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AI
    2025-08-07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1,351
  • [서울데이터랩]POSCO홀딩스 주가 5.49% 상승하며 급등세 기록

    [서울데이터랩]POSCO홀딩스 주가 5.49% 상승하며 급등세 기록

    POSCO홀딩스(005490) 주가 5.49% 상승하며 급등세 기록 삼성전자(005930) +3.71% SK하이닉스(000660) +2.96% LG에너지솔루션(373220) +3.67%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인다. 28일 오후 12시 20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액면가 100원)는 현재가 5만5,9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3.71% 오르며 견조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상장주식수 5,919,638주에 외국인비율이 49.56%에 달하는 삼성전자는 거래량 1,174만9,715주를 기록하며 활발한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 반도체 대장주 SK하이닉스(액면가 5,000원) 역시 20만8,500원으로 2.96% 상승하며, 거래량 172만8,546주를 기록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외국인비율 54.39%, PER 5.84, ROE 31.06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0.97% 상승한 1,036,000원을 기록하며, LG에너지솔루션은 3.67% 상승한 282,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외국인비율 4.07%, 거래량 177,282주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현대차(005380)는 2.20% 상승한 185,900원, 삼성전자우(005935)는 3.71% 상승한 46,100원을 기록 중이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셀트리온(068270) ▲0.32%, NAVER(035420) ▲2.72%, 신한지주(055550) ▲0.71%, 두산에너빌리티(034020) ▲1.65%, 삼성물산(028260) ▲1.99%, 한화오션(042660) ▲0.51%, 현대모비스(012330) ▲3.50%, HMM(011200) ▲1.15%, HD한국조선해양(009540) ▲0.34%, POSCO홀딩스 ▲5.49%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피 시장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자들의 활발한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POSCO홀딩스는 5.49%의 급등세를 기록하며 눈길을 끌고 있다. 거래량 또한 전체적으로 활발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거래가 두드러진다. 외국인비율과 거래량이 높은 종목들은 대체로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보이며, 상승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PER과 ROE 지표를 바탕으로 한 재정 상태는 종목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318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318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양철관(008970)가 2천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498원으로, 시가총액의 13.33%에 해당하는 거래대금에 비해 4.54%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PER -10.33, ROE -20.13으로, 재무 지표에서는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어서, 삼성전자(005930)는 현재 주가 55,800원으로 3.53% 상승세를 기록하며, 거래량 1천1백만주 이상으로 2위를 차지했다. 이 종목의 거래대금은 시가총액의 2%에 근접하며, PER 10.81, ROE 9.03으로 안정적인 재무 지표를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예상된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현재 42,925원으로 1.36% 상승하며, 거래량 8백만주 이상을 기록하여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상상인증권(001290)는 556원으로 급등하며 19.57%의 급등세를 보이고, 거래량은 8백만주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삼성중공업(010140)는 16,240원으로 약보합세를 나타내며 거래량 6백5십만주 이상을 기록했다. 이 외에도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 대우건설(047040), KR모터스(000040), 한화시스템(272210), 오리엔트바이오(002630) 등이 각각 11.29%, 5.93%, 15.00%, 1.84%, 1.54% 상승하며 거래량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대영포장(014160) ▼1.93%, 평화산업(090080) ▼5.76%, SK증권(001510) ▲4.50%, 인스코비(006490) ▲10.75%, 한화생명(088350) ▲1.95%, 현대건설(000720) ▲2.58%, 평화홀딩스(010770) ▼7.16%, JW홀딩스(096760) ▲2.48%, SK하이닉스(000660) ▲2.84%, GS건설(006360) ▲10.00%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급등한 상상인증권와 KR모터스가 있다. 상상인증권는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75%에 달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반면, 평화산업와 평화홀딩스는 각각 5.76%와 7.16%의 하락세를 보이며,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전체적인 시장 흐름은 상승과 하락이 혼재된 가운데, 일부 종목들이 높은 거래대금과 함께 급등락을 보이고 있다. PER와 ROE 지표를 통해 본 기업들의 재무 상태는 다양한 모습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선택에 중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휴젤, 전 거래일 대비 5.66% 하락 주목

    [서울데이터랩]휴젤, 전 거래일 대비 5.66% 하락 주목

    휴젤(145020), 전 거래일 대비 5.66% 하락 주목 에코프로비엠(247540) 4.56% 상승, 에코프로(086520) 4.43% 상승, HLB(028300) 2.47% 상승...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혼조세를 보인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알테오젠(196170)은 현재가 336,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2.18% 하락하고 있다. 상장주식수 53,465주에 외국인비율이 14.41%로 나타났으며, 거래량은 229,866주다. PER은 143.99, ROE는 29.52로 재무 지표는 비교적 안정적이나 주가는 하락세다. 에코프로비엠은 84,900원으로 4.56% 상승하며 거래량은 366,901주로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비율은 11.23%이며, PER은 -89.46, ROE는 -6.26으로 재무 지표는 부진한 상태다. 시가총액 3위 HLB는 2.47% 상승하며, 거래량은 429,687주로 나타났다. 에코프로는 4.43% 상승 중이며 거래량은 646,084주로 활발하다.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는 1.13% 상승하며 거래량은 49,758주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알테오젠 ▼2.18%, 에코프로비엠 ▲4.56%, HLB ▲2.47%, 에코프로 ▲4.43%, 펩트론(087010) ▼1.09%, 레인보우로보틱스 ▲1.13%, 파마리서치(214450) ▼1.78%, 리가켐바이오(141080) ▲0.43%, 휴젤 ▼5.66%, 에이비엘바이오(298380) ▼1.45%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외국인 비율과 거래량에 따라 등락폭이 달라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외국인의 매수세와 높은 거래량을 보인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는 상승세를 보였으나, 휴젤은 큰 하락폭을 기록하고 있다. 이 기사는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MDS테크 거래대금 860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MDS테크 거래대금 860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MDS테크(086960)는 63,394,312주가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1,402원이며, 거래대금은 86,004백만원으로 시가총액 1,301억 원 대비 약 6.6% 수준의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PER은 23.37, ROE는 5.63으로 나타나고 있다. 플루토스(019570)는 주가가 376원에 거래되며, 거래량은 40,997,934주로 집계된다. 시가총액 246억 원 대비 거래대금은 16,396백만원으로, 약 6.7%에 달하며, PER은 -94.00, ROE는 0.62로 나타난다. 비큐AI(148780)는 현재 1,684원으로 거래되며, 등락률은 +28.26%를 기록하고 있다. 거래량은 34,894,340주에 달한다. 빛과전자(069540)는 1,151원으로 +19.27% 상승하며 16,071,940주가 거래되고 있다. 셀리드(299660)는 8,720원으로, +4.43% 상승하며 13,809,192주의 거래량을 보인다. 메디콕스(054180)는 251원으로 -6.69% 하락하며 13,212,113주가 거래되고 있다. 티씨머티리얼즈(125020)는 7,160원으로 +0.14% 상승하며 13,100,482주가 거래되고 있다. JW신약(067290)은 1,694원으로 +9.01% 상승하며 12,347,900주의 거래량을 보인다. 케이엠제약(225430)은 745원으로 +22.13% 상승하며 11,244,831주가 거래되고 있다. 넥스트아이(137940)는 485원으로 -7.09% 하락하며 9,522,007주의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메이슨캐피탈(021880) ▲5.54%, 메가터치(446540) ▲11.29%, DSC인베스트먼트(241520) ▲15.63%, 나우IB(293580) ▲12.37%, 우리기술(032820) ▼2.28%, 한국정보인증(053300) ▲8.51%, 셀루메드(049180) ▲20.65%, 위더스제약(330350) ▼4.11%, 나우로보틱스(459510) ▲10.91%, 씨씨에스(066790) ▲0.76%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비큐AI와 케이엠제약이 있다. 비큐AI는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10.6%를 차지하며 높은 등락률을 기록하고 있다. 케이엠제약 역시 시가총액의 4%에 해당하는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메디콕스와 넥스트아이는 각각 -6.69%와 -7.09%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주가 하락이 두드러진다. 넥스트아이는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이 약 1.1%에 그쳐, 거래가 비교적 저조한 편이다. 전체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상승세를 보이는 종목들이 다수인 가운데, 일부 종목은 하락세를 보이며 혼조세를 나타내고 있다. 투자자들은 거래량과 거래대금 비율을 참고하여 당일 시장의 자금 흐름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한전, 글로벌 유틸리티 최초 ‘CES 2026’ 단독관 운영

    한전, 글로벌 유틸리티 최초 ‘CES 2026’ 단독관 운영

    한국전력이 세계 최대 규모의 ICT 융합 전시회인 ‘CES 2026’에서 글로벌 유틸리티 최초로 단독관을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한전은 2026년 1월 6일부터 9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기술 전시회 CES 2026에 참가한다. CES는 세계 유수의 대기업과 혁신 스타트업 등 기술 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체들이 참여하는 세계 최대규모의 기술 이벤트다. 올해부터는 에너지전환이 주요 전시 주제로 선정돼 에너지 분야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한 바 있다. 이번 CES 2026 참가는 지난 3월 CES 주관사인 CTA(미국소비자기술협회)측의 최종 승인과정을 거쳐 성사됐으며, 글로벌 유틸리티 기업 중 최초로 CES 주 전시장에 단독관을 운영할 계획이다. 관계자는 “한전이 제시한 에너지 솔루션 기술들이 ‘기술을 통한 삶의 변화’라는 CES 철학에 부합한 결과로, 한전의 기술 우수성과 혁신성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전은 주 전시장에 ‘KEPCO Energy&Solution Pavilion’을 구성해 소비자가 전기를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소비자 친화형 최첨단 기술을 전시할 계획이다. 또한, 한전은 전시관 운영과 함께 CES에 참여하는 전 세계 각국의 정부기관, 글로벌기업, 투자자, 구매자 등을 상대로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내외 주요 참여기업들과 경영진 미팅을 추진하고, 국내 중소기업들과 팀코리아를 구성해 글로벌 시장 동반진출을 위한 사업 기회도 모색한다는 전략이다. 김동철 사장은 “한전의 CES 2026 참가는 글로벌 에너지 플랫폼 기업으로서 한전의 혁신 기술을 세계에 알리는 기회이자, 에너지신산업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서울 중구, ‘AI 내편중구’로 지방정부 AI혁신대상 과기부 장관상

    서울 중구, ‘AI 내편중구’로 지방정부 AI혁신대상 과기부 장관상

    서울 중구는 전국 최초로 선보인 인공지능(AI) 기반 통합 플랫폼 ‘AI 내편중구’가 지방정부 AI혁신대상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AI 내편중구는 흩어진 행정 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해 구민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만약 검색창에 ‘악기’라고 입력하면 공공 도서관 음악 프로그램과 자치회관 난타 교실, 복지관 피아노 수업 등의 정보를 한 번에 보여준다. 프로그램 참여 신청까지 바로 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해 주민들의 편의를 크게 높였다. 구는 AI 내편중구에 다국어도 지원하는 챗봇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사업 공모’에도 도전 중이다. 공모에 선정된다면 AI 내편중구뿐만 아니라 구 누리집에 챗봇을 도입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다. 김길성 중구청장은 “이번 수상은 최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주민 편의와 정보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한 노력이 인정받은 것”이라며 “앞으로도 주민의 삶에 힘이 되는 ‘언제나 든든한 내편중구’가 되도록 최선을 다해 구정을 운영하겠다”고 강조했다.
  • 부산테크노파크, 신발 제조·디자인 AI기반 디지털 전환 추진

    부산테크노파크, 신발 제조·디자인 AI기반 디지털 전환 추진

    부산테크노파크는 AI기술 기반 패션테크 선도기업인 크리스틴컴퍼니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모한 2025년 XaaS 선도 프로젝트 개발 과제에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신발산업의 디지털 전환이 본격 추진된다. 해당 과제는 ‘생성형 AI기반 인터랙티브 신발 디자인 및 제조 디지털 서비스 기술’을 목표로 올해 12월까지 진행되며, 국비 8억 원을 지원받을 예정이다. 이 과제를 통해 신발산업 전 주기에 AI 기술 기반 디지털 서비스를 도입하여, 디자인부터 제조까지 공정 전반을 디지털화 하게된다. 이에따라 평균 6개월 정도 소용되는 신발 디자인 개발기간을 1개월 이내로 단축하는 등 생산성과 창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크리스틴컴퍼니는 이번 과제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보완하고 실제 사용자 수요를 반영한 신규 기능을 추가로 개발해, 올해 안에 본 서비스를 공식 출시할 예정이다. 김형균 부산테크노파크 원장은 “본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상용화될 경우, 부산 신발산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디자인 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순천만잡월드 새단장’···아이들 상상력과 꿈이 자라는 공간

    ‘순천만잡월드 새단장’···아이들 상상력과 꿈이 자라는 공간

    호남 유일의 어린이 직업체험시설관인 ‘순천만잡월드’가 1년 5개월간의 보수 공사를 끝내고 오는 31일 정식 개관한다. 활성화를 위해 운영방식도 위탁 체제에서 시 직영으로 변경했다. 경기도 성남의 한국잡월드에 이어 지난 2021년 국비 등 487억원을 들여 국내 두 번째로 문을 연 순천만잡월드는 첨단기술을 활용한 미래 직업 체험의 장이다. 체험 콘텐츠와 시설을 전면 개선하고, 지역을 넘어 전국 각지에서 어린이들이 찾아오는 공간으로 새롭게 탈바꿈했다. 체험관은 총 세 가지 테마로 구성됐다. △AI센터, 로봇연구소, 드론개발센터 등 미래 유망 산업을 반영한 ‘미래기술 체험관’ △K-POP랜드, 뷰티숍, 애니클럽, 푸드스튜디오 등 창의성과 감성을 자극하는 ‘예술창의 체험관’ △경찰서와 소방서에서 사회 안전 관련 직업을 경험할 수 있는 ‘공공안전체험관’ 등이다. 체험 대상은 5세부터 10세 어린이다. 아이들이 실제 직업 세계를 놀이처럼 체감하면서 자연스럽게 진로를 탐색하고 창의력을 키울 수 있도록 기획됐다. 지난 27일부터 29일까지 ‘잡월드 오픈런’ 시범 체험 이벤트를 진행한 시는 정식 개관일인 31일 가족 단위 체험객을 위한‘잡월드 3GO’ 특별 이벤트를 준비했다. ‘3GO’는 ‘즐기GO, 만들GO, 꿈꾸GO’라는 주제로 마술쇼, 벌룬쇼, 캐릭터 퍼레이드 등 아이들이 좋아하는 다채로운 공연과 함께 더욱 풍성한 체험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개관 이후에도 특별한 혜택이 이어진다. 다음달 2일부터 8월 30일까지 3개월 간 할인 요금제가 적용돼 보다 많은 참여자들이 부담 없이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시 첨단산업과 관계자는 “순천만잡월드는 아이들이 다양한 직업을 놀이를 통해 체험하며, 자신의 꿈과 미래를 그려볼 수 있는 체험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며 “향후 로봇교육과학관과 연계를 통해 직업 체험을 넘어 미래기술 체험의 거점 공간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 US여자오픈 내일 밤 개막… K골퍼 25명 출격

    US여자오픈 내일 밤 개막… K골퍼 25명 출격

    한국과 특별한 인연이 있는 US여자오픈이 29일 밤(한국시간) 80번째 막을 올린다. 미국 위스콘신주 에린 힐스(파72·6835야드)에서 나흘간 펼쳐지는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시즌 두 번째 메이저 대회에는 30개국 156명이 출전해 총상금 1200만 달러를 놓고 경합한다. 한국 선수로는 유해란 등 미국에서 활약 중인 18명과 황유민, 마다솜 등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소속 6명, 일본여자프로골프(JLPGA) 투어 통산 상금 1위 신지애까지 25명이 출전해 우승을 노린다. 한국은 미국(39명) 다음으로 출전 선수가 많다. 특히 2020년 김아림 이후 끊어진 우승 명맥이 5년 만에 이어질지 관심이다. 한국은 1998년 ‘맨발 투혼’의 박세리를 시작으로 박인비, 박성현 등이 모두 11차례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린 바 있다. 선봉에는 세계 5위 유해란이 선다. 현재 한국 선수 중 세계 랭킹이 가장 높은 유해란은 이달 초 블랙 데저트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상승세를 타고 있다. 유해란은 세계 1위 넬리 코르다(미국)와 함께 스포츠 베팅업체가 꼽은 우승 후보 2위에 올랐다. 김효주와 김아림도 시즌 2승째를 메이저 타이틀로 장식하려 한다. 내년 시즌 미국 진출을 선언한 황유민의 경우 자신의 기량이 얼마나 통할 수 있을지 미리 가늠해 볼 기회다. 지난해 파리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내며 명예의 전당에 입회한 리디아 고(뉴질랜드)는 5개 메이저 대회 중 4개를 제패하는 커리어 그랜드슬램에 도전한다. 그는 이미 에비앙 챔피언십과 셰브론 챔피언십, AIG 여자 오픈에서 우승했다. 이 대회 또는 KPMG 여자 PGA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면 2015년 박인비 이후 10년 만에 역대 8번째 커리어 그랜드슬래머로 이름을 남기게 된다. 지난해에만 7승을 거두며 최고의 순간을 보냈지만 올해 아직 우승이 없는 코르다도 시즌 첫 승을 메이저 대회에서 이루겠다는 각오다. 베팅업체가 우승 후보 1위에 올려놓은 세계 2위 지노 티띠꾼(태국)과 디펜딩챔피언 사소 유카(일본)도 어떤 기량을 선보일지 관심이다.
  • 내실 다지는 대구시… TK신공항 등 76개 현안 결실로 다가온다

    내실 다지는 대구시… TK신공항 등 76개 현안 결실로 다가온다

    양당 대선 후보에 지역 현안 전달신공항 배후 산단 등 공약에 반영군부대 이전 부지 개발사업 추진종합 의료 클러스터 등 조성 계획미래 모빌리티·로봇 등 집중 육성수성알파시티 AI 혁신 거점 조성 대구시가 대구·경북(TK) 신공항 건설과 도심 군부대 이전 등 지역 최대 현안의 추동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는 지난달 11일 홍준표 대구시장의 사퇴 이후 행정부시장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했지만, 흔들림 없이 각종 현안 사업들을 구체화하며 내실화하고 있다. 특히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후보들의 공약에 각종 현안을 반영하는 데 주력했다. 공약은 차기 정부의 국정 과제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시는 각종 재난이나 불황에도 시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민생 안정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행정부시장은 지난 23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불확실한 정국에서도 현안을 꼼꼼하게 챙기려고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며 “뼈대가 잡힌 각종 현안의 내실을 다져 결실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대선 후보 공약에 각종 현안 반영 주력 대구시는 최근 1호 공약인 TK 신공항 건설을 비롯한 82조원 규모의 76개 현안 사업을 확정해 정당과 대선 후보들에게 전달했다. 이에 국민의힘 정책총괄본부는 대구 지역 7대 핵심 공약으로 ▲TK 신공항 국비 건설·공항 배후 첨단산업단지 조성 ▲대구 도심 군부대 이전 ▲달빛고속철도 조기 착공 ▲경부선 고속철도(KTX) 지하화 등을 공개했다.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 선거대책위원회도 ▲대한민국 인공지능(AI) 로봇 수도 육성 ▲미래 모빌리티 산업 지원 체계 구축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조성 ▲글로벌 문화예술 도시 조성 ▲도시철도 순환선 단계별 건설 ▲염색산업단지 이전 및 취수원 다변화 ▲독립·호국·민주의 성지 조성 등 대구 맞춤형 7대 공약을 발표했다. 뒤이어 발표한 9개 구군별 ‘우리동네공약’에는 대구 군공항(K2) 이전 터 개발도 담겼다. 이와 함께 대구시는 지난 3월 군위군으로 이전이 확정된 도심 군부대 이전 터 개발 청사진도 본격적으로 그려 나가고 있다. 수성구와 북구에 있는 육군·공군부대 5곳의 이전 터에는 종합 의료 클러스터, 국제금융지구, 미래형 국제교육중심지구, 첨단산업단지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최근 홍성주 경제부시장 주재로 회의를 열기도 했다. 회의에서는 관련 규제 완화와 제도 개선을 위한 특별법 제정도 검토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이 밖에도 김 대행은 지난 13일 권기창 안동시장과 만나 대구 취수원을 안동댐으로 이전하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과 관련한 현안 및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미래 신산업 육성, 산업구조 개편 선점 10여년 전부터 대구시가 꾸준히 투자하면서 유리한 고지에 있던 미래 모빌리티·로봇·의료·물 산업 등과 관련해서는 차별화 전략을 세우기로 했다. 시는 우선 비수도권 최대 정보통신기술(ICT) 집적 단지인 수성알파시티를 ‘AI 전환(AX) 산업 혁신 거점’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마련했다. 세부 사업으로는 국가AX연구원 설립,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등이 있다. 제2국가산업단지에는 국가로봇테스트필드, AI 로봇 글로벌 혁신특구 등 핵심 인프라와 ‘AI·첨단 로봇 융합 밸리’를 조성한다. 시는 반도체 위탁생산(공공형 파운드리) 구축으로 반도체 설계(K팹리스) 기업의 제조 공정을 지원하고, 자율주행차의 실증을 위해 관련 규제를 철폐하는 메가 샌드박스 구역을 지정한다. 관련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서다. 첨단 의료복합단지를 중심으로 디지털·바이오 산업 육성,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 등 글로벌 헬스케어 혁신 허브도 조성할 계획이다. 전통 산업인 섬유 산업을 첨단 테크 산업으로 전환, 섬유 산업 부흥과 글로벌 경쟁력도 강화한다. ● 조직 개편 통해 재난 대응 효율화 대구시는 재난 대응 체계를 일원화하는 등 조직 정비에도 나섰다. 지난달 말 북구 함지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진화와 재발화를 거듭하다 나흘 만에 잡히면서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도시형 산불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재난에 대응하는 계기가 됐다. 시는 시장 권한대행 체제 전환 이후 첫 조직 개편에서 시민 안전에 중점을 뒀다. 산림 재난 대응 기능을 담당하는 산림녹지과를 환경수자원국에서 재난안전실로 이관하고 명칭을 산림관리과로 변경해 재난안전대책본부와 산불방지대책본부 운영을 일원화하기로 한 것이다. 재난 안전 전문성을 갖춘 재난안전실에서 산불 대응까지 총괄하게 되면서 신속한 현장 파악, 초기 진화, 긴급 대피, 이재민 지원 등을 종합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는 게 대구시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지난달 창설한 재난안전기동대의 현장 지휘와 지원을 위한 재난안전기동팀을 신설했다. 이 밖에 오는 7월 새롭게 문을 열 대구소방학교에도 전문적인 교육·훈련 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이로써 대구시는 ‘1단·3실·16국·1본부·5사업소’에서 ‘1단·3실·16국·1본부·6사업소’ 체계로 운영된다.
  • 전기차 명가 꿈꾸는 포르쉐… 안전·기술 다 잡는다

    전기차 명가 꿈꾸는 포르쉐… 안전·기술 다 잡는다

    독일 포르쉐가 주행거리와 안전, 인공지능(AI) 신기술을 모두 충족하는 전기차 기술로 명차로서의 자존심을 찾는다. 지난 15일(현지시간) 독일 슈투트가르트 인근 포르쉐 바이작 연구개발(R&D)센터에서 만난 마티아스 골드쉐 연구원은 “전기차의 주행거리뿐 아니라 수명이 길고 안전한 배터리, 고객의 요구사항 등을 모두 충족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지난 22일 국내에 출시된 타이칸 GTS의 경우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현재 425㎞이며 포르쉐는 이를 2030년까지 800㎞로 늘릴 수 있다고 봤다. 포르쉐가 개발한 800V 고전압 충전 시스템은 기존의 충전 용량을 270㎾에서 320㎾로 늘렸다. 타이칸의 경우 급속 충전으로 10%에서 80%로 늘리는 데 드는 충전 시간을 기존 21.5분에서 18분으로 단축했다. 포르쉐 기술진은 AI를 활용해 배터리셀 간의 충전 상태 불균형을 파악하고 배터리 수명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를 분석했다. 포르쉐는 단순 외주에 그치지 않고 배터리의 설계와 성능, 안전성 검증에 참여하고 있다. 새로 개발된 구동용 배터리를 차량에 장착하려면 고강도의 내구성 시험을 거쳐야 한다. 배터리를 1m 깊이의 물에 담그고 방수 능력을 시험하는 것뿐 아니라 소금물 등을 뿌려 부식에 오래 견디는지도 확인한다. 탑승자 안전은 최우선 순위다. 포르쉐는 테스트 벤치에서 실제 충돌 사고를 재현하기 위해 충돌 시 발생하는 신호를 시스템에 주입하고 반응을 0.001초 단위로 측정한다. 
  • KT, 베트남 비엣텔과 맞손… ‘글로벌 AX’ 공략

    KT, 베트남 비엣텔과 맞손… ‘글로벌 AX’ 공략

    KT가 베트남 국영 기업 비엣텔 그룹과 손잡고 동남아를 중심으로 글로벌 인공지능(AI) 전환(AX) 사업 공략에 나선다. KT는 김영섭 대표가 지난 26일 베트남 하노이 비엣텔 그룹 본사를 방문해 따오 득 탕 비엣텔 그룹 회장 겸 대표이사(CEO)와 AX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김 대표가 직접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에 나선 건 지난해 6월 마이크로소프트와 올 3월 팔란티어에 이어 세 번째다. 비엣텔 그룹은 베트남 최대 통신사 비엣텔 텔레콤을 비롯해 동남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11개국, 1억 3800만 고객을 보유한 글로벌 통신·기술 기업으로, 지난해 73억 4000만 달러(약 10조 507억원) 매출을 기록했다. 최근 AI, 클라우드 컴퓨팅, 사이버 보안에 힘을 실으며 기술 기업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AX 컨설팅, AI 사업 개발, 소비자 및 중소기업용 솔루션 출시, AI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AX 역량 및 글로벌 개발 센터 설립, 시장 공동 진출 등 6개 핵심 분야에서 협력한다. 사업 규모는 1300억원 수준이다. 김 대표는 파트너십 체결에 앞서 베트남의 응우옌 찌 중 부총리와 부이 테 주이 과학기술부 차관과 만나 AX 분야에서 베트남의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양사는 AI 데이터센터와 그래픽처리장치(GPU)팜(AI 연산용 칩)을 함께 구축하는 등 베트남의 AI 및 클라우드 인프라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하노이 글로벌 개발센터의 우수 전문인력을 활용해 KT의 AI 및 통신기술 역량을 동남아 전역으로 확산하고 합작투자(JV)를 추진한다.
  • 뉴버거 “사이버 위협, 홀로 대응 못 해… 中공격 맞서 공조 필요”

    최근 발생한 SK텔레콤 해킹 사태처럼 광범위한 정보 유출과 사회적 혼란을 낳는 사이버 공격에 맞서려면 정부와 민간의 협력뿐 아니라 국제적 연대가 필수적이라는 제언이 나왔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사이버·신기술 담당 국가안보 부보좌관을 지낸 앤 뉴버거 스탠퍼드대 국제안보협력센터 교수는 27일 한국경제인협회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가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공동 주최한 ‘인공지능(AI) 시대의 디지털 주권과 사이버 안보’ 세미나에서 민관 협력을 통한 체계적인 방어 역량 강화와 국제 공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뉴버거 교수는 2021년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함께 NSC 부보좌관을 맡아 지난 1월까지 재임하며 미국 내 주요 사이버 공격 대응을 이끈 핵심 인사로 꼽힌다. 지난해 버라이즌, AT&T, T모바일 등 미국의 3대 통신사를 포함한 9곳의 네트워크가 해킹 공격을 받은 사건이 벌어지자 직접 사태를 수습했다. 이 공격의 배후로는 중국 정부와 연루된 해커그룹인 ‘솔트 타이푼’이 지목된 바 있다. 당시 공격을 처음 탐지한 건 정부가 아닌 민간 사이버 보안 기업이었다. 해당 기업이 정부에 해킹 사실을 알리고 정부가 주요 통신사 최고경영자(CEO)를 소집해 업계 전반의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했다는 게 뉴버거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사이버 위협엔 어떤 국가나 기업도 혼자서 대응할 수 없다”며 “거세지는 중국의 사이버 공격 등 정보 보안 위기에 맞서 민관 협력을 통한 방어 역량 강화와 국제 공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진수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수석부회장도 “기술 주권과 디지털 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개인, 기업, 국가를 아우르는 사이버 안보 전략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사이버 보안 기업의 성장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AI 시대를 맞아 사이버 보안은 더이상 개인과 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김창범 한경협 부회장은 “이제 개별 기업 차원의 정보 보호를 넘어 디지털 주권 보호 차원에서의 민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글 클라우드가 이날 발표한 ‘맨디언트 M-트렌드 2025’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JAPAC) 기업들이 사이버 공격을 내부에서 자체 발견한 비율은 31%에 불과했다. 전 세계 평균이 43%인 점을 감안하면 낮은 수준이다. 해당 지역의 초기 감염 경로를 보면 보안상 허술한 부분을 파고드는 ‘취약점 공격’이 64%로 나타났는데, 이는 세계 평균(33%)의 두 배 수준이었다.
  • 위력 드러낸 中 전투기·미사일 시스템… 인도·태평양 긴장감 고조[글로벌 인사이트]

    위력 드러낸 中 전투기·미사일 시스템… 인도·태평양 긴장감 고조[글로벌 인사이트]

    파키스탄, 인도 교전 때 中 무기 사용전투기 J-10CE·미사일 PL-15E 활약최신예 佛 라팔 격추해 공중전 압도무기 시스템 일체화로 성과 극대화저렴한 가격·고사양에 전 세계 주목美 “中 공군력 재평가해야” 우려도 이달 초 인도와 파키스탄의 ‘카슈미르 국경분쟁’이 전 세계를 긴장 속으로 몰아넣은 가운데 가장 크게 주목받은 건 두 나라가 아닌 중국이었다. 중국산 전투기로 무장한 파키스탄 공군이 ‘한 수 위’ 성능으로 평가받던 인도의 라팔 전투기를 격추시켰기 때문이다. 두 나라의 예기치 않은 충돌로 중국은 자국산 전투기의 위력을 전 세계에 과시할 수 있었다. 이는 중국의 군사기술이 미국을 위시한 서구 세계와 경쟁할 수준으로 올라왔음을 보여 준다. 장기적으로 대만해협과 남중국해에서 미중 간 무장 강화라는 도미노 파장을 불러올 수 있기에 우리나라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27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을 종합하면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파할감에서 민간인 26명이 사망하는 테러 공격이 발생해 인도와 파키스탄 간 해묵은 갈등이 재차 폭발했다. 결국 인도는 지난 6일 ‘신두르 작전’을 개시해 파키스탄 내 테러 거점에 초음속 미사일을 쏟아부었다. 이에 질세라 파키스탄도 반격에 나서 7일에는 양국 군 전투기 125대가 하늘에서 대치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군사 전문가들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규모의 공중전’이자 ‘세계 첫 대규모 비(非)가시전투(BVR)’라고 분석했다. 비가시전투란 전투기가 서로 마주 보고 싸우는 도그파이트(근접전)가 아닌, 수십㎞ 이상 떨어진 거리에서 전투기·레이더·미사일 성능만으로 자웅을 겨루는 것을 말한다. 두 나라는 국력만큼이나 군사력도 차이가 크다. 특히 공군 전력은 인도가 압도적이다. 그런데 뚜껑을 열어 보니 결과는 정반대였다. 파키스탄 공군이 서울~대전 거리인 160㎞ 간격을 두고 인도 공군의 라팔 전투기 3대와 수호이-30 KI 1대, 미그-29 1대를 격추했다고 발표한 것이다. 중국산 J-10CE 전투기와 여기에 탑재된 PL-15E 장거리 공대공미사일을 사용해서다. J-10CE와 PL-15E는 각각 J-10C와 PL-15의 수출용 제품을 뜻한다. 인도에서 이에 대해 제대로 된 해명을 내놓지 않는 가운데 미국과 프랑스 정보당국이 인도 전투기 격추 사실을 일부 확인하면서 파키스탄의 주장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인도 공군은 프랑스에서 최신예 라팔 전투기를 도입한 것 외에도 러시아 및 자국산 제품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미국과 이스라엘, 브라질에서 공중조기경보기·전자장비도 대거 도입해 말 그대로 ‘드림팀’을 꾸렸다. 그런데 이러한 다국적 무기체계가 하나의 명령에 따라 유기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시스템은 갖추지 못한 것이 문제였다. 현대전의 핵심은 네트워크중심전(NCW)이다. 이는 지휘부와 전장을 온라인으로 연결해 전쟁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최적의 작전을 전개하는 것이 핵심이다. 인도 공군은 개별 무기 전력에선 파키스탄을 앞섰지만 이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만들지 못해 위기를 자초했다. 반면 파키스탄은 전투기와 공중조기경보기, 공대공미사일 등 무기 시스템을 중국산으로 일체화하면서 전투 성과를 극대화했다. 중국의 군사 전문가는 홍콩 주간지 아주주간에 “‘앞으로의 전쟁은 값비싼 무기가 아닌 완벽한 네트워크 시스템이 승패를 결정할 것’이라는 교훈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파키스탄은 2020년 중국에서 J-10CE 36대를 주문했고 현재 20대를 운용 중이다. 도입 당시만 해도 ‘중국산 전투기로 세계 최고 수준의 라팔을 저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다. 그러나 이번 전투 결과로 중국의 무기 성능이 군사 전문가들의 기존 분석보다 훨씬 뛰어나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전투기만큼 주목할 것은 미사일이다. 이번에 쓰인 PL-15는 중국의 최신예 공대공미사일이다. 사거리가 200㎞인데 수출형인 PL-15E는 150㎞ 정도다. 파키스탄 전투기 조종사가 눈으로 보지도 않고 PL-15E 미사일을 날려 라팔을 격추했다. 이는 첨단 전투기 못지않게 미사일 성능이 중요하다는 점을 각인시켰다. 양국 충돌 이후 J-10C 제작사인 중국 청두항공산업그룹(CAIG) 주가는 한때 40% 가까이 급등했다. 중국산 전투기 성능에 반신반의하던 이집트와 우즈베키스탄 등도 태도를 바꿔 J-10C 구매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했다. 특히 J-10C는 대당 가격이 약 5000만 달러(약 684억원)로, 1억 달러가 넘는 라팔보다 저렴하다. 미국 등 서방 진영 무기 구매가 어려운 중동과 아프리카, 동남아 국가 등에 매력적인 선택지일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인도와 파키스탄의 이번 충돌이 중국 ‘군사 굴기’에 전환점을 가져왔다는 평가도 나온다. 대만해협과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자신감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이를 보고만 있을 리 없다. 현재 미국의 최우선 과제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군사적 팽창을 저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최첨단 무기 배치도 추진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산 전투기가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낸 것이다. 워싱턴 조야에서 ‘대만해협·남중국해 분쟁 시 중국의 공군력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당장 대만 공군에 고사양 무기체계를 제공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파키스탄에 체면을 구긴 인도에 힘을 실어 주고자 대규모 군사 지원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 모두가 중국을 견제하려는 의도다. 이렇게 되면 인태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감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 “행안부, 공공 부문 AI 정책 총괄해야… 부처 신설은 비효율적”

    “행안부, 공공 부문 AI 정책 총괄해야… 부처 신설은 비효율적”

    “대통령실 내에 AI 혁신수석 두고과기부는 민간 인프라 구축 집중” 행정안전부가 공공 부문 인공지능(AI) 정책을 총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대선 국면에 정치권에서 언급되는 ‘AI 부처 신설’은 비효율적인 데다 부처 간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 만큼 행안부의 디지털 정책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디지털정부학회장을 맡고 있는 송석현 국립경국대 디지털ICT공학과 교수는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AI 국가경쟁력 시대, 디지털정부의 방향과 전략 토론회’ 중 ‘AI 시대를 견인할 디지털정부 전략’이란 주제 발표에서 “전자정부 발전, 공공데이터 관리 등 공공 부문 AI 정책을 많이 다뤘던 행안부가 디지털정부 전담 부처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최근 정치권에선 AI 정책 주무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한 정부조직 개편 논의가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과기부를 ‘과학기술정보통신인공지능부’로 확대·개편하고 장관이 부총리를 겸임하도록 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최민희 의원 대표 발의)을 발의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과학기술 연구개발(R&D)과 관련한 예산과 조직을 총괄하는 ‘과학기술부총리’ 자리를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학계에서는 공공 부문과 산업 부문의 AI 담당 부처를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송 교수는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은 이익을 추구하는 민간과 달리 국민을 위한 정책을 만들어야 하므로 성격이 다르다. 과기부가 공공 부문 AI까지 책임지는 것엔 한계가 있다”며 “행안부가 공공 AI 전환을 담당하고, 과기부는 산업 부문만 담당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AI 전담 부처 신설도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송 교수는 “전 부처가 모든 행정 업무에 대해 AI를 기반으로 한 업무를 재설계해야 하므로 실효성이 낮고 비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산업과 공공 부문 AI 정책을 전담하는 부처가 나뉘기 때문에 이를 총괄할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봤다. 송 교수는 “대통령실에 AI혁신수석과 AI정부혁신비서관, AI산업혁신비서관, AI경제비서관 자리를 신설해야 한다. 그리고 각 부처와 지자체에 대통령실과 소통하고 AI 정책을 주도하는 ‘AI 총책임자’(CAIO·Chief of AI Officer) 같은 공무원 보직도 만들어야 한다”며 “대통령실이 총괄하되 행안부가 AI 정부 구현을 전담하고 과기부는 민간 AI 인프라 구축, R&D 투자 확대, 민간 산업 육성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회에서 성욱준 서울과학기술대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는 “공무원들이 평소 업무에 AI를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공직의 AI 리터러시(문해력)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오경석 영남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AI 기술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 문제를 막기 위해 법과 제도를 사전에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지은 CODIT 대표는 공공 부문 AI 서비스를 개발할 경우 대국민 서비스에도 AI를 접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 AI 공약 전면에… 이재명 “100조 투자” 김문수 “100조 펀드” 이준석 “전략부총리 신설”

    AI 공약 전면에… 이재명 “100조 투자” 김문수 “100조 펀드” 이준석 “전략부총리 신설”

    인공지능(AI)은 이번 대통령 선거의 최대 화두 가운데 하나다. 과거엔 과학기술 공약이 뒷전이었던 것과 대조적이다. 딥시크 충격에 글로벌 AI 패권 전쟁이 가속화하자 후보마다 관련 공약을 전면에 내세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AI 민간 투자 100조원 시대를,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AI 민관합동펀드 100조원 조성을 제시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AI 전략을 책임질 전략부총리 신설을 약속했다. 27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된 주요 후보 3인의 AI 공약을 분석해 보면 세 후보 모두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가적 지원을 약속했다. 이재명 후보는 AI 3강 도약을 앞세우며 민간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민간자본 유치로 투자 실탄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AI 고속도로 구축과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개 이상 확보도 다짐했다. 김 후보 역시 ‘AI·에너지 3강 도약’을 제시했다. 글로벌 기업이 참여하는 100조원 규모 민관합동펀드 조성을 약속하며 AI 청년 인재 20만명을 양성하고 원전 비중 확대를 통해 AI 전력망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과학기술부총리 신설도 약속했다. 이준석 후보는 ‘AI 전략부총리’를 새롭게 만들어 정책 일관성과 실행력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대규모 투자 약속은 무의미하다”며 규제 철폐와 민간 자율성을 핵심으로 하는 ‘규제기준국가제’ 도입을 제안했다. 그러나 세 후보의 공약엔 디테일이 보이지 않는다. 청사진만 제시할 뿐 실행 전략은 부재한 상태다. 이재명·김문수 후보의 100조원 투자에는 구체적 재원 마련 방안이 나오지 않는다. 투자 대상도 불분명하다. 이준석 후보의 AI 전략부총리 신설 공약은 주무 부처 격상이란 의미가 있을 뿐 정책 방향이 뚜렷하지 않다. 최병호 고려대 인공지능연구소 교수는 “실행 방안이 없다면 정책 실행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기초연구 지원이나 인재 양성 방안도 담기지 않았다.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AI 인력의 해외 인재 유치 등은 공약집에서 찾기 힘들다”고 말했다.
  • 시진핑의 기술굴기, 새 십년지계 쓴다… “반도체·첨단기술 올인”

    시진핑의 기술굴기, 새 십년지계 쓴다… “반도체·첨단기술 올인”

    전기차·배터리 등 육성 성과 발판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전환 나서 美통제 피할 독자적 생태계 구축 미국의 전방위적 기술 제재에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국운을 걸고 밀어붙인 ‘중국제조 2025’가 상당한 성과를 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둔 두 번째 ‘십년지계’ 수립에 착수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앞으로도 중국이 전 세계 제조업 주도권을 쥐고 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정부가 2015년 5월 발표해 정확히 10년이 된 ‘중국제조 2025’의 후속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미국발 금융 위기가 전 세계로 퍼져 2010년부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하락하자 이를 보완할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을 구상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중국제조 정책이다. 저부가가치 산업 구조에서 벗어나 한국과 일본, 독일처럼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전환하겠다는 구상이다. 2014년 12월 처음으로 개념이 소개돼 2015년 5월 공식 발표됐다. 중국제조 정책은 10년을 단위로 한 3단계 계획으로 이뤄져 있다. 1단계로 2025년까지 제조강국 대열에 들어서고 2단계로는 2035년까지 세계 제조강국 가운데 중등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마지막 3단계로 2045년까지 세계 제조강국 선두 대열에 들어선다. ‘중국제조 2025’는 이러한 30년 계획의 첫 단계다. 지난해 10월 블룸버그는 전 세계 13개 핵심 기술 영역 가운데 중국이 전기차와 리튬 배터리, 무인항공기(UAV), 태양광 패널, 그래핀(차세대 나노 신소재), 고속철 등 5개 분야에서 세계 선두에 올랐다고 평가했다. 한 소식통은 블룸버그에 “기존 성과를 바탕으로 해 앞으로 10년은 반도체 및 제조 장비를 포함한 첨단 기술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한국과 일본, 대만, 네덜란드 등 미국의 동맹국 중심으로 짜여진 반도체 산업망에서 탈피해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의도다. 미국의 반도체 장비 및 인공지능(AI) 칩 수출 통제에서 자유로워지려는 포석이다. ‘중국의 엔비디아’를 꿈꾸는 화웨이는 이런 정책에 발맞춰 선전시 광밍구에 고성능 반도체의 모든 생산공정을 수직 계열화한 대규모 생산 시설 3곳을 건립하고 있다. 다만 새 계획은 ‘중국제조 2025’처럼 구체적인 명칭은 쓰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매체는 덧붙였다. 과거 시 주석이 ‘중국제조 2025’를 대대적으로 홍보했다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중국 때리기’ 빌미를 제공했다는 분석이 나와서다. 이와 별도로 중국 정부는 내년부터 시행될 차기 5개년 계획도 준비 중이다. 과거 우리나라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유사한 정책이다. 지난 19일 시 주석은 ‘제15차 5개년(2026~2030년) 계획’ 수립에 본격적으로 착수하라고 당에 지시했다. 같은 날 허난성의 베어링 공장을 시찰하면서도 “제조업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자립자강’ 원칙을 견지하며 핵심 기술을 스스로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대선 일정과 겹쳐… 반려동물 문화산업 한마당 9월로 옮긴다

    대선 일정과 겹쳐… 반려동물 문화산업 한마당 9월로 옮긴다

    제주 반려동물 문화축제가 대선 일정과 겹쳐 9월로 일정을 옮긴다. 제주도는 이달 말 개최 예정이던 ‘제주 반려동물 문화산업 한마당 행사’를 9월 12일부터 14일까지로 일정을 변경해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당초 오는 30일부터 6월 1일까지 제주종합경기장 한라체육관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이번 행사는 제21대 대통령 선거 일정과 겹치면서 개최 장소도 제주종합경기장 한라체육관에서 제주시민복지타운 일대로 변경됐다. 도는 일정 연기로 확보된 준비 기간을 활용해 더욱 알차고 내실 있는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 문화축제에서는 ▲반려동물 미로대탈출 ▲반려동물 무료 진료 ▲전문가 특별강연 ▲반려동물과 멍때리기 대회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 산업박람회에서는 반려동물 식품(펫푸드)과 건강관리(펫헬스케어) 등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도는 현재 박람회 부스 참여 업체를 모집하고 있다. 참여를 원하는 업체는 ‘축제 누리집’(https://www.jejufairs.com)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김형은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행사 연기로 더 충분한 준비 시간을 확보한 만큼, 올바른 반려동물 문화 정착과 제주 반려동물 관련 산업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내실있는 행사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제주도 반려동물 등록 마리수는 6만 6578마리로 파악됐다.
  • K편의점의 첫 미국 진출…CU, 하와이에 점포 연다

    K편의점의 첫 미국 진출…CU, 하와이에 점포 연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미국 하와이에 법인을 설립하고 현지 편의점 시장에 진출한다고 27일 밝혔다. BGF리테일은 ‘BGF리테일 하와이 법인’을 설립하고, 하와이 현지기업 ‘WKF Inc’의 편의점 전문 신설 법인 ‘CU Hawaii LLC’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했다. 현지 기업에 브랜드 사용 권한과 매장 개설, 사업 운영권 등을 부여하고 로열티를 받게 된다. 오는 10월 하와이 1호점을 개점할 계획이다. 국내 편의점 업계에서 미국 시장에 진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BGF리테일은 “세계 최초의 편의점은 1927년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탄생했다. 1989년 국내에 편의점이 처음 등장한 이후 36년 만에 아시아를 넘어 K편의점의 세계화를 실현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하와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하와이는 연중 온화한 날씨 덕에 연간 1000만 명이 방문하는 대표적 휴양지이다. 하와이 관광객들의 하루 평균 소비액은 약 32만원 수준이며 그중 외식비가 약 4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관광객뿐만 아니라 현지인들에게도 합리적 가격의 편의점 상품 수요가 높다고 보는 이유다. BGF리테일은 간편식 및 즉석조리 등 다양한 K먹거리와 현지화 메뉴들을 개발하고 특색 있는 차별화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앞서 BGF리테일은 기존에 몽골,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에 마스터 프랜차이즈 형태로 진출한 바 있다.
  • 전기차 명가 꿈꾸는 포르쉐…안전·기술 다 잡는다

    전기차 명가 꿈꾸는 포르쉐…안전·기술 다 잡는다

    “전기차에 있어 주행거리가 중요한 요소는 맞지만 유일하게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수명이 길고 가장 안전한 배터리, 친환경 기술, 고객들의 요구사항 등 모두가 중요합니다.” 지난 15일(현지시간) 독일 슈투트가르트 인근 포르쉐 바이작 연구개발(R&D)센터에서 만난 마티아스 골드쉐 연구원은 전기차에 대한 포르쉐의 철학을 이같이 설명하고 “혁신과 최고 품질에 집중해 최고의 전기차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포르쉐가 주행거리와 안전과 주행 성능, 인공지능(AI) 신기술을 모두 충족하는 전기차 기술로 명차로서의 자존심을 찾는다. 지난 22일 국내에 공식 출시된 타이칸 GTS의 경우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현재 425㎞이며, 포르쉐는 이를 2030년까지 800㎞로 늘릴 수 있다고 전망한다. 다만 배터리 용량을 키우면 주행거리는 늘어나지만 그만큼 무거워져 차량의 민첩성이 떨어질 수 있다. 골드쉐 연구원은 “대부분의 운전자는 한번 충전으로 600㎞를 달릴 수 있기를 희망하지만 실제로는 대부분의 일상 주행이 200㎞ 이하이며 하루에 300㎞ 이상 달리는 경우는 100명 중 2명뿐”이라고 설명했다. 포르쉐가 개발한 800V 고전압 충전 시스템은 기존의 충전 용량을 270㎾에서 320㎾으로 늘렸다. 타이칸의 경우 급속충전으로 10%에서 80%로 늘리는데 드는 충전 시간을 기존 21.5분에서 18분으로 단축했다. 날씨가 추워질수록 배터리 충전 효율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포르쉐는 고속 충전이 가능한 시작 온도도 25도에서 15도로 낮추도록 했다. 배터리 용량은 93.4kWh에서 105kWh로 늘어났지만, 무게는 오히려 634㎏에서 625㎏로 줄었다. 차량 개발에서 인공지능(AI)의 중요성도 간과할 수 없다. 포르쉐 기술진은 AI를 활용해 배터리를 구성하는 셀간의 충전상태 불균형을 파악하고 배터리 수명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를 분석해 충전 속도, 배터리 성능, 내구성 등을 최적화할 수 있다. 특히 신형 마칸 전기차의 고전압 배터리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사전 이상 탐지 기술을 도입했다. 포르쉐는 배터리를 단순히 외주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설계와 성능, 안전성 검증에도 참여하고 있다. 새로 개발된 구동용 배터리를 포르쉐 차량에 장착하려면 고강도의 내구성 시험을 거쳐야 한다. 포르쉐는 바이작 R&D센터에서 3개의 테스트벤치를 운영하고 있다. 충전 시험에서는 포르쉐가 전기 스포츠카를 판매하는 모든 시장에서의 급속·완속 충전 기준을 점검한다. 안전성 점검 과정에서는 절연, 결함·과부화·온도의 한계·오작동·부품 결함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시험한다. 테스트벤치에서 실제 충돌 사고를 재현하기 위해 충돌 시 발생하는 신호를 시스템에 주입하고 반응을 0.001초 단위로 측정한다. 특히 포르쉐는 고객이 실제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강도 높은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한다. 카를로스 알베르트 코르도바 티네오 연구원은 “일반적 차량 운전자는 전체 충전의 15%가량을 급속 충전에 사용하지만, 우리는 테스트의 절반 이상을 높은 출력으로 진행한다”면서 “섭씨 60~100도의 극한 온도와 장기간 고온 보관 등의 조건도 반영된다”고 강조했다. 포르쉐는 배터리를 1m 깊이의 물에 담그고 방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물론, 소금물을 포함한 다양한 물질을 뿌려 부식에 견디도록 하는 극한의 실험도 실시한다. 탑승자의 안전은 우선 순위다. 전기차 배터리는 가연성 전해질을 포함해 화재와 합선에 대비한 특별한 안전 설계가 필요하다. 이에 배터리 등 고전압 부품을 차량 내부에서 충격을 덜 받은 위치에 배치하고 충돌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차체 구조를 설계했다. 충돌이 감지되면 전기 모터 같은 고전압 부품은 자동으로 배터리와 분리되도록 한다. 차량이 충돌한 뒤에는 차 문을 안에서도 밖에서도 쉽게 열릴 수 있게 설계해 빠른 구조가 가능하도록 돕는다. 하이코 마이어 포르쉐 총괄 사장은 “우리는 앞으로도 디자인이나 주행 역학적 측면에서 모두 고객들의 꿈을 실현하는 차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