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개인정보보호 최선 이완된 조직 다잡기도 시급”
황중연(53) 신임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 원장은 30일 취임 직후 “초심(初心)으로 일하겠다.”고 밝혔다. 걸어온 30년 공직생활 기간과 공직에 첫발을 디뎠던 초년때가 오버랩됐다는 이유를 달았다.
황 원장은 아직 업무보고를 받지 않았다며 먼저 조직을 파악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정통부가 역점 시책으로 잡은) 사이버상의 개인정보보호 등에 보다 더 신경을 쓸 것”이라고 말했다. 해킹, 바이러스 방지 등을 위해 관련 정부기관과의 업무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그는 이날 취임사에서도 직원들에게 “지식정보사회가 되면서 개인정보보호가 상당히 중요해졌고, 정보보호도 국민의 요구수준에 맞춰 조정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KISA는 최근 ‘내홍’을 겪었다. 정통부 산하(출연)기관인 KISA는 발족 10년이 된 국내 유일의 민간 정보보호 전문기관. 직원은 270명 정도다. 하지만 예산운영과 관련한 잡음, 전 원장과 관련한 내부 직원의 투서 등으로 조직이 많이 이완돼 있다는 안팎의 지적이다. 그의 조직관리가 주목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는 4만 2000명을 거느린 우정사업본부의 수장으로 있을 때 조직을 추스르면서, 사상 최대 매출과 이익을 달성하는 등 역량을 인정을 받았다.
황 원장에게 주어진 일은 많아 보인다. 사기가 떨어진 조직을 다잡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사이버테러 공격 예방 등의 강화로 24시간 근무체제가 돼 직원들의 일의 양이 늘어났다. 근무 인력의 운용 문제다. 정규직이 많지 않아 조직의 전문성이 지속되지 못하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영세한 보안업체들의 자립기반 마련도 과제이다.500개 정보보호 업체가 있지만 안철수연구소 등 몇몇 기업을 빼면 영세하다. 처음부터 그가 이곳의 적임자란 말이 나온 것도 이들 일과 무관치 않다.
이런 사안들을 생각해서인지 그는 ‘직원이 하나가 되는 직장’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직원들의 말을 많이 듣겠다.”고도 했다. 최근 불거진 ‘조직의 상처’를 빨리 아물도록 하겠다는 뜻이다. 그는 이를 위한 ‘채찍과 당근’을 갖고 있는 듯했다.
그는 이날 “주 1회든, 월 1회든 경영공시를 하도록 준비해 달라.”고 간부들에게 특별히 주문했다.6월부터 이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터놓고’ ‘가슴으로’ 일하자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임기 3년간 그의 ‘초심’이 어떻게 조직에 연결될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황 원장은 1977년 행시 20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체신부(현 정통부) 장관 비서관, 정통부 공보관, 우정국장, 전파방송관리국장, 부산체신청장, 서울체신청장, 우정사업본부장을 역임했다.
정기홍기자 ho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