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LA
    2025-08-0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4,810
  • 80년 전 침몰한 미 항공모함서 찾아낸 ‘완전무장’ 폭격기 “놀라운 발견”

    80년 전 침몰한 미 항공모함서 찾아낸 ‘완전무장’ 폭격기 “놀라운 발견”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 당시 일본군의 공격으로 침몰한 미국의 항공모함에서 이번에는 항공기가 발견됐다. 지난 23일(현지시간) CBS 뉴스 등 현지 언론은 바닷속에 수장된 미 항공모함 USS 요크타운을 탐사하는 과정에서 자동차에 이어 당시 공중전에 참전한 항공기들이 찾아냈다고 보도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추가로 공개한 사진 속에 모습을 드러낸 항공기는 더글러스 SBD 돈틀리스 폭격기로, 격납고 갑판에 최소 3대가 있었다. 특히 이 중 한 대는 완전히 무장한 상태였으며 다른 두 대는 전투로 파손된 흔적이 보여, 당시 일본 항공모함을 공격한 후 USS 요크타운에 착륙한 USS 엔터프라이즈 폭격기 편대 소속으로 추정된다. SBD 돈틀리스는 미드웨이 해전 당시 일본군 함선을 바다에 침몰시키는 급강하 정찰 폭격기로 맹위를 떨쳤다. NOAA 해양탐사팀은 “지난 19일과 20일 원격 조종 카메라를 보내 수장된 USS 요크타운의 내부를 촬영했다”면서 “가장 놀라운 발견은 미드웨이 해전 당시 사용된 항공기가 처음 드러났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이어 “격납고에서 여러 개의 비행기 날개도 식별됐는데 이는 예비 부품일 가능성이 높다”면서 “내부 엘리베이터에서 USS 요크타운의 전 세계 항해를 직접 그린 벽화도 포착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NOAA는 USS 요크타운 격납고에서 찾아낸 정체불명의 자동차 사진을 공개해 관심을 끈 바 있다. 1940~1941년 포드에서 제작한 차량 ‘우디’로 추정되는 이 자동차는 함대 사령관 프랭크 플레처 제독이 사용했거나 혹은 수리를 위해 항공모함에 실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파이팅 레이디’(Fighting Lady)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USS 요크타운은 2000명의 승조원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 240m의 항공모함이다. 1937년 취역해 제2차 세계대전 중 태평양 전선에서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다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 중 일본군의 어뢰에 침몰했다. 오랜 시간 바닷속에 잠들어있던 USS 요크타운이 다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98년이다. 당시 비영리단체 ‘대양 탐사 트러스트’(Ocean Exploration Trust)가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북서쪽으로 약 2092㎞ 떨어진 지점에서 이 항공모함을 찾아냈다. 수심 약 4.8㎞ 아래에 잠든 USS 요크타운은 당시 치열했던 전쟁의 상흔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태평양 전쟁의 흐름이 완전히 바뀌며 일본의 패망을 앞당긴 미드웨이 해전은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한 지 6개월 후인 1942년 6월 일어났다. 당시 미군은 암호를 해독해 일본군이 전략적 요충지인 미드웨이 해역을 공격한다는 정보를 파악, 일본의 군국주의 상징인 항공모함 ‘가가’(加賀)와 ‘아카기’(赤城)를 비롯한 항공모함 4척과 항공기 약 250대 이상을 격추했으며 이 과정에서 일본군 30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 경기도일자리재단 ‘잡아드림’, 모바일 어워드 코리아 ‘대상’

    경기도일자리재단 ‘잡아드림’, 모바일 어워드 코리아 ‘대상’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위치 기반 AI 일자리 서비스 앱인 ‘잡아드림’이 국내 최고 권위의 앱 시상식 중 하나인 ‘모바일 어워드 코리아 2025’ 공공서비스 부문 대상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잡아드림’ 핵심 기능 중 하나인 일자리 맵은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내 주위의 일자리를 한눈에 보여주는 서비스로, 워라밸(work-life balance)을 중시하고 직·주·근·접 일자리를 선호하는 구직자 트랜드 맞춰 일자리 정보 제공한다. 또한, 자신의 관심 분야를 설정 및 사용패턴을 분석한 AI 맞춤형 일자리 추천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전문 직업 상담사의 1:1 비대면 취업 컨설팅도 가능하다. 윤덕룡 경기도일자리재단 대표이사는 “잡아드림의 혁신적인 일자리 앱 서비스가 인정받고 널리 알려져 더 많은 도민과 이용자들이 공공 서비스에 쉽게 접근하고 높은 만족을 느끼게 되길 소망한다”며, “앞으로도 일자리 전반의 다양한 정책과 혁신을 이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잡아드림”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 앱 스토어에서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다.
  • ‘악동’ 푸이그, 머리 향한 직구에 발끈…KBO서 첫 벤치클리어링

    ‘악동’ 푸이그, 머리 향한 직구에 발끈…KBO서 첫 벤치클리어링

    키움 히어로즈의 외국인 타자 야시엘 푸이그(34)가 머리로 날아온 공에 발끈하며 벤치클리어링이 벌어졌다. 지난 23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KBO리그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푸이그는 5번 타자 좌익수로 선발 출전했다. 4회 말 타석에 선 푸이그는 시속 148km 직구가 얼굴로 향하자 화난 얼굴로 상대 투수인 김유성(23)을 노려봤다. 푸이그는 배트를 손에 쥔 채 마운드로 걸어갔고, 양 팀 선수들이 경기장에 쏟아지는 벤치클리어링이 벌어졌다. 이후 두산 포수 양의지(37)와 키움 선수들이 푸이그를 말리면서 큰 충돌로 이어지지는 않았고 경기는 약 1분간 중단됐다. 심판진은 김유성에게 빈볼성 투구와 관련해 경고를 줬고, 두산 코치진은 김유성을 강판하고 투수를 최준호(20)로 교체했다. 키움은 벤치클리어링 이후 이어진 5회 두산의 역전을 허용하며 경기에서 2-8로 패배했다. 이날 두산 선발투수였던 김유성은 경기 초반부터 제구에 어려움을 겪었다. 푸이그는 2회 말 첫 타석부터 김유성의 변화구에 맞고 출루했다. 다음 타자 임지열(29)에게도 몸쪽 공이 날아오자 임지열은 손가락을 펴 보이며 김유성에게 벌써 두 번째 위협구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푸이그는 과거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벤치클리어링 시 과격한 행동으로 ‘야생마’, ‘악동’ 등의 별명을 얻었다. 그는 LA 다저스 소속이던 2018년 상대 선수에게 주먹을 휘두르고 여러 차례 몸싸움을 유발해 2경기 출장정지 징계를 받기도 했다. KBO리그에서는 이번이 첫 번째 벤치클리어링이었다. 푸이그는 2022년 키움에 입단하면서 “벤치클리어링이 발생해도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라고 약속한 바 있다. 이번 벤치클리어링에서 순순히 물러나는 푸이그의 모습에 야구팬들은 “푸이그 성격 많이 죽었네”, “김유성이 잘못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 디지털 아트의 모든것...‘루프 랩 부산’ 부산전역서 만난다

    디지털 아트의 모든것...‘루프 랩 부산’ 부산전역서 만난다

    부산이 디지털아트의 성지로 거듭난다. 부산시립미술관은 디지털 미디어 페스티벌 ‘루프 랩 부산(Loop Lab Busan)’을 시 전역 26개 문화기관과 공공장소에서 동시에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루프 랩 부산은 시간, 이미지를 매개하는 국제 디지털 미디어 아트 플랫폼으로, 공동체의 수평적 연대를 실험하는 아시아 최초의 대안적 행사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현실과 가상, 현대미술과 대중문화, 창작과 소비의 경계가 어떻게 허물어지고 있는지를 실험적으로 보여준다. 이번 전시는 현대미술 작가, 10만∼100만명의 팔로워를 가지고 있는 디지털 창작자의 작품도 포함돼 기존 디지털 미디어 아트와 다른 새로운 시도를 만나 볼 수 있다. 스페인의 ‘루프 바르셀로세로나’를 모델로 하는 이번 전시는 시립미술관뿐 아니라 도모헌, F1963(석천홀) 부산문화회관 등 문화공간, 부산시청 김해공항 등 공공장소, 국제갤러리 등 미술공간 등 부산 전역 26곳에서 오는 6월 29일까지 동시 개최된다. 관람객들은 부산 곳곳을 여행하듯 다니며 비디오, 설치미술,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퍼포먼스, 인공지능(AI) 기반 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현대 디지털 아트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체험할 수 있다.
  • [포착] 1942년 日 어뢰에 침몰한 美 항공모함서 자동차 이어 폭격기 발견

    [포착] 1942년 日 어뢰에 침몰한 美 항공모함서 자동차 이어 폭격기 발견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 당시 일본군의 공격으로 침몰한 미국의 항공모함에서 이번에는 항공기가 발견됐다. 지난 23일(현지시간) CBS 뉴스 등 현지 언론은 바닷속에 수장된 미 항공모함 USS 요크타운을 탐사하는 과정에서 자동차에 이어 당시 공중전에 참전한 항공기들이 찾아냈다고 보도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추가로 공개한 사진 속에 모습을 드러낸 항공기는 더글러스 SBD 돈틀리스 폭격기로, 격납고 갑판에 최소 3대가 있었다. 특히 이 중 한 대는 완전히 무장한 상태였으며 다른 두 대는 전투로 파손된 흔적이 보여, 당시 일본 항공모함을 공격한 후 USS 요크타운에 착륙한 USS 엔터프라이즈 폭격기 편대 소속으로 추정된다. SBD 돈틀리스는 미드웨이 해전 당시 일본군 함선을 바다에 침몰시키는 급강하 정찰 폭격기로 맹위를 떨쳤다. NOAA 해양탐사팀은 “지난 19일과 20일 원격 조종 카메라를 보내 수장된 USS 요크타운의 내부를 촬영했다”면서 “가장 놀라운 발견은 미드웨이 해전 당시 사용된 항공기가 처음 드러났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이어 “격납고에서 여러 개의 비행기 날개도 식별됐는데 이는 예비 부품일 가능성이 높다”면서 “내부 엘리베이터에서 USS 요크타운의 전 세계 항해를 직접 그린 벽화도 포착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NOAA는 USS 요크타운 격납고에서 찾아낸 정체불명의 자동차 사진을 공개해 관심을 끈 바 있다. 1940~1941년 포드에서 제작한 차량 ‘우디’로 추정되는 이 자동차는 함대 사령관 프랭크 플레처 제독이 사용했거나 혹은 수리를 위해 항공모함에 실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파이팅 레이디’(Fighting Lady)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USS 요크타운은 2000명의 승조원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 240m의 항공모함이다. 1937년 취역해 제2차 세계대전 중 태평양 전선에서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다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 중 일본군의 어뢰에 침몰했다. 오랜 시간 바닷속에 잠들어있던 USS 요크타운이 다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98년이다. 당시 비영리단체 ‘대양 탐사 트러스트’(Ocean Exploration Trust)가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북서쪽으로 약 2092㎞ 떨어진 지점에서 이 항공모함을 찾아냈다. 수심 약 4.8㎞ 아래에 잠든 USS 요크타운은 당시 치열했던 전쟁의 상흔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태평양 전쟁의 흐름이 완전히 바뀌며 일본의 패망을 앞당긴 미드웨이 해전은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한 지 6개월 후인 1942년 6월 일어났다. 당시 미군은 암호를 해독해 일본군이 전략적 요충지인 미드웨이 해역을 공격한다는 정보를 파악, 일본의 군국주의 상징인 항공모함 ‘가가’(加賀)와 ‘아카기’(赤城)를 비롯한 항공모함 4척과 항공기 약 250대 이상을 격추했으며 이 과정에서 일본군 30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 저스트비 배인, 男아이돌 최초 커밍아웃…“다르다는 건 아름다워”

    저스트비 배인, 男아이돌 최초 커밍아웃…“다르다는 건 아름다워”

    아이돌 그룹 ‘저스트비’(JUST B)의 멤버 배인(본명 송병희·23)이 공개적으로 성소수자임을 밝혔다. 배인은 22일(현지 시각)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린 ‘저스트 오드’(JUST ODD) 공연에서 전격 커밍아웃했다. 배인은 무대에서 영어로 “오늘 밤, 여러분에게 알려드릴 사실이 있다”고 입을 연 뒤 “나는 게이로서 LGBTQ 공동체의 일원이 된 것이 자랑스럽다”고 밝혔다. LGBTQ는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성전환자, 퀴어의 첫 글자를 따 합친 말로, 성소수자를 통칭한다. 배인은 “나의 여왕, 존경하는 레이디 가가가 ‘다름’은 아름다운 것이라고 알려줬다”고 외쳤다. 이어 “성소수자, 혹은 아직 정체성을 찾고자 노력 중인 분들, 또한 그 밖의 모든 분께 한 말씀 드린다”며 “당신은 공감받고, 사랑받고, 그렇게 태어났다”(You’re seen, you’re loved, and you were born this way)고 말했다. 배인은 커밍아웃을 마친 후 미국 팝스타 레이디 가가의 노래 ‘본 디스 웨이’(Born This Way)를 부르며 무지개 깃발을 흔들었다. 무지개 깃발은 성소수자를 상징한다. 그는 공연 후 관객 인사 때 “오늘은 내가 온전해질 수 있어서 행복하다”고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케이팝(K-POP) 아이돌 그룹 멤버의 커밍아웃은 이번이 세 번째다. 2020년 그룹 ‘와썹’ 출신 김지애(29)가 양성애자라고 밝혔고, 지난해에는 그룹 ‘캣츠아이’ 멤버 라라(19)도 양성애자임을 드러낸 바 있다. 남성 아이돌로는 배인이 처음이다. 배인은 2021년 이건우(24), 임지민(23), 시우(23), 전도염(23), 김상우(22)와 함께 저스트비로 데뷔했다. 지난해에는 엠넷(Mnet) 서바이벌 프로그램 ‘로드 투 킹덤: 에이스 오브 에이스’에 출연해 시선을 끌었다. 현재는 지난달 발매한 디지털 앨범 ‘저스트 오드’(JUST ODD)로 활동 중이다.
  • [서울데이터랩]빅테크 TOP7, 상승세 지속

    [서울데이터랩]빅테크 TOP7, 상승세 지속

    23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Magnificent 7(빅테크 TOP7) 종목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는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애플(AAPL)은 204.60달러로 2.43% 상승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374.39달러로 2.06% 상승하며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엔비디아(NVDA)는 102.71달러로 3.86%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아마존닷컴은 180.60달러로 4.28% 상승했다. 메타는 520.27달러로 4.00% 상승했다. 알파벳 Class A는 155.35달러로 2.56% 상승했다. 알파벳 Class C는 157.72달러로 2.48% 상승했다. 금일 가장 많이 거래된 종목은 테슬라로, 거래량은 245,209,406주, 거래대금은 25,376,573달러로 약 36조 2,251억원에 달한다. 테슬라의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1.02%를 기록했다. 두 번째로 많이 거래된 종목은 애플로, 거래량은 52,076,168주, 거래대금은 10,695,088달러로 약 15조 2,672억원에 해당한다. 애플의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0.25%를 기록했다. 세 번째로 거래대금이 높은 종목은 마이크로소프트로, 거래대금은 7,597,874달러로 약 10조 8,460억원에 달하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0.27%를 기록했다.
  • 광주시, 무등산 평촌마을 ‘지오빌리지’ 지정

    광주시, 무등산 평촌마을 ‘지오빌리지’ 지정

    광주시는 23일 무등산 평촌마을을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오빌리지(Geo-Village)’로 지정하고, ‘생태관광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지오빌리지’는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내 지질·생태·문화적 특성을 활용해 새로운 형태의 지질관광을 제공하는 마을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정현윤 광주시 기후환경국장과 이은석 무등산 평촌마을 대표 등이 참석했다. 무등산 북쪽 자락에 자리잡은 평촌(坪村)마을은 동림, 우성, 담안, 닭뫼 등 4개 마을로 형성된 아담하고 조용한 농촌마을이다. 우수한 생태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5년 환경부로부터 생태관광지로 지정됐고, 2024년 9월에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선정됐다. 또, 농어촌 체험·휴양마을과 국립공원마을로도 지정됐다. 광주시와 평촌마을은 이번 지오빌리지 지정과 협력 협약을 통해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브랜드가치 상승을 도모할 방침이다. 광주시는 사업 수행에 필요한 편의 제공과 홍보 활동을 추진하고, 평촌마을은 생태관광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게 된다. 또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과 연계한 지오브랜드 개발·운영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정현윤 기후환경국장은 “평촌마을 주민과 활발한 협력을 통해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내 특색있는 지오빌리지로 가꿔 세계 모범사례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무등산을 둘러싸고 있는 광주·담양·화순의 지질명소 24개소, 역사문화명소 43개소 등 다양한 지질명소로 구성돼 있다.
  • [서울데이터랩]빅테크 7개사 주가 상승세 주도

    [서울데이터랩]빅테크 7개사 주가 상승세 주도

    22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Magnificent 7(빅테크 TOP7) 종목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대부분의 종목이 상승세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애플(AAPL)은 3.41% 상승하여 199.7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2.14% 상승하며 366.82달러를 기록했다. 아마존닷컴(AMZN) 역시 3.50% 상승하여 173.18달러로 마감했다. 엔비디아(NVDA)는 2.04% 상승했다. 메타(META)는 3.22% 상승하며 주가가 500.28달러를 기록했다. 알파벳 Class A(GOOGL)는 2.57% 올랐다. 알파벳 Class C(GOOG)는 2.70% 상승했다. 금일 가장 많이 거래된 종목은 테슬라로, 108,126,394주의 거래량과 25,641,483달러로 약 36조 6,468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했다. 테슬라의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33.5%에 해당한다. 두 번째로 많이 거래된 종목은 아마존닷컴으로, 232,182,821주의 거래량과 22,905,324달러로 약 32조 7,363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했으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94.9%를 기록했다. 세 번째로는 애플이 51,776,765주의 거래량과 10,314,418달러로 약 14조 7,414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29.5%에 달했다.
  • 트럼프 “중국과 무역 협상 잘 되고 있다…파월 의장 해고할 생각은 없어”

    트럼프 “중국과 무역 협상 잘 되고 있다…파월 의장 해고할 생각은 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연방준비제도(연준)에 금리 인하를 촉구하면서도 “제롬 파월 의장을 해고할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폴 앳킨스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취임 선서 행사 뒤 기자들과 만나 “모든 것(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이 내려가고 있다”면서 “내려오지 않은 것은 기준금리뿐”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연준이 금리를 낮춰야 한다. 지금이 금리를 낮추기에 완벽한 시기”라면서 “우리는 파월 의장이 늦지 않고 제 시간에 오기를 원한다. 늦는 것은 좋지 않다(Late’s not good)”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파월 의장을 해고할 생각은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까지 파월 의장을 ‘패배자’,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라 공격하며 연준에 금리 인하를 압박했지만 하루만에 이를 누그러뜨린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우리는 중국과 잘하고 있다(doing fine with China)”면서 중국과의 무역 긴장이 완화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협정 체결을 위해 중국에 강경하게 행동할 의도가 없다”면서 “지금 (미국은) 황금시대이며, 중국은 그것의 일부가 되고 싶어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국에 대한 최종 관세가 145%가 되지는 않을 것이며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면서 “그렇다고 0%가 되지도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비공개 회견에서 “미중 무역 전쟁이 곧 완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고, 이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중국과의 협정이 잘 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만약 (중국이) 협상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그것(관세율)을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트럼프, 파월 때리자 역대급 ‘셀 아메리카’… 金·코인에 돈 몰린다

    트럼프, 파월 때리자 역대급 ‘셀 아메리카’… 金·코인에 돈 몰린다

    金값 연초 대비 30% 이상 급등세달러화는 2022년 3월 이후 최저치비트코인 한 달 만에 8.8만弗 복귀트럼프, 파월 겨냥 금리 인하 압박외국인, 코스피 8거래일 연속 ‘팔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을 직격하면서 ‘셀 아메리카’ 양상이 뚜렷하다. 달러와 주식, 채권이 일제히 급락하는 ‘트리플 약세’가 나타나며 미국 금융시장에서 글로벌 자금 이탈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미국을 떠난 자금이 안전자산에 집중되면서 금값은 다시 한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그동안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며 불확실성 장세에서 약세를 보였던 암호화폐(가상자산)로도 돈이 몰리고 있다. 22일 뉴욕상품거래소 산하 금속선물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은 장중 한때 사상 처음 3500달러 선을 돌파하며 한국시간 오후 4시 기준 온스당 3489.3달러를 기록했다. 금 현물 가격도 신고가 행진 중이다. 이날 오후 4시 기준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3462.0달러에 거래됐다. 연초 대비 30% 이상 급등했고 이달 초에 비해서도 10% 이상 올랐다. 반대로 달러화 가치는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이날 장중 한때 97.9까지 떨어지면서 2022년 3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대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엔화 가치는 상승해 엔달러 환율은 140엔 선까지 내려왔다. 지난해 7월만 해도 160엔 선까지 치솟았던 것이 상호관세 정책 본격화와 함께 150엔 밑으로 주저앉았고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아 10엔 가까이 추가로 하락한 것이다. 미국 국채 매도세도 확대되면서 10년물 금리가 4.4%를 다시 넘어서는 등 국채 가격은 급락했다. 뉴욕증시도 투자 자금이 대거 이탈했다. 뉴욕증시 3대 지수인 다우지수(-2.48%), S&P500(-2.55%), 나스닥지수(-2.36%)가 모두 2% 이상 급락했다. 반면 그간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며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질 때마다 폭락했던 가상자산 시장은 반등했다.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비트코인은 일주일 전 대비 3.04% 상승한 8만 8105.67달러에 거래됐다. 지난달 26일 이후 약 한 달 만에 8만 8000달러 선에 복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빠른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며 파월 의장을 압박하고 나선 것이 ‘셀 아메리카’를 촉발했다. 통화 정책 직접 개입 의지를 내비친 것이 연준 독립성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졌고 이는 불확실성 확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의사결정이 매번 늦는다는 뜻)이자, ‘중대 실패자’가 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경기 둔화가 있을 수 있다”며 파월 의장에 금리 인하를 압박했다. 앞서 파월 의장은 지난 16일 당장 금리 인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은 17일 기자들에게 “내가 파월 의장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며 해임 가능성을 거론해 시장을 급습했다. 미국 시장을 떠난 투자 자금의 수혜를 국내 증시는 누리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날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스피 시장에서 2428억원을 순매도했다. 지난 11일부터 이어진 8거래일 연속 ‘팔자’ 행진이다. 최근 한 달(3월 24일~4월 22일) 동안 외국인들은 코스피 시장에서만 12조원이 넘는 물량을 팔아 치웠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국을 떠난 자금이 국내 증시로 유입되려면 그만큼 매력적인 투자처라는 인식이 자리해야 하는데 국내 정치 상황과 성장 전망치 등이 발목을 잡고 있다”고 진단했다.
  • NASA 탐사선 루시, ‘땅콩 모양’ 소행성 첫 근접 탐사

    NASA 탐사선 루시, ‘땅콩 모양’ 소행성 첫 근접 탐사

    미 항공우주국(NASA)의 소행성 탐사선 ‘루시‘(Lucy)가 길쭉한 형태의 희한하게 생긴 소행성을 포착했다. 지난 21일(현지시간) NASA는 루시가 소행성 ‘도날드요한슨’(Donaldjohanson)을 관측했다며 전체적인 모습이 담긴 이미지를 공개했다. 20일 루시가 약 960㎞ 떨어진 곳에서 포착한 도날드요한슨은 기존에 촬영한 소행성과는 또 다른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다. 일반적인 소행성이 마치 감자 모양을 한 반면 도날드요한슨은 껍질을 벗기기 전 땅콩 같은 모습이기 때문이다. 약 1억 5000만 년 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도날드요한슨은 길이 8㎞, 너비 3.2㎞로 기존 추정치보다 크다. 특히 전문가들은 오래전 두 천체가 충돌하면서 이런 모양이 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루시 프로젝트 수석 연구원인 할 레비슨은 “도날드요한슨은 지질 구조가 놀라울 정도로 복잡하다”면서 “이 구조를 연구하면 태양계 행성들을 형성한 구성 요소와 충돌 과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루시는 2023년 11월 소행성 ‘딘키네쉬’(Dinkinesh)와 초미니 위성 ‘셀람’(Selam)을 근접 비행하며 촬영한 바 있다. 루시가 소행성을 촬영한 ‘첫 작품’으로 이번 도날드요한슨은 16개월 만에 이루어진 두 번째인 셈이다. 한편 루시는 아직 한 번도 탐사되지 않은 목성 주변 소행성군(群)인 ‘트로이 소행성’(Jupiter Trojan asteroids) 탐사를 위해 2021년 10월 16일 발사됐다. 루시는 12년에 걸친 긴 여행 동안 총 64억㎞를 비행하며 주 소행성대와 목성의 트로이 소행성을 관측한다.
  • [포착] 1942년 일본군 어뢰에 침몰한 美 항공모함서 정체불명 ‘자동차’ 발견

    [포착] 1942년 일본군 어뢰에 침몰한 美 항공모함서 정체불명 ‘자동차’ 발견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 당시 일본군의 공격으로 침몰한 미국의 항공모함에서 뜻밖의 ‘유물’이 발견됐다.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CBS 뉴스 등 현지 언론은 바닷속에 수장된 USS 요크타운 격납고에서 차 한 대가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지난 주말 미국 해양대기청(NOAA) 원격조종 카메라에 80여 년 만에 모습을 드러낸 이 차량은 나팔 모양의 펜더, 크롬 장식, 뒷문에 달린 스페어타이어까지 당시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과거 기록과 자료 어디에도 USS 요크타운에 차량이 실려있었다는 언급이 없었다는 사실이다. 이에 NOAA 연구원들은 차량의 정체와 함께 몇 가지 추론을 내놓았다. 먼저 전문가들은 이 차량을 1940~1941년 포드에서 제작한 차량 ‘우디’로 추정했다. 당시만 해도 우디는 고급 자동차로 함대 사령관 프랭크 플레처 제독이 사용했거나 혹은 수리를 위해 항공모함에 실렸을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다만 NOAA 연구원은 “어뢰를 맞은 USS 요크타운이 선체의 기울기를 줄이기 위해 대공포와 항공기까지 버렸는데 차량은 그대로 뒀다는 점은 의문”이라고 밝혔다. 한편 ‘파이팅 레이디’(Fighting Lady)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USS 요크타운은 2000명의 승조원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 240m의 항공모함이다. 1937년 취역해 제2차 세계대전 중 태평양 전선에서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다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 중 일본군의 어뢰에 침몰했다. 오랜 시간 바닷속에 잠들어있던 USS 요크타운이 다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98년이다. 당시 비영리단체 ‘대양 탐사 트러스트’(Ocean Exploration Trust)가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북서쪽으로 약 2092㎞ 떨어진 지점에서 이 항공모함을 찾아냈다. 수심 약 4.8㎞ 아래에 잠든 USS 요크타운은 당시 치열했던 전쟁의 상흔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파괴되고 부서진 비행갑판 위로 대공포는 쓰러져 있었으며 몇몇 작은 대공포들은 제거된 것이 확인됐다. 이는 당시 선원들이 대공포를 버려서라도 항모가 침몰하려는 것을 막으려 했기 때문이다. 태평양 전쟁의 흐름이 완전히 바뀌며 일본의 패망을 앞당긴 미드웨이 해전은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한 지 6개월 후인 1942년 6월 일어났다. 당시 미군은 암호를 해독해 일본군이 전략적 요충지인 미드웨이 해역을 공격한다는 정보를 파악, 일본의 군국주의 상징인 항공모함 ‘가가’(加賀)와 ‘아카기’(赤城)를 비롯한 항공모함 4척과 항공기 약 250대 이상을 격추했으며 이 과정에서 일본군 30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 전북 장수군에 달리기 성지 ‘트레일 빌리지’ 조성된다

    전북 장수군에 달리기 성지 ‘트레일 빌리지’ 조성된다

    전북 장수군에 청년·자연·커뮤니티가 어우러진 ‘트레일 빌리지(Trail Village)’가 조성된다. 장수군은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2025년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6억원을 확보했다고 22일 밝혔다.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은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해 마을 또는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부 사업으로 지역 살아보기, 일거리 실험, 청년 활동공간 조성 등 자율 프로젝트가 포함된다. 장수군의 사업 수행 주체는 지역 청년 공동체 ‘장수러닝크루’를 기반으로 성장한 청년단체 ‘락앤런(Rock&Run)’이다. 락앤런은 러닝, 플로깅, 마을 달리기 등 청년 문화와 공동체 회복 활동은 물론 산악 트레일러닝 대회의 성공적 개최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락앤런은 올해부터 3년간 총사업비 6억원을 지원받아 ‘트레일 빌리지(Trail Village)’를 조성할 계획이다. 트레일 빌리지는 장수의 수려한 자연환경과 산악 지형을 기반으로 국제 트레일러닝 대회를 유치하고, 체류형 관광 및 교육, 커뮤니티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새로운 지역 브랜딩을 이끌 복합문화공간이다. 최훈식 군수는 “트레일 빌리지가 성공적으로 조성된다면, 장수군이 직면한 인구 감소 문제와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행정에서도 락앤런과 함께 트레일 빌리지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서울시 “4월부터 10월 진드기 조심하세요”...SFTS 예방 집중 감시

    서울시 “4월부터 10월 진드기 조심하세요”...SFTS 예방 집중 감시

    지난 15일 전북 남원시에서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확진자가 발생한 가운데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본격적인 야외 활동이 시작되는 4월부터 10월까지 참진드기 집중 감시 활동을 시행한다고 22일 밝혔다. SFTS는 감염 시 38℃ 이상의 고열, 혈소판, 백혈구 감소, 오심·구토·설사 등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현재까지 치명률은 18.7%에 달하며, 지난해 서울에서 총 10명의 확진자가 확인됐다. 참진드기는 SFTS를 매개하는 절지동물로 예방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치명적이고, 시민과 반려동물 모두에게 SFTS를 감염시킬 수 있다. 참진드기는 일반적으로 1~9mm 크기로 작아 눈에 잘 띄지 않으며, 흡혈 후 최대 2cm까지 커질 수 있다. 특히 반려견과 산책 시 진드기 서식지인 수풀을 지날 경우 감염 위험이 커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감시 활동은 미래한강본부, 공원여가센터와 협력해 한강공원, 생태공원, 산책로, 맨발 이용 시설 등 시민들이 자주 찾는 야외 공간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특히 올해는 풀숲을 훑는 플래깅(Flagging) 방식에 더해, 4시간 동안 트랩(Bait-trap)을 설치해 채집하는 방식을 병행한다. 진드기에 물린 경우에는 핀셋으로 조심스럽게 제거한 후 보건소에 검사 의뢰해달라고 연구원은 전했다. 진드기를 무리하게 떼어내다 2차 감염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진드기가 잘 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진드기에 물렸다고 SFTS가 감염되는 것은 아니며,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는 검사해도 감염 여부가 확인되지 않으므로 14일 동안 임상증상이 나타나는지 관찰해야 한다. 반려동물 또한 진드기에 물렸거나, 야외 활동 후 고열 등 의심 증상이 있다면 관내 동물병원을 통해 연구원에 SFTS 감염 여부 검사를 의뢰할 수 있다. 박주성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은 “야외 활동 시 긴 옷 입기, 기피제 사용, 귀가 후 샤워, 진드기 부착 여부 확인 등 생활 속 예방 수칙을 실천하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 2개월 만에 톱10 진입한 고진영, 시즌 첫 메이저대회서 6년 만에 영광 재현 도전…윤이나도 메이저 무대 첫 데뷔

    2개월 만에 톱10 진입한 고진영, 시즌 첫 메이저대회서 6년 만에 영광 재현 도전…윤이나도 메이저 무대 첫 데뷔

    2개월 만에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톱10에 진입한 고진영이 6년 만에 영광 재현에 나선다. 지난주 미국 진출 후 가장 좋은 성적을 냈던 윤이나도 시즌 첫 메이저 대회에 데뷔한다. 고진영은 25일(한국시간)부터 나흘간 미국 텍사스주 우드랜드의 더 클럽 앳 칼튼 우즈(파72)에서 열리는 시즌 첫 메이저대회인 셰브론 챔피언십에 출격한다. 크래프트 나비스코 챔피언십, ANA 인스퍼레이션 등의 이름을 거친 이 대회는 여자 골프 5대 메이저대회 중 첫 문을 여는 무대다. 고진영은 바로 ANA 인스퍼레이션으로 불렸던 2019년 이 대회에서 우승한 바 있다. 메이저대회에서 우승한 고진영은 그해 또 다른 메이저대회인 에비앙 챔피언십까지 거머쥐며 한 해에 메이저대회 2승을 건졌다. 다만 그 이후 더이상 메이저대회 우승을 추가하지 못했다. 2020년 US여자오픈, 2024 위민스 PGA 챔피언십에서 준우승을 거뒀지만 우승까지 하진 못했다. 그렇지만 고진영은 올해 상승세를 타고 있다. 손목부상에서 회복해 올 시즌 개막전인 힐튼 그랜드 배케이션스 토너먼트 오브 챔피언십 공동 4위, 파운더스컵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흐름이 좋다. 중간에 다소 주춤했지만 지난 21일 막을 내린 LA 챔피언십에서 공동 7위에 오르면서 2개월 만에 ‘톱10’에 다시 진입했다. 고진영 외에도 시즌 첫 메이저대회인만큼 세계랭킹 1위인 넬리 코르다(미국)를 비롯해 톱랭커들이 총출동해 경쟁한다. 2연패를 노리는 코르다는 지난해 이 대회 우승으로 개인통산 2번째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했다. 거기에 이 대회를 포함해 5연속 우승 등 지난해 모두 7승을 거두며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코르다 외에 2023년 우승자 릴리아 부(미국), 세계랭킹 2위 지노 티띠꾼(태국), 3위 리디아 고(뉴질랜드) 등도 메이저대회 우승을 노리고 있다. 한국에서는 2월 열린 개막전에서 우승을 차지한 김아림과 지난 3월 포드 챔피언십에서 역시 우승한 김효주가 시즌 2승에 도전한다. 올 시즌 미국 무대에 진출한 윤이나도 첫 메이저대회에서 기량을 겨룬다. LPGA 투어 JM 이글 LA 챔피언십 3라운드에서 4위까지 치고 올라갔다가 마지막 날 공동 16위로 주춤했던 윤이나는 그래도 미국 진출 후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다는데 위안을 삼고 있다. 이번 메이저대회에서 자신만의 강점을 보여줄 기회다.
  • 땅콩처럼 생겼네…NASA 탐사선 루시, 희한한 모양 소행성 포착 [우주를 보다]

    땅콩처럼 생겼네…NASA 탐사선 루시, 희한한 모양 소행성 포착 [우주를 보다]

    미 항공우주국(NASA)의 소행성 탐사선 ‘루시‘(Lucy)가 길쭉한 형태의 희한하게 생긴 소행성을 포착했다. 지난 21일(현지시간) NASA는 루시가 소행성 ‘도날드요한슨’(Donaldjohanson)을 관측했다며 전체적인 모습이 담긴 이미지를 공개했다. 20일 루시가 약 960㎞ 떨어진 곳에서 포착한 도날드요한슨은 기존에 촬영한 소행성과는 또 다른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다. 일반적인 소행성이 마치 감자 모양을 한 반면 도날드요한슨은 껍질을 벗기기 전 땅콩 같은 모습이기 때문이다. 약 1억 5000만 년 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도날드요한슨은 길이 8㎞, 너비 3.2㎞로 기존 추정치보다 크다. 특히 전문가들은 오래전 두 천체가 충돌하면서 이런 모양이 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루시 프로젝트 수석 연구원인 할 레비슨은 “도날드요한슨은 지질 구조가 놀라울 정도로 복잡하다”면서 “이 구조를 연구하면 태양계 행성들을 형성한 구성 요소와 충돌 과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루시는 2023년 11월 소행성 ‘딘키네쉬’(Dinkinesh)와 초미니 위성 ‘셀람’(Selam)을 근접 비행하며 촬영한 바 있다. 루시가 소행성을 촬영한 ‘첫 작품’으로 이번 도날드요한슨은 16개월 만에 이루어진 두 번째인 셈이다. 한편 루시는 아직 한 번도 탐사되지 않은 목성 주변 소행성군(群)인 ‘트로이 소행성’(Jupiter Trojan asteroids) 탐사를 위해 2021년 10월 16일 발사됐다. 루시는 12년에 걸친 긴 여행 동안 총 64억㎞를 비행하며 주 소행성대와 목성의 트로이 소행성을 관측한다.
  • [서울데이터랩]빅테크 하락세, 시장 불안 지속

    [서울데이터랩]빅테크 하락세, 시장 불안 지속

    21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Magnificent 7(빅테크 TOP7) 종목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주요 기술주들이 모두 하락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불안한 투자 심리가 감지되고 있다. 애플(AAPL)은 1.94% 하락한 193.16 달러에 마감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2.35% 하락하며 359.12 달러를 기록했고, 엔비디아(NVDA)는 4.51% 하락한 96.91 달러를 기록했다. 이들 종목은 각각의 하락폭을 기록하며 시장의 약세를 반영했다. 아마존닷컴은 3.06% 하락하여 167.32 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메타는 3.35% 하락한 484.66 달러, 알파벳 Class A는 2.31% 하락한 147.67 달러, 알파벳 Class C는 2.28% 하락한 149.86 달러를 기록했다. 금일 가장 많이 거래된 종목은 엔비디아로, 거래량이 2억 7,420만 주에 달하며 거래대금은 26,455,608 달러로 약 37조 5,934억원에 이른다. 애플의 거래대금은 8,811,831 달러로 약 12조 5,216억원이며, 테슬라의 거래대금은 20,994,576 달러로 약 29조 8,333억원에 달한다. 엔비디아의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1.12%, 애플은 0.3%, 테슬라는 2.87%를 기록했다.
  • 동성 연인과 ‘반지’ 나눠꼈다…“난자 얼렸다”던 여배우 결혼식 현장

    동성 연인과 ‘반지’ 나눠꼈다…“난자 얼렸다”던 여배우 결혼식 현장

    영화 ‘트와일라잇’ 시리즈로 유명한 할리우드 스타 크리스틴 스튜어트(35)가 약 6년간 교제한 동성 연인과 결혼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21일(현지시간) 미 연예매체 TMZ는 스튜어트와 가까운 지인들의 말을 인용해 “스튜어트와 약혼자 딜런 메이어(37)가 전날 로스앤젤레스(LA) 집에서 소규모 결혼식을 올렸다”고 전했다. 크리스틴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결혼식에서 메이어와 반지를 주고받거나 포옹하는 모습이 담긴 현장 사진을 공개했다. TMZ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15일 LA 카운티에서 혼인 증명서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에서는 연방대법원이 2015년 6월 동성결혼 합헌 판정을 내림으로써 미국 전역에 동성결혼이 허용됐다. 스튜어트와 메이어는 2019년 공개 열애를 시작했으며, 2021년 11월 약혼했다. 스튜어트는 지난해 롤링스톤지와의 인터뷰에서 메이어와 함께 아이를 갖는 것에 관해 얘기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결혼 준비를 언급하면서 “우리 가족이 다른 사람들 눈엔 어떻게 보일지 모르지만, 아이를 갖는 게 내 꿈이다.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났으면 좋겠다”라고 솔직하게 고백했다. 같은 해 한 팟캐스트에선 난자 냉동 사실을 알렸다. 스튜어트는 “메이어와 나는 난자를 얼리는 등 정말 짜증 나는 일들을 해왔다”며 “우리가 원한다면 (임신을) 할 수 있다”고 했다. 2008년부터 영화 ‘트와일라잇’ 시리즈 주인공으로 세계적인 인기를 끈 스튜어트는 한때 영화 속 남자 주인공이었던 배우 로버트 패틴슨과 열애하다 결별한 바 있다. 이후 2017년 방송 도중 양성애자임을 고백하고 성소수자 권익을 옹호해 왔으며, 지난해에는 동성애를 다룬 영화 ‘러브 라이즈 블리딩’에서 주연을 맡아 열연했다.
  • 규칙 위반 1벌타 자진신고하고도 우승… 토머스 ‘골프의 매너’ 제대로 보여줬다

    규칙 위반 1벌타 자진신고하고도 우승… 토머스 ‘골프의 매너’ 제대로 보여줬다

    ‘매너의 스포츠’로 불리는 골프에서 1벌타를 스스로 신고한 저스틴 토머스(미국)가 양심도 지키고 3년 만에 우승이라는 기쁨도 맛봤다. 토머스는 21일(한국시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힐턴 헤드 아일랜드의 하버타운 골프 링크스(파71)에서 열린 2025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RBC 헤리티지(총상금 2000만 달러) 1차 연장에서 버디를 잡아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정규 라운드 최종 합계 17언더파 267타로 토머스와 함께 연장을 치른 앤드루 노백(미국)은 파에 그쳤다. 2022년 5월 PGA 챔피언십 우승 이후 58개 대회에 출전했으나 한 번도 정상을 밟지 못했던 토머스 3년 만에 통산 16번째 우승을 기록하며 상금 360만 달러(약 51억 2640만원)를 챙겼다. 아내와 태어난 지 5개월 된 딸을 얼싸안고 기뻐한 토머스는 “얼마나 우승을 고대했는지 모르겠다”며 “우승은 정말 어렵다. 그동안 열심히 노력하며 인내했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려 애썼다”고 말했다. 토머스의 우승이 더욱 값진 것은 전날 3라운드 2번 홀(파5)에서 규칙 위반을 자진 신고해 1벌타를 받았기 때문이다. 드라이버 샷을 얕은 벙커에 떨군 토머스는 잔돌 등 루스 임페디먼트를 제거하다 공을 미세하게 건드렸다. 그는 경기 위원을 불러 함께 비디오 영상을 본 뒤 끝내 벌타를 받았다. 토머스는 이 홀에서 4타 만에 공을 컵에 넣었지만 파를 적어야 했다. 3라운드에서 단독 선두에 나서며 2023년 1월 소니오픈 이후 2년 3개월 만의 정상을 노렸던 김시우는 3오버파 74타를 치며 최종 12언더파 272타로 공동 8위에 자리했다. 아쉽긴 하지만 시즌 첫 톱10이다. 이날 막을 내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JM 이글 LA 챔피언십(총상금 375만 달러)에서 윤이나는 넬리 코르다(미국)와 함께 공동 16위(14언더파 274타)에 올랐다. 전날 8타를 줄이며 선두에 2타 차 4위까지 뛰어올라 미국 무대 첫 우승의 꿈을 부풀렸던 윤이나는 보기 1개, 더블보기 2개 등을 묶어 1오버파 73타를 치며 미끄러졌다. 역시 아쉽긴 하지만 미국 무대 최고 성적이다. 한국 선수 중 고진영이 공동 7위(17언더파 271타)로 가장 높은 순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