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하락기 해외 주식투자 ‘숨은 진주’는?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론(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 및 세계경기 둔화 등으로 해외주식 투자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국제금융센터가 ‘세계경기 둔화 시기의 해외주식 투자 아이디어’라는 보고서를 냈다.
국제금융센터는 “서브프라임 사태 등 글로벌 증시 공통의 악재로 지난해 10월 말 이후 지난 21일 기준으로 선진국지수는 18%, 신흥국지수는 20% 하락하는 등 국가간 주가 동조화 현상이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하락 폭은 국가별로 차이가 크고, 오히려 강세를 보이는 곳이 있는 등 일부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는 점을 투자 전략에 반영해 손실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우선 선진국 내에서의 차별화를 예로 들었다. 지난해 10월 말 이후 선진국 주가가 하락세를 보였지만 미국과 영국 주가의 낙폭은 각각 14%,18%로 23∼25% 하락한 유로·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다. 미국은 서브프라임 사태 및 경기 둔화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지만 급격한 금리 인하(4.75%→2.25%), 잇단 대응책 등으로 낙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반면 유로지역과 일본은 인플레 압력에 따른 금리 동결, 통화 강세에 따른 수출 둔화 등으로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컸다.1990년과 2001년 미국 경기 침체기에도 비슷했다. 신흥국 주가도 대부분 동반 하락했으나 지역적으로는 아시아(-26%), 유럽(-16%)에 비해 남미(-12%)의 낙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아시아 신흥국 주가 하락률이 큰 것은 한국, 중국, 타이완 등이 미국 경기와 연관이 높은 수출 비중이 큰 점을 원인으로 꼽았다.
개인소비 등 내수 비중이 높은 국가의 주가도 상대적으로 타격을 덜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프리카공화국(-9%), 브라질(-10%), 멕시코(-8%), 태국(-12%), 인도네시아(-12%), 파키스탄(+5%) 등은 곡물 ·광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 수혜도 입었지만 내수 비중이 큰 특징이 있다.
보고서는 원자재 수혜 국가의 주가가 상대적으로 견조하지만 변동성이 높은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가·원자재 가격 상승에 힘입어 중동, 아프리카 증시의 성과가 좋았지만 세계 경기가 본격으로 둔화될 경우 원자재 가격이 약세 기조로 돌아설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오만(+31%), 나이지리아(+27%), 사우디아라비아(+9%), 쿠웨이트(+12%), 카타르(+5%), 아랍에미리트(+6%) 등 중동 및 아프리카 산유국의 주가는 지난해 10월 말 이후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보고서는 또 업종 중에서는 필수 소비재나 유틸리티 업종 등 경기 방어주가 상대적으로 견조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헤지펀드의 경우 세계 주가 약세장에서는 강세장에 비해 투자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하방경직성)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역발상 매매(Contrarian Strategy)’도 고려할 만한 전략으로 꼽았다. 투자자들의 의견이 극단적인 방향으로 쏠리고, 펀터멘털에 비해 지나치게 약세를 보일 경우 중장기 회복을 노리고 반대 방향으로 투자해볼 만하다는 것이다. 최근 글로벌 금융 업종에 대한 매수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는 것을 예로 들었다.
국제금융센터 안남기 부장은 “신흥국 중심의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데, 선진국 비중을 늘려야 한다.”면서 “변동성이 심한 신흥국 등 일부 국가에 집중 투자하거나 헤지펀드, 원자재 등 대체투자를 과도하게 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승호 경제전문기자 os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