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휴스틸
    2025-07-06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6
  • [서울데이터랩]콜마홀딩스 13.41%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콜마홀딩스 13.41%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4일 오전 9시 10분 콜마홀딩스(024720)가 등락률 +13.41%로 급등하며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콜마홀딩스는 개장 직후 427,259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240원 오른 18,950원이다. 한편 콜마홀딩스의 PER은 33.13으로 다소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ROE는 4.09%로 수익성이 낮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는 준수한 수준이나 고성장 기업과 비교했을 때는 보통 수준일 수 있다. 이어 상승률 2위 동양철관(008970)은 현재가 1,667원으로 주가가 8.81% 상승하고 있다. 상승률 3위 한국가스공사(036460)는 현재 47,000원으로 7.31% 상승하며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상승률 4위 넥스틸(092790)은 7.21% 상승하며 15,47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한국전력(015760)은 6.96%의 상승세를 타고 38,40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삼성E&A(028050)는 현재가 24,750원으로 6.68% 상승 중이다. 7위 휴스틸(005010)은 현재가 5,080원으로 5.18% 상승 중이다. 8위 LX하우시스(108670)는 현재가 34,100원으로 5.08% 상승 중이다. 9위 세아홀딩스(058650)는 현재가 137,000원으로 4.58% 상승 중이다. 10위 삼양사(145990)는 현재가 56,950원으로 4.50%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한화투자증권우(003535) ▲4.22%,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950210) ▲4.18%, 강원랜드(035250) ▲4.10%, 세아제강(306200) ▲3.88%, 하이스틸(071090) ▲3.82%, 태광산업(003240) ▲3.79%, 두산로보틱스(454910) ▲3.73%, 지역난방공사(071320) ▲3.70%, 일동제약(249420) ▲3.58%, 세아제강지주(003030) ▲3.49%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205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205억 돌파

    코스닥 시장에서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양철관(008970)이 1억2167만8034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1,680원이며, 거래대금은 205억 원에 이르고 있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7.70%로, 상당한 매수세가 집중되고 있다. 반면, PER 및 ROE는 각각 -11.75, -20.13으로 재무 지표에서는 부진한 상태를 보인다. 갤럭시아에스엠(011420)은 2,435원으로 거래되며, 2,487만7820주의 거래량을 기록해 2위에 올랐다. 거래대금은 64억 원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9.55%로 나타나고 있다. PER은 23.19, ROE는 4.21을 기록하며 수익성 측면에서 양호한 상태를 보인다. 하이스틸(071090)은 현재가 4,950원으로 25.32% 폭등한 가운데, 1,917만1831주의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동방(004140)과 오리엔트바이오(002630)는 각각 2,530원과 1,917원으로 거래되며, 거래량은 1,724만123주와 1,132만2631주에 달한다. 형지엘리트(093240), 평화산업(090080), 넥스틸(092790), 휴스틸(005010), 대영포장(014160) 등도 각각 다양한 등락률과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삼성전자(005930) ▲1.07%, 진양화학(051630) ▼18.50%, 일신석재(007110) 0.00%, 써니전자(004770) ▼1.62%, 서울식품(004410) ▲3.52%, 대양금속(009190) ▲14.10%, 금호전기(001210) ▲10.16%, 삼성중공업(010140) ▼0.07%, 신성이엔지(011930) ▲2.09%, 두산에너빌리티(034020) ▲2.57%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하이스틸과 갤럭시아에스엠이 각각 25.32%와 12.99%의 폭등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반면, 진양화학과 평화산업은 각각 18.50%와 6.87%의 하락세를 기록하며 주의가 필요하다. 하이스틸은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9.34%에 이르러 강력한 매수세가 들어온 반면, 진양화학은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2.02%에 머무르고 있다. 코스닥 시장은 현재 종목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이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매수와 매도세가 치열하게 맞서고 있다. 특히 동양철관과 하이스틸의 경우,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며 매수세가 집중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일부 종목들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무려 1,668억원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무려 1,668억원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양철관(008970)이 1억3천5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361원이며, 거래대금은 166,892백만원에 달한다. 동양철관의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7.77%로 매우 높아, 활발한 매수·매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PER은 -9.52, ROE는 -20.13으로 투자자들이 재무 지표보다는 단기적인 시세 차익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오리엔트바이오(002630)는 3천8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 주가는 2,090원이다. 거래대금은 84,398백만원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3.40%로 나타나고 있다. 대영포장(014160)은 거래량 2천8백7십만주를 기록하며 3위에 오르고 있다. 현재 주가는 2,065원으로, 등락률은 -16.73%를 보인다. 유니온(000910)은 현재가 6,620원, 등락률은 +0.15%, 거래량은 1천4백9십만주이다. 한창제지(009460)는 11,549,610주의 거래량과 +20.11%의 상승률을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10,698,420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현재가 53,900원, 등락률은 +0.75%이다. 계룡건설(013580)과 하이스틸(071090), 휴스틸(005010), 넥스틸(092790)도 각각 거래량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계룡건설은 +15.37%, 하이스틸은 +17.39%, 휴스틸은 +13.88%, 넥스틸은 +22.85%의 등락률을 기록 중이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한솔홈데코(025750) ▼14.92%, 이스타코(015020) ▼0.99%, 금강공업(014280) ▲12.64%, 동원금속(018500) ▲6.46%, 써니전자(004770) ▼10.66%, 윌비스(008600) ▼12.08%, 에넥스(011090) ▲1.36%, GS글로벌(001250) ▲7.61%, 사조씨푸드(014710) ▼3.52%, 삼성중공업(010140) ▼0.38%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급등한 넥스틸과 하이스틸이 있다. 넥스틸은 거래량 6,794,986주를 기록하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2.52%로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이스틸 역시 거래량 7,666,558주, 거래대금이 29,322백만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3.71%에 달하는 자금 유입이 있었다. 반면, 크게 하락한 대영포장과 한솔홈데코는 각각 거래량 28,766,309주, 6,394,295주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전반적인 시장 흐름은 투자자들이 특정 종목에 대해 짧은 기간 내에 적극적인 매수세와 매도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높은 거래대금 비율을 보이는 종목들이 많은 만큼, 단기적인 시세 차익을 노린 투자자들의 활발한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한창제지’ 21.51%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한창제지’ 21.51%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9일 오전 9시 10분 한창제지(009460)가 등락률 +21.51%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한창제지는 개장 직후 5분간 3,456,748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54원 오른 870원이다. 한편 한창제지의 PER은 19.77로 시장에서의 평균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ROE는 2.85%로 수익성이 낮은 편이다. 이어 상승률 2위 계룡건설(013580)은 현재가 24,100원으로 주가가 17.56% 급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넥스틸(092790)은 현재 12,710원으로 13.89% 급등하며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솔루스첨단소재2우B(33637L)는 12.48% 상승하며 5,86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동방(004140)은 9.69%의 상승세를 타고 2,265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성신양회우(004985)는 현재가 13,000원으로 8.33% 상승 중이다. 7위 유니온(000910)은 현재가 7,130원으로 7.87% 상승 중이다. 8위 남선알미우(008355)는 현재가 14,800원으로 7.79% 상승 중이다. 9위 휴스틸(005010)은 현재가 4,950원으로 7.38% 상승 중이다. 10위 에넥스(011090)는 현재가 1,024원으로 7.00%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동양철관(008970) ▲6.11%, GS글로벌(001250) ▲5.92%, 하이스틸(071090) ▲5.76%, 포스코스틸리온(058430) ▲5.60%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거래량 7천만주 동양철관 주가는 4.95% 상승

    [서울데이터랩]거래량 7천만주 동양철관 주가는 4.95% 상승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양철관(008970)가 7천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주가는 1,166원이며, 거래대금은 85,246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4.64%에 해당한다. PER -8.15, ROE -20.13으로 재무 지표는 부정적이나, 높은 거래대금과 상승률이 투자자들의 매수세를 반영하고 있다.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는 2위로 2천3백만주 이상 거래되었으며, 현재 주가는 3,800원이다. 거래대금은 89,342백만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비율이 3.74%를 기록하며, PER과 ROE는 확인할 수 없다. 삼성전자(005930)의 현재가는 60,200원으로 9백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15.65%를 보였다. 윌비스(008600)는 312원으로 거래량 7백만주 이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삼성중공업(010140)는 14,110원으로 거래량은 5백만주 이상이었다. 이외에도, 삼부토건(001470)는 392원, GS글로벌(001250)는 2,800원, SG글로벌(001380)는 3,690원으로 각각의 거래량이 각각 5백만주, 4백만주 이상을 기록했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은 26,850원으로, 거래량은 4백만주 이상, 흥아해운(003280)는 1,704원으로 거래량 4백만주 이상을 보였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STX그린로지스(465770) ▼2.01%, 오리엔트바이오(002630) ▼9.05%, 화신(010690) ▲5.31%, 휴니드(005870) ▼8.64%, 한국패러랠(168490) ▼1.92%, 한화시스템(272210) ▼4.48%, 휴스틸(005010) ▼5.76%, 보해양조(000890) ▲1.59%, 넥스틸(092790) ▼8.83%, 다이나믹디자인(145210) ▼15.99%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급등한 코오롱모빌리티그룹와 상승세를 보인 동양철관가 있다. 코오롱모빌리티그룹는 시가총액 대비 높은 거래대금 비율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고, 동양철관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반면, 하락폭이 큰 다이나믹디자인와 ##종목명_20##는 각각 1천만주 이상의 거래량에도 불구하고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시장은 혼조세를 보였으며, 각종 종목들이 다양한 투자 심리를 반영하는 모습이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거래량 7천만주 동양철관 주가는 4.95% 상승

    [서울데이터랩]거래량 7천만주 동양철관 주가는 4.95% 상승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양철관(008970)가 7천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주가는 1,166원이며, 거래대금은 85,246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4.64%에 해당한다. PER -8.15, ROE -20.13으로 재무 지표는 부정적이나, 높은 거래대금과 상승률이 투자자들의 매수세를 반영하고 있다.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는 2위로 2천3백만주 이상 거래되었으며, 현재 주가는 3,800원이다. 거래대금은 89,342백만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비율이 3.74%를 기록하며, PER과 ROE는 확인할 수 없다. 삼성전자(005930)의 현재가는 60,200원으로 9백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15.65%를 보였다. 윌비스(008600)는 312원으로 거래량 7백만주 이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삼성중공업(010140)는 14,110원으로 거래량은 5백만주 이상이었다. 이외에도, 삼부토건(001470)는 392원, GS글로벌(001250)는 2,800원, SG글로벌(001380)는 3,690원으로 각각의 거래량이 각각 5백만주, 4백만주 이상을 기록했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은 26,850원으로, 거래량은 4백만주 이상, 흥아해운(003280)는 1,704원으로 거래량 4백만주 이상을 보였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STX그린로지스(465770) ▼2.01%, 오리엔트바이오(002630) ▼9.05%, 화신(010690) ▲5.31%, 휴니드(005870) ▼8.64%, 한국패러랠(168490) ▼1.92%, 한화시스템(272210) ▼4.48%, 휴스틸(005010) ▼5.76%, 보해양조(000890) ▲1.59%, 넥스틸(092790) ▼8.83%, 다이나믹디자인(145210) ▼15.99%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급등한 코오롱모빌리티그룹와 상승세를 보인 동양철관가 있다. 코오롱모빌리티그룹는 시가총액 대비 높은 거래대금 비율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고, 동양철관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반면, 하락폭이 큰 다이나믹디자인와 ##종목명_20##는 각각 1천만주 이상의 거래량에도 불구하고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시장은 혼조세를 보였으며, 각종 종목들이 다양한 투자 심리를 반영하는 모습이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美 액트지오 고문 수습 나섰지만…‘동해석유 테마주’ 급락

    美 액트지오 고문 수습 나섰지만…‘동해석유 테마주’ 급락

    영일만 심해의 석유 및 가스 매장 가능성을 분석한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이 7일 기자회견을 열고 “유망성이 높다”며 수습에 나섰지만, 업계는 신중해야 한다는 반응이다. 상한가를 쳤던 ‘동해석유 테마주’도 일제히 급락했다. 액트지오 설립자이자 소유자인 아브레우 고문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석유 시스템이 존재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인(4가지)들을 확인 및 입증했고 이에 기반해 7개의 유망 구조를 도출했다”면서 “이 프로젝트의 유망성은 상당히 높다”고 주장했다. 이 자리에는 한국석유공사와 산업통상자원부, 지질자원연구원 관계자들도 참석했다. 아브레우 고문은 20% 수준의 성공률에 대해서도 “굉장히 양호하고 높은 수준의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20~25년간 발견된 유정 중의 가장 큰 매장량이 가이아나에 있는 리자에서 발견이 됐는데 성공 가능성이 16%였다”면서 “우리가 분석한 동해 심해 분지는 리자와 동일한 유형의 기반암, 저류층, 덮개암, 트랩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를 실제로 입증할 방법은 시추밖에 없다고도 했다. 이에 대해 한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를 보지 못한 상황에서 뭐라 말하긴 어렵지만, 석유 개발 자체가 확률이 낮은 건 사실”이라면서 “탐사를 하고 시추공을 뚫고 이런 모든 작업들이 많은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는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다른 관계자도 “지금은 너무 초기 단계이고 아무것도 확정된 게 없어서 당분간은 지켜봐야 할 듯하다”며 유보적 입장을 밝혔다. 철강, 석유, 가스 관련주도 이날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한국가스공사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2.59% 하락한 3만 8200원에 장을 마감했다. 대성에너지(-13.22%), 중앙에너비스(-5.47%), 한국ANKOR유전(-21.45%) 등의 주가도 일제히 급락했다.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쳤던 강관업체인 동양철관은 7.60% 하락 마감했다. 대동스틸(-14.60%), 하이스틸(-11.15%), 휴스틸(-11.09%)도 마찬가지로 약세였다. 화학, 석유, 가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밸브류를 취급하는 화성밸브는 7940원(-19.55%)에 마감했다. 아스팔트 등 석유공업제품 생산기업으로 석유·가스 채굴과 관련이 없지만, ‘동해석유 테마주’로 묶여 상승세를 탔던 한국석유는 전날 대비 14.72% 떨어진 1만 9870원에 거래를 마쳤다.
  • ‘묻지마 상한가’ 찍더니…석유·가스株 “와르르”

    ‘묻지마 상한가’ 찍더니…석유·가스株 “와르르”

    동해 심해에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사(社)의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이 기자회견을 연 가운데 상한가를 찍는 등 상승세였던 석유, 가스, 철강 관련주가 일제히 급락했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와 관련성이 없음에도 ‘묻지마 테마주’로 묶였던 종목들이 곤두박질쳤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국ANKOR유전은 이날 118원(21.45%) 급락한 432원에 거래를 마쳤다. 한국ANKOR유전의 ‘유전’은 미국 앵커유전을 의미해 동해 가스유전과 관련이 없는데도, 이름에 ‘유전’이 들어있다는 이유로 ‘동해 유전’ 테마주로 묶여 정부가 이번 프로젝트를 발표한 지난 3일과 4일 이틀 연속 상한가를 찍었다. 한국석유(-14.72%)와 대성에너지(-13.22%)한국가스공사(-12.59%), 흥구석유(-7.60%) 등 석유·가스 관련주들도 10% 안팎 하락한 채 장을 마감했다. 한국석유의 경우 석유공업제품 생산기업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비상장사인 한국석유공사와 아무 관련이 없는데도 ‘묻지마’ 식으로 테마주로 묶여 3일과 4일 연속으로 상한가를 기록했다. 연말 탐사 시추 작업이 시작되며 관련 산업에 훈풍이 불 것이라는 기대감에 들썩였던 철강주도 급락했다. 최근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쳤던 강관업체 동양철관이 116원(-7.6%) 내린 1411원에 거래를 마친 것을 비롯해 하이스틸(-11.15%), 휴스틸(-11.09%) 등이 하락 마감했다. 이날 아브레우 고문이 “프로젝트의 유망성이 상당히 높다”고 밝혔음에도, 투자자들은 프로젝트의 채산성 등에 여전히 의문을 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석유 부존 여부 및 부존량 확인, 나아가 채굴 경제성 평가 등 넘어야 할 단계가 남아있다”며 “옥석 가리기를 통한 트레이딩 접근이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 철강 美수출, 대기업이 83%… 중기 “생산능력 고려 안 해” 하소연

    철강 美수출, 대기업이 83%… 중기 “생산능력 고려 안 해” 하소연

    산업통상자원부가 미국 수출 강관 제품의 쿼터를 기업에 배분하면서 메이저 업체에 물량을 몰아줘 특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대미 수출의 83%를 차지한 메이저 4곳의 생산능력은 업계 전체 생산능력의 37%에 지나지 않아 마이너 업체의 쿼터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관 미국 수출과 관련해 우리나라가 부여받은 쿼터는 한 해 103만t이며, 송유관과 유정관 등을 수출할 때 적용받는다. 8일 철강협회 등에 따르면 쿼터제가 시작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우리 기업이 미국에 수출한 강관 물량 중 메이저 비중은 83%다. 반면 마이너 74곳 중 쿼터가 있는 30곳의 비율은 17%였다. 쿼터가 없는 나머지 44곳은 아예 미국에 수출하지 못했다. 4대 메이저는 대기업인 현대제철과 세아제강, 중견기업인 휴스틸과 넥스틸이다. 2022년 수출 실적은 메이저가 약 86만t(2조 800억원)이고, 마이너는 18만여t(3900억원)이었다. 문제는 형평성이다. 2021년 기준 메이저의 생산능력은 연간 약 338만t이고, 쿼터가 있는 마이너 30곳의 생산능력은 320만여t이다. 쿼터를 할당받지 못한 44곳까지 합치면 마이너의 생산능력은 570만t으로 늘어난다. 쿼터 비중을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이런 상황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으로 2018년 대미 철강 수출 쿼터제를 도입할 당시 과거 3년(2015~2017년)간 실적을 기준으로 기업 쿼터를 정했기 때문이다. 포항에 본사를 둔 아주베스틸 측은 “생산능력은 고려하지 않고 쿼터를 정하다 보니 최상위 업체만 특혜를 보게 됐다”고 하소연했다. 특혜는 쿼터 반납에서도 의심할 수 있다. 산업부는 기업이 배정받은 수출 물량 중 일부를 6월까지 반납하면 다음해 배정에 영향이 없도록 했다. 이에 메이저는 쿼터를 5년간 유지하고 있다. 메이저가 지금까지 반납한 쿼터는 모두 70만여t이다. 산업부는 반납 쿼터를 재배분할 때도 실적 기준을 적용, 메이저에 물량을 몰아줬다. 한 중소철강업체 측은 “쿼터가 부족한 업체를 위해 별도 쿼터 5%를 설정한다는 산업부 계획도 중소기업 미국 진출과는 별개”라고 비판했다. 이에 산업부 측은 “(미국 측과 협상한) 쿼터를 모두 소진하는 수출이 국익에 부합한다”며 “신규 업체가 미국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회 산업위 소속 국민의힘 구자근 의원은 “산업부도 독점과 형평성 문제를 인정한 만큼 쿼터 배분 기준을 즉각 손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 [단독]미국 철강 수출, 대기업이 83% 독식… 중소기업 “미국 시장 꿈도 못 꿔”

    [단독]미국 철강 수출, 대기업이 83% 독식… 중소기업 “미국 시장 꿈도 못 꿔”

    산업통상자원부가 미국 수출 강관 제품의 쿼터를 기업에 배분하면서 메이저 업체에 물량을 몰아줘 특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대미 수출의 83%를 차지한 메이저 4곳의 생산능력은 업계 전체 생산능력의 37%에 지나지 않아 마이너 업체 쿼터량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관 미국 수출과 관련 우리나라가 부여받은 쿼터는 한해 103만t이며, 송유관과 유정관 등을 수출할 때 적용받는다. 8일 철강협회 등에 따르면 대미 수출 철강 쿼터제가 시작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우리 기업이 미국에 수출한 강관 물량 중 메이저 4곳의 수출비중은 83%다. 반면 마이너 업체 74곳 중 쿼터가 있는 30곳의 수출 물량은 17%에 지나지 않았다. 쿼터가 없는 나머지 44곳은 아예 미국에 수출하지 못했다. 심지어 이들 메이저 업체는 산자부로부터 할당받은 쿼터를 채우지도 못했다. 쿼터를 모두 채워 수출했다면 마이너 업체와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는 의미다. 4대 메이저는 대기업인 현대제철과 중견기업인 세아제강, 휴스틸, 넥스틸이다. 지난 2022년 수출실적은 메이저가 약 86만t이고 마이너가 18만여t이었다. 금액으로는 메이저가 2조800억원, 마이너가 3900억원이었다. 문제는 쿼터의 형평성이다. 2021년 기준 메이저 4곳의 생산능력은 연간 약 338만t이다. 쿼터가 있는 마이너 30곳의 생산능력은 320만여t이고, 쿼터를 할당받지 못한 44곳까지 합치면 마이너 업체의 생산능력은 570만t으로 늘어난다. 쿼터 비중을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이런 상황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으로 2018년 대미 철강 수출 쿼터제를 도입할 당시 과거 3년(2015~2017년) 간 실적을 기준으로 기업 쿼터를 정했기 때문이다. 포항에 본사를 둔 아주베스틸 측은 “실제 생산능력은 무시한 채 2015~2017년 수출 실적으로 쿼터를 할당하다 보니 최상위 업체만 특혜를 보게 됐다”며 “마이너 업체는 미국 수출에 대한 투자나 계획도 세울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특혜는 쿼터 반납 규정에서도 의심할 수 있다. 산업부는 기업이 배정받은 수출 물량 중 일부를 6월까지 반납하면 다음 해 쿼터 배정량에 영향이 없도록 했다. 이에 메이저는 5년째 당초 쿼터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5년간 메이저 업체가 반납한 쿼터는 모두 70만여t으로, 총쿼터의 20%가 넘는다. 산업부는 반납 쿼터를 재배분할 때도 실적 기준을 적용, 메이저에 물량을 몰아준 것으로 확인됐다. 아주베스틸 관계자는 “메이저 업체가 반납한 물량 일부를 마이너 업체가 받는다해도 계약 절차와 운송 기간 등을 고려하면 연내 해당 쿼터를 소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이런 식의 쿼터 배분은 마이너 업체의 시장 진입을 원천적으로 막고 있다”고 토로했다. 한 중소철강업체 관계자는 “메이저 4곳이 5년간 쿼터를 유지하는 사이 마이너 44곳은 쿼터 자체를 배정받지 못해 미국 진출은 꿈도 꾸지 못하고 있다”며 ”쿼터가 부족한 업체를 위해 별도 쿼터 5%를 설정한다는 산자부 계획도 쿼터가 없는 마이너 업체의 미국 진출과는 별개의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 측은 ““(미국 측과 협상한) 쿼터를 모두 소진하는 수출이 국익에 부합한다”며 “신규업체가 미국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메이저 업체의 쿼터 반납과 관련해선 ”쿼터 반납이 없을 수는 없다“며 ”2020년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수출이 60% 정도였는데 이를 제외하면 5년간 평균수출은 94%“라고 해명했다. 국회 산자위 소속 국민의힘 구자근 의원은 “지난해 미국 수출 쿼터를 독점한 메이저 업체가 엄청난 이윤을 남겼는데, 이들이 이 이익을 바탕으로 내수시장에서 가격을 후려쳐 마이너 업체를 도태시키려 한다는 제보도 있다”며 “산업부도 독점과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고 인정하는 만큼 쿼터 배분 기준을 즉각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미, 한국산 송유관용 철강에 반덤핑 관세 20.4%

    미, 한국산 송유관용 철강에 반덤핑 관세 20.4%

    미국 상무부가 송유관으로 주로 쓰이는 한국산 대형구경강관(Large Diameter Welded Pipe)에 최고 20.39%의 반덤핑관세와 최고 27.42%의 상계관세를 부과해야한다고 판정했다. 미 상무부는 21일(현지시간) 한국, 터키 등에서 수입한 대형구경강관 제품에 대한 반덤핑관세(AD)·상계관세(CVD)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반덤핑관세는 외국 기업이 불공정한 가격에 제품을 판매해 자국 산업에 피해를 준다고 볼 때, 상계관세는 수출국에서 보조금을 지원받은 제품이 수입돼 자국 산업이 피해를 본다고 판단할 때 수입국이 부과하는 관세다. 미 상무부는 “반덤핑·상계관세 법은 미국 기업과 근로자들에게 시장을 왜곡하는 요인들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투명하고 국제적으로 수용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며 “평평한 운동장에서 경쟁할 기회를 확립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상무부는 지난해 1월 미국 기업들의 청원으로 조사에 착수했으며 미 무역위원회(USITC)와 상무부의 예비 판정을 차례로 거쳐 이번 최종 판정에서도 한국 등의 제품이 미국에 불공정한 가격에 수출됐다고 판단했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미 상무부가 결정한 덤핑률·보조금 비율과 같거나 비슷한 수준의 현금 보증금을 징수하며, 오는 4월 무역위원회가 최종 판정을 하면 관세가 확정된다. 대형구경강관은 주로 송유관 제조에 사용되는 제품이다. 한국은 미국에 연간(2017년 기준) 1억5천만 달러(약 1천690억원)어치를 수출했다. 미 상무부는 한국의 현대RB가 14.97%, 세아제강이 7.03%, 삼강엠앤티가 20.39%, 나머지 다른 업체들은 9.3% 비율로 제품을 덤핑 판매했다고 판정했다. 또한 세아제강의 보조금 비율을 27.42%로 산정했으며 휴스틸과 현대제철에 대해서는 보증금을 내지 않는 최소허용보조(de minimis) 범위인 0.01%, 0.44%로 판단했다. 나머지 업체의 보조금 비율은 9.29%로 산정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당진 주거중심 ‘서부→동부’ 이동…힐스테이트 당진 2차에 수요자 관심↑

    당진 주거중심 ‘서부→동부’ 이동…힐스테이트 당진 2차에 수요자 관심↑

    신흥 주거지에 대한 관심은 언제나 뜨겁다. 충남 당진시 부동산 시장에도 주거 중심축이 이동하는 변화의 바람이 불면서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당진 구도심을 중심으로 서부쪽에 편중되었던 주거생활권이 송악도시개발지구 개발이 완료되면서 동부로 이동하는 것이다. 새로운 주거지역으로 각광 받는 또 다른 요소로 우수한 교통여건이 한몫 하고 있다. 이곳은 서해안고속도로 당진 IC가 인접해 있어 차량으로 서울 및 타지역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32번 국도가 지나고 있어 당진 구도심으로도 쉽게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에 지난해 6월 ‘현대제철로’가 개통되면서 현대제철 당진공장까지 차량으로 10분 이내 이동이 가능하고, 동국제강 당진공장, 휴스틸 당진공장, JW중외제약생산단지 등도 차량 10분 이내면 닿을 수 있다. 기지초등학교가 있는 것을 비롯해 농협하나로마트, 프리미엄아울렛, 당진종합병원 등의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특히 당진 관내 읍지역에서는 첫번째로 개관한 ‘송악문화스포츠센터’(지하 2층~지상 3층, 연면적 6,653㎡)도 있어 다양한 스포츠 프로그램을 통해 운동 및 취미활동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다. 상황이 이렇자 충남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 일대에 조성된 ‘힐스테이트 당진 2차’에도 수요자들의 문의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단지는 지하 3층, 지상 16~27층, 17개동 총 1,617세대로 송악지구 내에서도 기존에 공급된 힐스테이트 당진 1차(915세대)와 함께 2,532세대에 이르는 가장 규모가 큰 브랜드 아파트다. 전용면적 기준으로 △62㎡ 522세대 △74㎡ 251세대 △84㎡ 708세대 △99㎡ 136세대 등 실수요자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중소형이 전체의 91%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잔여세대를 특별분양 중이다. 단지는 전세대 남측향 설계에 널찍한 동간 배치로 채광성 및 쾌적성이 우수하다. 단지 중앙에는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 놀 수 있도록 쾌적한 잔디마당이 조성되어있고, 어린이놀이터, 운동시설, 정원 등이 단지 곳곳에 위치하고있다. 또한 입주민들이 단지 내·외부 녹지를 느끼며 몸과 마음을 힐링 할 수 있도록 단지 외곽선을 따라 900m에 달하는 순환 산책로도 조성되어 있다. 힐스테이트 당진 2차의 커뮤니티는 4,000여㎡로 당진시 최대규모를 자랑한다. 커뮤니티센터에는 피트니스, GX룸, 실내골프연습장, 스크린골프연습장, 북카페, 클럽하우스, 락커룸, 샤워실, 키즈카페, 맘스카페, 남녀독서실 등 입주민들의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을 배려한 커뮤니티시설들로 채워지고, 106동 하부에는 방문객을 위한 게스트하우스(2세대)도 마련돼 있다. ‘힐스테이트 당진 2차’는 계약즉시 입주가 가능하며, 분양홍보관은 힐스테이트 당진 2차 단지 내에 위치해 있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
  • 美, 서류 문구 누락 ‘생트집’… 韓 유정용강관에 관세 폭탄

    美, 서류 문구 누락 ‘생트집’… 韓 유정용강관에 관세 폭탄

    美 상무부, 넥스틸에 75% 반덤핑 관세 “정보 미제공”…불리한 가용정보 적용 예비판정보다 관세율 29%P 급등 ‘폭탄’ 냉간압연강관 48% 부과 이어 두 번째미국 상무부가 12일(현지시간) 한국산 유정용강관에 최고 75%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미 상무부는 이날 한국산 유정용강관에 대한 반덤핑 관세 연례 재심 최종 판정 결과를 발표하고 넥스틸에 75.81%, 세아제강과 현대제철·휴스틸 등에 각각 6.7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25% 철강 관세를 면제받았지만 이와 별도로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 것이다. 지난 10일 한국산 냉간압연강관에 최고 48%의 반덤핑 관세 부과에 이어 두 번째다. 지난달 26일 한국은 미국으로부터 25%의 철강 관세를 면제받는 대신 연 수출량을 268만t으로 2015~2017년 평균보다 30% 줄이는 쿼터를 약속받았다. 하지만 미국은 자국 업체 보호를 명분으로 철강 품목별로 반덤핑 관세를 계속 때릴 가능성이 높다. 특히 미 상무부가 한국 철강업체가 제출한 서류의 문구를 갖고 ‘생트집’을 잡는 등 자의적으로 고율의 관세를 매기고 있다. 넥스틸의 경우 지난해 10월 미 상무부가 예비 판정에서 부과했던 46.37%보다 관세율이 급등했다. 넥스틸이 주요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조사 절차를 상당히 지연시켰다는 이유로 ‘불리한 가용정보’(AFA)를 적용해서다. AFA는 기업이 자료 제출 등 조사에 충분히 협조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미 상무부가 높은 관세율을 적용하는 일종의 ‘괘씸죄’로 볼 수 있다. 넥스틸은 AFA 적용에 황당하다는 입장이다. 넥스틸 관계자는 “(미국의) 지적 내용 중 하나가 전문 번역업체에 의뢰해 제출한 2016년 감사보고서인데 ‘미국 세관 관세담보’라는 표현에서 ‘미국 세관’을 누락, 해석이 불명확하다는 이유였다”며 “수천장의 서류와 답변서를 무시할 만큼 중요한 사안은 아니지 않나”라고 억울해했다. 문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후 반덤핑 규제 및 AFA 적용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미국의 반덤핑 신규 조사는 총 54건으로 최근 10년 중 가장 많았다. 한국에 대한 신규 조사는 총 6건(11.1%)이나 됐다. 올해도 한국산 대형구경강관에 반덤핑 조사를 시작했다. 반덤핑 규제 대부분이 철강에 집중돼 AFA로 관세 폭탄을 맞는 업체도 한국 등의 철강기업에 몰려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기업이 최선을 다해 협조해도 미 상무부가 의도적으로 협조 자체가 어렵게 과도한 부담을 주거나,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우려했다. 포스코 등 대기업은 미국의 예측 불가능한 수입 규제를 피하기 위해 이미 수출선을 다변화했지만 중소기업들은 미국 시장을 벗어나지 못해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현지공장 설립 외에는 관세를 피할 묘책이 없다. 넥스틸도 미 휴스턴 지역 등에 계획하던 공장 설립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정부도 미국의 반덤핑 관세와 AFA 확대에 대응책이 마땅치 않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반덤핑 관세는 미국 기업들이 상무부에 제소하는 것이라 정부 차원의 대응이 어렵다”고 말했다. 관세는 관세대로 맞고, 수출량은 줄어서 어렵게 얻어낸 철강 관세 면제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업계에서는 정부 차원의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넥스틸 관계자는 “개별 기업이 미국 정부의 횡포에 맞서는 데 한계가 있다”며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 ‘관세 폭탄’ 현실화…동국제강, 美수출 잠정 중단

    휴스틸도 당진공장 1개 생산라인 ‘스톱’ 철강업계 “이미 떠난 선박 예외 적용을” 포스코 “핵심필수 소재 제외 설득 지속” 오는 23일부터 적용되는 미국의 ‘25% 추가 관세’ 타격이 현실화되고 있다. 국내 철강업계가 대미(對美) 수출을 잠정 중단하는 등 생산라인을 잇따라 멈춰세우고 있다. 일부 업체는 이미 미국으로 출발한 선박만이라도 ‘예외’를 적용해 주거나 고객사도 손실을 분담해 달라며 막판까지 물밑 협상을 벌이고 있다. 16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동국제강은 다음달부터 미국 수출을 잠정 중단한다. 포스코, 현대제철 등 철강업계 ‘빅3’ 중 수출 자체를 중단한 것은 동국제강이 처음이다. 동국제강의 수출 주력 품목은 아연도금강판(냉연강판의 일종)이다. 연간 수출액은 약 1300억원이다. 중견업체인 휴스틸도 대미 수출 전용라인을 멈춰 세웠다. 동국제강이 수출 중단을 결정한 것은 이미 아연도금강판에 8.75% 관세를 부과받은 상황에서 25%의 추가 관세까지 맞으면 사실상 가격 경쟁력이 없다고 판단해서다.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은 이날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미국 수출은 관세가 확정될 때까지 수출 선적을 잠정 보류하고 있으며 추후 현지 고객들과 협의해 시장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장 부회장은 “선제 대응으로 매출에서 미국 수출 비중을 4% 수준까지 낮췄고 차별화된 제품으로 유럽연합(EU), 대양주 등으로 수출을 다원화해 미국 보호정책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관(파이프 모양 철판)이 주력 품목인 휴스틸은 지난달부터 당진공장의 1개 생산라인을 가동 중단했다. 휴스틸은 이 라인에서 생산하는 유정용 강관 연 1025억원어치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 상황이 이쯤 되자 업체들은 이미 미국으로 떠난 선박만이라도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현대제철과 세아제강 등은 이 선박이 관세 부과 시행일인 23일 이후 미국에 도착하지만 효력 발휘 전에 한국을 떠난 만큼 기존 관세를 적용해 달라고 미국의 관계 기관에 읍소하고 있다. 그게 안 되면 현지 고객사와 관세를 나눠 부담하자고 요청한 상태지만 고객사들은 난색이다. 포스코는 아직 시간이 일주일 남은 만큼 정부와 공조해 ‘한국 제외’ 관철에 막판까지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미국 철강사들과 경합하지 않는 고급 철강(강종) 같은 품목이나 핵심 필수 소재만이라도 제외될 수 있도록 최종 시한까지 설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 美 제친 韓 강관에 보복?… 업계 “70% 관세는 수출 금지령”

    美 제친 韓 강관에 보복?… 업계 “70% 관세는 수출 금지령”

    세계 ‘유정용’ 시장서 양국 선두 다툼 韓철강 美점유율 3위… 강관 절반 넘어 작년 관세 46%에 추가로 25% 부담 철강주 이어 현대차 등 관련주도 폭락 “일괄 적용해 한국 경쟁력 우위” 지적도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철강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국내 철강업계는 “최악은 피했지만 대미(對美) 수출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25% 관세’는 철강업계가 이미 내는 관세에 추가로 부과된다. 특히 최대 70% 관세를 물게 된 넥스틸과 세아제강 등 강관업체들은 “사실상 수출 금지령”이라며 울상이다. 올해 초 한국산 세탁기와 태양광 패널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에 이어 철강까지 ‘연타’를 맞으면서 국내 수출업계 전반이 휘청거리는 모습이다. 한 대형 철강사 관계자는 2일 “추가 관세는 업계의 경쟁력 약화와 이익률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해외 현지법인 소재 공급뿐 아니라 미국 현지의 수급 부족, 제품가격 상승 등 자동차 및 가전까지 현지 철강 수요산업에도 적지 않은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추가 관세 타격은 중견 강관업체가 가장 심하다. 예컨대 미국은 지난해 10월 발표한 연례재심 예비판정에서 유정용 강관(OCTG)에 최대 46.37%의 관세를 부과했는데 여기에 25%가 추가되면 약 70%의 관세를 내야 한다. 넥스틸, 휴스틸, 세아제강 등이 대표적인 ‘직격탄’ 대상이다. 이미 다른 지역으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한 포스코, 현대제철 등 대기업과 달리 이들 강관업체는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아서다. 넥스틸은 수출의 90%가 미국으로 가는 물량이다. 세아제강은 지난해 전체 수출 약 70만t에서 대미 수출 물량이 약 50만t이다. 원유와 셰일가스 채취에 사용하는 유정용 강관(OCTG)이나 송유관 등의 수요가 대부분 미국에 있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가 관세에 대한 세부 이행 계획을 아직 공개하지 않은 만큼 좀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국산 철강은 미국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3위(9.9%)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산 대미 수출 철강제품 중에서는 강관이 절반을 넘는다. 총 600여 종류에 이르는 미국의 각종 수입철강시장에서 한국산이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인 품목은 총 20개(2016년)다. 중국 156개, 캐나다 131개, 독일 57개, 멕시코 48개, 일본 37개 등이다. 특히 유정용 강관은 한국의 전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43.4%로 종전의 이 품목 수출 1위였던 미국(32.9%)을 따돌리며 미국업체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중이라 25% 관세 부과 이후 타격이 불가피하다. 미국의 수입 철강 추가 관세 소식에 국내 증시도 하루 종일 출렁였다. 장중 한때 2400선이 무너졌던 코스피는 오후 들어 하락폭을 줄이면서 전날보다 25.20포인트(-1.04%) 내린 2402.16에 장을 마쳤다. ‘철강주’들은 일제히 하락했다. 포스코가 1만 3000원(-3.6%) 하락한 34만 8500원으로 마감했고, 세아제강(-1.84%), 휴스틸(-2.54%), 현대제철(-2.99%), 고려제강(-2.65%) 등 다른 철강주도 줄줄이 떨어졌다. 간접 피해가 예상되는 현대차(-3.41%)와 기아차(-2.47%), 만도(-6.02%) 등 자동차 관련주도 부진했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최악은 피한 만큼 주가 하락이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백재승 삼성증권 연구원은 “우리나라 업체들의 가격 경쟁력이 이미 높은 수준이고 모든 국가에 일괄적으로 관세가 부과되는 만큼 경쟁력 우위를 지킬 수 있다”면서 “미국 철강제품 가격이 오르면 결국 글로벌 제조업체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전 세계 철강 가격이 상승하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 [美, 전방위 통상압박] 美 관세폭탄 맞을라 철강株 ‘롤러코스터’

    [美, 전방위 통상압박] 美 관세폭탄 맞을라 철강株 ‘롤러코스터’

    글로벌 가격 상승 전망 일부 반등국내 철강 기업들이 미국 정부의 ‘관세 폭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에 19일 주식시장에서 국내 ‘철강주’는 롤러코스터를 탔다. 지난 14일 유가증권시장에서 2만 8350원에 마감한 포스코강판은 이날 오전 9시 37분 5.82% 떨어진 2만 6700원까지 하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손에 국내 철강업체의 대미 수출이 달려 있다는 위기감이 주식 시장을 덮친 것이다.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강관 업체들의 타격이 컸다. 대미 수출 비중이 25%인 세아제강은 전 거래일에 비해 5.1%(4900원) 내린 9만 1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휴스틸도 4.6%(700원) 떨어진 1만 4400원에 마감했다. 반면 미국 무역 규제에 글로벌 철강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전망에 힘입어 3% 이상 떨어졌던 일부 철강주는 반등했다. 세아베스틸(2%), 한국철강(1%) 등은 상승 마감했다. 앞서 미국 상무부가 지난 16일(현지시간) 백악관에 제출한 ‘무역확장법 232조 보고서’에 한국 등 외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관세 53%를 부과하는 안이 담겼다. 나머지 두 가지 권고안도 모든 국가들에 수입 쿼터를 두거나 관세를 중과하는 방안이다. 무역 장벽이 높아진다는 기대감에 이날 US스틸(14%), NUCOR(4%) 등 미국 철강업체 주가는 훌쩍 뛰었다. 전문가들은 오는 4월 11일까지 백악관의 최종 선택이 남았지만, ‘미국 우선주의’의 기조에서 나온 보고서인 만큼 한국을 포함한 12개국에 관세를 집중하는 안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최근 2년 동안 대미 수출이 110만t에서 210만t으로 증가한 강관 업체는 타격을 피하기 어려워졌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 [美, 전방위 통상압박] 美, 법까지 바꾸며 48%ㆍ60% 수년째 ‘보복 관세’ “국제 사회와 보조… 美정부 상대 정교한 설득을”

    미국 상무부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철강 수입국에 높은 관세 부과를 권고하는 방안을 발표하면서 과거의 ‘관세 폭탄’도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규제 대상국 간 공동 대응과 미국 정부를 대상으로 한 전방위적인 설득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우리 정부는 미국이 2015년 8월 관세법을 개정한 뒤 미국 측에 유리한 ‘AFA’(Adverse Facts Available) 기법을 적용해 한국산 철강 제품 등에 잇따라 불리한 관세를 매겼다고 보고 있다. AFA는 미 상무부가 조사대상 기업이 자료를 제대로 제출하지 않거나 충분히 협조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경우 제소자인 미국 기업에서 제출한 불리한 정보를 사용해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조사기법이다. 이를 통해 미국은 2016년 5월 한국산 도금강판에 반덤핑 최종판정을 통해 47.80%라는 관세를 매겼다. 같은 해 7월과 8월에는 냉연강판에 각각 반덤핑 관세 34.33%, 상계관세 59.72%를 부과했다. 2016년 8월에는 열연강판에 상계관세 58.68%를 적용했다. 지난해 8월 한국산 변압기에는 반덤핑 최종판정을 통해 60.81%라는 고율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와 별개로 2014년 7월 미 상무부는 한국산 유정용강관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예비 판정하기도 했다. 현대제철(15.75%)과 넥스틸(9.89%), 세아제강·휴스틸(12.82%) 등이 반덤핑 관세를 받았다. 같은 해 12월 우리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에 미국 정부를 제소했다. WTO는 ‘미국 상무부가 덤핑률을 산정하면서 한국 기업의 이윤율이 아닌 다국적 기업의 높은 이윤율을 사용한 부분이 WTO 협정에 위반된다’며 한국 기업의 손을 들어줬다. 전문가들은 ‘무역 적자 축소’ 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책 방향이 확고한 만큼 상황이 장기화할 것이라며 ‘정부 대 정부’ 지원활동을 통해 우리 기업의 부담을 최대한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단순히 한국이 ‘미워서’가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지지층인 러스트 벨트(낙후된 북부·중서부 제조업 지대) 백인 중산층 노동자를 의식한 산물인 만큼 정교한 타협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대형 철강업계 관계자는 “트럼프가 (상무부가 권고한) 3가지 방안 중 ‘12개 국가 제재’를 선택한다면 모든 한국 철강기업들의 대미 수출이 힘들어질 것”이라면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국제협상 전문가인 안세영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우리 정부가 검토 중인) WTO 제소는 최종 판정에만 2~3년이 걸리는 데다 승소할지도 미지수라 큰 실익이 없다”면서 “미국은 로비가 합법적인 만큼 정부와 민간기업 차원에서 백악관, 상무부를 대상으로 한국 입장을 설명하는 똑똑한 로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무역 불균형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선언적인’ 협상도 강구할 만하다고 안 교수는 덧붙였다. 박태호(전 통상교섭본부장) 서울대 명예교수는 “미국이 철강업계를 겨냥한 것은 많은 실업자로 인한 지지층 약화 우려뿐 아니라 중국이 한국을 통해 우회 수출한다는 시각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규제 대상국을 모아 공동 성명을 발표하고 WTO에도 공동 제소하는 등 국제사회 공조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기업들도 정부만 쳐다보지 말고 수출 판로 다변화 및 전략적인 수출량 관리 등 자구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 ‘화장실 앞 근무논란’ 휴스틸 해명에 네티즌 “비상식적 갑질”

    ‘화장실 앞 근무논란’ 휴스틸 해명에 네티즌 “비상식적 갑질”

    중견 철강업체 휴스틸이 부당해고 판결 뒤 복직한 직원들을 다시 해고하기 위한 ‘매뉴얼’을 만들어 시행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휴스틸은 골프·레저 및 건설 등을 주력 사업으로 하는 신안그룹 계열사다.논란이 커지자 휴스틸은 과거 실무자가 관련 문건을 만들었지만, 시행하지 않고 바로 폐기했다고 해명했다. 휴스틸 관계자는 31일 “매뉴얼로 복직자들을 관리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 문건은 작년 5월 즈음 실무자가 만들었다가 폐기해서 쓰레기통에 버린 것을 복직자 중 한 명이 주워 보관한 것”이라며 “회사 공식 문건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앞서 SBS는 30일 휴스틸 직원들이 화장실 앞 복도에서 근무하는 모습을 공개면서 회사가 ‘해고 매뉴얼’을 만들어 복직한 직원에게 퇴직을 압박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부당해고 후 복직 판결을 받고 돌아온 직원들은 화장실 앞에서 근무했다. SBS는 지난해 5월 이러한 사실을 보도하고 고용부가 근로감독을 실시해 시정 지시를 했지만 회사는 복직자를 내쫓는 방안을 만들었다. 이른바 ‘해고 매뉴얼’에는 복직자에 꼬투리를 잡아 징계하고 강도 높은 업무를 맡겨 스스로 회사를 떠나게 하자는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휴스틸은 2015년 9월 회사 사정이 어렵다는 이유로 과장 및 대리급 직원 98명에게 희망퇴직 명목의 사직원 제출을 요구해 87명의 사직원을 받았다. 이 중 10명은 다음 달 사직원이 수리돼 일자리를 잃었다. 실직한 10명 중 양 부장을 포함한 3명은 “사직원 제출을 강요한 부당해고였다”며 부당해고 구제 신청을 냈고, 중앙노동위원회는 작년 4월 신청을 받아들여 복직 결정을 내렸다. 그러나 휴스틸은 이들 3명에게 업무를 제대로 맡기지 않고 화장실 앞에 배치된 책상에서 근무하게 하는 등 비인격적인 대우를 한 사실이 드러나 작년 5월 고용노동부의 특별 근로감독을 받은 바 있다. 한편 휴스틸은 지난해 5월 화장실 근무 논란을 일으킨 이후 그해 7월 이진철 전 사장이 물러났고 그 자리에는 오너 일가인 박훈 사장이 앉게 됐다. 박훈 사장은 대출알선, 해외 상습도박 등으로 옥고를 치른 박순석 신아그룹 회장의 장남이다. 신안그룹은 1960년 건설사업으로 시작해 현재 레저, 철강, 금융, 화장품 등 총 25개 계열사를 두고 있다. 이 중 상장회사는 휴스틸이 유일하다. 이를 접한 네티즌들은 분노했다. “조직 생활 해본 사람들은 다 알지. 만들라고 안한걸 실무자가 만들었을 리가 있나. 시켜서 했으면 보고를 안했을 리가 있나. 입증책임은 명백히 회사쪽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nova****)”, “직원책상이 스스로, 화장실로 갔냐?! 이놈들 쇳덩어리 연구나할것이지~ 직원들 책상에 무인조정기 연구나 하고 있었네 ㅋ 너희 회장님 책상을 쇠녹이는 불덩이 옆에 나둬라!!(kwan****).” “어떤.회사가,대놓고 부당대우했다고하니....진짜 추악하다. 휴스틸 망해봐야 정신차리지(skls****)”, “화장실 앞 자리 배치. 비상식적인 갑질. 이번 기회에 휴스틸같은 기업들의 갑질 발본색원해야!(sheb****)” 등의 댓글을 적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복직자 해고 매뉴얼’ 논란 휴스틸 “회사 공식 문건 아니다”

    ‘복직자 해고 매뉴얼’ 논란 휴스틸 “회사 공식 문건 아니다”

    중견 철강업체 휴스틸이 부당해고 판결을 받고 복직한 직원들을 다시 해고하기 위해 ‘매뉴얼’까지 만들어 시행했다는 언론보도가 나오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하지만 휴스틸 측은 과거 실무자가 관련된 문건을 만들기는 했지만, 시행하지 않고 바로 폐기했다고 밝혔다. 휴스틸 관계자는 31일 “매뉴얼로 복직자들을 관리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연합뉴스를 통해 전했다. 이 관계자는 “그 문건은 지난해 5월 즈음 실무자가 만들었다가 폐기해서 쓰레기통에 버린 것을 복직자 중 한 명이 주워 보관한 것”이라며 “회사 공식 문건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앞서 SBS는 휴스틸 복직자 양모 부장 등의 인터뷰를 통해 회사가 복직한 직원들을 내쫓기 위한 ‘복직자 관리방안’ 문건을 만들어 시행했다고 보도했다. 보도된 문건에는 양 부장을 대구공장 부공장장으로 발령해 회사의 원직복직 의무를 이행한 뒤 보직해임을 비롯한 1차 징계와 법적조치로 강하게 압박해 조기퇴직을 유도한다는 방안이 담겨있다. 집중 근태관리와 고난도 업무지시를 통해 징계사유를 수집하고 징계하는 것을 반복해 조기퇴직을 유도한다는 내용도 있다. 실제 회사는 양 부장을 대구공장 부공장장으로 복직시켰지만, 지난 2월 양 부장을 사내 전산망 ID 도용 혐의로 경찰에 수사 의뢰하고 대기 발령했다. 회사 측은 해고 명목이 아니라 실제 혐의가 있어서 수사를 의뢰했고 수사가 진행 중인 동안 일을 맡길 수 없어 대기 발령했다고 해명했다. 또 양 부장이 경북지방노동위원회에 대기 발령이 부당하다고 구제 신청을 했지만, 노동위가 이를 기각했다고 주장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휴스틸은 2015년 9월 회사 사정이 어렵다는 이유로 과장 및 대리급 직원 98명에게 희망퇴직 명목의 사직원 제출을 요구해 87명의 사직원을 받았다. 이 중 10명은 다음 달 사직원이 수리돼 일자리를 잃었다. 실직한 10명 중 양 부장을 포함한 3명은 “사직원 제출을 강요한 부당해고였다”며 부당해고 구제 신청을 냈고,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난해 4월 신청을 받아들여 복직 결정을 내렸다. 그러나 휴스틸은 이들 3명에게 업무를 제대로 맡기지 않고 화장실 앞에 배치된 책상에서 근무하게 하는 등 비인격적인 대우를 한 사실이 드러나 지난해 5월 고용노동부의 특별 근로감독을 받은 바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화장실 앞 근무’ 휴스틸, 논란에 약세

    ‘화장실 앞 근무’ 휴스틸, 논란에 약세

    부당해고 뒤 복직한 직원을 화장실 앞에서 근무하게 했다는 사실이 전해진 철강업체 휴스틸이 31일 약세를 보이고 있다.휴스틸은 이날 오전 10시 10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전 거래일보다 3.18% 내린 1만 5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SBS에 따르면 휴스틸은 지난해 5월 복직자들에 꼬투리를 잡아 징계하고 해고하거나, 고강도 업무를 맡겨 스스로 그만두도록 하자는 내용의 내부 문건을 작성했다. 휴스틸은 이전에도 부당해고 판결을 받고 복직한 직원을 화장실 앞에서 근무하게 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