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코리아 ‘속빈 강국’
서울 마포구 연남동에 사는 윤모(29·여)씨는 6개월전 우연히 중국 사이트를 보다가 자신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이메일 주소뿐 아니라 휴대전화번호와 실제 거주지 주소까지 공개돼 있는 것을 알게 됐다. 놀란 윤씨는 유출된 개인정보를 없애려고 했지만 방법이 없었다. 윤씨는 “주민등록번호는 그렇다 치더라도 어떻게 주소까지 정확하게 유출됐는지 모르겠다.”면서 “여기저기 알아봐도 방법이 없어 불안하다.”고 말했다. 최근 중국의 해커가 국내 최대 전자상거래 사이트인 옥션(가입자 1800만명)이 보유하고 있는 고객 개인정보를 빼내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중국 사이트들에서 한국인의 개인정보가 고스란히 유통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주민등록번호에서 보험료 납입횟수까지
중국의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baidu.com)에는 한 블로거가 ‘한국주민등록번호’라는 제목과 함께 한국인 108명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자동차번호, 자동차보험회사명, 보험료 납입횟수 등을 공개해 놓았다. 중국의 유명 게임사이트에는 경기도 D대학 평생교육원의 2006년 졸업생 54명의 개인정보가 고스란히 떠다닌다. 이 졸업생들의 이름이 다양한 기호로 표시돼 언뜻 보기엔 한국인 정보가 아닌 것 같지만 기호를 한국 포털의 검색창에 입력하면 한국어로 자동 변환된다.
●당국, 피해 신고때 中정부에 삭제 요청만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은 중국 사이트로 유출된 개인정보를 삭제하거나 피해자를 구제할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피해자들의 신고가 들어오면 해당 사이트 관리업체가 내용을 삭제하도록 중국 정부에 요청하고 있지만,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기 때문이다. 진흥원 관계자는 19일 “근본적인 해결책은 없다.”고 말했다. 진흥원에 접수된 개인정보 유출피해 신고건수는 2005년 1만 8206건에서 2007년 2만 5965건으로 늘었다.
경찰이 개인정보를 유통한 이들을 꾸준히 검거하고 있지만 처벌은 쉽지 않다. 정보통신망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이 통신망 사업자 등에만 적용될 뿐 일반인에게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신망에 침투한 최초의 범인만 처벌이 가능하며, 이를 유통시킨 사람은 처벌하기 힘들다.
●‘개인식별번호´ 아이핀 활성화 시급
진흥원은 정보유출 피해를 막기 위해 2006년 10월부터 아이핀(i-PIN)을 보급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104개 사이트 12만 4000개의 계정에만 보급돼 있는 상황이다. 기존의 주민등록번호에 의한 실명확인에 비해 본인인증이 번거로워 이용자들이 꺼리고 있다.
진흥원 기술지원팀 김진원 팀장은 “하루 10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인터넷 사이트에서는 아이핀과 같은 대체 본인확인 수단을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한다는 내용의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라면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아이핀 활성화가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용어클릭]
●아이핀(i-PIN·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인터넷에서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본인확인이 가능한 개인식별번호다.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이 개발했다. 한국정보인증, 한국전자인증, 한국신용정보, 한국신용평가정보, 서울신용평가정보 등 5개 업체에서 발급받을 수 있다. 인터넷 사이트에 가입할 때 이름과 주민번호 대신 아이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