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에이피알
    2025-07-0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9
  • [서울데이터랩]일동홀딩스 29.97%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일동홀딩스 29.97%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7일 오후 15시 35분 일동홀딩스(000230)가 등락률 +29.97%로 상한가를 기록하며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일동홀딩스는 장 중 2,177,935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200원 오른 9,540원에 마감했다. 한편 일동홀딩스의 PER은 1.71로 상당히 저평가된 수준을 시사하며, ROE는 72.94%로 매우 높은 수익성을 나타내어 투자 매력이 높음을 보여준다. 이어 상승률 2위 일동제약(249420)은 주가가 29.95% 폭등하며 종가 18,050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동양생명(082640)의 주가는 7,880원으로 19.21% 급등하며 강세를 보였다. 상승률 4위 GS피앤엘(499790)은 12.82% 상승하며 39,60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제이에스코퍼레이션(194370)은 11.11%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13,600원에 마감했다. 6위 달바글로벌(483650)은 종가 195,100원으로 10.29% 상승 마감했다. 7위 평화홀딩스(010770)는 종가 5,850원으로 9.96% 상승 마감했다. 8위 에이피알(278470)은 종가 149,500원으로 8.49% 상승 마감했다. 9위 제주은행(006220)은 종가 14,990원으로 8.47% 상승 마감했다. 10위 세아베스틸지주(001430)는 종가 33,450원으로 8.25%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씨아이테크(004920) ▲7.63%, 써니전자(004770) ▲7.18%, 동국제강(460860) ▲7.18%, 동방(004140) ▲7.17%, 팜스코(036580) ▲6.92%, 자화전자(033240) ▲6.89%, SNT모티브(064960) ▲6.75%, 더존비즈온(012510) ▲6.71%, 해태제과식품(101530) ▲6.38%, 선진(136490) ▲6.01%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동양생명 16.19%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동양생명 16.19%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7일 오전 9시 10분 동양생명(082640)가 등락률 +16.19%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동양생명은 개장 직후 5분간 211,076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070원 오른 7,680원이다. 한편 동양생명의 PER은 4.46으로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ROE는 12.91%로 수익성이 양호한 수준이다. 이어 상승률 2위 일동제약(249420)은 현재가 15,270원으로 주가가 9.94% 상승하고 있다. 상승률 3위 신풍제약우(019175)는 현재 32,550원으로 9.60% 상승하며 주목받고 있다. 상승률 4위 신풍제약(019170)은 7.49% 상승하며 14,7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한양증권우(001755)는 5.95%의 상승세를 타고 18,15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팜스코(036580)는 현재가 3,060원으로 5.88% 상승 중이다. 7위 LG씨엔에스(064400)는 현재가 84,000원으로 5.13% 상승 중이다. 8위 KCTC(009070)는 현재가 6,400원으로 5.09% 상승 중이다. 9위 해태제과식품(101530)은 현재가 8,060원으로 4.95% 상승 중이다. 10위 동국제강(460860)은 현재가 10,810원으로 4.95%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교촌에프앤비(339770) ▲3.60%, 동방(004140) ▲3.50%, 빙그레(005180) ▲3.43%, 더존비즈온(012510) ▲3.36%, 에이피알(278470) ▲3.27%, 오리온홀딩스(001800) ▲3.20%, 솔루스첨단소재(336370) ▲3.01%, 일동홀딩스(000230) ▲3.00%, KIWOOM 차이나내수소비TOP CSI(454180) ▲2.99%, 카카오페이(377300) ▲2.91%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녹십자홀딩스2우 29.89%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녹십자홀딩스2우 29.89%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2일 오후 15시 35분 녹십자홀딩스2우(005257)가 등락률 +29.89%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녹십자홀딩스2우는 장 중 29,402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6,800원 오른 29,550원에 마감했다. 한편 녹십자홀딩스2우의 PER은 21.62로 상대적으로 고평가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어 상승률 2위 솔루스첨단소재(336370)는 주가가 13.29% 급등하며 종가 9,720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신풍(002870)의 주가는 1,176원으로 10.63% 상승하며 선전했다. 상승률 4위 상상인증권(001290)은 9.80% 상승하며 773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율촌화학(008730)은 9.53%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31,600원에 마감했다. 6위 엔씨소프트(036570)는 종가 166,500원으로 9.18% 상승 마감했다. 7위 DB하이텍(000990)은 종가 42,300원으로 8.46% 상승 마감했다. 8위 대웅(003090)은 종가 27,450원으로 8.28% 상승 마감했다. 9위 HD현대에너지솔루션(322000)은 종가 52,200원으로 8.19% 상승 마감했다. 10위 미래에셋증권우(006805)는 종가 6,830원으로 7.90%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넷마블(251270) ▲7.83%, 신풍제약우(019175) ▲7.66%, 삼양홀딩스우(000075) ▲7.54%, GS피앤엘(499790) ▲7.26%, 삼양홀딩스(000070) ▲7.21%, 롯데관광개발(032350) ▲7.08%, 선진(136490) ▲7.02%, SNT다이내믹스(003570) ▲6.90%, 에이피알(278470) ▲6.85%, 두산퓨얼셀(336260) ▲6.24%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솔루스첨단소재 16.32%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솔루스첨단소재 16.32%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2일 오전 9시 10분 솔루스첨단소재(336370)가 등락률 +16.32%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개장 직후 5분간 671,970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400원 오른 9,980원이다. 한편 솔루스첨단소재의 PER은 -70.78로 상대적으로 고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ROE는 0.62%로 수익성이 낮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는 준수한 수준이나 고성장 기업과 비교했을 때는 보통 수준일 수 있다. 이어 상승률 2위 솔루스첨단소재2우B(33637L)는 현재가 4,705원으로 주가가 13.78% 급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상상인증권(001290)은 현재 797원으로 13.21% 급등하며 긍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상승률 4위 신풍제약우(019175)는 11.88% 급등하며 29,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한농화성(011500)은 8.61%의 상승세를 타고 15,65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율촌화학(008730)은 현재가 31,050원으로 7.63% 상승 중이다. 7위 엔씨소프트(036570)는 현재가 162,800원으로 6.75% 상승 중이다. 8위 삼양홀딩스(000070)는 현재가 78,400원으로 6.67% 상승 중이다. 9위 솔루스첨단소재1우(33637K)는 현재가 1,830원으로 6.64% 상승 중이다. 10위 삼양홀딩스우(000075)는 현재가 75,600원으로 5.59%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아모레퍼시픽우(090435) ▲5.33%, 키다리스튜디오(020120) ▲4.95%, 대양금속(009190) ▲4.80%, 에이피알(278470) ▲4.77%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개장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서울데이터랩]개장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오늘(5월 9일) 오전 9시에 개장한 국내 증시에서 삼성전자(005930)가 개장 5분 만에 4.79%의 검색비율을 기록하며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의 현재가는 54,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18% 하락하며 보합권에 머물고 있다. 거래량은 930,774주를 기록했다. 이어 블루엠텍(439580)이 검색비율 2위를 기록하며 23.73%의 폭등세를 기록하고 있다. 검색비율 3위의 NAVER(035420)는 0.79% 상승하며 순조롭게 출발하는 모습이다. 검색비율 4위 고영(098460)은 개장 초반부터 1.55%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검색비율 5위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0.90% 상승하며 큰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6위 한화솔루션(009830)은 등락률 2.33%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7위 한화오션(042660)은 0.00%의 등락률로 주가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8위 SK하이닉스(000660)는 1.26%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9위 상지건설(042940)은 12.87% 폭등하며 시동을 거는 모습이다. 10위 에이피알(278470)은 상승률 0.10%로 주가가 다소 상승하고 있다. 이밖에도 원일티엔아이(136150) ▲85.93%, 인벤티지랩(389470) ▲14.93%, 오가노이드사이언스(476040) ▲15.00%, 현대차(005380) ▲2.57%, 현대로템(064350) ▲3.53%, 한화시스템(272210) ▲1.66%, 신라젠(215600) ▲3.05%,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1.25%, 코나아이(052400) ▼4.84%, 카페24(042000) ▼14.41% 등이 많이 검색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마감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서울데이터랩]마감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상지건설(042940)가 5월 8일 장 마감 5분 만에 5.34%의 검색비율을 기록해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상지건설의 현재가는 44,3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29.91% 상승하며 상한가로 마감했다. 거래량은 4,032,640주를 기록했다. 이어 검색비율 2위의 포바이포(389140)는 상승률 10.47%로 상승 마감했다. 검색비율 3위의 고영(098460)은 21.59% 상승 마감했다. 검색비율 4위 LIG넥스원(079550)은 10.70% 상승했다. 검색비율 5위 삼성전자(005930)는 0.00% 보합으로 마감했다. 6위 나우로보틱스(459510)는 등락률 126.47%로 폭등을 기록했다. 7위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1.65%의 상승세를 보였다. 8위 에이피알(278470)은 28.80%의 급등세로 거래를 마쳤다. 9위 NAVER(035420)는 5.22% 하락 마감했다. 10위 한화솔루션(009830)은 5.75% 상승했다. 이밖에도 평화홀딩스(010770) ▲29.86%, 웹케시(053580) ▲16.69%, 신라젠(215600) ▲7.99%, 포스코퓨처엠(003670) ▲3.10% 등이 많이 검색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평화홀딩스’ 29.86% 폭등…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평화홀딩스’ 29.86% 폭등…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8일 오후 15시 35분 평화홀딩스(010770)가 등락률 +29.86%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평화홀딩스는 장 중 10,233,331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1,750원 오른 7,610원에 마감했다. 한편 평화홀딩스의 PER은 71.12로 단기적으로는 높게 평가될 수 있으며, ROE는 1.56%로 수익성 측면에서 다소 낮은 편에 속한다. 이어 상승률 2위 에이피알(278470)은 주가가 28.80% 폭등하며 종가 98,400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영흥(012160)의 주가는 596원으로 22.38% 폭등하며 강세를 보였다. 상승률 4위 경방(000050)은 21.39% 폭등하며 8,40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평화산업(090080)은 18.74%의 급등세를 타고 종가 1,476원에 마감했다. 6위 코스맥스(192820)는 종가 196,100원으로 12.44% 급등 마감했다. 7위 씨에스윈드(112610)는 종가 42,850원으로 10.87% 상승 마감했다. 8위 제이준코스메틱(025620)은 종가 7,990원으로 10.82% 상승 마감했다. 9위 LIG넥스원(079550)은 종가 372,500원으로 10.70% 상승 마감했다. 10위 현대퓨처넷(126560)은 종가 3,170원으로 9.12%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콜마홀딩스(024720) ▲8.54%, HD현대마린솔루션(443060) ▲8.40%, SK케미칼(285130) ▲7.65%, 그린케미칼(083420) ▲7.05%, 부국증권(001270) ▲6.95%, 덴티움(145720) ▲6.93%, 일진전기(103590) ▲6.86%, 두산2우B(000157) ▲6.65%, 두산우(000155) ▲6.35%, 대영포장(014160) ▲6.07%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해외서 잘나가자 투자 유치·IPO… K뷰티 ‘中企 신화’ 잇는다

    해외서 잘나가자 투자 유치·IPO… K뷰티 ‘中企 신화’ 잇는다

    폭발 성장… ‘제2의 에이피알’ 노려CJ온스타일, 비나우에 30억원 투자아누아 어성초 라인 호평… 매출 3배달바글로벌, 이달 코스피 입성 앞둬 K뷰티의 세계적인 인기로 중소 화장품 브랜드들이 날개를 펴고 있다. 실적 상승뿐 아니라 투자 유치, 기업공개(IPO)까지 전방위로 사세를 넓히고 있다. 5일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CJ ENM의 커머스 부문인 CJ온스타일은 최근 중소 K뷰티 브랜드 ‘비나우’에 30억원 투자를 결정했다. 2018년 설립된 비나우는 스킨케어 브랜드 ‘넘버즈인’, 메이크업 브랜드 ‘퓌’로 유명하다. 지난해 매출 266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1140억원)보다 2배 넘게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750억원, 영업이익률은 28.2%로 수익성도 높다. CJ온스타일은 비나우의 상품 기획력과 글로벌 경쟁력을 높게 봤다고 밝혔다. 퓌의 푸딩팟 제품은 입술과 볼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제형이라 해외에서 인기가 높다. 비나우를 눈여겨본 IMM인베스트먼트 등 국내 사모펀드(PEF)들이 이미 약 600억원을 투자했다. 비나우는 내년 상장을 목표로 한다. CJ온스타일은 비나우에 대한 투자를 결정한 배경을 설명하며 에이피알(APR) 투자 사례를 언급했다. 브랜드 ‘메디큐브’로 화장품과 미용기기 사업을 하는 에이피알은 ‘K뷰티 대장주’로 불린다. CJ온스타일은 2023년 에이피알에 20억원을 투자한 바 있다. 에이피알은 승승장구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 7228억원과 영업이익 1227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전년 대비 각각 38.0%, 17.7% 증가한 것으로, 화장품 대기업인 애경산업의 매출(6791억원)을 뛰어넘었다. 에이피알은 지난해 2월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 후 공모가 대비 약 50% 높은 주가를 유지 중이다. 서울에 이어 경기 평택에 생산시설을 추가로 지었다. 에이피알 측은 “현 성장세라면 올해 1조원대 매출도 가시권에 있다”고 했다. 에이피알의 성장세를 본 많은 K뷰티 기업은 ‘제2의 에이피알’을 꿈꾼다. 화장품 브랜드 ‘아누아’를 운영하는 더파운더즈는 지난해 매출(4278억원)이 전년(1432억원)보다 3배 가까이 올랐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400억원에서 1457억원으로 4배 늘었다. 어성초 라인 제품이 호평을 받으며 매출 대부분을 해외에서 벌어들였다. 지난해 매출 3091억원을 기록한 달바글로벌은 이달 코스피 입성을 앞두고 있다. 달바는 스프레이 세럼 등 미스트 제품군으로 유명하다. 티르티르는 지난해 매출 2736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68% 성장했다. 빨간 달걀 모양의 쿠션으로 미국·일본 여성들을 열광시킨 티르티르는 지난해 화장품 브랜드 ‘조선미녀’로 유명한 구다이글로벌에 인수됐다. 화장품 업계에서는 온라인 덕에 해외 진출 장벽이 낮아지면서 상품 기획력이 좋은 중소 K뷰티 브랜드들이 폭발적 성장을 이루게 됐다고 보고 있다. K뷰티 브랜드는 계속 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19년 1만 5707개였던 화장품책임판매업체 수는 2023년 3만 1524개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인지도를 쌓은 인플루언서나 화장품과 무관한 기업도 한국콜마·코스맥스 등 화장품 제조자개발생산(ODM) 기업을 통하면 쉽게 뛰어들 수 있어서다. 다만 폐업도 적지 않다. 지난해 8831개의 화장품 브랜드가 사라졌다. 아무 기술 없이 아이디어와 브랜드만 있다면 창업할 수 있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나타난 결과로 풀이된다.
  • “주식재산 1조원 넘는 단 한 명”…백종원도 제친 78년생 ‘주식 부자’ 정체

    “주식재산 1조원 넘는 단 한 명”…백종원도 제친 78년생 ‘주식 부자’ 정체

    지난해 주식평가액 100억원이 넘는 개인주주 124명이 탄생한 가운데, 단 한 명뿐인 1조원 이상인 주주의 정체가 게임 개발사 시프트업의 김형태 대표이사인 것으로 알려져 눈길을 끈다. 11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가 지난해 신규 상장한 상장사를 대상으로 개인주주의 주식평가액을 조사한 결과, 주식재산이 1000억원 이상~1조원 미만인 주주는 8명이었고, 1조원 이상인 주주는 1명이었다. 이어 500억원 이상~1000억원 미만 20명, 300억원 이상~500억원 미만 25명, 100억원 이상~300억원 미만 70명으로 조사됐다. 10억원 이상~100억원 미만의 주식 가치를 보유한 주주는 149명이었다. 주식재산이 1조원이 넘는 주주는 게임 개발사 시프트업의 김형태 대표이사였다. 김 대표이사는 지난 7일 기준 시프트업 주식을 2266만 1370주를 보유한 최대 주주로, 김 대표이사의 주식평가액은 1조 3755억원이다. 시프트업에서는 김 대표이사를 비롯해 주식 가치가 100억원이 넘는 주주가 6명이 나와 단일종목 중 가장 많았다. 민경립 589억원, 이형복 330억원, 조인상 182억원, 채지윤 163억원, 이동기 105억원 순이다. 주식재산이 1000억원 이상~1조원 미만인 주주는 박동석 산일전기(7566억원), 김병훈 에이피알(5917억원), 강은숙 산일전기(4027억원), 백종원 더본코리아(2629억원), 이성호 씨메스(1256억원), 공경철 엔젤로보틱스(1061억원), 박영근 탑런토탈솔루션(1046억원), 이돈행 넥스트바이오메디컬(1000억원) 등이다. 이들 8명의 주식재산은 상장 첫날과 비교해 절반은 증가했고, 나머지는 감소해 희비가 엇갈렸다. 이돈행 넥스트바이오메디컬 대표이사의 주식 가치는 상장 첫날 보통주 1주당 주가 2만 3700원으로 마감해 507억원 수준이었으나, 지난 7일 기준 주가는 1주당 4만 6750원으로 올라 이 대표이사의 주식재산도 상장 첫날 대비 97.3% 뛰었다. 이성호 씨메스 대표이사의 주식재산도 상장 첫날 725억원 수준에서 1256억원으로 73.2%나 올랐다. 박동석 산일전기 대표이사와 박 대표이사의 배우자인 강은숙 주주의 주식재산은 상장일 대비 37.5% 올랐다. 부부의 합산 주식평가액은 1조원을 넘어섰다. 반면 공경철 엔젤로보틱스 이사회 의장의 주식재산은 상장 첫날 2253억원에서 1061억원으로 11개월 사이 52.9% 쪼그라들었다. 최근 한돈 빽햄 논란이 불거진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이사의 주식평가액은 4519억원에서 3개월 만에 41.8% 내려앉은 2629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평가액이 100억원이 넘는 124명을 출생 연도별로 살펴보면 1970년대생이 3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1960년대 34명, 1980년대 24명, 1950년대 14명, 1950년 이전 출생 6명이었다. 1980년 이후 태어난 MZ세대 중 30대는 6명이었다. 이들 중에서는 김병훈(37) 에이피알 대표이사의 주식 가치가 가장 컸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게임과 IT 업종 등을 중심으로 신흥 젊은 부자들이 생겨나는 추세”라며 “상장한 회사의 기업 가치를 지속해 성장 발전시키려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젊은 기업가 정신을 가져야 한다”고 전했다.
  • 에이피알, 모바일앱 이용자 3년만에 21만명

    에이피알, 모바일앱 이용자 3년만에 21만명

    뷰티테크 기업 에이피알은 자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에이지알’이 출시 3년 만에 글로벌 다운로드 수 70만 건,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21만 명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에이지알 앱은 메디큐브 화장품과 뷰티 디바이스 에이지알(AGE-R)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모바일 서비스다. 메디큐브 브랜드의 영향력이 세계적으로 확대되면서 에이지알 앱 이용자는 지난해 9월 12만 명을 기록한 후 4개월 만에 9만 명 이상이 증가했다. 해외 이용자 비중도 크게 증가해 전체의 63%를 차지한다. 해외 시장에서 에이피알 브랜드들이 활약하면서 공식몰의 통합 누적 회원 수는 800만 명에 육박한다. 지난해 10월 750만 명을 돌파한 이후 약 3개월 만이다. 이 같은 성과는 지난해 6월과 7월 각각 앱 내 ‘코끼리 게임’과 ‘에이지알 프렌즈’ 등 앱테크 기반 게임 서비스를 도입해 재미와 실용성을 강화한 덕분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향후 에이피알은 연내 에이지알 앱 내에 메디큐브 쇼핑몰 기능을 추가해 고객 경험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에이피알은 ▲메디큐브 ▲에이프릴스킨 ▲포맨트 ▲널디 ▲글램디바이오 등 5개 브랜드의 공식몰을 국내는 물론 미국, 일본, 중화권(홍콩·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운영하고 있다.
  • ‘유재석 화장품’ 에이피알 일반 청약 14조 몰렸다

    ‘유재석 화장품’ 에이피알 일반 청약 14조 몰렸다

    올해 유가증권시장의 첫 기업공개(IPO)이자 조(兆) 단위 대어인 뷰티테크 기업 에이피알이 일반 청약에서 흥행몰이에 성공했다. 코스닥시장 상장을 앞둔 기업들도 줄줄이 막대한 청약 증거금을 끌어모으며 IPO 시장에 활력이 돌고 있지만, 정작 바이오 기업들은 지난해 발생한 ‘파두 사태’ 여파에 번번이 상장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에이피알은 전날부터 이틀간 진행한 일반 청약에서 13조 9100억원이 넘는 증거금이 몰렸다. 에이피알은 ‘유재석 화장품’, ‘김희선 뷰티기기’ 등으로 유명한 뷰티테크 기업이다. 대표주관사인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전날부터 이틀간 78만 8268건의 청약이 들어왔고, 경쟁률은 1112.54대1을 기록했다. 에이피알의 공모가는 희망밴드(14만 7000~20만원) 상단을 초과한 25만원으로 고가였음에도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에이피알에 앞서 일반 청약에 나섰던 기업들도 흥행에 성공했다. 주사전자현미경(SEM) 전문기업인 코셈은 지난 13일부터 이틀간 2518.40대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약 3조 2000억원의 청약증거금이 몰렸고, 기상·공기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을 하는 케이웨더 역시 같은 기간 1988.83대1의 경쟁률에 청약증거금 1조 7400억원을 기록했다. 불과 3일 동안 공모주 시장이 빨아들인 돈만 20조원에 육박한다. 반면 바이오 기업은 고배를 마시고 있다. 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하이센스바이오, 옵토레인, 노르마, 코루파마, 피노바이오 등 5개사가 상장예비심사 신청을 철회했다. 이 중 양자보안 전문기업인 노르마를 제외하면 모두 바이오 기업이다. 지난 한 해 동안 심사 철회 기업 수가 6곳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많은 숫자다. 이들 기업은 모두 거래소의 질적 심사 기준을 넘지 못했다. 업계 내에선 지난해 파두 사태 이후 거래소의 상장 절차가 깐깐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파두 사태 이후 유의미한 결과가 나거나 기술 수출 등 현금 흐름이 발생해야 심사 통과를 장담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 올해 첫 대어급 IPO 에이피알 ‘흥행 대박’…바이오주 상장 철회 이어져

    올해 첫 대어급 IPO 에이피알 ‘흥행 대박’…바이오주 상장 철회 이어져

    올해 유가증권시장의 첫 기업공개(IPO)이자 조(兆)단위 대어인 뷰티테크 기업 에이피알이 일반 청약에서 흥행몰이에 성공했다. 코스닥시장 상장을 앞둔 기업들도 줄줄이 막대한 청약 증거금을 끌어모으며 IPO 시장에 활력이 돌고 있지만, 정작 바이오 기업들은 지난해 발생한 ‘파두 사태’ 여파에 번번이 상장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에이피알은 전날부터 이틀간 진행한 일반 청약에서 13조 9100억원이 넘는 증거금이 몰렸다. 에이피알은 ‘유재석 화장품’, ‘김희선 뷰티기기’ 등으로 유명한 뷰티테크 기업이다. 대표주관사인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전날부터 이틀간 78만 8268건의 청약이 들어왔고, 경쟁률은 1112.54대 1을 기록했다. 에이피알의 공모가는 희망밴드(14만 7000~20만원) 상단을 초과한 25만원으로 고가였음에도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에이피알에 앞서 일반 청약에 나섰던 기업들도 흥행에 성공했다. 주사전자현미경(SEM) 전문기업인 코셈은 지난 13일부터 이틀간 2518.4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약 3조 2000억원의 청약증거금이 몰렸고, 기상·공기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을 하는 케이웨더 역시 같은 기간 1988.83대 1의 경쟁률에 청약증거금 1조 7400억원을 기록했다. 불과 3일 동안 공모주 시장이 빨아들인 돈만 20조원에 육박한다. 반면 바이오 기업은 고배를 마시고 있다. 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하이센스바이오, 옵토레인, 노르마, 코루파마, 피노바이오 등 총 5개사가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철회했다. 이중 양자 보안 전문기업인 노르마를 제외하면 모두 바이오 기업이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심사 철회 기업 수가 6곳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많은 숫자다. 이들 기업은 모두 거래소의 질적 심사 기준을 넘지 못했다. 바이오 기업들은 통상 기술이 있어도 영업, 재무 현황 등 기업의 계속성 여부를 증명하기 어렵다는 평가를 받는다. 업계 내에선 지난해 파두 사태 이후 거래소의 상장 절차가 깐깐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계 관계자는 “파두 사태 이후 유의미한 결과가 나거나, 기술 수출 등 현금 흐름이 발생해야 심사 통과를 장담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취임한 정은보 거래소 이사장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문제 해결에 나서겠다는 취임 일성을 밝히면서 “IPO 단계부터 시장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말했다.
  • 올 6.4조 IPO 시장… 대어들이 몰려온다

    올 6.4조 IPO 시장… 대어들이 몰려온다

    공모액 규모 작년보다 66% 늘어첫 주자 ‘에이피알’ 흥행 관심사공모 시장 과열 땐 부작용 우려 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공모주 시장 훈풍에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는 회사들이 늘면서 올해 공모 규모가 6조원을 훌쩍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금리인하 기대감 등이 겹치면서 조 단위 대어(大魚)급 기업들이 잇따라 상장을 준비 중이다. 4일 한국거래소·흥국증권 등에 따르면 올해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 총 85개 기업이 새로 상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82개 기업이 신규 상장된 것과 비교해 올해는 3곳(3.7%) 더 늘어난다. 기업들이 IPO를 통해 시장에서 끌어모으는 공모 자금 규모는 총 6조 4000억원으로 지난해(3조 9000억원)보다 66.1% 불어날 전망이다. IPO 시장에 역대급 풍년이 들었던 2021년과 비교하면 올해 공모 예상 규모는 여전히 적다. 2021년 당시 상장 기업들은 IPO로 20조원에 달하는 자금을 끌어모았다. 이듬해인 2022년에도 16조 1000억원을 기록해 IPO 열기가 이어졌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고금리 장기화 우려에 투자심리가 급격히 움츠러들며 IPO 시장에 빙하기가 찾아왔다. 대어로 꼽혔던 마켓컬리를 비롯해 오아시스·케이뱅크·서울보증보험이 지난해 줄줄이 상장을 철회했다. 대어들이 빠지면서 지난해 상장 기업들의 시가총액은 확정 공모가를 기준으로 평균 2219억원에 그쳤다. 최종경 흥국증권 연구원은 “IPO 시장은 올해부터 내년에 걸쳐 대세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며 “코스피 시장에 끊겼던 대어급 기업들의 신규 상장도 올해부터 시작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시장의 관심은 올해 첫 IPO 대어로 꼽히는 에이피알에 쏠리고 있다. 올해 조 단위 대어급 공모주의 흥행 여부를 가늠할 풍향계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지난 2일부터 시작된 에이피알 수요예측에서 기관투자자들은 공모 희망 가격 상단인 20만원을 웃도는 금액을 써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지난해 한국거래소에 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한 플랜텍과 HD현대마린솔루션이 올 상반기 증시 입성을 기다리고 있다.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와 LG CNS, SK에코플랜트도 상장을 준비하거나 검토 중이다. 지난해 상장 계획을 거둬들였던 서울보증보험, 케이뱅크의 재도전도 예상된다. 여기에 SSG닷컴, CJ올리브영, 야놀자, HD현대오일뱅크, 컬리 등도 투자자들의 상장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국내외에서 고금리와 부동산 부실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이 이어지는 가운데 공모 시장이 지나치게 달아오르면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오광영 신영증권 연구원은 “과평가된 공모주가 등장하면 시장이 다시 급격히 얼어붙을 수 있다”며 “대형 공모주가 블랙홀처럼 자금을 흡수해 시장 수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2023년 비상장 주식시장 트렌드는 ‘DRAGON’

    2023년 비상장 주식시장 트렌드는 ‘DRAGON’

    국내 대표 비상장 거래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이 올해 우리나라 비상장 주식시장을 관통한 이슈들을 정리했다. 트렌드 키워드는 ‘DRAGON’(용)이다. ●D : Depressed(시장 침체) 올해 비상장 시장은 ‘겨울’이었다. 글로벌 경제 한파, 고금리, 고물가로 인한 투자 심리 위축은 비상장 시장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올해 기업공개(IPO) 대어로 꼽혔던 오아시스, 케이뱅크, 서울보증보험 등도 IPO를 철회하고 다음을 기약했다. 박동규 두나무 증권리서치팀장은 “올해 비상장 주식은 상장 시장과 함께 혹한기를 보냈다”며 “IPO를 추진하는 종목들이 선전하긴 했지만, 특별한 호재가 없거나 IPO 일정이 없는 대부분의 종목은 하락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RA : RAise(일어나라, 선학개미!) 남들보다 앞서 투자하는 ‘선학개미’들은 시장의 봄을 기다리며 분주히 움직였다. 상반기 중소형주들의 약진으로 IPO 활황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점, 상장일 가격제한폭이 확대된 점도 2023년 선학개미들의 투심을 견인하는 데 큰 몫을 했다. 올 한해 증권플러스 비상장 서비스 지표도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11월 기준 누적 회원수는 148만명, 누적 거래건수는 46만건을 돌파했고 누적거래대금은 1조 2701억원(11월 30일)을 기록했다. 일반투자자 1인당 평균 거래 금액은 877만 7307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41.2% 증가했다. 전문투자자 시장도 처음 오픈한 지난해 7월 대비 거래 금액은 848.06%, 인당 평균 거래금액은 415.4% 뛰어오르며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였다. IPO에 대한 선학개미들의 관심도 견조했다. 특히 11월 증권플러스 비상장 공모주 일정 카테고리 방문자 수는 시장 전망 개선에 힘입어 5월 대비 121%나 뛰었다. 종목 조회 및 거래대금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선학개미들은 상장일만 기다리지 않고 IPO 단계에 따라 앞서 투자하는 양상을 띠었다. 실제로 지아이이노베이션의 경우 예비심사청구, 예비심사승인 시점 당시 월별 조회수와 거래대금 모두 전월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다. 두산로보틱스도 예비심사청구 이후 종목 월평균 조회수(6~10월)가 전월인 5월 대비 2배 이상을 기록했으며, 씨유박스도 예비심사승인을 받은 2월에 전월 대비 거래 대금이 706.2% 증가했다. 박동규 두나무 증권리서치팀장은 “혹한기에도 불구하고 비상장 주식 거래는 멈추지 않고 꾸준했다”며 “모든 자산 시장이 경직된 상황에서 비상장 주식에 주목한 투자자들이 있다는 점은 여러모로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비상장 투자는 장기적인 시각에서 진행하는 투자”라며 “높은 기술력을 갖고 있거나 이미 훌륭한 실적을 내거나 향후 IPO 가능성이 있는 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오히려 지금이 기회일 수 있다”고 말했다. ●G : Grow(성장하는 기업들의 약진) 올해는 전도 유망한 기업들의 약진이 돋보였다. 증권플러스 비상장에서 올해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에이피알로 약 586%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에이피알은 지난 3분기 누적 매출액 3718억원, 영업이익 698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으며, 최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로부터 예비심사승인도 받아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2위에는 상승률 545%를 기록한 플랜텍이 자리했다. 2020년 워크아웃을 졸업하고 사업 정상화에 힘을 기울인 플랜텍은 흑자 회사로 전환, 지난해 기준 매출액 5688억원, 영업이익 314억원을 기록했다. 11월에는 한국거래소에 유가증권시장 상장 예비 심사를 청구, 또 한번의 성장 모멘텀을 준비하고 있다. 3위는 그래핀스퀘어(+275%)가 차지했다. 지난 7월 삼성벤처투자가 대표주주로 있는 SVIC 56호 신기술 사업투자조합에서 그래핀스퀘어의 주식 25만 2987주를 취득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화제를 모았다. 금액으로는 약 119억원 규모다. 그래핀스퀘어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디에스자산운용, 아이비케이캐피탈, 에코프로파트너스, 신한벤처투자, 블루밍그레이스 등도 투자에 참여했다. 그래핀스퀘어는 미국 타임지 2022년 최고의 발명(THE BEST INVENTIONS OF 2022)에 선정된 바 있으며, 2023년 CES 최고 혁신상(Best of Innovation)을 수상했다. ● O, N : Optimized & New(투자에 최적화된 기능, 새로운 기술 혁신) 2023년에도 증권플러스 비상장의 진화는 계속됐다. 그간 시장 내 만연한 정보 절벽 해소에 앞장서 왔던 증권플러스 비상장은 올해 초 삼성증권과 제휴, 기업 분석 리포트 서비스를 선보였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은 별도의 시간과 품을 들이지 않고 전문 애널리스트가 작성한 양질의 기업 정보들을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간편하게 열람할 수 있게 됐다. 7월에는 시장 성장 및 투자자 저변 확대의 일환으로 안전 거래 서비스를 대대적으로 개편, 거래 가능한 신규 증권사로 KB증권을 추가했다. 보다 유연하고 원활한 거래를 위해 장 마감 시각도 기존 16시 30분에서 19시로 연장했으며, 바로 거래 주문 유효 기간도 당일에서 영업일 5일로 변경했다. 거래 시 팝니다, 삽니다 카테고리를 번갈아 확인해야 했던 불편을 줄이고자 두 탭을 통합하고 주문 리스트 UI를 개편, 가독성을 강화했다. 시세 정보도 전년에 비해 훨씬 풍부해졌다. 빠르고 정확한 투자 판단을 돕고자 기준가 책정 단위를 하루에서 실시간으로 변경했으며 거래량, 1일 최고가, 1일 최저가, 52주 최고가, 52주 최저가 등도 추가 제공한다.
  • ‘연세언론인상’ 선우정·김경희… ‘상경인상’ 가삼현·윤웅섭 수상

    연세언론인회가 ‘2023 연세언론인상’ 수상자로 선우정 조선일보 편집국장과 김경희 SBS 선임기자를 선정했다. 사학과 출신인 선우 국장은 1991년 조선일보에 입사해 도쿄 특파원, 사회부장, 논설위원 등을 거쳤다.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한 김 선임기자는 1995년 SBS에 입사해 보도제작부장 등을 지낸 뒤 한국여성기자협회장을 맡고 있다. 연세대 상경·경영대 동창회도 오는 8일 ‘연세상경인의 밤 2023’ 송년 행사를 열고 ‘자랑스런 연세상경인상’을 시상한다. 수상자는 가삼현 HD한국조선해양 대표이사 부회장, 윤웅섭 일동제약 대표이사 부회장, 최윤정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김정수 제이에스앤에프 대표이사 회장, 박상은 삼일회계법인 파트너, 김병훈 에이피알 대표이사다.
  • [부고]

    ●정은수(전 삼성전자 근무)씨 별세 김연금씨 남편상 정해성(JTBC 보도국 정치팀 기자)·해인씨 부친상 이현지(에이피알 해외사업본부 이사)씨 시부상 18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1일 오전 11시 (02)2227-7500
  • [부고] 정해성씨 부친상, 안민씨 부친상

    ■ 정해성(JTBC 기자)씨 부친상 △ 정은수(전 삼성전자 근무)씨 별세, 김연금씨 남편상, 정해성(JTBC 보도국 정치팀 기자)·정해인씨 부친상, 이현지(에이피알 해외사업본부 이사)씨 시부상, 18일 오후 5시19분,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11호실, 발인 21일 오전 11시. 02-2227-7500 ■ 안민(뉴스웨이 뉴미디어부장)씨 부친상 △ 안창근(로베르토)씨 별세, 김봉선(요안나)씨 남편상, 안민(베드로, 뉴스웨이 뉴미디어부장) 혜정(글라라, 제주도교육청 학생건강증진추진단 전문상담교사)씨 부친상, 18일, 제주 부민장례식장 5분향실, 발인 20일 오전, 064-744-4444
  • 새로운 마케팅 트렌드, 인플루언서 전문가 에이피알에이전시

    새로운 마케팅 트렌드, 인플루언서 전문가 에이피알에이전시

    2003년 패션홍보에이전시로 출발하여 오랜기간 패션&라이프스타일 카테고리에 특화된 전문성 토대로 발전해온 ㈜에이피알에이전시(대표 박효진)에서 차별화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어 업계의 눈길을 끌고 있다.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새로운 홍보 영역을 세분화, 전문화 해 온 에이피알에이전시는 보다 폭넓은 마케팅 시장과 디지털 중심에 맞춰 2019년 전문적인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담팀을 구성했다. 이후 3년간 차별화된 업무 방식과 다양한 시도를 통해 업계 선호도 1위의 인플루언서 전담팀을 운영해 오고 있다. ㈜에이피알에이전시의 인플루언서 마케팅팀은 업계 최대의 데이터 베이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업계 최초로 디지털 인플루언서와 개별적 업무 협약을 체결, 인플루언서 매니지먼트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브랜드의 니즈에 맞는 최적의 인플루언서를 제안하여 높은 성과를 달성,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데 단순히 팔로워 숫자로 인플루언서를 모집하는 마케팅 방식이 아니라, 오랜 경험과 독보적인 전문성을 바탕으로 브랜드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그에 따른 분석을 통해 차별화 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제안한다는 평으로 전담팀 창설 이래 매년 2배 가까운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소비 트렌드가 디지털 중심으로 전환된 만큼, 디지털 기반의 홍보 마케팅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는 시기인 지금, 패션·뷰티·라이프스타일 전 영역을 거쳐 전문성을 갖춘 ㈜에이피알에이전시의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대한 관심은 계속해서 높아질 전망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에이피알,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수상

    에이피알,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수상

    뷰티·생활문화 기업 ㈜에이피알이 고용노동부 '2018년 대한민국 일자리 100대 으뜸기업'에 선정됐다.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은 일자리 창출에 높은 성과를 거둔 기업과 정규직 전환 우수, 일·생활 균형 실천, 임금 감소 없는 근로시간 단축 등 일자리의 질을 개선한 기업들을 인정하고 격려하고자 마련된 제도다. 고용노동부가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 분석, 지방고용노동관서 발굴 및 국민추천을 통해 후보기업을 선정하고 이후 현장조사, 노사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 100개 기업을 발표했다. 에이피알은 창업 이후 지속적인 기업 성장과 함께 고용 및 정규직 전환이 매년 증가해 일자리 창출과 고용 안정화에 앞장서 온 점을 인정받았다. 또 시차출퇴근제도입, 점심시간 연장, 연차 촉진제, 단축근무, 특별휴가 부여 등 다양한 복지혜택으로 일자리 질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병훈 에이피알 대표는 “에이피알의 성장에 있어 창의성과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과감한 실행력을 지닌 구성원들이 가장 큰 경쟁력”이라며 “스타트업에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앞으로도 더 많은 구성원들이 행복하게 일할 수 있도록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에이피알은 뷰티와 생활문화 연구를 통해 고객 삶을 즐겁고 행복하게 만들겠다는 신념으로 에이프릴스킨, 메디큐브, 글램디, 포맨트 등 4개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2016년 포브스로부터 ‘2017년 비상할 대한민국 10대 스타트업’으로 뽑혔으며 이주광 김병훈 공동대표는 지난해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아시아 30세 이하 기업인 30인’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