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단거리 지대공 ‘미스트랄3’ 공동 조달…韓 ‘신궁’ 수출 ‘빨간불’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론의 활약이 두드러지면서 그간 주목받지 못하던 지대공 미사일의 중요성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특히 병사 1인이 운용하는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MANPADS)과 그보다 큰 단거리 방공(SHORAD) 미사일은 샤헤드-136 자폭 드론과 순항미사일 요격에 효과를 보이며 핵심 방어 체계로 떠올랐다. 유럽에서는 미사일 제작사 MBDA가 개발한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미스트랄(Mistral)이 주목받는다.
미스트랄은 거치형 외에도 차량, 함정, 헬기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운용 가능한 다재다능함을 자랑한다. 1990년 프랑스군에 처음 도입된 이래 여러 국가로 수출됐으며, 우리나라 역시 과거 일부 운용한 바 있다. 미스트랄은 꾸준한 개량을 통해 1998년 미스트랄2, 2013년 미스트랄3가 개발됐다. 지금도 미스트랄3의 성능 개선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미스트랄3는 부스터를 제외한 길이 1.88m, 직경 92㎜, 중량 19.7㎏, 탄두 중량 2.95㎏이며, 유효사거리 8㎞, 최대고도 6㎞에 달한다. 레이저 근접 또는 충격식 신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적외선 영상(IIR) 탐색기를 탑재해 표적 식별 능력과 적의 교란 대응 능력을 향상시켰다.
특히 미스트랄3는 해상 표적 대응 능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난 6월 MBDA는 스페인에서 소형 고속 선박(FIAC)을 격침하는 시험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험은 함정 근접 방어용으로 사용되는 2연장 원격 조종 발사대인 심바드(SIMBAD)-RC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미스트랄은 유럽연합(EU) 회원국 안보 강화를 위한 공동 조달 품목으로도 선정됐다. 지난해 11월 EU 집행위원회는 유럽 방위 산업 강화(EDIRPA) 구상에 따라 프랑스와 벨기에, 키프로스, 에스토니아, 스페인, 헝가리, 슬로베니아, 루마니아, 덴마크 등 9개국의 미스트랄3 공동 조달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올해 초 우리나라에서 ‘신궁’을 도입했던 루마니아도 지난 17일 미스트랄 300대를 구매한다고 공식 발표하며 EU의 공동 조달 움직임에 힘을 보탰다.
미스트랄3의 유럽 공동 조달과 소형 표적에 대한 요격 능력 검증은 우리나라의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신궁의 수출에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의 드론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우리 역시 신궁의 성능 개량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