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생 3만명 정보 줄줄 샌다
서울대 재학생 3만여명의 개인정보가 서울대 학생정보망을 통해 통째로 노출됐다. 이에 따라 성적, 전화번호, 주소, 키, 몸무게, 종교는 물론 심지어 부모의 직업과 재산 규모까지 그대로 외부에 유출됐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학교는 이 사실을 알고도 은폐해온 것으로 밝혀졌다.
모든 서울대생들이 가입해 있는 학내 ‘서울대 정보화포털’(it4u.snu.ac.kr)’에서 특정 학생의 학번만 입력하면 개인정보가 줄줄이 컴퓨터 모니터에 뜨는 것으로 21일 확인됐다.
●외부서도 조회… 무방비 유출 가능성
서울신문 취재진이 직접 서울대생에게 지급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 포털에 접속, 메뉴에서 한 학생의 학번(06학번의 경우 2006-○○○○○)을 검색하자, 학생의 모든 개인정보가 공개됐다. 주소·휴대전화 번호 등 기본정보에서부터 지금까지 수강했던 모든 과목의 성적, 등록금 납부 내역, 주거 형태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보가 드러났다.
심지어 학비를 누구에게 의존하는지, 부모의 재산은 얼마나 되는지 등 극히 개인적이고 세밀한 정보까지 줄줄이 화면에 떴다. 특히 성적정보는 서울대 내부전산망이 아닌 외부 인터넷망에서도 조회가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 정보화 포털은 서울대 학생은 모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교내 종합정보사이트. 누적 성적 조회부터 장학금 신청, 학교 공지사항 등을 알 수 있다.
컴퓨터에 약간의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간단한 조작으로 불특정 다수 서울대 학생의 포털 접속 비밀번호, 수강신청 비밀번호까지 파악할 수 있다. 이미 서울대 출신 유명 탤런트 김태희씨의 학교성적, 집 주소,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까지 모두 유출돼 학생들 사이에서 돌고 있다.
●“정보보호 개념도 없어”
서울대의 모든 전산망을 관리하고 있는 정보화본부 산하 중앙전산원은 한 학생이 신고해 이 문제를 3개월 전인 8월에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지금까지 쉬쉬 하며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고 오히려 학생을 회유해 외부에 알리지 못하도록 했다.
서울대 포털의 허점을 가장 먼저 중앙전산원에 알린 공대생 이모(22)씨는 “중앙전산원측은 정보 보호에 대한 기본 개념조차 없는 것 같다. 비밀번호는 암호화돼 있어야 하는데 서울대 포털에는 그런 장치가 전혀 돼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3차례에 걸쳐 문제 제기와 함께 해결 방안을 제시했는데도 그대로 방치하고 있다.”고 했다.
중앙전산원 관계자는 “학교 이미지가 실추될 것 같아 외부에 공개하지 못하도록 한 것일 뿐 다른 의도는 없었다. 그동안 다른 업무 때문에 시간이 없어 조치를 취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런 해명에도 불구하고 애초부터 중앙전산원이 문제를 의도적으로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정보 노출이 처음 파악된 시점부터 지금까지 이와 관련, 상부에 보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부 규정에 따르면 전산망 사고가 나면 즉시 팀장을 거쳐 정보화본부장, 총장에게 보고해야 한다.
서울대 3학년 김모씨는 “다른 학생의 성적을 볼 수 있다는 소문은 들었지만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면서 “중앙전산원에 대한 전면적인 점검과 함께 관계자 징계도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용기자 kiyo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