●병역의무자 학생건강기록부 확인 절차 간소화 6월부터 병역판정검사에 필요한 학생건강기록부를 학교에서 서류로 발급받지 않고 온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국가유공자 병적기록 정정 절차 간소화 9월부터 참전용사와 국가유공자 등의 병적기록이 실제 이름이나 생년월일 등과 일치하지 않을 때 병무청을 방문하지 않고도 병무청 직권으로 병적기록을 고칠 수 있다.
  • 형이 왜 거기에? 마윈, 파키스탄 라호르 깜짝 방문에 갖가지 추측

    형이 왜 거기에? 마윈, 파키스탄 라호르 깜짝 방문에 갖가지 추측

    최근 공개 활동을 재개하며 반경을 넓히고 있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馬雲)이 파키스탄을 깜짝 방문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현지에서 여러 갈래의 추측이 나오고 있다. 파키스탄 일간 더익스프레스 트리뷴은 2일(현지시간) 정부 산하 투자위원회(BOI) 위원장을 지낸 무함마드 아즈파르 아산이 마윈의 방문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마윈이 지난달 29일 파키스탄 북동부 도시 라호르를 방문해 23시간 머물렀다는 것이다. 인구 1100만명의 라호르는 이 나라에서 남부 카라치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도시다. 마윈은 라호르 방문 당시 순전히 개인적 방문이라고 강조하면서 파키스탄 정부 관리들이나 언론을 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개인적인 장소에 머문 뒤 다음날 떠났다. 마윈은 중국인 5명, 덴마크인과 미국인 한 명씩 등 7명을 대동한 채 전세기를 타고 네팔에서 날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아산은 마윈의 방문이 현 시점에는 비밀로 돼 있지만 며칠 안에 파키스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트위터 글을 통해 이번 방문이 개인적인 목적 때문이라면서도 재미있는 것은 파키스탄 주재 중국 대사관도 마윈의 방문을 모르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그가 라호르의 무역센터를 찾고 유력 사업가와 상공회의소 관계자들을 만났다는 추측도 나왔으나 확인되지 않았다고 신문은 전했다. 파키스탄 소프트웨어기업협회 회장인 무함마드 조하이브 칸은 현지 신문 인터뷰를 통해 “(그의 방문이) 개인적인 것이지만 관광 관점에서 보면 파키스탄의 이름을 알리는 데 도움을 줬다”고 평가했다. 칸 회장은 파키스탄 당국자들이 마윈의 방문을 통해 정보기술(IT)에 대한 그의 풍부한 경험으로부터 통찰력을 얻었을 수도 있다면서 마윈이 파키스탄 IT 분야에 대해 한마디라도 했다면 이는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파키스탄 투자은행인 JS 글로벌 캐피탈의 와카스 가니 쿠카스와디아 애널리스트는 마윈을 비롯한 국제 투자자들의 방문은 이들이 파키스탄의 엄청난 잠재력을 인정하고 투자기회를 찾는 데 진정 관심이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스타트업 투자 전문가인 카필 쿠마르는 마윈의 방문은 우연의 일치일 수 있다며 시간이 흘러야 방문의 진정한 의미가 드러날 것이라고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쿠마르는 기술이 뛰어난 젊은이가 많고 경제도 성장하는 파키스탄 상황이 알리바바와 같은 기업의 관심을 끌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 육·해상 실크로드) 사업에서 파키스탄이 차지하는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파키스탄은 중국 측 투자를 위한 핵심 파트너가 됐다면서 마윈의 방문은 알리바바와 파키스탄의 유대를 강화하고 파키스탄에 대한 중국의 투자 확대를 위한 것일 수 있다고 해석했다. 파키스탄의 앙숙이며 일대일로 사업의 협력자 내지 경쟁자일 수 있는 인도의 영자 신문 ‘타임스 오브 인디아’도 상당한 관심을 갖고 보도했다. 한편 마윈은 네팔로 향하기 전에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에도 잠깐 들렀던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파키스탄에서와 마찬가지로 궁금증과 기대가 쏟아진다고 현지 일간 데일리 스타가 3일 보도했다. 그는 라호르 방문을 마친 뒤에는 우즈베키스탄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했는데 이미 순방 일정을 마쳤을 것으로 보인다.
  • 업비트, 개인정보 보호에 주력… 글로벌 수준 보안시스템 구축

    업비트는 국내 디지털 자산 거래소 중 최대 규모의 보안 투자를 매해 이어왔다. 앞서 2018년 ISO 3개 부문(▲정보보안(ISO 27001) ▲클라우드 보안(ISO 27017) ▲클라우드 개인정보 보안(ISO 27018)) 인증을 확보한 첫 거래소로 이름을 올렸다. 2021년 국제표준 개인정보보호 관리 체계 인증(ISO 27701)까지 ISO 4종을 모두 취득했다. 같은 해 개인정보 처리 단계별 보안을 강화하고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공동으로 고시하는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ISMS-P)’을 자발적으로 획득하기도 했다. 업비트는 지난해 11월 기존 소셜 로그인 방식 대신 강도 높은 보안 정책을 적용한 자체 로그인 시스템을 도입했다. 인증에 필요한 개인 정보를 노출하지 않기 위한 ‘공개키 암호 기술’을 적용하고, 6자리 PIN 비밀번호 혹은 생체 인증(페이스 아이디·지문)으로 로그인을 지원해 편리성과 보안성을 높였다. 투자자 자산 사전 보호하고 사후 피해 지원 업비트는 사후 피해 사례에도 나서고 있다. 2017년 출범과 동시에 투자자 손해 보상 정책을 수립, 예기치 못한 시스템 장애나 착오전송으로 발생한 투자자 피해를 보상해왔다. 또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통신사기피해환급법) 시행령 개정 전부터 디지털 자산 관련 범죄를 예방해왔다. 지난해만 보이스피싱 피해자 72명에게 약 25억원을 환급하기도 했다. 보이스피싱 피해 상담을 위한 24시간 전담 콜센터도 운영 중이다. 2022년 10월에는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장애로 불편을 겪은 투자자들에 대한 손실분 보전 조치에 나섰다. 3일간의 거래 수수료를 비트코인으로 페이백(환불)하는 선제적 조치를 단행했다. 업비트는 2017년부터 전체 복구 요청 사례 중 94.1%에 해당하는 약 3만 3000건(2022년 4월 기준)에 대한 착오전송 복구에 성공했다. 2021년 12월에는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복구 불가 유형에 해당하는 디지털 자산 착오전송 1002건을 구제, 보유한 비트코인 133BTC(당시 시세 약 94억원)를 지급하기도 했다. BTI로부터 ‘허수 거래 없는 깨끗한 거래소’ 지정 업비트는 2019년 9월 미국 블록체인 투명성 연구소(BTI)로부터 ‘허수 거래 없는 깨끗한 거래소’로 지정됐다. 올해는 영국 크립토컴페어가 실시한 ‘거래소 벤치마크 순위’에서 국내 1위, 글로벌 10위권에 올랐다. 내부통제 시스템도 시행 중이다. 임직원의 자사 서비스 이용을 제한 및 타 거래소를 통한 거래 또한 일정 부분 제한하고 있다. 지난해 8월에는 통제 기준을 임직원 가족까지 확대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