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산 늘고 파경 줄고
경제상황이 어려워지면서 지난해 도산사건이 크게 늘었다. 구속영장 발부율이나 이혼율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법원은 2007년 한 해의 각종 사건 통계 등을 담은 ‘2008사법연감’을 최근 펴냈다.연감에 따르면 지난해 법원에 접수된 도산사건은 모두 36만 1189건이다.2006년에 견줘 15.7% 증가했다. 개인파산이 115만 4039건으로 전년 대비 24.5%, 면책이 15만 4009건으로 17.9% 늘어났다. 2007년 도산사건은 2005년 12만 3759건과 비교하면 무려 290.5%나 뛰어 최근 서민경제의 주름살을 그대로 드러냈다. 반면 사회 문제로 꼽히던 이혼은 계속 줄고 있다. 협의나 재판을 통해 이혼한 부부는 2004년 13만 9876쌍이었으나 2005년에는 전년 대비 8.9%,2006년 2.4%,2007년 1.4% 줄어 12만 4225쌍으로 떨어졌다. 대법원은 최근 들어 자녀 양육 문제로 고심하는 경향이 늘고 있고, 협의 기간을 의무화하는 이혼숙려제도가 도입된 것을 그 배경으로 꼽았다. 불구속 재판 원칙이 확대됨에 따라 1심 형사 사건의 구속도 꾸준히 줄고 있다. 사건접수 인원 대비 구속인원 비율은 2004년 31.1%,2005년 26.2%,2006년 20.3%에 이어 지난해에는 16.9%까지 떨어졌다.구속영장 발부율도 2005년 87.3%,2006년 83.6%에서 지난해 78.3%로 줄었다. 인신구속에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 결과라는 게 대법원 분석이다. 반면 보석허가율은 2004년 56.9%를 정점으로 2005년 55.1%,2006년 51.0%,2007년 47.3%로 떨어졌다. 주인을 찾지 못하고 국고에 귀속된 공탁금 규모도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2004년 44억여원,2005년 91억여원,2006년 161억여원이었다가 지난해 186억여원이 됐다. 법원은 공탁금 회수 기간을 종전 10년에서 15년으로 늘렸지만 택지개발 등을 이유로 토지를 수용할 때 소유주를 찾지 못하거나 연락이 이뤄지지 않아 돌려 주지 못하는 게 대부분이라고 대법원은 설명했다. 지난해 법원에 접수된 소송사건은 606만 3046건으로 전년 대비 7.6% 증가했다. 반면 절대적인 건수가 많은 비송사건(등기, 공탁, 호적 등 소송사건을 뺀 민사에 관한 모든 사건)은 7.4% 줄었다. 이에 따라 소송·비송 사건을 합해 법원에 접수된 전체 사건도 전년보다 2.9% 떨어졌다.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