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개인 투자자
    2025-11-06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088
  • 株價상승기 성공투자법“값싼 종목 함정도 많다”

    주가가 하루 50포인트 이상씩 급등락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급등락은 선물 만기일을 앞둔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말한다.이번 장세가 상승세를 타고 있고 증시로 계속해서 몰려드는 시중자금을바탕으로 지수 900∼950선까지 올라가는 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단,상승속도는 완급 조절이 있을 것으로 본다. 지난 4월 장세처럼 일단 불이 붙으면 개인투자자들이 증시에 뛰어드는 건시간문제다.비싼 우량주들보다는 실적이 뒷받침되는 개별 중소형주를 골라투자를 하는 경우가 많다.그러나 일부에서는 무조건 가격이 싸고 그동안 덜오른 종목만 골라 투자하는 이른바 ‘묻지마’ 투자현상도 재연될 가능성을배제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저가주가 시장을 주도할 때는 일반적으로 시장의 질이 좋지 않다고 본다.상승 막바지에 도달했을 때 저가주와 관리종목으로 매수세가 이전되기 때문이다.반면에 우량주가 선도할 때는 시장의 질이 좋다고 본다.앞으로 상승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개인투자자들은 대체로 안오른 주식을 찾아다니게 된다.이미 주가가 많이오른 종목은 워낙 가격이 비싸 부담스럽고 또 산 뒤에 가격이 떨어질까봐 걱정하기 때문이다.보통 일반투자자들은 기업실적이나 현 주가상황과는 별개로 가격위주로 종목을 골라 투자한다.그 성과가 좋지 않게 나타나는 데도 이같은 투자행태는 쉽게 고쳐지지 않는 실정이다. 종합주가지수 1,000포인트 고지를 앞두고 증시 전문가들은 개인투자자들이관리종목을 포함한 저가주와 성장성이 부각되고 있는 코스닥시장에 몰릴 것으로 예상했다.이들 종목들은 값이 싼 만큼 ‘함정’도 많다.따라서 무조건종목을 고르기 보다 투자에 앞서 본인의 투자성향을 따져보라고 권한다.위험을 감수하면서 고수익을 원하는지,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지를 결정한 뒤목표수익률과 투자종목을 찾아야 한다고 권한다. 투자에 따른 위험을 감수할 자세는 안돼있으면서 고수익을 기대하는 것은무리다. 김균미기자 kmkim@- 관리종목 잘못 선택하면 '휴지조각' 지난 4월중순 부도나 법정관리 대상에 올라 투자자 관심 밖으로 밀려난관리종목들이 상한가까지 오르는 ‘기현상’이 나타났다.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워크아웃 기업 청와대 간담회에서 “부실기업이라도 적극적인 자구노력을 보일 경우 금융지원을 하겠다”고 밝힌 뒤 회생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사자세가 몰렸기 때문이다. 개인투자자들이 관리종목으로 편입된 회사들의 회생 여부를 정확히 알기는어렵다.실제로 관리종목에서 2부 종목으로 승격되는 회사들도 ‘가뭄에 콩나듯’ 매우 드문 게 우리 증시의 현실이다. 한진중공업은 96년 거의 10년만에 관리종목에서 벗어났고 동부화재해상도관리종목에서 벗어나는 데 12년이 걸렸다. 올해 관리종목에서 벗어난 동산씨앤지는 무려 17년만이었다.80년이후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가 관리종목에서 해제된 기업은 지금까지 15개사에 불과하다.반면 같은 기간 상장폐지된 종목은 남선물산 등 70여개사에 이른다. 현재 거래소 시장에 상장돼 있는 관리종목은 보통주 기준 134개사다.관리종목은 액면가 5,000원미만인 종목이 대부분이다.1,000원도 안되는 주식도 허다하다. 증권거래소가 134개 관리종목중 감자(減資)를 하지 않은 114개의 지난 11일 현재 주가 등락여부를 조사한 결과,연초보다 주가는 평균 24.65% 올랐다.같은 기간 종합주가지수는 270포인트,45% 가까이 급등했다.관리종목 중 72개종목은 주가가 올랐지만 40개는 떨어졌다. 전문가들 중에는 관리종목을 추천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대부분 안하는 게좋다고 말한다.그만큼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관리종목은 주가가 워낙 싸서 같은 돈으로 한꺼번에많이 살 수 있어 뿌듯한 느낌을 준다”면서 “1,000원 하는 주식이 2,000원오르는 것이 5만원 하는 주식이 10만원 오르는 것보다 쉽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비싼 주식일수록 오를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다. 경기가 전반적으로 호전되면서 회생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이 늘고 있으나소문이나 감에 의존한 투자는 피하는 게 바람직하다. 김균미기자- “싼게 비지떡”저가주 투자전략 주가는 천차만별이다.SK텔레콤처럼 한주에 161만원 하는 주식이 있는가 하면 주당 몇백원 하는 주식도 있다.특히 최근 기관화 장세가 이어지면서 차별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저가주 하면 흔히 1만원 미만하는 종목들을 가리킨다.1만∼2만원하는 주식들도 저가주로 분류될 때도 있다. 일반투자자들의 경우 대형 우량주를 사기에는 부담을 느낀다.주식시장의 속성상 특정 종목들이 계속 오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일정 기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매기가 중소형주로 확산되기 마련이다.순환매에 대비,괜찮은 저가종목을 발굴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LG증권 투자전략팀의 정성균 책임조사역은 우선 자본금이 큰 종목을 고르라고 권한다.재무위험이 적은 데다 자본금이 큰 종목은 기관투자가들이 관심을 가질 확률이 그만큼 높기 때문이다. 둘째 구조조정으로 차입금 비중이 줄고 금융비용이 감소한 회사를 골라야한다.셋째,저수익 사업을 정리하고 신사업 진출 여부를 확인하라고 한다.좋은 예가 바로 삼성물산이다.삼성물산은 대표적인 무역주로 1만원 미만의 저가주였다.수익성이 낮은 유통업을 정리하고 인터넷 사업으로 주력사업을 바꾸면서 주가가 크게 올랐다. 넷째,증자 계획이 있는지를살피라고 권한다.쌍용중공업 등 증자 가능성이있는 기업들이 종종 있는 데 이들 기업들의 경우 증자를 하기 위해 주가관리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주가가 오를 여지가 있다는 지적이다. 다섯째,업종 전반의 개선 여부를 주목하라고 한다.즉 사양산업인지 여부를알아봐야 한다.그는 “상장사들의 재무구조 등 각종 자료를 혼자서 수집,분석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증권사를 활용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대유리젠트증권의 김경신(金鏡信)이사는 “해당기업의 이익구조와 재무구조,현금흐름을 잘 보고 선택해야 낭패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저가주가 된 배경을 확인하라고 권한다.예를 들어 영업이익이 줄어서 그렇게 된 것인지 아니면 특별손실이 발생한 것인지를 확인하라는 것이다.또한 회사의 자산가치도 반드시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균미기자- '도깨비株' 코스닥 거품 경계령 코스닥시장에 등록된 주식들은 ‘도깨비 주(株)’로 불린다.며칠간 상한가를 기록하다가 갑자기 하한가로 돌아서는 등 주가의 기복이 심하다.잘만고르면 높은 수익을 안겨주지만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입히기도 한다.현대중공업,하나로통신,기업은행,평화은행 등은 코스닥의 블루칩으로 통한다. 증시전문가들은 “기대 수익률이 높은 만큼 리스크도 크다”며 투자에 신중을 기하라고 충고한다. 상장기업과 비교 분석하라 코스닥 종목은 일반기업과 벤처기업으로 나뉜다.일반기업은 증권거래소 상장기업과 업종이 비슷하나 상장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기업이 대부분.벤처기업은 소규모 자본으로 신기술에 특화하거나 유망업종에 투자한 모험기업들이다. 같은 업종에 속한 거래소 상장기업과 내재가치를 비교,주당순이익(EPS)이높고 주가수익비율(PER·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것)이 낮은 종목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소문에 부화뇌동하지 말라 코스닥 시장에는 온갖 루머가 난무한다.재무상태나 투자기준이 될 정보를 확인하기도 쉽지 않다.전체 331개 종목 가운데 178개가 부도,당좌거래 정지,사업보고서 미제출,불성실 공시,자본잠식,감사의견 부적절 등으로 투자유의 종목에 지정됐다.이같은 재무상태의 불투명성 때문에 작전세력들이 코스닥 종목을 노리기도 한다. 대한투신 김영길(金榮吉) 주식투자부 차장은 “막연한 기대감이나 소문에근거해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투자할 때는 부채비율이나금융비용 등 재무쪽의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본금이 적으면서 영업실적이 뛰어난 종목을 찾아라 코스닥 시장의 매력은 시세차익 뿐 아니라 증자 등으로 자본이득을 챙길 수 있다는 점이다.벤처기업 가운데 자본금이 적으면서도 매출이 크게 늘어난 기업들은 유·무상 증자의 가능성이 크다.기관투자가들이 코스닥에 새로 등록하는 기업에 관심을갖는 것도 마찬가지다.기존의 종목들은 증자를 많이 해 이미 자본이익이 주가에 희석됐다고 본다. 그러나 자본금이 적은 종목은 거래가 안되거나 지분분산(발행주식의 20%)요건에 해당되지 않아 환금성이 적은 단점이 있다.8월말까지 지분분산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종목은 상장폐지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백문일기자 mip@
  • 요동치는 株價 하룻사이 102P 급등락

    주식시장이 요동치고 있다.하룻사이에 무려 102.74포인트를 오르내리는 매우 ‘불안정’한 모습이다.전날 50.14포인트 폭락했던 주가는 하룻만에 폭락 전 수준을 회복,대폭락의 충격에서 벗어났다.증시전문가조차 폭등락장세에혀를 내두르고 있다. 기관과 외국인 투자가들의 매매동향을 주요 투자지표로 삼았던 개인 투자가들로서는 투자하기가 더욱 어렵게 됐다. ?襤笭캭쳄? 왜 이러나 당초 예상과 달리 선물과 연계된 차익매물이 적게 나온 대신 후장에는 선물과 연계된 대량매수세가 유입돼 주가가 급등했다.선물과 연계된 대량 매수가 무려 4,335억원으로 매도물량(2,128억원)의 2배가 넘었다. 특히 전날 512억원 순매도를 비롯,최근 2주간 순매도 기조를 유지했던 외국인들이 이날 1,365억원의 순매수로 돌아서 주가상승을 부추겼다.외국인 투자가들은 전날 폭락으로 핵심 블루칩이 10% 가량 떨어지자 저가매수의 기회로보고 장 초반부터 매수에 나서 장세를 주도했다. 김경신(金鏡信) 대유리젠트증권 이사는 “선물 만기를 앞두고 투자심리가불안해지면서 전날 큰 폭으로 떨어졌지만 외국인들이 장초반부터 적극적으로 사자주문을 내 장세가 급반전됐다”고 밝혔다. 장만호 대한투신 수석 펀드매니저는 “가격제한폭이 15%로 확대되면서 등락폭이 커졌다”며 “전날 조정폭이 워낙 커 핵심 블루칩을 크게 떨어진 값에살 수 있는 마지막 기회로 본 외국인과 기관들이 대거 매수했다”고 말했다. 또 엔-달러 환율이 달러당 118엔대까지 떨어지는 등 엔화가 강세로 돌아섰고 중국금리도 인하되는 등 대외 여건이 좋아진 것도 상승세에 일조했다. ?朗銹? 전망과 개인투자자 전략 주가의 급등락을 선물만기를 앞둔 일시적 현상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여하튼 외국인과 기관들에 의해 ‘들썩거리는’ 최근의 장세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그만큼 시장이 안정되지 못해 투자자들이 대응하기가 어려워졌다는 얘기다. 증시 전문가들은 가격조정을 거쳤고 이날 보여준 파괴력 등을 고려할 때 900∼950까지 가는 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특히 기관화장세에서 주가의 급등락이 커져 개인투자가들은 하루하루의 등락에 연연해하지 말고 중장기적인 투자나 간접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 성업공사, ABS 3,200억 발행

    성업공사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부실채권을 담보로 한 자산담보부채권(ABS)을 발행했다. 성업공사는 9일 신한 한미 하나 외환 주택은행으로부터 매입한 법정관리 및 화의 기업의 부실채권 3,007억원을 담보로 3,200억원 어치의 ABS 발행에 성공했다고 밝혔다.이번에 발행된 ABS는 개인투자자들이 살 수 있는 만기 2,3,5,7년짜리 선순위 채권(2,950억원)과 기관투자자들이 사는 10년짜리 후순위채권(250억원)으로 나뉜다.개인투자자들은 10일 하루동안만 주간사인 삼성·현대증권과 SK증권 및 한국산업은행 본·지점에서 10만원 단위로 청약할 수있다.금리는 회사채 수익률에 프리미엄을 가감,만기 2년짜리 연 7.9%에서 7년짜리 9.91% 등으로 기간에 따라 다르다. 진로 기아중공업 우성식품 삼양식품 등이 발행한 부실채권을 담보로 발행됐다.이들 채무기업이 청산에 들어가 원리금을 갚지 못하면 부실채권을 판 5개 은행이 채권을 되사도록 ‘풋 백 옵션’을 맺어 ABS의 환금성과 안정성은높다. 성업공사는 지난해 5개 은행으로부터 3,007억원 어치의 부실채권을 2,718억원에 매입한 뒤 이번에 3,200억원에 팔아 발행비용을 제외하고 총 446억원의 이익을 봤다. 백문일기자 mip@
  • 외국인·개인투자자“팔자”·기관은“사자”

    주가 상승세가 가파르다.11일째 오름세다. 전날 폭등의 여파로 숨고르기에 들어갈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장중 23포인트 가까운 등락을 거듭한 끝에 장 끝무렵 선물과 연계된 대량 매수주문이 2,399억원이나 유입되면서 주가가 큰 폭으로 올랐다. 외국인과 개인투자자들은 각각 60억원과 620억원어치를 순매도했고 기관투자자들은 746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그동안 최대 매수세력으로 상승세를 주도해 온 투신권은 수익률을 달성한 스폿펀드를 상환하기 위해 대거 매도에나서 389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산이 높으면 골도 깊다’는 증권가의 격언처럼 주가 급변동이 있을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고 말한다. 김균미기자 kmkim@
  • 저가대형주·개별중소형주까지 매기 확산

    주식시장이 폭등세를 보였다. 7일 주식시장은 상승분위기가 10일째 이어져지수영향력이 큰 대형우량주들의 초강세 행진속에 800선과 810,820선을 가볍게 돌파했다.후장 들어선 저가대형주와 개별중소형주로 매기가 확산되면서 840선마저 넘어섰다. 외국인과 개인 투자자들은 각각 438억원어치와 1,701억원어치를 순매도한반면 기관투자자들은 2,142억원어치를 순매수,폭등장세를 주도했다.특히 주식형 수익증권과 뮤추얼펀드로 이뤄진 투신권은 1,445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광업을 제외한 전업종이 올랐고 특히 증권과 은행,도소매,해상운수업의 상승률이 8%이상을 기록,눈길을 끌었다. 김균미기자 kmkim@
  • 「APEC 서울 투자박람회」주요인사 특강 요지

    세계적 투자자인 윌버 로스 로스차일드펀드 회장과 클라우드 스마자 WEF(세계경제포럼) 사장은 2일 개막된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투자박람회에 참석,‘아시아 경제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의 정치사회적 도전’을 주제로 각각 강연했다.강연요지를 정리한다. ◆윌버 로스과거 아시아의 은행들은 준정부기관이었고 민간부문은 종신고용을 보장해 막대한 비효율성을 초래했다.이런 두 요인이 대기업의 사업과 생산규모를 팽창시켰고,그 결과 과다한 부채비율을 낳았다. 이제 아시아 국가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아시아 기업의 장점과 서구 경영방식의 장점을 결합해 새롭고 효율적인 경제시스템을 창조하는 일이다.민간부문은 높은 개인저축률과 노동윤리,기업 및 국가 이익에 대한 헌신 등을 유지해 가면서 한편으로는 이윤 및 자산수익률(ROA)을 추구해야 한다.정부는기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국민의 희생을 방지하기 위해 사회안전망과 직업전환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지금 세계경제는 위험스러울 정도로 미국에 의존하고 있다.그러나 미국은경제적으로 만성적인 경상수지 적자 때문에 이자율을 높여야 하며,정치적으로도 이미 보호주의정책을 강화하고 있다.따라서 아시아 경제가 빠른 속도로 회복돼야만 또다른 위기에 대처할 수 있다. 아시아 경제가 회복되면서 수입이 소비수준을 따라잡거나 오히려 넘어설 수 있지만 이는 자연적인 현상이다.또한 외국인투자 유치를 확대해야 수입증가에 따른 외환충격을 상쇄할 수 있다.외국인투자 유치는 한국과 일본처럼 시장개방이 확대돼야 하며 APEC 회원국간,그리고 비회원국과의 자유로운 투자가 늘어날수록 범세계적인 새로운 비즈니스 패러다임이 창조될 것이다. ◆클라우드 스마자 동아시아의 경제 회복은 몇달전 경제학자나 정책가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아시아 국가 대부분의 거시경제지표들이 97년 여름의 경제위기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고 있다.특히 한국과 태국은 실업수준이여전히 높지만 경제회복이 가시화하고 있다. 이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아시아 국가들이 경제위기를 불러온 경제체제와기업구조,사회정치적 제도들을 앞으로 어떻게 국제규범에 맞도록 해나가느냐이다. 아시아 국가에서 진행된 구조조정의 여파를 최소화하는 사회안전망은 대부분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지금의 과제는 구조조정의 피해자들이 경제활동에 다시 동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제를 정립하는 것이다. 또한 경제근대화를 이끄는 정치적·사회적 근대화는 이미 도덕적이거나 이상적인 개념만으로는 안되며 유럽과 미국의 자본주의 모델과 공존하며 상호작용할 수 있는 아시아의 새 모델이 정립돼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아시아 국가들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변화를 세계경제체제 아래에서 현존하는 다른 체제와의 공립을 위한 필요사항으로 받아들였다.이것은 그 과정에서 사회적·경제적 분열의 위험을 부담해야만 할 것이나,아시아 국가들이 지난 25년간 이룩해온 경제적 업적과 경제위기 이후의 대처과정을볼 때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 ‘서울 APEC’에 거물 투자자 몰린다

    6월 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막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투자박람회에 외국의 거물급 투자가들이 대거 몰려온다.이에 따라 이번 박람회가 우리나라 외국인투자 유치의 일대 전기가 될 전망이다. 30일 산업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이번 박람회에는 미국 일본 호주 등 APEC 21개 회원국을 비롯해 영국 독일 등 세계 각국에서 2,000여명의 투자자들이 찾을 예정이다.이들 가운데는 미국의 투자기관인로스차일드펀드의 로스 회장과 에너지회사인 엔론사의 캐리 슬론 회장,금융기관인 터커 앤 어소시에이트의 윌리엄 터커 회장 등이 포함돼 있다.또 영국 브리티시 항공의 짐 맥도웰 아·태담당 사장과 독일의 인수·합병(M&A) 전문기업인 앙게만 사의 토르스텐 앙게만 사장,일본 도요타자동차의 도요타 회장,후지무라 마사야 일·한경제협회 회장 등이 한국을 찾는다. 세계 최대의 개인투자기관인 로스차일드펀드의 로스 회장은 한라그룹에 10억달러 규모를 투자하는 방안을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엔론사의 슬론 회장은 SK와3억달러 규모의 합작투자 외에 국내 가스·전기 분야에 추가로 투자하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미국 골든게이트은행의 레오 럼 회장은 충남보령∼안면 간 연륙교 건설사업에 3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을 갖고 있다.또 일본 부동산개발업체인 K웨스트사의 노리타다 마쓰나가 회장은 동아건설 및 광주시 등과 호텔,빌딩 등을 건설하는 방안을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이밖에아랍에미리트의 최대기업인 오메이르 요셉 그룹의 오하메드 오메이르 회장과 압둘라 살렘 쿠웨이트 아시아투자담당관도 방한해 ‘오일달러’를 한국에투자할 방안을 찾을 예정이다. KOTRA 관계자는 “박람회에 참가할 외국인투자가들의 절반 가량인 991명이한국의 투자설명회 참가를 신청했다”며 “어느 APEC 회원국들보다도 많은투자유치가 기대된다”고 밝혔다.5일까지 계속될 이번 박람회에는 이미 인터넷에 오른 1,400여건을 비롯해 수천건의 국내외 투자매물이 투자협상 테이블에 오른다.
  • [사설] 주가조작 뿌리뽑아야

    최근 기업들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하여 주가를 조작하는 주식 불공정거래행위가 부쩍 늘어나 대책이 시급하다.올 들어서만 무려 80여건의 주식 불공정거래행위가 적발되었다.주가 조작혐의를 받고 있는 업체 가운데는 국내 최대 재벌인 현대그룹의 현대상선·현대중공업,현대그룹에서 계열분리된 금강개발이 포함되어 있어 주목을 끈다.금융감독원은 지난달 현대상선 박세용(朴世勇)회장과 현대중공업 김형벽(金炯璧)회장을 증권거래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한 데 이어 금강개발 정몽근(鄭夢根)회장을 25일 같은 혐의로 고발했다. 금감위에 따르면 현대상선과 현대중공업은 2,200억원을 동원해서 현대전자주식을 집중적으로 매입,98년 상반기 1만4,000원에 거래되던 현대전자 주가가를 하반기에 3만5,000원까지 끌어올린 혐의를 받고 있다.금강개발은 현대그룹의 금강산 개발을 전후한 지난해 6월부터 모두 20여차례에 걸쳐 자사(自社)주식 17만여주를 매집,주가를 3,000원대에서 현재 1만2,000원대로 끌어올린 혐의를 받고 있다.현대전자 주식은 증시의 시가총액순위 9번째인 대형종목이라는 점에서,금강개발은 증권거래법 위반 혐의로 5대 재벌그룹 오너일가가 직접 수사를 받는 첫 사례가 된다는 점에서 검찰 수사결과에 세간의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미공개 정보 등을 이용한 주가조작행위는 대기업과 중견기업 가릴 것없이무차별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나 관계 당국이 뒤늦게 적발하는 바람에 개인투자자들의 피해가 늘고 있다.5,000원짜리 주가를 2만8,000원까지 끌어올린 ㈜에넥스 주가조작사건의 경우 증시 주변에서는 작년 하반기부터 ‘작전세력’이 있다는 풍문이 꾸준히 나돌았으나 금감원이 조사에 착수한 것은 지난 1월이다.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주식 불공정거래행위는 비단 기업뿐 아니라 언론계 간부급마저 한몫 낄 정도로 확산되고 있다.이러한 행위가 광범위하게 자행되고 있는데도 당국이 뒤늦게 적발함에 따라 선의의 피해자가 늘어나고 있는 등 증시의 건전한 발전을 저해함으로써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증권 당국은 증시에서 특정 종목의 주가가 별다른 사유 없이 폭등할 경우 매매심리에 즉각 착수해야 할 것이다.동시에 현행 증권거래법상의법정 최고형량(10년)을 높이는 등 처벌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미국은 주가조작 사범에 대해 ‘집단폭력·부패조직법’을 적용,최고 종신형까지 선고하고 있다.사법 당국은 주가조작을 뿌리뽑기 위해 주가조작 관련 사범은 미국처럼 중대사범으로 간주하여 반드시 중형을 선고할 것을 당부한다.과거처럼 벌금형을 부과하는 식으로 사건을 끝내서는 안된다.
  • 외국인 주식 시가총액 20% 보유…증권거래소 밝혀

    지난해 5월 일부 업종과 공기업을 제외한 종목에 대한 외국인 주식투자한도가 폐지된뒤 외국인들은 4조3,000억원 가량의 주식을 사들였다. 증권거래소는 24일 지난해 5월25일 외국인투자한도 철폐 이후 1년간 외국인들은 증시에서 4조2,959억원 어치를 순매수했다고 밝혔다.이는 국내 상장주식 시가총액의 19.3%(40조4,000억원)에 해당하는 규모다. 반면 같은 기간동안 기관투자가는 3조259억원,개인투자자는 5,428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외국인들이 순매수한 주요 종목은 삼성전자 8,471억원,한국전력 6,607억원,한국통신 6,283억원,주택은행 4,558억원,국민은행 3,633억원 등 핵심 우량주였다. 한편 순매도한 종목은 현대전자 2,229억원,한국타이어 1,502억원,대우중공업 1,229억원,삼성중공업 823억원,LG전자 514억원 등이었다. 김균미기자 kmkim@
  • 담보부족계좌 크게 늘어

    최근 주가하락으로 담보부족계좌가 크게 늘고 있다.23일 금융감독원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일 이후 종합주가지수가 100 포인트 이상 떨어지면서신용거래 담보부족계좌가 한때 2,000개에 육박했다. 지난 11일 1,553개였던 담보부족계좌는 17일 1,912개까지 늘었고 18일과 19일 종합주가지수가 11.46포인트와 5.69포인트 반등하자 1,818개와 1,713개로 다소 줄었다. 지난해 12월16일부터 3일간 54.7포인트가 속락할 때 담보부족계좌가 245∼349개였던 것에 비하면 크게 늘어난 것이다. 고객들이 신용으로 주식을 샀다가 주가하락으로 담보부족이 발생하면 5일이내에 부족금액을 채워넣어야 한다.그렇지 않을 경우 증권사는 강제로 해당계좌의 주식을 파는 ‘반대매매’에 들어가게 된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지수상승기때 신용을 이용해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이 부쩍 늘어났으나 최근 주가하락으로 담보부족계좌가 속출하고있다”고 말했다. 김균미기자 kmkim@
  • 최근 9일간 증시 분석

    - 개인·기관 767억원어치 사고 외국인 1,095억어치 팔아 주가가 최근 9일간 100포인트 이상 폭락하는 조정장세 속에서 기관과 개인투자자들은 순매수를 기록한 반면 외국인투자자들은 순매도를 보였다. 23일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1일∼21일 투자주체별 매매동향을 분석한결과,기관과 개인투자자들은 각각 571억원과 193억원어치를 순매수했고 외국인투자자들은 1,095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기관투자자 중 주식형 수익증권과 뮤추얼펀드 등 간접투자자본을 운용하는투신권이 8,455억원어치를 사 최대 매수세력으로 활약했지만 증권,보험,은행,종합금융,신용금고,기금공제 등 나머지 기관투자자들은 순매도했다. 김균미기자
  • [대한매일을 읽고] 주가작전 피해자 보호책 절실

    ‘구멍뚫린 증시행정-작전에 속수무책’이라는 제하의 기사(대한매일 18일자 9면)는 주먹구구식 증시행정의 헛점을 이용해 교묘히 이른바 ‘작전’을벌이는 세력들의 왜곡된 실체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IMF 이후 증시가 폭발적인 활황을 보이다가 최근 조정에 들어간 증시에서이같은 작전세력들의 행동은 증시의 질서를 교란시키고 증권투자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부정적으로 만든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개인들의 입장에서 볼 때 주식도 하나의 투자인 만큼 이익을 챙기는 것이당연하지만 섣부른 ‘한탕주의’가 얼마나 큰 폐해를 가져오는지 이번 주가작전을 통해 유념해볼 필요가 있다. 증시행정 당국자들은 선의의 투자자들을 보호하는 보다 높은 행정 서비스와 함께 다시는 이같은 불공정 거래행위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감독기능을 강화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황용필[모니터·회사원]
  • 美 금리인상설에 아시아증시 일제히 폭락

    주식시장이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주식시장은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엔화가 약세로 돌아섰고일본 등 아시아 국가들의 증시가 일제히 폭락세로 돌아서면서 동반 하락세를 보였다.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은 각각 166억원어치와 69억원어치를 순매수했고 개인투자자들은 242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특히 후장들어 외국인과 기관이 600억원어치를 사들이며 주가가 한때 하락폭을 줄이는 듯 했지만 이같은 노력도 30분만에 수포로 돌아갈만큼 시장 분위기가 매우 취약해졌다. 업종별로는 1차금속과 철강금속을 제외한 전업종이 내림세였고 특히 보험과건설,의약,목재나무 등이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했다. 김균미기자 kmkim@
  • 구멍뚫린 증시행정 ‘작전’에 속수무책

    증시행정에 ‘구멍’이 뚫렸다.대규모 작전세력이 주가를 조작,막대한 이익을 챙겼는데도 금융당국은 인력 탓만 하다가 뒤늦게 조사에 나서는 등 감독업무에 헛점을 보이고 있다.재벌들이 계열 금융기관을 이용해 내부거래를 일삼아도 당국은 감독규정에만 얽매여 단호한 조치를 못내리고 있다.한마디로시장감시 기능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져 개인투자자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 뒷북치는 금융감독 기업주들이 내부자거래를 악용하거나 주가를 조작해도금융당국은 적시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현대전자 주가조작 사건은 지난해6월부터 11월까지 5개월에 걸쳐 이뤄졌는 데도 금융감독원의 조사는 지난 2월에야 이뤄졌다. 이번에 적발된 기업주와 사채업자 증권회사 직원이 총 망라된 (주)에넥스매연저감기술 개발정보를 이용한 주가조작도 증시 주변에서는 지난해 하반기에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졌으나 시장감시기능을 맡고 있는 증권거래소와 금감원은 한낱 ‘근거없는 정보’로만 여겼다. 결국 지난해 5월 5,000원에 불과하던 에넥스 주가가 11월 2만8,000원까지급등하고 뒤늦게 뛰어든 개인투자자들의 피해가 속출하자 거래소가 심리에나섰다.금감원은 거래소 통보를 바탕으로 지난 1월 조사에 들어갔으나 작전세력이 10여개 증권사에 50여개의 차명계좌를 만들어 이익을 챙긴 뒤라 실체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기화학 대주주와 금강개발 임직원이 미공개된 정보를 이용,내부자 거래를 할 때에도 금융당국은 속수무책이었다.일각에서는 금감원 인력을 시장감시기능을 강화하는 쪽으로 재배치하고 거래소와 금감원의 공조체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나 금감원은 추가적인 인력증원만 요구하고 거래소는 조사권의 확대를 요구하는 등 금감원과 반목하고 있다. 재벌의 금융기관 사금고화 방치 현대가 판매하는 ‘바이코리아’의 투명성에 숱한 사람들이 이의를 제기했으나 결국 계열사로의 불법대출로 이어졌다. 펀드자산의 10%로 계열사 주식취득을 제한하고 있지만 감독당국이 일일이 확인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바이코리아를 운용하는 현대투신운용은지난달 대주주인 현대투신증권에 1조3,000억원을 연4.75%로 빌려줬다.당시수탁고 3조원의 43%에 이른다. 금감원은 지난 8월 투신사의 고객재산을 회사의 고유계정으로 끌어쓰는 연계차입금을 2000년 3월까지 전액 해소하라고 지시했다.그러나 펀드 판매사(증권사)에는 자산의 10% 이내로 연계차입금을 허용, 펀드운용에 혼란을 초래한 측면도 있다. 현대투신운용 측은 “일시적으로 자금이 몰려 정상적인 이자를 받고 빌려줬다”며 “연계 차입금을 총량 기준으로 축소하면 되는 줄 알았지 신규펀드를 10% 이내로 제한하는 줄은 몰랐다”고 해명했다. 계열 금융기관은 아니지만 대우증권이 한국투자신탁에 5,250억원을 예치하고 한투가 (주)대우의 기업어음(CP) 7,000억원 어치를 산 것도 금융기관을이용한 우회적인 자금지원이다.금감원은 그러나 신탁형 증권저축의 경우 유가증권 편입비율 제한이 없어 현행 규정으로는 제재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명백한 부당 내부거래임에도 감독규정을 핑계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 외국인 증시유입 큰폭 증가/작년말 보다 340명 늘어

    올들어 국내 증시에 투자하려는 외국인(개인과 기관)들의 수가 크게 늘고있다.수천억원의 자금 동원력을 지닌 연·기금과 투자회사 등 대형 기관투자자도 올해에만 183곳이나 국내 증시로 유입돼 새로운 매수세를 형성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14일 밝힌 ‘외국인 투자현황’에 따르면 4월 말 외국인 투자등록자 수는 8,822명으로 지난해 말보다 342명이나 늘었다.월 평균 85명씩늘어난 것으로 개인 159명,기관 183곳이나 새로 들어왔다. 이들은 거래소에서 1∼4월에만 3조945억원 어치의 주식을 순매수했다.특히증시가 활황세를 보인 4월에는 외국인 개인투자자들이 28억원 어치를 순매도한 반면 기관투자자들은 1조1,478억원 어치를 순매수했다.이에 따라 외국인이 보유한 주식의 시가총액은 97년 10조3,580억원,98년 25조6,334억원에서 4월 말 40조3,90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반면 코스닥시장에서는 올해 376억원어치의 순매도를 기록,대조를 이뤘다. 백문일기자
  • 주가 750선 붕괴/사흘째 하락 742P

    주가가 사흘째 속락하며 종합주가지수 750선이 붕괴됐다. 13일 주식시장에서는 금리상승과 과다한 주식공급물량에 대한 우려감이 확산되고 장끝 무렵 선물약세로 선물과 연계된 프로그램 매물이 쏟아지면서 종합주가지수가 전날보다 30.76포인트 떨어진 742.37을 기록했다.지난 10일 이후 3일간 무려 71.87포인트나 떨어졌다. 외국인투자자들은 전날 1,000억원 이상을 순매도한 데 이어 이날에도 67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기관투자자들도 920억원 순매도를 기록했다.반면 개인은 914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목재를 제외한 전 업종이 내렸고,특히 증권과 은행 종금 등 금융업종의 내림폭이 컸다.대우증권 이종우(李鍾雨) 연구위원은 “그동안 유지됐던 수급관계가 한번 역전되면서 당초 예상보다 지수의 하락속도가 빠르다”고 말했다. 증권전문가들은 당분간 700선 언저리를 저점으로 조정국면이 이어질 것으로내다봤다. 거래량은 2억9,346만주였고 거래대금은 3조5,247억원이었다. 김균미기자 kmkim@
  • 개인·외국인투자자 매수 가세 800선 붕괴 저지

    주가가 등락을 거듭한 끝에 소폭 올랐다. 10일 주식시장에서는 금리상승 및 단기급등에 대한 부담감 등 악재와 9조원대의 고객예탁금을 바탕으로 한 개인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맞서 등락을 거듭하다 오름세로 마감했다. 이날 주가는 개장초 선물과 연계한 매물이 쏟아지고 금리상승세로 장중 한때 심리적 지지선인 종합주가지수 800선이 무너지기도 했다.그러나 주가가빠질 때마다 개인투자자를 중심으로 한 대기매수세가 들어오고 외국인 투자자들까지 매수에 가세,상승세로 돌아섰다. 업종별로 종금,수상운수,고무,비금속 등은 오름세였지만 증권,건설,은행,음료 등은 약세였다. 김균미기자 kmkim@
  • 외국인은 “사자” 개인·기관은 “팔자”

    주가가 등락을 거듭한 끝에 보합으로 마감했다. 7일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사자’와 개인과 기관투자가들의‘팔자’세가 팽팽하게 맞선 가운데 외국인들의 강력한 매수에 힘입어 종합주가지수가 강보합으로 끝났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1,579억원어치를 순매수했으나 기관과 개인투자자들은각각 302억원어치와 538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그러나 뮤추얼펀드와 주식형수익증권 등으로 이뤄진 투신권은 1,642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증권,은행,도매업,목재나무 등이 강세를 보였다.반면 보험,종금,건설,종이제품 등이 약세를 면치 못했다. 김균미기자 kmkim@
  • 주가 800선 돌파…39P 상승 810

    증시가 종합주가지수 810선을 단숨에 돌파하며 2차 상승국면에 진입하고 미 달러화에 대한 원화환율도 정부의 외환수급대책 여파로 달러당 1,200원대에 진입했다.주가가 810선을 넘은 것은 96년 10월 23일(810.54) 이후 2년 6개월만에 처음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체제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했다. 6일 증시는 정부의 저금리 정책 유지방침과 이규성(李揆成) 재정경제부 장관의 ‘실적장세’ 언급 등으로 전장부터 매수세가 크게 확산돼 종합주가지수는 4일보다 39.37포인트 오른 810.54로 마감됐다. 하루 상승폭으로는 지난달 19일 41.45포인트 이후 두번째다.주가가 오른 종목은 상한가 158개를 포함해 702개이며 내린 종목은 하한가 2개 등 132개에불과했다.보합은 55개 종목이었다. 이날 증시는 공정거래위원회의 5대그룹 펀드 조사 및 국제유가의 상승 등악재에도 불구하고 ‘증시는 과열이 아니다’라는 이 재경부 장관의 언급과해외증시의 동반상승이 더 큰 호재로 작용,업종 가릴 것없이 주가가 크게 올랐다. 외국인 투자가와 기관투자가들은 각각 173억원,665억원어치를 순매수한 반면 개인투자자들은 681억원어치를 순매도,상반된 매매패턴을 보여줬다. 증시 전문가들은 고객예탁금이 곧 10조원을 돌파하고 현대증권의 주식형 수익증권인 ‘바이코리아펀드’ 판매액도 5조원을 돌파하는 등 증시 주변의 수요가 풍부해 단기 조정을 받더라도 상승국면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화환율은 달러당 1,197원50전에 거래가 시작됐으나성업공사가 금융기관의 부실 외화자산 인수·정리를 위한 달러화 매입에 나설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오후 4시24분쯤에는 장중 최고치인 1,204원50전까지 뛰었다.장중 최고치 기준으로 지난달 19일(1,217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달러당 1,2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 금리 안정국면 증권사서 매수 권유/객장 이모저모

    종합주가지수가 심리적 저지선이었던 800선을 넘어서자 장기 상승추세가이어지는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이 팽배하면서 투자자들이 몰려들었다. 특히 이규성(李揆成) 재정경제부장관이 “현재 주가는 거품(버블)이 아니라 실물경제의 회복세를 반영한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언급하자 그때부터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으며 증권사 객장에는 고객들의 문의가 쇄도. 오후 2시 들어 주가지수가 790선까지 밀렸다가 장이 끝날 무렵 프로그램매수가 300억원 가량 늘어나고 동시에 선물가격이 급상승하면서 주가는 다시 810선까지 뛰어 올랐다. 증시에서는 한국은행이 당분간 현 수준에서 금리를 안정시키겠다는 입장을정리하자 주가상승의 최대변수였던 금리상승이라는 불안 요인이 사라진 것으로 분석. 증권사 한 관계자는 “개인들이 너무 올랐다고 판단해 일부 매물을 내놓고있어 800선에서 잠시 조정을 받았지만 주가상승세는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라며 “개인투자자들도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해 투자물량을 늘리고 있다”고 전언. 증시전문가들은 향후추가상승 여력이 충분해져 최소한 주가지수 850선까지는 쉽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 그러나 6월에 사상 최대의 유상증자물량이 계획돼 있는데다 아직 실적 장세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등의 이유를 들어 추가상승에 대해 신중론도 만만찮아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