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년에나 다시 도전…김병환 설득에도 MSCI 선진국지수 편입 불발, 외국인 투자 접근성이 발목
한국 증시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DM) 지수 편입이 또다시 좌절됐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직접 나서 MSCI 고위층을 설득했지만, 선진국 지수 편입의 첫 관문인 ‘관찰대상국(워치리스트)’ 등재조차 실패했다.
MSCI는 24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2025년 연례 시장 분류 결과를 발표하며, 한국은 기존의 신흥국(EM) 지위에 그대로 머문다고 밝혔다. 한국은 현재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라질 등과 함께 신흥시장으로 분류된다. MSCI 선진국 지수는 미국, 영국 등 23개국으로 구성된다. 아시아권에서는 일본, 홍콩, 싱가포르 등이 포함돼 있다.
MSCI는 보고서에서 한국 증시의 시장 접근성 개선 조치들을 인정하면서도, 외국인 투자자의 불확실성 우려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 3월 전면 해제된 공매도 금지 조치와 관련해 “시장 활동은 회복됐지만, 규정 준수 부담과 갑작스러운 규제 변화에 대한 우려가 남아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선진국 지수 편입 논의를 위해선 모든 쟁점이 해결돼야 하며, 변화의 효과를 시장 참가자들이 충분히 평가할 시간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려면 관찰대상국으로 최소 1년 이상 지정돼야 한다. 이번에도 관찰대상국 명단에 오르지 못하면서 한국의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도전은 내년 6월로 미뤄졌다. 내년 관찰대상국에 등재될 경우, 2027년 6월에 정식 편입이 발표되고, 실제 편입은 2028년 6월에야 이뤄지는 수순을 밟게 된다.
김병환 위원장은 지난 4월 미국 출장 당시 MSCI 최고위급 인사와 비공개 면담을 갖고, “외국인 투자자의 접근성 개선을 위한 한국의 정책 노력을 정당하게 평가해달라”고 요청했다. 당시 김소영 전 부위원장도 “관찰대상국 등재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힌 바 있지만, 결과적으로 기대는 빗나갔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우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지수 편입 자체가 아니라 자본시장 선진화”라면서도 “MSCI 지수 편입은 이를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수단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개선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MSCI는 매년 세계 주요 증시를 선진시장, 신흥시장, 프론티어시장, 독립시장으로 구분하며, 이 분류는 글로벌 기관투자자의 자산 배분과 자금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