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증의 킥오프]차세대 주역 박주영
한국 축구의 괴물, 득점 기계, 보배, 아시아의 샛별 등등. 요즘 박주영에게 붙어 다니는 수식어들이다.
카타르 8개국 초청 청소년(U-20)대회에서 차세대 스타로 확실한 눈도장을 찍은 그는 특별한 위치를 가리지 않을 뿐 아니라 왼발, 오른발, 머리 등 몸이 닿는 곳마다 골을 쏟아낼 수 있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볼 컨트롤이 좋아 슛을 자유자재로 쏠 수 있고, 수비수가 마크할 수 없는 공간 침투와 역동작 등 특유의 타고난 감각이 빛을 발하기 때문이다. 슛의 정확도가 다른 선수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것을 감안하면 당연한 결과다.
그동안 골 결정력에 목말라 있던 축구팬들은 한국 축구를 이끌어갈 대들보로 박주영을 낙점해 놓고 있다. 또 축구협회나 각 언론사의 홈페이지에는 박주영을 국가대표팀으로 빨리 보내라는 주문이 쇄도하고 있다. 필자 역시 공감하는 부분이다. 기량면에서도 기존 대표선수에 비해 전혀 손색이 없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발전을 위해서는 더 높은 수준의 축구를 경험해야 한다는 것 역시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올해 6월 네덜란드 세계청소년선수권대회는 한국 청소년축구가 세계에 다시 한번 위상을 떨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박주영이 대표팀으로 자리를 옮긴 청소년팀의 전력이 어느 정도일지 축구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2003년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세계청소년대회를 앞둔 시점에서 최성국은 대표팀과 청소년팀을 오가며 적응에 실패, 청소년팀 전력에 큰 차질을 빚었다.
그리고 대표팀의 선수 구성은 감독 고유 권한이다. 요하네스 본프레레 감독은 박주영의 기술과 두뇌 플레이, 성실성 등은 인정하지만 체력과 경기 경험이 다소 미흡한 것을 늘 염두에 두는 것 같다.
6월 세계청소년대회가 박주영에게 주는 의미는 크다. 또래들의 세계 수준을 경험하며 시야를 넓힐 수 있고, 자신을 세계 무대에 선보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세계청소년대회는 세계의 수 많은 스카우트들이 모여 장래가 촉망되는 선수들을 점찍는 장이기도 하다.
박주영을 성급하게 국가대표팀에 발탁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로 하여금 뿌리를 잘 내리고 착실히 잘 자랄 수 있도록 뒷받침해 줄 지혜를 모으는 것이다. 그런 과정에서 차세대 한국의 대들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국제축구연맹(FIFA) 기술위원 youngj-cho@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