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맞수] 중원의 사령관 발끝 주목하라
2008년 9월10일 중국 상하이 홍커우스타디움. 한 발짝, 한 발짝이 백척간두에서 미끄러지느냐 아니냐를 가름하는 2010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이 열리고 있었다. 남북한 대결이었다. 후반 23분 한국 벤치에서 환호성이 터졌다. 김두현(27·수원)이 하프라인 서클 근처에서 크로스로 올린 공을 기성용(20·셀틱)이 아크 정면에서 가슴 트래핑으로 떨어뜨린 뒤 오른발 발리 슛으로 북한 골네트를 흔들었다. 후반 18분 북한 홍영조에게 골을 내주며 0-1로 끌려가던 절체절명의 위기상황이었다.
태극사단 막내인 기성용은 그렇게 국제무대 첫 골을 뽑았다. 한·일전 못잖게 승부 이상의 승부로 불리는 북한전에서 15년 만에 첫 패배를 기록할 뻔한 팀을 수렁에서 건졌다. 1993년 10월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미국 월드컵 예선 3-0 승리 이후 한국은 북한을 상대로 지독하게도 승리인연을 맺지 못했다. 닷새 앞서 요르단과의 친선경기에 선발로 75분을 뛰며 A매치 데뷔전을 치른 그에겐 가슴 설레는 골맛이었다.
기성용은 가냘퍼 보이지만 부드러운 몸놀림에 탁월한 신체조건과 스피드, 기술, 시야, 공격력을 갖췄다. 힘싸움에서 고전하긴 하지만 뛰어난 창의성으로 거뜬히 극복해 낸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사일 같이 낮고 빠르며 날카로운 킥으로 대표팀 전담 프리키커를 맡고 있다. 잉글랜드의 스티븐 제라드(29·리버풀)와 닮았다는 데서 ‘기라드’라는 별명을 얻은 그는 20세 이하(U-20) 대표팀에 뽑혀 2007년 FIFA U-20 월드컵, 베이징올림픽에 참가하는 등 엘리트 코스를 차곡차곡 밟았다.
2006년 FC서울에 입단한 뒤 2008년 플레이오프에서 준우승을 이끌며 키플레이어로 터를 잡았다. 올 들어 분데스리가 함부르크, 프리메라리가 FC포르투, 네덜란드 PSV에인트호벤에서 러브콜을 받다가 결국 스코틀랜드 명문 셀틱FC에 안착하게 됐다.
기성용은 내년 6월23일 오전 3시30분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스타디움에서 아르헨티나팀의 ‘맏형’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34·에스투디안테스)과 중원 대결을 갖는다. 에스투디안테스는 클럽월드컵에 출전한 K-리그 포항과 16일 준결승에서 맞붙는다
베론은 프리미어리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첼시, 세리에A 라치오 등 빅리그를 두루 거친 베테랑. 데이비드 베컴(34·LA갤럭시), 지네딘 지단(38), 루이스 피구(37·이상 은퇴)와 더불어 당대 세계 최고의 미드필더라는 말까지 듣는다. 현란한 드리블로 팀을 이끄는 그에게 팬들은 역시 선수였던 아버지의 별명 ‘마녀’를 본떠 ‘작은 마녀’라고 부른다. 몸무게 79㎏의 호리호리한 몸매에 그라운드를 헤집고 다니며 예술적 패스를 한다고 해 어릴 적부터 ‘뱀장어’라는 별칭을 얻었다.
중·장거리 슛에 능하고 세트피스 상황에서 유달리 강한 면모도 기성용과 비슷하다. 1996년부터 국가대표팀에 꾸준히 부름을 받았다. 한동안 부진했지만 지난해 ‘남미의 올해의 선수’로 뽑히며 제2 르네상스 시대를 활짝 열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