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애니플러스
    2025-08-27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8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아이비젼웍스’ 거래대금 약 473억 달성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아이비젼웍스’ 거래대금 약 473억 달성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아이비젼웍스(469750)가 3천 2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479원으로, 거래대금은 47,286백만원에 이른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약 9.42%로, 집중적인 매수세가 포착된다. PER은 -10.96, ROE는 -17.05로, 재무적인 측면에서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인다. KD(044180)는 694원으로 거래되며 2천 3백만주 이상 거래량을 기록해 2위를 차지한다. 거래대금은 16,207백만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약 8.76%에 해당한다. PER 57.83, ROE 12.56으로 재무 지표는 비교적 안정적이다. 3위인 이스트아시아홀딩스(900110)의 경우 현재가는 89원으로, 1.14%의 상승률을 보이며 2천 3백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한다. 4위 비츠로시스(054220)는 444원으로 24.37% 급등하여 2천 1백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보인다. 5위 우리기술(032820)은 3,922원으로 5.43% 상승하며 거래량은 1천 7백만주를 넘는다. 6위 이엠앤아이(083470)는 1,133원으로 17.05% 상승, 1천 3백만주 이상 거래되고 있다. 7위 아스트(067390)는 520원으로 -11.26% 하락하며 1천 3백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보인다. 8위 PS일렉트로닉스(332570)는 4,480원으로 10.34% 상승, 1천 2백만주 이상 거래되고 있다. 9위 그래피(318060)는 11,860원으로 -20.93% 하락하며 1천 2백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한다. 10위 아이에이(038880)는 182원으로 5.81% 상승하며 9백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보인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다날(064260) ▲6.63%, 탑코미디어(134580) ▲12.48%, 휴림로봇(090710) ▲4.26%, 이브이첨단소재(131400) ▲2.18%, 삼화네트웍스(046390) ▲3.30%, 원익홀딩스(030530) ▲13.16%, 애니플러스(310200) ▼0.37%, 한라캐스트(125490) ▼0.38%, 대한광통신(010170) ▲10.16%, 손오공(066910) ▲3.81%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KD와 비츠로시스가 있다. KD는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모두 높은 수준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비츠로시스는 높은 상승률과 함께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3.61%를 넘어서며 강력한 매수세가 확인된다. 반면, 그래피와 아스트는 각각 -20.93%, -11.26%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약세를 보인다. 그래피는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11.90%를 차지하며 매도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체적으로 시장은 엇갈린 움직임을 보인다. 상승 종목과 하락 종목이 고루 분포하며, 일부 종목에서는 강한 매수세와 매도세가 공존하고 있다.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종목들이 다수 확인되어, 투자심리가 급격히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국일제지 거래대금 151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국일제지 거래대금 151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일제지(078130)가 28,039,845주가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주가는 534원이며, 거래대금은 15,151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2.52%에 해당한다. PER는 -59.33, ROE는 -9.98로 나타나고 있다. 이스트아시아홀딩스(900110)는 27,695,486주의 거래량으로 2위를 기록하며, 현재가는 84원이다. 거래대금은 2,346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0.43%에 해당한다. PER와 ROE는 각각 7.00과 1.72로 보고되고 있다. 엔시트론(101400)은 24,893,461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3위를 차지했다. 현재가는 415원으로, 등락률은 +27.30%를 나타내고 있다. 율호(072770)는 20,644,025주가 거래되며, 등락률은 +20.83%로 집계되었다. 탑코미디어(134580)는 18,330,382주의 거래량과 +17.73%의 등락률을 기록하며, 현재가는 2,855원이다. 아이비젼웍스(469750)는 17,771,074주가 거래되며 +6.35%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애니플러스(310200)는 15,056,199주의 거래량과 -4.68%의 하락률, 삼화네트웍스(046390)는 14,963,593주의 거래량과 -1.02%의 하락률을 기록하고 있다. AP헬스케어(109960)는 12,940,851주가 거래되며, +3.43%의 상승률을 보이며 블루엠텍(439580)은 12,722,470주의 거래량과 +1.12%의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제이피아이헬스케어(0010V0) ▲30.00%, 노을(376930) ▲20.38%, 우리기술(032820) ▲3.57%, 미스터블루(207760) ▲3.88%, NEW(160550) ▲14.74%, 한라캐스트(125490) ▼11.82%, 썸에이지(208640) ▲0.33%, PS일렉트로닉스(332570) ▲1.11%, 미투온(201490) ▼4.25%, iMBC(052220) ▲2.74%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폭등한 엔시트론과 급등한 국일제지가 있다. 엔시트론은 거래량 24,893,461주로 시가총액의 3.57%에 해당하는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강한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국일제지는 거래량 28,039,845주로 시가총액의 2.52%에 해당하는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반면, 하락폭이 큰 한라캐스트와 미투온은 각각 ▼11.82%, ▼4.25%의 등락률을 기록하며 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있다. 코스닥 시장은 오늘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거래량 상위 종목들에서 급등세가 두드러져 시장의 활발한 움직임을 반영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리튬포어스 29.92%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리튬포어스 29.92%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21일 오전 9시 15분 리튬포어스(073570)가 등락률 +29.92%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리튬포어스는 개장 직후 5분간 4,388,556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301원 오른 1,307원이다. 한편 리튬포어스의 PER은 0.56으로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ROE는 -119.96%로 수익성이 낮다. 이어 상승률 2위 하이드로리튬(101670)은 현재가 2,100원으로 주가가 24.48% 폭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국일제지(078130)는 현재 534원으로 24.19% 폭등하며 강세를 보인다. 상승률 4위 SGA(049470)는 19.75% 급등하며 2,395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네오이뮨텍(950220)은 15.85%의 급등세를 타고 1,323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SCL사이언스(246960)는 현재가 3,305원으로 15.16% 급등 중이다. 7위 천보(278280)는 현재가 47,500원으로 15.01% 급등 중이다. 8위 세아메카닉스(396300)는 현재가 3,825원으로 12.17% 급등 중이다. 9위 미래나노텍(095500)은 현재가 11,040원으로 11.74% 급등 중이다. 10위 내츄럴엔도텍(168330)은 현재가 4,105원으로 11.70% 급등 중이다. 이밖에도 디와이디(219550) ▲9.74%, 스튜디오미르(408900) ▲8.98%, 핸디소프트(220180) ▲8.68%, 원익홀딩스(030530) ▲8.55%, 산돌(419120) ▲7.65%, 세경하이테크(148150) ▲7.63%, NHN KCP(060250) ▲7.32%, 애니플러스(310200) ▲7.26%, 엘오티베큠(083310) ▲7.07%, 프로티아(303360) ▲6.96%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아날로그의 힘’ 서점 복합상가, 주변점포와 시너지↑

    ‘아날로그의 힘’ 서점 복합상가, 주변점포와 시너지↑

    디지털의 발달로 시대가 급변함에 따라 ‘새것’ 이었던 물건은 몇 개월만 지나도 ‘헌 것’으로 바뀌는 시대가 되어버렸다. 이렇게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서도 변함없는 아날로그 감성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은 바로 종이 냄새 가득한 ‘서점’이다. 그러나 요즘 서점은 아날로그 감성은 기본이요, 단순히 책을 파는 곳이 아니라 라이프스타일을 겨냥한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곳으로 탈바꿈하며 새로운 서점 문화를 주도한다. 이처럼 합정점 교보문고가 복합문화 상가를 지향하는 ‘딜라이트 스퀘어’에 들어서면서 상가 내 점포들도 더욱 활성화가 되고 있다. 수요자들은 딜라이트 스퀘어 내 마련된 교보문고는 물론 상가 내 입점한 스타벅스, 곤트란쉐리에, 플라워카페, 브리오슈도레 등의 프리미엄 디저트 및 계절밥상, 감성타코, 빚짜, 퀸즈콕, 도쿄스테이크, 바비브로스, 델리 등 트렌디한 F&B가 어우러진 신개념 복합 식음 문화 공간을 만들어 냈다 또한 올리브영, 삼성 디지털 프라자, GS25 등 다양한 리테일 점포들을 이용할 수 있고, 어린이·가족단위 배후수요는 아이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글로벌 어린이 놀이체험 공간인 ‘애플키즈 클럽’과 애니메이션 마니아들의 성지인 ‘애니플러스’ 등을 이용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뷰티숍, 의류매장, 브랜드 헤어살롱, 세븐에비뉴, 베니헤어 등의 오픈과 더불어 엄선된 메디컬 서비스, 클리닉 시설로 구성된 메디컬-클리닉 존이 탄생하면서 방문객들이 더욱 급증했고 기존 점포 간 시너지 효과도 보여진다. 교보문고와 딜라이트 스퀘어 내 앵커스토어 역할을 하는 입점 점포들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상가 방문객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기존 입점 점포들의 활성화는 물론 앞으로 입점 예정인 점포들까지 조기활성화가 가능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문화상가의 선두주자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는 딜라이트 스퀘어와 교보문고의 시너지효과로 인해 상가의 분양 및 임대문의가 급증하고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앵커스토어 점포들이 입점할 예정으로 향후 딜라이트 스퀘어의 미래가치가 더욱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딜라이트스퀘어는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MD 구성으로 마포구를 대표하는 랜드마크 상가로서의 위상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딜라이트스퀘어는 초역세권 2·6호선 합정역과 직접 연결되며 안정적인 배후수요 바탕으로 교보문고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신규 프랜차이즈 출점 및 개인 창업을 적극적으로 모집하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원스톱으로 쇼핑·문화·먹거리 즐기는 ‘딜라이트 스퀘어’, 임차인 모집

    원스톱으로 쇼핑·문화·먹거리 즐기는 ‘딜라이트 스퀘어’, 임차인 모집

    과거 음식점과 옷가게, 서점 등이 분리되어 운영되었던 기존의 상가들과 달리 쇼핑, 먹거리, 여가 등을 한자리에서 누릴 수 있는 복합상가가 임차인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고객이 필요로 하는 점포들이 한데 모여있어 상가 내 오래 머무르게 할 수 있어서다. 여기에 ‘볼거리’까지 추가 된다면 상가의 방문객이 급증하고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 고스란히 점포의 매출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현대인들의 휴식, 힐링이 필수적인 요소로 대두되면서 대형백화점, 테마파크, 복합상가 등 다양한 곳에서 쇼핑을 하는 고객의 오감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공연·전시 등이 이루어지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업계전문가는 “유명프랜차이즈 음식점, 커피숍 점포만으로는 수요자들을 사로잡기 힘들어 향후 문화마케팅으로 소비자들의 오감만족은 물론 힐링까지 할 수 있는 백화점, 복합상가 등이 인기를 끌 것이다”며 “이미 문화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곳에 입점하는 것이 임차인들에게는 초기에 점포를 활성화 하는데 유리하다”고 했다. 이 가운데 다채로운 문화마케팅과 앵커스토어 입점으로 고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합정역 ‘딜라이트 스퀘어’ 상가가 있어 임차인들의 지속적인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딜라이트 스퀘어는‘ 복합문화상가를 지향하는 상가로 지난 4월 딜라이트 갤러리를 전시실로 꾸며 방문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한 것은 물론 전시실 밖 외벽에도 이종철작가(한양여대 교수)의 작품을 전시해 방문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향후 사진전 등 다양한 문화마케팅이 이어질 예정으로 방문객들의 오감만족을 위한 계획을 구상중이다. ‘딜라이트 스퀘어’ 내에는 스타벅스, 곤트란쉐리에, 플라워카페, 브리오슈도레 등의 프리미엄 디저트 및 계절밥상, 감성타코, 빚짜, 퀸즈콕, 도쿄스테이크, 바비브로스, 델리 등 트렌디한 F&B가 어우러진 신개념 복합 식음 문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단지 내 입주민들은 물론 인근 직장인 수요와 유동인구까지 흡수해 항상 방문객들로 붐빈다. 이 외에도 뷰티숍, 의류매장, 브랜드 헤어살롱, 세븐에비뉴, 베니헤어 등의 오픈과 더불어 엄선된 메디컬 서비스, 클리닉 시설로 구성된 메디컬-클리닉 존이 탄생하면서 방문객들이 더욱 급증했다. 여기에 ‘한국판 츠타야 서점’이라고 불리는 합정 교보문고도 딜라이트 스퀘어 내 입점해 있어 시너지 효과도 상당하다. 또한 올리브영, 삼성 디지털 프라자, GS25 등 다양한 리테일 점포들을 이용할 수 있고, 어린이·가족단위 배후수요는 아이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글로벌 어린이 놀이체험 공간인 ‘애플키즈 클럽’과 애니메이션 마니아들의 성지인 ‘애니플러스’ 등을 이용 할 수 있다. ‘딜라이트 스퀘어’는 합정역 랜드마크급 상가로 이미 상가의 활성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잔여 호실에 대해서 임대가 진행 중이며 새 점포가 입점할 시 빠른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 교보문고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신규 프랜차이즈 출점 및 개인 창업을 적극적으로 모집하고 있어 많은 임차인들의 관심이 기대된다. ‘딜라이트 스퀘어’는 4만5620㎡규모로 형성 된 ‘마포한강 푸르지오’의 단지 내 상가로 하루평균 9만여명이 이용하는 합정 환승역세권과 이어져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상가에서 예술을 마주하다, 복합문화상가 ‘딜라이트 스퀘어’ 주목

    상가에서 예술을 마주하다, 복합문화상가 ‘딜라이트 스퀘어’ 주목

    상가는 과거부터 다양하게 발전해왔다. 처음에는 물건을 사고파는 것에 목적을 두었고,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유동인구의 유입이 쉬운 스트리트형 상가, 눈이 즐겁고 희소성이 있는 디자인 특화상가 등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합정역 초역세권 대형 복합몰인 ‘딜라이트 스퀘어’가 다양한 문화마케팅을 통해 하나의 문화상가로 자리잡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딜라이트 스퀘어’는 축구장 7개 크기인 4만5620㎡규모로 형성 된 ‘마포한강 푸르지오’의 단지 내 상가로, 지난 21일 동양 최대규모의 교보문고 합정점 오픈과 동시에 2단지 114호를 ‘딜라이트 갤러리’ 전시실로 꾸며 방문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전시실 밖 상가 외벽에도 100M가량의 길이로 이루어진 이종철 작가(한양여대 교수)의 ‘Ongoing delight: 환희속으로’ 작품도 전시해 방문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딜라이트 스퀘어’는 대한민국 문화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홍대 상권과 인접해 있고, 한류문화를 선도하는 유명 연예기획사들도 자리잡고 있는 합정역세권에 위치해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상가가 가진 입지적 장점과 수요자들을 겨냥한 트렌디한 MD구성까지 합쳐져 복합적 시너지 효과 발생이 가능하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이 상가는 일평균 9만명 이상의 유동인구가 이용하는 2,6호선 합정역과 직접 연결된며, 교보문고 내에는 문구 음반류를 취급하는 핫트랙스를 중심으로 매장 주변을 패션, 액세서리, 식음료 매장, 키즈카페까지 책 중심의 전반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아우를 수 있는 점포로 꾸몄다. ‘예움(예술이 움트는 곳)’과 ‘키움(꿈을 키우는 곳)’ 두 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는 교보문고 합정점은 고객 동선과 상품간 시너지를 고려하여 매장을 꾸미고 연결통로를 ‘책속의 길’로 꾸몄다. 지하철과 연결된 ‘예움’은 트렌디한 디자인 소품과 패션, 뷰티 업종과 어우러져 예술 분야가 특화된 MD를 선보이고, ‘키움’은 가족 단위의 여가를 즐기는 장소로 키즈카페, 디지털 상품 등과 어우러져 문학, 인문, 재테크, 어린이 분야 등을 배치했다. 편안하게 음악을 들으며 독서를 할 수 있는 뮤직라운지, 엄선된 아트상품과 각종 화방들이 진열된 아트샵, 정규 강좌와 강연회가 열리는 배움, 고객의 관심사에 맞게 상담과 추천을 해주는 북컨시어지데스크, 홍대를 찾는 젊은 독자들을 타깃으로 한 코믹존과 트래블존 등 특별한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상가에는 스타벅스, 폴바셋, 공차, 더플레이스, 계절밥상, 삼송빵집, 올리브영, 삼성 디지털 프라자, GS25 등 Retail도 입점되어 있으며 글로벌 어린이 놀이체험 공간인 ‘애플키즈 클럽’와 ‘애니플러스’ 등도 오픈해 어린이·가족단위 배후수요 모두를 아우를 수 있을 전망이다. 이 외에도 베이커리 명가 곤트란쉐리에, 오슬로, 보노보나, 감성타코앤그릴이 입점으로, 트렌디한 F&B가 어우러진 ‘딜라이트 스퀘어’만의 신개념 복합 식음 문화 공간 탄생도 기대된다. 분양관계자는 “딜라이트 스퀘어는 상가에 본질에 충실하되, 문화와 이야기가 공존하는 복합문화상가로 거듭나고 있다”며 “즐거운 공간이라는 상가의 이름처럼 방문객들에게 볼거리, 놀거리를 제공하고, 무엇을 사러 오는 곳이 아닌 문화를 즐기러 오는 공간을 만들고 싶다”고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아이부터 어른까지 즐길거리 풍부한 합정 ‘딜라이트 스퀘어’ 눈길

    아이부터 어른까지 즐길거리 풍부한 합정 ‘딜라이트 스퀘어’ 눈길

    합정역 2,6호선과 직접 연결되는 초대형 복합몰 ‘딜라이트 스퀘어’가 고객들을 겨냥한 매력적인 MD 구성으로 눈길을 끌고 있다. 하루 평균 9만여 명의 유동인구를 배후수요로 품은 딜라이트 스퀘어에 오는 4월 약 2,400평(전용) 규모의 복합 문화 서점인 교보문고가 들어선다. 우리나라 대표격인 대형 서점 교보문고와 문구 및 기프트 등의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교보 핫트랙스와의 시너지를 통하여 기존 배후수요, 해외 관광객 및 유동인구의 집객은 물론 고객이 머물고 싶은 장소로 탄생할 예정이다. 실제로 교보문고 광화문점은 연간 이용객이 1,000만 명 이상이며 추가로 교보문고가 위치한 층에는 백발백중 고객 취향을 겨냥한 다양한 MD 계획이 적용되어 상당한 집객 효과가 예상된다. CJ 대표 한식브랜드 계절밥상, 매드포갈릭,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십 우승에 빛나는 폴 바셋, 프리미엄 김밥의 선두주자 로봇김밥, 마약 옥수수빵으로 유명한 삼송빵집, 스무디킹, 공차 등 다양한 F&B 브랜드와 올리브영, 삼성 모바일, 아베다 등의 Retail이 입점할 계획이다. 또한 글로벌 어린이 놀이체험 공간인 ‘플레이타임’과 ‘애니플러스’등도 입점 예정이므로 어린이·가족단위의 수요 또한 모두 아우르는 공간으로 확장 될 것이다. 이 외에도 스타벅스, 베이커리 명가 곤트란쉐리에, 커피빈, 골든 치즈 타르트, 감성타코, 쿤스트테이블 등이 입점 되어있어 트렌디한 F&B가 어우러진 ‘딜라이트 스퀘어’만의 신개념 복합 식음 문화 공간을 탄생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교보문고 입점을 포함하여 매력적인 MD로 구성되어있는 딜라이트 스퀘어는 축구장 7개 규모와 맞먹는 총 45,620㎡의 면적으로 구성되는 단지 내 복합상가이자 강북의 랜드마크이다. 오픈 브릿지를 통해 마포한강 푸르지오 1,2차 단지와도 이어지도록 설계돼 빠르고 편리한 쇼핑 동선으로 폭넓은 유동인구를 흡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분양 및 입점 계약은 분양사무소에서 진행 중으로 계약시 계약금은 10%이며 입점 시 잔금을 지급하면 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부고]

    ●신언(전 주파키스탄 대사)민(동명대 교수)씨 모친상 정상태(전 스포츠서울 대표이사)씨 장모상 최인순(한국과학복식재단 이사장)씨 시모상 2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3일 오전 8시 (02)3010-2292 ●전용원(전 국회의원)씨 부친상 2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3일 오전 8시 (02)3010-2265 ●소문상(전 청와대 정무비서관)씨 부친상 이강원(전북대 교수)씨 장인상 정미숙(삼각산고 교사)씨 시부상 2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3일 오전 8시 30분 (02)3410-6901 ●이근수(전 공정거래위원회 국장)씨 별세 병서(CJ제일제당 부장)씨 부친상 강건희(STX팬오션 홍콩법인 차장)씨 장인상 20일 경희의료원, 발인 23일 오전 9시 (02)958-9548 ●이기호(ABC마트 대표)씨 모친상 21일 부산의료원, 발인 23일 오전 11시 (051)607-2651 ●김갑성(경희대 응용과학대학장)씨 모친상 김정애(경희대 영문과 교수)씨 시모상 강용희(경북대 지구과학과 교수)씨 장모상 21일 경희의료원, 발인 23일 오전 8시 (02)958-9551 ●김관규(세중 법인영업2팀장)씨 별세 21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23일 오전 8시 (02)2258-5975 ●장재호(애니플러스 전무이사)연호(미래에셋생명 팀장)씨 부친상 서윤희(RBS 이사)나혜주(GH 코리아 차장)씨 시부상 2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3일 오전 6시 30분 (02)3010-2291 ●김상태(성원열기 대표)상진(미국 거주·목사)씨 부친상 박지홍(삼성전자 부장)이윤찬(에어프로덕트코리아 상무)씨 장인상 21일 경북대병원, 발인 24일 오전 9시 (053)420-6144 ●윤원성(자영업)씨 모친상 김종우(자영업)김형균(부산시 창조도시본부장)씨 장모상 21일 부산의료원, 발인 23일 오전 6시 30분 (051)607-2990 ●강철구(다솔항공 대표이사)씨 모친상 21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3일 오전 10시 (02)2227-7594 ●김형수(영동군 서울사무소장·전 코트라 홍콩관장)씨 부인상 시내(보더폰 시드니)보라(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부장)씨 모친상 김정현(베스트 웨스턴 클로니얼 호텔 대표)강상욱(레드불 한국지사장)씨 장모상 2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3일 오전 10시 (02)3410-6907 ●이경열(전 농산물검역소장)씨 별세 기수(전 외환카드 부장)기석(외교통상부 운영지원과장)기훈(삼성엔지니어링 부장)기순(여성가족부 여성정책국장)씨 부친상 임헌문(KT 전무)씨 장인상 2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3일 오전 5시 30분 (02)3010-229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