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B
    2025-07-14
    검색기록 지우기
  • ̶
    2025-07-14
    검색기록 지우기
  • 김학순
    2025-07-14
    검색기록 지우기
  • no japan
    2025-07-14
    검색기록 지우기
  • ߴ־
    2025-07-1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5,427
  • ‘인천 맨홀 사고’ 숨진 50대 근로자 “가스중독 추정”

    ‘인천 맨홀 사고’ 숨진 50대 근로자 “가스중독 추정”

    인천 맨홀 사고로 실종됐다가 숨진 채 발견된 50대 근로자의 사인이 가스중독으로 추정된다는 부검 결과가 나왔다. 8일 인천경찰청에 따르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이날 A(52)씨의 시신 부검 결과 “가스중독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1차 구두 소견을 전달했다. 국과수는 이어 “사망 원인과 연결될 만한 외상 흔적을 발견되지 않았다”며 “어떤 가스에 중독된 것인지는 추가 감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A씨는 지난 6일 오전 9시 22분쯤 인천 계양구 병방동의 한 도로 맨홀에서 작업을 하던 중 쓰러진 후 실종됐다. 수색에 나선 소방 당국은 사고 다음날인 7일 오전 10시 49분쯤 최초 실종 장소로부터 900여m 떨어진 굴포하수종말처리장에서 숨진 A씨를 발견했다. 한편 A씨를 구하러 맨홀에 들어갔다가 쓰러져 심정지 상태로 소방 당국에 의해 구조된 B(48)씨는 아직 의식을 되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경찰관 12명으로 구성된 수사 전담팀을 구성하고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 층간소음에 찾아온 이웃에 펄펄 끓는 식용유를…“전신 3도 화상” 피해자 사진 공개

    층간소음에 찾아온 이웃에 펄펄 끓는 식용유를…“전신 3도 화상” 피해자 사진 공개

    층간소음 문제로 찾아온 이웃에게 끓는 식용유를 끼얹고 흉기로 협박한 60대가 경찰에 붙잡힌 가운데, 피해를 입은 이웃 중 한 명이 전신 3도 화상을 입었다. TJB뉴스 등에 따르면 대전 서부경찰서는 전날 특수상해, 특수협박 혐의를 받는 60대 A씨를 입건했다. A씨는 지난 5일 오후 6시 30분쯤 대전 서구 괴정동의 한 빌라에서 층간소음 문제를 알아보러 찾아온 윗집 거주자 60대 B씨에게 끓던 식용유를 끼얹어 화상을 입혔다. 또 층간소음 문제로 찾아온 옆집 거주자 50대 C씨에게는 흉기로 위협하며 욕설을 했다. A씨가 끼얹은 식용유를 뒤집어쓴 B씨는 온몸에 3도 화상을 입었다. B씨의 가족에 따르면 B씨는 아래층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무슨 일이 일어난 게 아닌지 우려해 A씨의 집에 찾아갔다. A씨는 흉기와 노란 양은냄비를 손에 든 채 문을 열었다. 냄비 안에는 펄펄 끓는 식용유가 들어있었는데, 돌연 B씨를 향해 식용유를 끼얹은 것이다. 이어 소란이 커지자 찾아온 C씨에게는 흉기로 위협했고, C씨는 울먹이며 “그만해달라. 용서해달라”고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B씨 가족이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B씨의 얼굴과 목, 팔, 등, 다리는 붉은 화상으로 뒤덮였다. B씨는 전신 3도 화상을 입어 화상 전문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건이 벌어진 빌라 안에는 곳곳에 “층간소음으로 인해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는 안내문이 붙어있었다. 경찰은 A씨가 평소에도 이웃들과 층간소음으로 다툼이 있었던 것으로 보고,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 동료 추행 혐의 약식기소 70대…정식 재판서 무죄

    동료 추행 혐의 약식기소 70대…정식 재판서 무죄

    직장동료를 강제 추행한 혐의로 약식 기소된 70대 남성이 정식 재판을 청구한 끝에 혐의를 벗었다. 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지난달 12일 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씨는 지난해 5월 직장동료 B씨와 대화하던 중 신체를 만진 혐의로 기소됐다. B씨는 A씨가 서류에 서명하라고 재촉하면서 신체 일부를 여러 차례 만지며 추행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A씨는 혐의를 모두 부인했다. 추행 장소로 지목된 경비 초소는 두 사람이 동시에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좁고,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CCTV에 담겼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A씨를 약식 기소했다. 이어 법원이 A씨에게 벌금 500만원의 약식 명령을 내렸으나 A씨가 불복해 정식 재판을 청구했다. 재판부는 B씨의 진술이 일관되지 않아 신빙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B씨는 경찰에서 A씨가 엉덩이를 쓰다듬었다고 했지만, 이후 법정에서는 엉덩이를 비롯한 여러 신체 부위를 만지는 식으로 추행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재판부는 또 A씨가 B씨에게 서명을 요청하면서 신체 일부가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더라도 이는 강제 추행의 고의가 없는 일상적인 행동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녹취록과 CCTV 영상 등을 종합해봐도 A씨에게 강제추행의 고의가 있다는 점을 증명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A씨의 법률 대리인인 김종서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는 “성범죄 사건에 있어 피해자의 진술만이 유일한 증거인 경우 그 진술이 현저히 신빙성이 높거나 다른 정황 증거에 의해 신빙성이 있다는 점이 확인되어야 한다”면서 “이번 사건은 고의성 입증은 물론, 피해 사실조차 증명되지 않아 범죄 사실의 증명이 없는 경우에 해당해 무죄를 선고받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 지난해 경북 연안 ‘침식 위험’ 비율 54.5%로 둔화세

    지난해 경북 연안 ‘침식 위험’ 비율 54.5%로 둔화세

    지난해 경북 동해안의 연안 침식이 둔화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는 8일 동부청사에서 ‘2024년도 연안 침식 실태조사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도에 따르면 지난해 경북 동해안 연안의 침식 우려·심각(C·D 등급) 지역 비율이 54.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58.1%) 대비 3.6%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연암 침식 정도는 양호(A등급), 보통(B등급), 우려·심각(C·D 등급) 단계로 나뉜다. 도는 2022년 태풍 ‘힌남노’, 2023년 태풍 ‘카눈’의 영향으로 일시적 침식이 컸던 경주와 영덕 해안 지역이 회복세인데다, 특히 연안정비사업의 지속적 추진으로 침식이 점차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울진과 울릉은 우려·심각 비율이 증가했고 포항은 전년 대비 변화가 없었다. 경북 44곳 연안의 총면적은 전년 대비 1915㎡(축구장 면적 약 0.3배) 감소했지만, 체적은 1만 1963㎥(25t 덤프트럭 767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북도는 올해 국비 316억원 등 총 439억원을 투입해 동해안 연안 14곳에 대해 정비사업(수중방파제·이안제 등)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엔 연안 15곳 정비에 총 242억원을 들였다. 김명심 경북도 독도해양정책과장은 “지속적인 연안 정비사업을 통해 2015년 80.5%였던 경북 동해안 침식 우려·심각 지역 비율이 대폭 줄었다”면서 “앞으로도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연안 관리 체계를 마련해 도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건강한 해안 공간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서울데이터랩]한세엠케이 21.09%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한세엠케이 21.09%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8일 오전 9시 10분 한세엠케이(069640)가 등락률 +21.09%로 폭등하며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한세엠케이는 개장 직후 10분간 94,565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21원 오른 1,269원이다. 한편 한세엠케이의 PER은 0.89로 매우 낮아 시장에서 저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ROE는 -58.73%로 수익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어 상승률 2위 애경케미칼(161000)은 현재가 13,170원으로 주가가 15.02% 급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온타이드(005320)는 현재 624원으로 14.50% 급등하며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에이블씨엔씨(078520)는 10.16% 상승하며 8,3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진흥기업우B(002785)는 9.86%의 상승세를 보이며 3,845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동양철관(008970)은 현재가 1,675원으로 8.98% 상승 중이다. 7위 대한유화(006650)는 현재가 100,000원으로 8.11% 상승 중이다. 8위 코웨이(021240)는 현재가 101,600원으로 5.18% 상승 중이다. 9위 달바글로벌(483650)은 현재가 205,000원으로 5.07% 상승 중이다. 10위 계양전기우(012205)는 현재가 3,590원으로 4.36%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JB금융지주(175330) ▲4.25%, 하나금융지주(086790) ▲4.20%, HD현대(267250) ▲4.14%, 두산2우B(000157) ▲4.02%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수입박람회 9일까지

    수입박람회 9일까지

    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한국수입박람회’에서 관람객들이 부스에 전시된 상품을 둘러보고 있다. 수입박람회는 현지 인기 식품, 생활소비재, 특산품, 아이디어 상품 등 다양한 수입 상품을 국내 소비자에게 선보인이는 B2B(기업간 거래) 소싱 박람회로 9일까지 열린다.
  • 中 알리바바닷컴, 한국 중소기업에 러브콜

    중국 알리바바그룹의 기업 간 전자상거래(B2B) 플랫폼 알리바바닷컴이 안전 거래 서비스인 ‘트레이드 어슈어런스’를 국내에 도입하고 한국 중소기업 판매자(셀러) 유치에 적극 나섰다. 션 양 알리바바닷컴 글로벌 사업개발 총괄 본부장은 7일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강남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주저하게 만드는 큰 위험 요인은 신뢰 부족”이라면서 “트레이드 어슈어런스를 통해 한국의 중소기업이 안심하고 국제 사업을 전개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보호 장치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트레이드 어슈어런스는 알리바바닷컴이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거래 보호 서비스다. 구매자가 낸 결제 대금을 알리바바닷컴이 에스크로에 예치하고 있다가 거래가 완료된 후에 판매자에게 지급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대금 회수, 거래 안정성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서비스를 많이 사용할수록 판매자의 알리바바닷컴 내 검색 순위와 노출도가 높아진다. 또 납기 지연 등 문제가 발생한 경우 알리바바닷컴이 법적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직접 중재에 나선다. 상한선 100달러 이내에서 건당 거래 총액의 4% 수수료를 받는다. 알리바바닷컴 측은 “한국 제품이 글로벌 마켓에서 굉장히 환영받고 있는 만큼 업계 내 가장 경쟁력 있는 요금 체계를 적용했다”고 주장했다. 알리바바닷컴은 지난달 부산 사무소를 신규로 개설하는 등 국내 시장에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알리바바닷컴에 따르면 자사에 등록된 한국 상품은 전년 대비 40% 늘었고, 한국 셀러도 80% 증가했다. 트래픽(상품 노출량)도 같은 기간 50% 늘었다는 설명이다.
  • 美관세 ·TV불황 겹악재… LG전자 영업익 ‘반토막’

    美관세 ·TV불황 겹악재… LG전자 영업익 ‘반토막’

    LG전자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와 TV 사업 부진의 이중 악재 속에 올해 2분기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관세 부담과 물류비 상승이 수익성 악화를 유발했고, 전사 실적의 버팀목 역할을 해온 생활가전과 TV 사업이 동반 부진하면서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다. LG전자는 7일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매출 20조 7400억 원, 영업이익 6391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매출 21조 6944억원, 영업이익 1조 1972억 원보다 각각 4.4%, 46.6% 감소한 수치다. 실적 부진의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지난 4월부터 적용된 미국의 보편관세 10%와 철강·알루미늄 파생 관세 50% 인상이 꼽힌다. LG전자는 가전제품을 관세가 면제된 멕시코 외에도 창원과 베트남 하이퐁 등에서도 미국 대상 수출 가전을 생산하고 있어 관세 영향권에 들었다. 특히 지난달 하순부터 냉장고, 세탁기 등 철강 부품이 포함된 제품에는 최대 50%의 관세가 붙으면서 비용 압박이 커졌다. 수익성 하락을 가중한 또 다른 요인은 TV 사업 부진이다. LCD 패널 가격 인상과 글로벌 수요 둔화, 경쟁 심화 등 3중 악재가 겹쳤다. 이밖에 연결 자회사 LG이노텍의 부진도 실적 하락에 일조했다. 카메라 모듈 중심의 수출 비중이 95%에 달하는 LG이노텍은 원·달러 환율 하락과 중국과의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줄었다. 사업별로는 생활가전, 전장(차량용 전자·전기장비), 냉난방공조(HVAC) 등은 악조건 속에서도 비교적 선방하며 건전한 수익구조를 유지했다. 구독 사업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한 5010억원을 기록했고, 연간 2조원 돌파도 예상된다. 하반기에는 ‘질적 성장’ 전략에 더욱 힘이 실릴 예정이다. LG전자는 전장·HVAC 등 B2B(기업간 거래), 구독·웹(web)OS 등 비하드웨어, LGE.COM의 소비자직접판매(D2C)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수익성을 보완할 계획이다.
  • 13층 상가 건물 옥상서 10대 추락사, 길 가던 행인들 3명 덮쳐… 4명 사상

    7일 오후 2시 34분쯤 경기 광주시 경안동 13층짜리 한 상가 건물 옥상에서 A(18)양이 추락하면서 행인 3명을 덮쳤다. 이 사고로 A양과 행인 B(11)양이 숨지고 B양의 어머니 C씨가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이송됐다. 또 다른 행인 D(23)씨는 어깨를 다쳤으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119구급대가 출동했을 당시 A양과 C씨는 심정지 상태였지만 심폐소생술(CPR) 끝에 호흡을 되찾아 병원으로 옮겨졌다. C씨는 ‘자발순환회복’(ROSC) 상태로 접어들었으나 위독한 상태고, A양은 이날 저녁 숨졌다. ROSC는 심폐소생술을 받은 심정지 환자의 심장이 다시 뛰면서 혈액이 도는 경우를 의미한다. 경찰 조사 결과 A양은 이날 추락한 상가 건물에 있는 정신과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보호자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폐쇄회로(CC)TV 영상을 분석하고 A양 가족과 병원 관계자 등을 상대로 자세한 사건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병원에서 환자의 개인정보인 A양 상태 등을 자세히 알려주지 않고 있어 (A양이 언제, 왜 옥상으로 올라갔는지 등) 아직 구체적인 사건 경위는 파악되지 않았다”면서 “심정지 상태였던 C씨는 위독한 상태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 어머니 미용실서 흉기 난동…20대 구속

    어머니 미용실서 흉기 난동…20대 구속

    자신의 어머니가 운영 중인 미용실에 들어가 흉기를 휘두른 20대 남성이 구속됐다. 경남경찰청은 존속 살해 미수와 특수상해 혐의로 A(20대) 씨를 구속했다고 7일 밝혔다. A 씨는 지난 5일 정오쯤 경남 창원시 성산구 용호동의 한 아파트 단지 상가 내 미용실에서 어머니 B씨와 손님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다치게 한 혐의를 받는다. B 씨는 당시 얼굴 등 7곳을 찔리는 중상을 입어 병원에서 수술받고 현재 회복 중이다. 미용실 손님 2명도 얼굴과 팔 등을 다쳤다. A 씨는 경찰 조사에서 “어머니가 평소 나를 무시해 불만이 쌓였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A 씨를 상대로 구체적인 범행 동기 등을 계속 조사할 방침이다.
  • “어머니가 날 무시해”…母 미용실서 흉기 난동 20대 구속

    “어머니가 날 무시해”…母 미용실서 흉기 난동 20대 구속

    자신을 무시한다는 이유로 어머니가 운영하는 미용실에 들어가 어머니 및 손님 등에게 흉기를 휘두른 20대 남성이 구속됐다. 7일 경남경찰청은 존속 살해 미수와 특수상해 혐의로 20대 A씨를 구속했다고 밝혔다. A씨는 지난 5일 낮 12시쯤 경남 창원시 성산구 용호동의 한 아파트 단지 상가 내 미용실에서 흉기를 휘둘러 모친인 60대 B씨와 50대 남녀 손님 2명 등 3명을 다치게 한 혐의를 받는다. B씨는 당시 얼굴 등 7곳을 찔려 병원으로 옮겨져 수술받고 현재 회복 중이다. 생명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50대 여성 손님 1명도 얼굴을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다. 손과 팔 등을 다친 50대 남성 손님은 병원 이송을 거부했다. A씨는 경찰 조사에서 “어머니가 평소 나를 무시해 불만이 쌓여 범행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A씨를 상대로 정확한 사건 경위를 계속 조사할 계획이다.
  • 美관세·TV불황 겹악재…LG전자 영업이익 46.6%↓

    美관세·TV불황 겹악재…LG전자 영업이익 46.6%↓

    LG전자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와 TV 사업 부진의 이중 악재 속에 올해 2분기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관세 부담과 물류비 상승이 수익성 악화를 유발했고, 전사 실적의 버팀목 역할을 해온 생활가전과 TV 사업이 동반 부진하면서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다. LG전자는 7일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매출 20조 7400억 원, 영업이익 6391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매출 21조 6944억원, 영업이익 1조 1972억 원보다 각각 4.4%, 46.6% 감소한 수치다. 실적 부진의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지난 4월부터 적용된 미국의 보편관세 10%와 철강·알루미늄 파생 관세 50% 인상이 꼽힌다. LG전자는 가전제품을 관세가 면제된 멕시코 외에도 창원과 베트남 하이퐁 등에서도 미국 대상 수출 가전을 생산하고 있어 관세 영향권에 들었다. 특히 지난달 하순부터 냉장고, 세탁기 등 철강 부품이 포함된 제품에는 최대 50%의 관세가 붙으면서 비용 압박이 커졌다. 수익성 하락을 가중한 또 다른 요인은 TV 사업 부진이다. LCD 패널 가격 인상과 글로벌 수요 둔화, 경쟁 심화 등 3중 악재가 겹쳤다. 이밖에 연결 자회사 LG이노텍의 부진도 실적 하락에 일조했다. 카메라 모듈 중심의 수출 비중이 95%에 달하는 LG이노텍은 원·달러 환율 하락과 중국과의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줄었다. 사업별로는 생활가전, 전장(차량용 전자·전기장비), 냉난방공조(HVAC) 등은 악조건 속에서도 비교적 선방하며 건전한 수익구조를 유지했다. 구독 사업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한 5010억원을 기록했고, 연간 2조원 돌파도 예상된다. 하반기에는 ‘질적 성장’ 전략에 더욱 힘이 실릴 예정이다. LG전자는 전장·HVAC 등 B2B(기업간 거래), 구독·웹(web)OS 등 비하드웨어, LGE.COM의 소비자직접판매(D2C)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수익성을 보완할 계획이다.
  • 홍명보호 2선 노렸던 ‘대세’ 전진우, 어지럼증 호소…‘첫 발탁’ 정승원, 동아시안컵 대체 합류

    홍명보호 2선 노렸던 ‘대세’ 전진우, 어지럼증 호소…‘첫 발탁’ 정승원, 동아시안컵 대체 합류

    프로축구 K리그1 득점 1위(12골) 전진우(전북 현대)가 어지럼증으로 인해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하차했다. 빈자리는 전천후 미드필더 정승원(FC서울)이 메운다. 대한축구협회는 7일 “전진우가 어지럼증으로 컨디션이 저하돼 대표팀에서 빠졌다. 대체 발탁 선수인 정승원은 오늘 저녁 팀 숙소에 합류할 예정”이라며 “대회 규정에 따라 첫 경기 6시간 전까지 부상 선수에 대한 명단 변경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대표팀은 이날 오후 8시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이하 동아시안컵) 중국과의 1차전을 치른다. 홍 감독은 K리그 선수 23명, J리그 3명으로 구성한 명단에 전진우를 포함했다. 지난 6월 A매치 기간에 생애 처음 성인 대표팀에 발탁된 전진우는 2026 북중미월드컵 아시아지역 3차 예선 조별리그 B조 9차전 이라크 원정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그는 후반 교체 투입 9분 만에 오현규(헹크)의 득점을 도우며 공격포인트를 기록했다. 하지만 전진우는 이번 소집에선 훈련 중 어지럼증을 호소했고, 회복에 2주 정도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아 대표팀에서 하차하게 됐다. 이에 이번 시즌을 앞두고 K리그1 수원FC에서 서울로 이적한 정승원은 처음 성인 대표팀에 합류했다. 그는 중앙 미드필더뿐 아니라 윙어, 공격형 미드필더까지 소화하는 자원이다. 정승원의 올해 K리그1 성적은 18경기 2골 3도움이다.
  • 정신과 치료받던 여성 13층서 추락…길 가던 11살 덮쳐 숨졌다

    정신과 치료받던 여성 13층서 추락…길 가던 11살 덮쳐 숨졌다

    7일 오후 2시 34분쯤 경기 광주시 경안동 13층 짜리 한 상가건물 옥상에서 A(18)양이 추락하면서 행인 3명을 덮쳤다. 이 사고로 어머니 B(45)씨와 길을 가던 C(11)양이 숨지고, D(23)씨가 어깨를 다쳤다. A양과 B씨는 심정지 상태였으나 긴급 출동한 119구급대에 의해 호흡을 되찾아 병원으로 옮겨졌다. A양은 이날 상가건물에 있는 정신과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자세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 “외국인 마약 범죄 확산”, 유통·투약 등 베트남인 16명 검거

    “외국인 마약 범죄 확산”, 유통·투약 등 베트남인 16명 검거

    충남경찰청은 외국인 전용 주점 등에서 마약류를 유통한 혐의(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로 A(26)씨와 B(26)씨 등 베트남인 2명을 구속했다고 7일 밝혔다. 이들과 함께 마약을 투약한 베트남인 14명도 불구속 입건됐다. 경찰에 따르면 A씨와 B씨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6월까지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에게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혐의다. 이들은 최근 아산시 일원에서 엑스터시 435정과 케타민 30g(총 4350만원 상당)을 소지한 채 경찰에 검거됐다. 경찰은 B씨가 경기도 외국인 전용 클럽에서 지인들과 함께 ‘마약 파티’를 열었던 것을 확인하고 함께 투약한 14명을 추가로 검거했다. 피의자 대부분은 결혼이민비자나 비전문취업비자 등을 발급받아 국내에 입국한 합법 체류자였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경찰 관계자는 “적법 체류 외국인이 마약류 범죄에 연루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외국인 마약류 확산 문제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며 “외국인 밀집 지역이나 외국인 전용 클럽에 대한 단속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수입 식품 한 자리에’ 제22회 한국수입박람회 개막

    ‘수입 식품 한 자리에’ 제22회 한국수입박람회 개막

    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22회 한국수입박람회’에서 관람객들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이날 개막한 제22회 한국수입박람회는 다양한 수입상품들이 전시된 B2B(Buisness-to-buisness) 소싱 박람회로 오는 9일까지 코엑스 B1홀에서 열린다.
  • 13층 건물서 10대 추락…행인 덮쳐 1명 사망·2명 심정지

    13층 건물서 10대 추락…행인 덮쳐 1명 사망·2명 심정지

    경기 광주시의 한 상가건물에서 10대 여성이 추락하면서 행인들 위로 떨어져 4명이 사상했다. 7일 경기 광주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36분쯤 경기 광주시의 한 13층짜리 상가건물 옥상에서 A(18)양이 추락했다. 이 사고로 거리를 지나던 모녀 중 딸인 10대 B양이 사망했으며, 40대 어머니 C씨와 A양이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졌다. 남성 D씨는 어깨 부위 등을 다쳐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받고 있다. A양은 이날 상가건물에 있는 정신과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폐쇄회로(CC)TV 영상 등을 확보해 분석하는 등 자세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또는 자살예방SNS상담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부산서 80대 노모 살해 혐의 50대 딸 긴급체포

    부산서 80대 노모 살해 혐의 50대 딸 긴급체포

    부산에서 80대 노모를 폭행해 숨지게 한 혐의로 50대 여성이 경찰에 긴급 체포됐다. 부산 해운대경찰서는 50대 여성 A씨를 존속살해 혐의로 체포해 조사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A씨는 해운대구 우동 한 아파트에서 80대 어머니 B씨를 폭행해 숨지게 한 혐의를 받는다. B씨는 이날 오전 9시 19분쯤 집에서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다가 간병인에게 발견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다. 경찰은 이날 아침 A씨가 B씨의 집에서 나가는 CCTV를 확보하고, 이날 오전 11시쯤 A씨의 집에서 그를 긴급 체포했다. 경찰은 A씨의 남편으로부터 “아내가 손에 피를 묻히고 왔고, 장모님과 다퉜다는 말을 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이에 따라 경찰은 A씨가 어머니와 말다툼 하는 과정에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현장에서 범행 도구로 추정되는 물건을 다 수거해 조사 중이다. 범행 시각을 포함한 정확한 경위, 방법을 모두 살펴보고 있다”라고 밝혔다.
  • ‘2명 사상’ 인천 맨홀 사고, 안전수칙 곳곳 구멍

    ‘2명 사상’ 인천 맨홀 사고, 안전수칙 곳곳 구멍

    6일 근로자 2명이 숨지거나 다친 ‘인천 맨홀 사고’와 관련해 작업 전 실시해야 하는 안전 수칙이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인천환경공단(이하 공단)은 “사고 당일(6일) 현장에서 근로자들을 상대로 조사를 벌인 결과 작업자들이 작업 전 맨홀 내부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지 않았다는 진술을 받았다”고 7일 밝혔다.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 전과 작업 중에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고 작업자는 공기호흡기 등을 착용해야 한다. 또 2인1조 근무, 작업 전 보고 등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에 대한 수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수사는 작업자들이 안전수칙을 준수했는지, 제대로 된 관리 감독이 이뤄졌는지 등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공사 계약 과정에서 계약을 위반한 사실도 드러났다. 공단은 지난 4월 계양구 굴포천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베이스 구축 용역사업(1억4800여만원)을 A사와 계약했다. 이후 A사는 B사와 하도급 계약을 했고, B사는 또 C사에 재하도급을 줬다. 공단이 발주한 용역이 하도급을 거쳐 재하도급된 셈인데, 이는 공단의 과업지시서를 위반한 것이다. 공단은 A사와 계약을 맺을 당시 하도급 자체를 금지했다. 사고는 6일 오전 9시 22분쯤 인천 계양구 병방동의 한 도로 맨홀에서 발생했다. 이날 작업을 위해 맨홀에 들어갔던 D(52)씨가 의식을 잃고 쓰러지자 D씨를 구하기 위해 맨홀로 들어간 E(48)씨도 쓰러졌다. 출동한 소방 당국이 E씨를 심정지 상태로 구조해 병원으로 이송했으나 D씨는 사고 현장에서 발견하지 못했다. D씨는 사고 하루 뒤 사고 현장에서 약 1㎞ 떨어진 굴포하수종말처리장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E씨는 현재까지 의식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지하 관로에서 황화수소와 일산화탄소 등이 탐지된 점을 토대로 이들이 유독가스에 중독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구체적인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 락앤락, 인도시장 공략 본격화… ‘HGH 인디아’ 참가 성료

    락앤락, 인도시장 공략 본격화… ‘HGH 인디아’ 참가 성료

    ‘프레쉬 스마트킵’·‘프리저핏’ 등 관람객 호평‘H Circle Product Innovation Awards’ 수상 쾌거하반기 인도법인 설립 추진… 현지 시장 확대 드라이브 글로벌 생활용품 기업 ㈜락앤락이 인도 최대 홈·라이프스타일 전시회 ‘HGH 인디아(India)’에 참가해 현지 관람객들에게 호평을 받았다고 7일 밝혔다. HGH 인디아는 매년 두 번 열리는 인도 최대 규모 가정용품 전문 B2B 전시회로, 올해는 지난 1일부터 4일까지 뭄바이에서 진행됐다. 이번 전시회에는 전 세계 33개국의 700개 브랜드가 참여했으며, 인도 전역 650개 도시에서 4만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는 등 성황리에 진행됐다. 락앤락은 2030세대의 라이프 스타일 아이템으로 주목받는 ‘메트로 텀블러 시리즈’를 중심으로, 밀폐용기 ‘클래식 플러스’, ‘비스프리 모듈러’, 쿡웨어, 소형가전 등 인도 소비자에게 사랑받고 있는 주요 베스트셀러 제품을 선보였다. 특히 신선 보관에 특화한 밀폐용기 ‘프레쉬 스마트킵’과 냉동실 전용 정리용기 ‘프리저핏’, 대용량 프리미엄 텀블러 ‘메트로 킹’ 등이 관람객들에게 호평을 받으며, HGH 인디아의 ‘H Circle Product Innovation Awards’를 수상했다. HGH 인디아는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한 특별 전시관이 마련돼 많은 기업이 친환경, 업사이클링 관련 제품을 선보였다. 특히 락앤락의 베버리지웨어와 밀폐용기는 환경, 지속가능성 등의 테마와 관련한 주요 제품으로 주목받으며, 전시회 주최 측의 인터뷰와 현장 취재도 이어졌다. 락앤락 해외사업을 총괄하는 김영일 상무는 “올해 HGH 인디아 첫 참가인데, 현지 반응이 매우 뜨거워 락앤락 부스에 관람객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았다”며 “인도 법인 설립도 추진 중인 만큼, 인도 소비자 맞춤형 제품과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해 현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