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AI
    2025-11-14
    검색기록 지우기
  • 주택 정책
    2025-11-1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4,797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마니커 거래대금 273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마니커 거래대금 273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마니커(027740)가 24,977,547주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110원으로, 시가총액의 3.88%에 해당하는 거래대금이 발생하며 폭등세를 기록하고 있다. PER -6.45와 ROE -24.82로 기업 가치 평가에서는 부정적인 지표를 보이지만,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집중되어 있다. 진원생명과학(011000)은 12,175,837주를 기록하며 거래량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가는 2,715원으로 폭등세를 보인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1.45%로, PER -4.46, ROE -49.25를 나타내고 있다. 신성이엔지(011930)는 현재가 1,444원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거래량 7,248,920주를 기록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34,200원으로 보합세를 보이며, 6,947,165주가 거래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55,650원으로 하락세를 기록하며, 거래량은 5,964,650주이다. 대영포장(014160)은 1,294원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4,871,516주가 거래되고 있다. 한국전력(015760)은 28,650원으로 상승세를 기록하며, 거래량은 4,382,389주이다. 윌비스(008600)는 588원으로 급락세를 보이며, 거래량은 4,243,950주이다. 동양철관(008970)은 1,325원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4,012,778주가 거래되고 있다. SK이터닉스(475150)는 20,150원으로 상승세를 기록하며, 거래량은 3,634,553주이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오리엔트바이오(002630) ▼-10.14%, 평화산업(090080) ▼-11.77%, 청호ICT(012600) ▼-24.24%, 삼성중공업(010140) ▼-2.27%, 엑시큐어하이트론(019490) ▲4.74%, 한세엠케이(069640) ▲6.51%, 한화솔루션(009830) ▲0.26%, 사조동아원(008040) ▲0.47%, 한화시스템(272210) ▼-4.01%, 흥국화재우(000545) ▲12.45%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급등세를 보이는 마니커는 폭등세와 함께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3.88%에 달해 시장에서 강한 매수세를 받고 있다. 반면, 진원생명과학은 거래대금 비율이 1.45%로 상대적으로 낮지만 여전히 높은 폭의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하락률이 높은 윌비스는 급락세를 보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은 0.66% 수준에 그치고 있다. 청호ICT는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0.72% 수준인데도 불구하고 급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피 시장은 현재 상승과 하락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일부 종목들은 급등 또는 급락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투자자들은 각 종목의 재무 지표와 시장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여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레인보우로보틱스, 급락하며 -6.91% 기록

    [서울데이터랩]레인보우로보틱스, 급락하며 -6.91% 기록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 급락하며 -6.91% 기록 HLB(028300) -5.19%, 삼천당제약(000250) -5.81%, 보로노이(310210) -4.73%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알테오젠(196170)은 현재가 318,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31% 상승하고 있다. 외국인비율은 14.21%이며, 거래량은 147,821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PER은 136.29, ROE는 29.52로 재무 지표도 양호하다. 2위 종목인 에코프로비엠(247540)은 현재가 94,000원으로 0.32% 하락하고 있으며, 외국인비율은 11.07%, 거래량은 172,854주이다. PER과 ROE는 각각 -95.24와 -6.26으로 재정 상태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3위 HLB는 5.19% 하락하며, 거래량은 337,952주를 기록하고 있다. 에코프로(086520)는 0.11% 상승했으며, 거래량은 333,993주이다. 파마리서치(214450)는 0.60% 오르며 거래량 36,739주로 집계됐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레인보우로보틱스 ▼6.91%, 펩트론(087010) ▼2.38%, 휴젤(145020) ▼1.30%, 클래시스(214150) ▼0.33%, 리가켐바이오(141080) ▼3.20%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시장 전반적으로 혼조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자들의 움직임과 거래량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뚜렷하다. 특히 레인보우로보틱스와 HLB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SK하이닉스 2.44% 하락하며 하락폭 최대

    [서울데이터랩]SK하이닉스 2.44% 하락하며 하락폭 최대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대체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9일 오후 12시 20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005930)는 현재가 55,75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85% 하락하며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장주식수 5,919만6,638주에 외국인비율이 49.79%에 달하는 이 종목은 PER 11.26, ROE 9.03으로, 수급과 재무 지표 모두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거래량은 565만4,199주로 이전보다 감소했다. 반도체 대장주인 SK하이닉스(000660)는 19만9,500원으로 2.44% 하락하며 거래량 123만9,041주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비율은 54.45%로 높고, PER 7.34, ROE 31.06으로 양호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2.40% 상승한 1,026,000원,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1.38% 상승한 294,500원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KB금융(105560)은 1.39% 상승하며 94,900원에 거래 중이다. 반면, 현대차(005380)는 1.60% 하락한 190,700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1.19% 하락한 831,000원으로 마감하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우(005935)는 1.82% 하락한 45,85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HD현대중공업(329180)과 기아(000270)도 각각 0.95%, 0.54% 하락한 415,500원, 91,500원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셀트리온(068270) ▼0.13%, NAVER(035420) ▼1.49%, 신한지주(055550) ▲0.58%, 한화오션(042660) ▼2.59%, HMM(011200) ▼1.31%, 현대모비스(012330) ▼2.75%, 두산에너빌리티(034020) ▼0.29%, 삼성물산(028260) ▼1.69%, HD한국조선해양(009540) ▼0.87%, 메리츠금융지주(138040) ▼1.51%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 시장은 현재 하락세가 우세하며, 특히 SK하이닉스와 한화오션이 두드러진 하락폭을 보이고 있다. 외국인 비율이 높은 종목들이 대체로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으며, 거래량이 많은 종목들도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시장에서는 외국인 비율이 높은 종목에서도 하락세가 두드러지며, 거래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종목들은 하락폭이 컸다. 특히 SK하이닉스의 하락은 외국인 비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주가 하락을 피하지 못한 모습을 보여준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2025년 발명왕에 고성능 전력반도체 선도 최윤화 대표

    2025년 발명왕에 고성능 전력반도체 선도 최윤화 대표

    올해의 발명왕에 제엠제코㈜ 최윤화 대표가 선정됐다. 6G·AI(인공지능) 등 미래 기술 연구개발을 선도하고 있는 전경훈 삼성전자 사장은 금탑산업훈장을 받았다. 특허청이 주최하고 한국발명진흥회 주관으로 19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마곡 르웨스트홀에서 열린 ‘제60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올해의 발명왕을 수상한 최 대표는 양면 방열 기술을 적용한 고성능 전력반도체 모듈 개발로 전기차, 자동화 로봇, 전기 이동장치(e-mobility) 등 차세대 스마트 산업의 핵심 부품 개발을 선도해 영예를 안았다. 제60회 발명의 날을 기념해 발명 진흥을 통해 발명 문화 확산에 이바지한 공로자에 대한 특별 공로상이 수여됐다. 우리나라 독립과 기술 발전에 기여한 故 권도인·김용관·정인호 선생이 첫 수상자로 선정됐다. 국립기상박물관 최정희 연구원은 ‘발명의 날’의 기원이 된 측우기의 국보 승격 및 측우기 발명의 역사를 알리는데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특별 공로상을 받았다. 올해 기념식은 선조들의 우수 발명품부터 올해 발명왕의 전력반도체 제품까지 주제별 전시를 통해 발명의 역사와 흐름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 최근 특허등록이 결정된 선조들의 우수 발명품을 특허 관점에서 재조명해 창의성과 기술력을 되새겼다. 특히 독립운동가이자 발명가로 활동한 인물의 업적을 조명한 전시는 발명이 기술 발전을 넘어 시대를 바꾸는 힘이 되었음을 일깨워줬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발명의 날 60주년, 광복 80년을 맞아 발명이 과거와 현재를 잇고 대한민국의 빛나는 미래를 여는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지식재산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조종사 없이 10분간 날았다”…승객 199명 태운 비행기, 무슨 일

    “조종사 없이 10분간 날았다”…승객 199명 태운 비행기, 무슨 일

    200여명의 승객을 태운 독일 루프트한자 여객기가 10분간 조종사 없이 상공을 비행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18일(현지시간) AP통신, 뉴욕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이 ‘아찔한 비행’은 지난해 2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스페인 세비야로 향하던 루프트한자 에어버스 A321 여객기에서 발생했다. 스페인 항공 사고 조사 기관 CIAIAC가 지난 17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승객 199명과 승무원 6명을 태운 이 여객기는 기장(43)이 화장실을 이용하는 동안 부기장(38)이 의식을 잃는 바람에 10분간 조종사 없이 비행했다. 자동 조종 기능이 활성화돼 비행에는 지장이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륙 약 30분을 남기고 부기장에게 자리를 맡기고 화장실을 갔던 기장은 10여분 후 복귀했다. 기장은 조종실 보안문 출입 코드를 다섯 번이나 입력했으나 들어갈 수 없었고, 조종실 안으로 연결된 인터폰으로 부기장과 연락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보안문은 납치 방지를 위해 설계됐기 때문에 밖에서 강제로 여는 것은 불가능하다. 결국 기장은 직접 문을 열 수 있는 보안 코드를 입력한 뒤 조종실로 향할 수 있었다. 당시 실신했던 부기장은 기장이 들어왔을 때쯤 정신을 차렸고, 기장은 재빨리 조종에 나섰다. 보도에 따르면 부기장이 창백한 얼굴로 땀을 흘리며 동작이 부자연스러운 것을 확인한 기장은 급히 객실 승무원에게 도움을 청했다. 부기장은 당시 승무원과 승객으로 탑승한 의사의 응급 처치를 받았다. 의사는 부기장의 심장 질환 가능성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후 부기장은 당국에 자신이 얼마나 오랫동안 의식을 잃었는지 모른다고 진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기장은 순식간에 의식을 잃어 다른 승무원들에게 자신의 응급 상황을 알리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기장은 스페인 마드리드 공항에 비상 착륙했고, 이후 부기장은 병원으로 이송됐다. 조사관들에 따르면 부기장은 발작 장애 진단을 받았다. 루프트한자 측은 DPA통신에 해당 보고서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며 자사 비행 안전 부서에서도 사고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고만 밝혔다.
  • 애 낳으면 ‘1억’ 준다…‘2000억대 주식부자’ 3명 배출한 회사

    애 낳으면 ‘1억’ 준다…‘2000억대 주식부자’ 3명 배출한 회사

    시가총액 2조원 이상 상장사에서 주식재산 100억원이 넘는 비(非)오너 주주가 30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1000억원이 넘는 ‘주식 갑부’가 4명에 달했으며, 특히 자녀를 출산한 직원에 1억원을 지원하는 게임회사 크래프톤에서 상위 3명이 나와 주목된다. 19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2일 기준 시총 2조원 이상 151개 종목에서 오너 일가를 제외한 비오너 출신 임원과 주주 중 주식재산 10억원 이상 보유자는 201명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10억원대가 99명으로 가장 많았고, 20억원대 29명, 30억원대 17명, 40억원대 8명, 50억~100억원 18명이었다. 특히 주식평가액 100억원 이상인 비오너 주식 부자는 지난해 9월 조사(27명)보다 3명 늘어난 30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점은 비오너 주식 부자 상위 1~3위가 모두 크래프톤그룹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1위는 크래프톤 계열사인 라이징윙스의 김정훈 대표이사로, 크래프톤 주식 84만3275주를 보유해 주식평가액이 3246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조사(2049억원)와 비교해 1000억원 이상 늘어난 규모다. 크래프톤 주가가 지난해 조사 시점의 24만3000원에서 올해 38만5000원으로 상승한 영향이 컸다. 2위는 크래프톤그룹 신규 법인 인조이스튜디오의 김형준 대표이사로, 주식재산 2733억원을 보유했다. 3위는 현재 크래프톤의 수장인 김창한 대표이사로, 55만4055주(2133억원)의 주식재산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래프톤은 이들 3명을 포함해 총 8명이 100억원 이상의 주식재산을 보유했다. 여기에는 송인애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 대표(510억원), 류성중 크래프톤 주주(349억원), 애덤 맥스웰 맥과이어 크래프톤 주주(223억원), 찰스 구드휴 클리블랜 크래프톤 주주(223억원), 조두인 블루홀스튜디오 대표이사(121억원) 등이 포함됐다. 주식평가액 4~5위는 삼성전자가 최대주주인 레인보우로보틱스에서 나왔다. 이정호 대표이사가 1937억원, 허정우 기술이사가 980억원의 주식재산을 각각 보유했다. 이어 스콧 사무엘 브라운 하이브 사내이사 겸 하이브 아메리카 CEO(958억원), 손인호 실로콘투 사내이사(897억원), 민경립 시프트업 CSO(582억원), 이재천 에이비엘바이오 부사장(517억원) 등이 500억원 이상의 주식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식재산 100억원 이상인 비오너 주주 30명을 출생 연도별로 보면 1970년대생이 13명으로 가장 많았고, 1960년대생이 10명으로 뒤를 이었다. 국내 매출 상위 대기업 등기임원 중에서는 삼성전자 노태문 사장이 15억원, SK하이닉스에서는 곽노정 사장이 10억원 수준이었고, 현대차에서는 호세 무뇨스 사장이 18억원으로 주식평가액이 가장 높았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업인 크래프톤은 올해 초 파격적인 출산장려금 정책으로도 화제가 됐다. 자녀를 출산한 직원에게 6000만원을 일시 지급하고, 이후 재직하는 8년간 매년 500만원씩 총 1억원을 지급하는 내용이다. 크래프톤 창업자 장병규 의장은 “지난해 자녀를 낳은 직원이 70명쯤 됐는데, 올해부터는 아마 (출산장려금 영향으로) 100명 이상까지 늘 것 같다”며 “지난해 올린 영업이익 1조원의 1%가량을 쓰게 된 만큼 결코 쉬운 결정은 아니었다”고 밝힌 바 있다. 오일선 CXO연구소장은 “오너가와 달리 비오너 임원 등 주식 부자는 매출 상위 대기업보다 게임과 제약 업종 등에서 다수 배출됐다”며 “향후 인공지능(AI)을 비롯해 게임, 로봇, 바이오, 엔터테인먼트 업종 등에서 상장사가 나올 경우 1980년대 이후 젊은 신흥 주식 부자들이 더 많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 용산구, 취업 취약계층 위해 일자리 연계 직업교육과정 운영

    용산구, 취업 취약계층 위해 일자리 연계 직업교육과정 운영

    서울 용산구가 구민의 안정적 취업을 돕기 위해 민관 협력형 일자리 연계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19일 밝혔다. 지난해 91명의 교육 수료자 중 73%인 67명이 실제 취업에 성공한 데 힘입어, 올해는 5개 기관과 손잡고 6개 분야의 전문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용산구 일자리기금을 활용한 공모사업으로, 교육비는 전액 무료다. 구는 전문성을 갖춘 민간 법인·비영리단체와 협약을 체결하고, 교육과정을 공동 추진한다. 협력 기관은 용산여성인력개발센터, 한국폴리텍I대학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세아항공직업전문학교, 재단법인 서강직업전문학교, (사)한국신지식산업협회 등 5곳이다. 교육은 오는 20일부터 11월 26일까지 차례대로 진행된다. 먼저 이달 20일부터 7월 23일까지 진행되는 ‘메타버스 활용 미래교육 강사 양성과정’은 청소년 디지털 교육강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이다. VR 콘텐츠 제작과 메타버스 기반 교육설계 등을 실습한다. 용산구민 20명 대상으로 진행하며, 수료 후 청소년 교육시설 강사로 취업이 연계된다. ‘일반경비원 신임교육과정’은 경비업 종사를 위해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법정 의무교육이다. 상반기(5월 23~25일)와 하반기(9월 19~25일) 두 차례 진행될 예정이며, 상반기 과정은 이달 21일까지 선착순 50명을 모집한다. 패션산업 현장에서 활용되는 의류 패턴 제작 기술을 교육하는 ‘패션디자인 패턴메이킹 의류제작 과정’은 오는 28일부터 8월 22일까지 3개월 동안 운영한다. 오는 27일까지 교육생 20명을 모집 중이다. 경력단절여성을 우대로 선발하는 ‘약국사무원 양성과정’은 약국 행정과 전산처리, 고객응대 등을 배운다. 다음 달 2일부터 30일까지 총 80시간 교육이 이뤄지며, 오는 23일까지 교육생 25명을 모집하고 있다. ‘생성형 AI 콘텐츠 제작 실무자 양성과정’은 미드저니, 스테이블 디퓨전 등 AI 도구를 활용해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이다. 다음 달 10일까지 청년 교육생 20명을 모집한다. 다음 달 16일부터 8월 20일까지 180시간 수업이 진행되며, 교육 설명회는 오는 29일 오후 3시 용산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열린다. ‘에어컨 설치·유지보수 기술인력 양성과정’은 수료 후 즉시 현장 투입이 가능한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이 과정은 올 하반기 한국폴리텍대학 서울정수캠퍼스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민관 협력형 일자리 연계 직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용산구청 일자리정책담당관(02-2199-4512)으로 문의하면 된다. 구는 올해도 실효성 있는 직업훈련을 강화해 취업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할 방침이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이번 민관 협력 일자리사업을 통해 구민들이 실질적인 취업역량을 갖추고 인생 2막을 열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구민 한 분 한 분의 목소리를 반영해 양질의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 ‘전남형 청년창업사관학교’ 운영으로 창업 활성화 나서

    ‘전남형 청년창업사관학교’ 운영으로 창업 활성화 나서

    전라남도가 오는 7월부터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전남형 청년창업사관학교를 운영한다. 전남형 청년창업사관학교는 대학생·청년들의 미래 첨단분야 기술창업을 활성화하고 창업기업의 조속한 경영 안정과 성장에 중점을 두고 운영될 계획이다. 선발된 기업에는 매월 100만 원씩 최대 2년간 총 2400만 원의 창업기술 사업화비를 지원하고 기업 맞춤형 1대 1 멘토링과 경영·회계·법률·투자유치 등 분야별 전문가 코칭 프로그램이 주기적으로 제공된다. 또 16개 대학, 출연기관의 창업·보육 공간을 중심으로 기술창업 아이템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시제품 제작, 특허·상표·디자인 등 지식재산(IP) 인증, 비즈니스모델 컨설팅 등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전남형 청년창업사관학교 지원 자격은 예비창업자 또는 5년 이내 창업 기업인(2020년 1월 1일 이후 창업) 중 18세부터 45세 이하 청년(1980년부터 2007년 출생자)이다. 선정된 이후 16개 대학·출연기관 창업보육센터 창업시설에 입주하고 사업자(법인) 주소를 해당 창업시설에 신설·이전해야 한다. 전남도 거주자, 전입 예정자, 타 시·도 거주자 모두 지원 가능하다. 다만 전남도 거주자와 전입 예정자, 도내 대학 대학생(석·박사 포함)은 선발 평가 시 우대사항이 적용된다. 선발 규모는 총 150명(기업)으로 창업 분야별로 우주항공·바이오·인공지능(AI)·데이터·에너지등의 지역특화기술 100명, 농수산기술 30명, 문화․관광 20명 등 미래 첨단분야 기술창업 중심으로 선발한다. 지원자 신청은 19일부터 28일까지 접수하며 전남형 청년창업사관학교 누리집(https://jnchangup.ezwel.com/) 회원가입 후 제출 서류를 업로드해 사전 신청을 완료하고 희망 보육기관을 방문해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온라인 신청만 진행하고 방문 신청을 하지 않으면 접수가 인정되지 않는다. 제출 서류는 사업계획서를 포함한 총 11종으로, 공고일 이후에 발급된 증명서만 유효하다. 자세한 사항은 전남도 누리집(www.jeonnam.go.kr)에서 확인하거나 전남도 벤처창업종합안내창구(1533-3330) 또는 16개 보육기관으로 문의하면 된다. 서은수 전남도 일자리투자유치국장은 “전남형 청년창업사관학교가 벤처창업을 희망하는 대학생·청년들의 창업 성공률을 높이고 전남 창업 생태계의 중심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지역특화분야 기술창업을 희망하는 대학생·청년들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신청을 바란다”고 말했다.
  • [포착] 양쪽에 AIM-9 미사일…러 전투기 격추한 우크라 ‘해상 드론’ 첫 공개

    [포착] 양쪽에 AIM-9 미사일…러 전투기 격추한 우크라 ‘해상 드론’ 첫 공개

    역사상 처음으로 러시아 전투기 2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해 화제를 모은 우크라이나 해상 드론의 상세한 모습이 공개됐다. 최근 우크라이나 매체 키이우 인디펜던트 등 현지 언론은 미사일 한 쌍을 장착한 해상 드론 ‘마구라 V7’이 처음으로 대중들에게 공개됐다고 보도했다. 유튜브와 텔레그램을 통해서도 공개된 마구라 V7은 세련된 모습의 보트로 보이는데, 특히 카메라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나란히 AIM-9 사이드와인더 적외선 유도 공대공 미사일이 장착된 것이 눈에 띈다. 이달 초 사진으로 공개된 마구라 V7은 바다를 질주하는 다소 흐릿한 모습이었으나 이번에 공개된 사진과 영상은 전체적인 특징이 매우 뚜렷하게 확인된다. 우크라이나 국방부 정보총국(HUR) 키릴로 부다노프 중장은 “지난 2일 마구라 V7이 AIM-9를 발사해 러시아 수호이(Su)-30 전투기 2대를 격추했다”면서 “이는 해상 드론이 전투기를 격추한 최초의 사례로, 이번에 대중에 공개한 마구라 V7의 무장과 같다”고 밝혔다. 마구라 V7은 앞서 헬리콥터를 격추하는 등 활약을 펼친 마구라 V5의 최신판이다. 보도에 따르면 마구라 V7의 길이는 약 7.6m로 270마력 디젤 엔진을 탑재했으며 최고 72㎞/h 속도를 낼 수 있다. 또한 최대 640㎏의 무기를 싣고 1400㎞ 이상의 범위를 보조발전기 사용 시 최대 7일까지 작전할 수 있다. 키이우 인디펜던트는 “마구라 드론에는 여러 버전이 있다”면서 “V7은 대공 미사일과 기관총을 장착할 수 있으며 V5는 주로 함선 파괴용으로 활용된다”고 보도했다. 이처럼 개전 이후 우크라이나군은 비대칭 전력으로 다양한 해상 드론을 개발해 러시아군을 압박해왔다.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 보안국(SBU)은 “마구라 드론과 시 베이비(sea baby) 등의 자폭 드론이 러시아의 여러 선박과 주요 자산을 파괴했다”면서 “이는 흑해에서 벌어지는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GUR은 우크라이나군이 2일 마구라 V7로 러시아 흑해 항구도시 노보로시스크 인근을 비행하던 Su-30 전투기 2대를 파괴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우크라이나군이 공개한 영상을 보면 먼 거리에서 폭발한 물체가 불에 휩싸인 채 바다로 추락하는 장면이 확인된다.
  • [서울데이터랩]이뮨온시아 74.72%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이뮨온시아 74.72%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19일 오전 9시 10분 이뮨온시아(424870)가 등락률 +74.72%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이뮨온시아는 개장 직후 29,197,493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2,690원 오른 6,290원이다. 한편, 이뮨온시아의 ROE는 77.02%로 매우 높은 수익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 상승률 2위 대명에너지(389260)는 현재가 24,900원으로 주가가 29.82% 상한가를 기록 중이다. 상승률 3위 씨엔플러스(115530)는 현재 523원으로 29.78% 폭등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에스에너지(095910)는 28.59% 폭등하며 2,1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체리부로(066360)는 26.25%의 상승세를 타고 986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마이크로컨텍솔(098120)은 현재가 15,720원으로 14.66% 급등 중이다. 7위 하림(136480)은 현재가 3,475원으로 14.50% 급등 중이다. 8위 SDN(099220)은 현재가 1,719원으로 14.45% 급등 중이다. 9위 유니슨(018000)은 현재가 1,928원으로 14.08% 급등 중이다. 10위 엠에스씨(009780)는 현재가 9,010원으로 13.62% 급등 중이다. 이밖에도 메디콕스(054180) ▲11.89%, 마니커에프앤지(195500) ▲11.72%, 서호전기(065710) ▲10.49%, 윙스풋(335870) ▲10.08%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텔코웨어 29.97%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텔코웨어 29.97%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19일 오전 9시 10분 텔코웨어(078000)가 등락률 +29.97%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텔코웨어는 개장 직후 10분간 163,123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940원 오른 12,750원이다. 한편 텔코웨어의 PER은 24.29로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며, ROE는 4.48%로 수익성 측면에서 다소 아쉬운 수준이다. 이어 상승률 2위 마니커(027740)는 현재가 1,099원으로 주가가 28.69% 폭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한세엠케이(069640)는 현재 1,679원으로 21.40% 폭등하며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흥국화재우(000545)는 20.42% 급등하며 12,0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HD현대에너지솔루션(322000)은 20.22%의 급등세를 타고 55,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SK이터닉스(475150)는 현재가 20,300원으로 11.23% 급등 중이다. 7위 진원생명과학(011000)은 현재가 2,410원으로 8.80% 상승 중이다. 8위 콜마홀딩스(024720)는 현재가 10,380원으로 8.69% 상승 중이다. 9위 SK오션플랜트(100090)는 현재가 21,400원으로 8.63% 상승 중이다. 10위 한화솔루션우(009835)는 현재가 31,950원으로 6.86%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씨에스윈드(112610) ▲6.65%, 노루홀딩스우(000325) ▲5.65%, 동양우(001525) ▲5.53%, 백산(035150) ▲5.53%, 율촌화학(008730) ▲5.38%, 우진(105840) ▲5.03%, 팜스코(036580) ▲4.63%,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4.49%, 사조산업(007160) ▲4.39%, 신성이엔지(011930) ▲4.35%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개장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서울데이터랩]개장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오늘(5월 19일) 오전 9시에 개장한 국내 증시에서 두산에너빌리티(034020)가 개장 5분 만에 7.06%의 검색비율을 기록하며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현재가는 34,0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87% 하락하며 보합권에 머물고 있다. 거래량은 1,341,476주를 기록했다. 이어 삼성전자(005930)가 검색비율 2위를 기록하며 1.23%의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검색비율 3위의 한화솔루션(009830)은 5.34% 상승하며 순조롭게 출발하는 모습이다. 검색비율 4위 한미반도체(042700)는 개장 초반부터 4.04%의 하락률을 보이고 있다. 검색비율 5위 한화오션(042660)은 0.00%로 큰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6위 HD현대에너지솔루션(322000)은 등락률 23.01%로 폭등세를 보이고 있다. 7위 알테오젠(196170)은 0.94%의 등락률로 주가가 소폭 상승 중이다. 8위 SK하이닉스(000660)는 1.71% 하락하며 시동을 거는 모습이다. 9위 이뮨온시아(424870)는 61.67%의 폭등세를 보이고 있다. 10위 펩트론(087010)은 상승률 2.88%로 주가가 다소 상승하고 있다. 이밖에도 대명에너지(389260) ▲29.82%, SK이터닉스(475150) ▲13.15%, 하림지주(003380) ▲12.78%, 씨에스윈드(112610) ▲6.65%, 현대바이오(048410) ▲6.64%, 한화시스템(272210) ▲0.00%, 씨젠(096530) ▲2.58%, 코나아이(052400) ▼3.64%, 로보티즈(108490) ▼4.07%, HLB(028300) ▼2.86% 등이 많이 검색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김문수·이준석 ‘전방위 포화’… 이재명 “극단적·왜곡” 반박(종합)

    김문수·이준석 ‘전방위 포화’… 이재명 “극단적·왜곡” 반박(종합)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첫 TV 토론에서 유력 주자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로부터 집중 포화를 받았다.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토론회에서 대선 후보들은 ‘저성장 극복과 민생경제 활성화 방안’, ‘트럼프 시대의 통상 전략’, ‘국가 경쟁력 강화 방안’ 등 경제 분야를 주제로 맞붙었다. 토론은 ▲시간총량제 토론 ▲주도권 토론 ▲공약 검증 토론 등 순서로 진행됐다. 각 코너마다 의무적으로 두 명의 후보에게 질문하도록 규칙을 정했다. 김문수 후보는 모든 질문 기회를 이재명 후보에게 할애했다. 이재명 후보에게 4번, 이준석 후보에게 2번 질문했는데 이준석 후보에 대한 질문도 사실상 화살은 이재명 후보에게로 향했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에게는 한 차례도 질문하지 않았다.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에게 각각 3번씩 질문했다. 김 후보에게 한 질문 중 두 차례는 이재명 후보의 정책에 대한 생각을 묻는 내용이었다. 김문수·이준석 후보는 토론 초반부터 이재명 후보의 이른바 ‘호텔 경제론’과 ‘커피 원가 120원’ 발언을 강하게 몰아붙였다. 이준석 후보는 ‘호텔 경제론’을 언급하며 “외상으로 소비하고 나중에 취소하면 경제가 돈다는 논리냐”라며 “이런 주장은 베네수엘라나 짐바브웨 모델과 유사하다. 이것을 대한민국 경제에 적용하겠다고 들고 나온 것 자체가 대한민국 지도자가 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극단적 예시일 뿐이며 경제 순환의 승수효과를 설명한 것”이라고 설명했으나, 이준석 후보는 “경제 이론을 호도하면 안 된다”고 물러서지 않았다. 김문수 후보도 “이미 학계에서도 ‘불가능하다’고 다 나와 있다”며 “가만히 있는 사람한테 괜히 그냥 돈을 나눠준다든지 이런 발상 자체가 잘못됐다”고 거들었다. 김문수 후보는 또 “이재명 후보는 커피 한 잔 원가가 120원이라고 해 파장이 컸다”며 “자영업자들을 모욕한 발언”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재명 후보는 “원재룟값을 예로 든 것일 뿐 전체 원가로 해석한 건 왜곡”이라며 맞섰다. ‘임금 감소 없는 주 4.5일제’ 추진을 두고도 설전이 오갔다.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에게 “임금의 감소가 없는 주 4.5일제를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가. 말 그대로 기업에게 부담을 다 넘기겠다는 것인가”라고 공격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당연히 임금 감소가 없이 4.5일제로 가야 된다. 앞으로 우리가 점진적으로 타협을 통해서 나아가야 된다”며 “방향을 얘기하는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준석 후보는 “지금 확인한 것처럼 이재명 후보는 ‘어떻게’가 빠져 있다. 그냥 이렇게 하겠다, 저렇게 하겠다 이런 말을 하고 있다”며 “원래 사람들이 어려울 때 옆에 사이비종교가 다가오는 것처럼 가장 위험한 형태의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이재명 후보의 외교관에 대한 공격도 이어졌다.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께서 최근 중국과 대만에 관여하지 말고 모두 ‘셰셰’ 하면 된다고 해서 비난받은 바 있다. 이것은 너무 친중국적 입장 아닌가”라고 공세를 폈다. 이재명 후보는 “제가 드린 말씀은 국익 중심으로 판단해야 되고, 대만과 중국 간 분쟁에 우리가 너무 깊이 관여할 필요가 없다, 현상을 존중하고 우리는 거리를 유지해야 된다, 대만과 중국이 다투면 대만에도 중국에도 다른 나라에도 좋은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로 말씀드린 것”이라고 답했다. 이재명 후보는 그러면서 “중국, 친중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정치인으로서는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고 덧붙였다. 김문수 후보도 이재명 후보를 상대로 “성남시장 시절 사드 배치를 철회해야한다고 주장했고, 민주당 대표 시절에는 주한중국대사의 협박성 발언에도 침묵했다”면서 “미국 입장에서는 끔찍할 정도의 메시지를 (이 후보가) 계속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자 이재명 후보는 “외교는 언제나 국익 중심으로 가야 한다”며 “한미동맹은 대한민국 외교·안보의 기본 축으로 발전·심화시켜야 하는 게 분명하고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도 중요하므로 잘 관리해야 한다. 외교는 실사구시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문수 후보는 원전 정책과 관련, 이재명 후보에게 “원전을 짓지 않고 인공지능(AI) 3대 강국을 언급했는데 원전 늘리지 않고 어떻게 할 것인가. 문재인 정부 탈원전에 대해 잘못됐다 생각하나”라고 물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에너지 정책에 대해 원전이 필요하나, 안 하나 이렇게 일도양단으로 판단할 수 없다”며 “에너지 믹스가 필요하다. 원전도 필요하고 재생 에너지도 필요하고 다른 에너지도 복합적으로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편 권영국 후보는 비상계엄 사태를 정조준하며 존재감 부각에 나섰다. 권영국 후보는 김문수 후보에게 “윤석열씨가 내란 우두머리란 사실을 인정하냐”고 추궁했다. 그는 “헌정 질서를 파괴하고 군을 동원한 내란 기도, 그 책임 인정하냐”며 “그 계엄이 이 나라의 경제에 비수를 꽂았단 사실, 자영업자·소상공인·관광·투자 모든 흐름을 끊었단 사실을 인정하냐”고도 따져 물었다. 김문수 후보는 “지금 말씀이 좀 과한데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은 잘못됐고 제가 알았다면 당연히 말렸겠다”면서도 “그러나 내란이란 것은 현재 지금 재판 중이고 그런 부분에 대해선 여러 가지 판단이 많이 남아 있다”고 답했다.
  • [사설] 예상 답변 속 국민 체증 못 풀어준 첫 대선 TV토론

    [사설] 예상 답변 속 국민 체증 못 풀어준 첫 대선 TV토론

    대선을 보름 앞둔 어제 표심의 중대 변곡점이 될 대선주자 첫 TV 토론이 열렸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민주노동당 권영국 대선 후보가 경제 분야를 주제로 열띤 공방을 주고받았다. 네 후보들은 경제 활성화에 저마다 다른 처방을 내놨다. 이재명 후보는 조속한 시일 내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서민·내수 경제를 살리겠다고 했고, 김 후보는 규제 혁신을 우선순위로 내세웠다. 이 후보는 장기 대책으로는 인공지능(AI)을 포함한 첨단기술 산업, 재생에너지 산업, 문화 산업 등을 육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는 “기업이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도록 규제를 완전히 판갈이하겠다”고 했다. 소상공인 채무 조정, 금융지원 강화 등 기존 공약을 재확인했다. 후보들은 공약을 통해 제시한 정책 견해에서 벗어나는 시각을 던지지는 못했다. 이준석 후보는 “무작정 돈풀기 포퓰리즘이 아닌 실력으로 대한민국을 성장시키겠다”고 이재명 후보를 공박했다. 이재명 후보와 김 후보는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 처리를 두고도 충돌했다. 김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노란봉투법을 또 밀어붙일 것인가”라고 묻자 이 후보는 “대법원 판례와 국제노동기구가 인정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 후보와 김 후보는 반도체특별법에 52시간 예외를 인정하는 문제를 두고도 언쟁을 벌였다. 3차례 TV 토론중 첫 번째로 열린 이날 토론에서는 한미 통상협상을 놓고 두 후보의 입장이 뚜렷이 엇갈렸다. 이재명 후보는 협상 타결을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고, 김 후보는 취임 후 즉각 한미 정상회담을 추진하겠다고 응수했다. 이 후보의 대북 송금 의혹을 놓고 공방도 빚어졌다. 김 후보가 불법 대북 송금 재판을 언급하자 이 후보는 “억지 기소”라고 맞받아쳤다. 미리 정해진 주제와 시간 제한으로 인해 국민적 관심이 큰 사안들에서 심도 있는 토론이나 후보들 간 차별화가 이뤄지지 못한 점은 토론의 한계로 남았다. AI 산업 지원을 놓고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 예외 논란, 주 4.5일제 관련 공방도 벌였으나 후보들은 기존 주장의 범위를 뛰어넘는 철학이나 비전을 보여 주지는 못했다. 우리나라 통합재정수지 적자가 25조 7000억원, 국가채무는 1270조 4000억원에 이를 전망인데 네 후보들의 건전 재정 확보 방안이 구체적이지 않았던 것도 아쉬운 대목이다. 이번 선거는 인수위가 없어 따로 공약을 걸러낼 수 있는 과정이 없다. 몸을 사린 후보들의 원론적 대응에도 국민이 더 크게 눈을 뜨고 자질 검증을 하는 수밖에 없다.
  • AI가 찾는 고립 가구 … 똑똑한 동대문표 복지

    AI가 찾는 고립 가구 … 똑똑한 동대문표 복지

    서울 동대문구는 행정안전부 ‘읍면동 복지·안전 서비스 개선 모델 공모’에 최종 선정돼 다음달부터 ‘안부확인 올케어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공모사업은 주민 생활과 복지의 거점인 읍면동의 재난 안전관리 기능을 강화하고 복지·안전 사각지대를 촘촘히 발굴·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구는 공모 선정을 통해 확보한 국비 예산으로 고독사 예방과 고립 가구에 대한 안전망 확충에 나선다. 현재 구는 ‘인공지능(AI) 안부든든 서비스’를 통해 약 800가구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번 공모사업을 통해 총 1000가구를 대상으로 스마트 안부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서비스는 네이버클라우드의 생성형 AI 기반 안부전화 서비스 ‘클로바 케어콜’을 활용해 월 2회 정기적인 전화로 위기 상황을 감지하고 다양한 복지 욕구를 파악하게 된다. 여기에 케어콜 파트너사인 ‘그레이드헬스체인’의 건강관리 앱이 연계돼 24시간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일정 기간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거나 충전하지 않는 등 이상 반응이 감지될 경우 즉시 현장 대응을 통해 대상자 안전을 확보하는 서비스도 함께 제공된다. 이필형 동대문구청장은 “네이버의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이번 서비스는 단순한 안부 확인을 넘어 정서적·심리적 돌봄까지 아우르는 통합 복지 서비스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종속회사 9개↓… 체질 바꾼 SK, AI·반도체 중심 리밸런싱 속도전

    종속회사 9개↓… 체질 바꾼 SK, AI·반도체 중심 리밸런싱 속도전

    2023년 716개 정점… 이후 감소세최창원 수펙스 의장 취임 후 탄력SK이노-E&S 합병… 비주력 정리SK㈜ 순차입금 11조→8.1조 줄어“반도체 인프라·응용 AI기업 도약” SK그룹은 올해 1분기에도 ‘선택과 집중’ 전략에 따라 종속회사를 9개 줄이며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룹의 미래 핵심 사업으로 꼽는 인공지능(AI)과 반도체를 중심으로 계열사 정리와 투자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SK㈜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전체 종속회사는 총 640개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649개였던 종속회사 중 네이트커뮤니케이션즈, SK스페셜티 등 19개를 매각·청산·합병 등을 통해 제외했고 아이세미 주식회사, 와이원제일차㈜ 등 10개를 새로 설립하거나 인수하면서 최종적으로 9개 줄었다. 대표 사례로 SK스페셜티는 국내 사모펀드 한앤컴퍼니에 약 2조 7000억원에 매각됐다. 이 회사는 삼불화질소(NF3)와 육불화텅스텐(WF6) 제조 분야에서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SK㈜의 종속회사 수는 한동안 급증세를 보이다 지난해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2018년 260개였던 종속회사는 2019년 288개, 2020년 325개, 2021년 454개, 2022년 572개로 해마다 늘었고 2023년 말에는 716개나 됐다. 하지만 지난해 말 649개로 감소하면서 본격적인 리밸런싱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는 2017년 309개에서 2018년 260개로 줄어든 이후 6년 만의 감소였다. 리밸런싱 작업은 최태원 회장의 사촌동생인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이 2023년 12월 그룹 최고협의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에 취임하면서 본격화됐다. 그는 SK이노베이션과 SK E&S 합병을 통해 자산 100조원 규모의 초대형 에너지 기업을 출범시키고 SK렌터카 등 비주력 사업을 과감히 정리하는 등 리밸런싱을 주도하고 있다. 순차입금도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실제 SK㈜의 순차입금은 2020년 6조 7000억원에서 2023년 11조원까지 증가했지만 약 1년간의 리밸런싱을 통해 올해 1분기 기준 8조 1000억원으로 줄었다. 확보한 자금은 AI 및 반도체 분야에 집중 투입된다. SK그룹은 지난해 6월 경영전략회의를 통해 향후 5년간 100조원을 AI 밸류체인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는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같은 반도체 하드웨어뿐 아니라 데이터센터와 개인 비서형 AI 서비스 등 인프라와 응용 분야를 다양하게 아우르는 종합 AI 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한다.
  • “AI 정부 책임” “원전 생태계 복원” “규제 깨부숴야” “불평등 타파”

    “AI 정부 책임” “원전 생태계 복원” “규제 깨부숴야” “불평등 타파”

    이재명AI 중심의 첨단산업에 투자 확대문화·재생에너지 산업 신속히 육성김문수GTX 전국 확충, 출퇴근 시간 단축대기업·中企 격차 줄이는 노동 개혁이준석타국과 규제 격차 없애 성장 가속지도자, 한정된 자원 냉정하게 써야권영국노동이 강한 나라가 진짜 선진국수도권·비수도권 불평등 없앨 것 이재명 더불어민주당·김문수 국민의힘·이준석 개혁신당·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기호순)는 18일 저녁 첫 TV 토론에서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을 두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재명 후보는 인공지능(AI)·재생에너지, 김 후보는 규제 혁파·원전 등 다른 해법을 내놨다. 네 후보는 이날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공직선거법에 따라 주관한 경제 분야 대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 공약을 차례로 발표한 후 주도권토론 방식으로 공약 검증토론을 진행했다. 이재명 후보는 “AI를 중심으로 한 첨단기술산업 투자를 늘려야 한다”며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재생에너지 관련 산업을 대대적으로 신속하게 키워야 한다”며 “문화산업도 대대적으로 육성하면 길이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첨단 인프라 구축과 관련해선 에너지 도로망 구축과 원전산업 생태계 복원, 신산업 육성 과학기술 연구개발 인프라 강화 등을 공약했다. 김 후보는 광역급행철도(GTX)를 전국에 확충해 출퇴근 시간을 줄이고 산업클러스터를 지역마다 확장해 기술 융합과 규제 없는 도시도 만들겠다고 했다. 이준석 후보는 “대한민국이 다시 성장하려면 규제를 화끈하게 깨부숴야 한다”며 “이스라엘 기업들이 미국과 기준을 맞춰 세계로 뻗어 나가듯 타국과의 규제 격차를 없애야 한다”고 밝혔다. 권 후보는 “국가경쟁력 관점을 바꿔야 한다”며 “노동이 강한 나라가 진짜 선진국”이라고 말했다. 권 후보는 “불평등을 갈아엎고 서민을 위한 나라가 돼야 한다”며 “수도권, 비수도권 불평등을 없애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후보는 이날 규제 혁신을 강조했다. 김 후보는 “경제 판갈이로 국가경쟁력을 획기적으로 제고하겠다”며 “규제 혁파를 위한 규제혁신처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특히 고용노동부 장관 출신인 김 후보는 “노동개혁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를 완화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이재명 후보는 “‘규제 프리 도시’라고 규제가 없다는 것을 교통신호도 없다는 거라고 하면 안 된다”며 “합리적 방향 내에서 필요한 규제 빼고는 풀겠다”고 말했다. 또한 “불필요한 규제가 많으면 당연히 줄여야 한다”며 “필요한 규제는 강화하고 불필요한 규제는 완화하는 게 규제 합리화”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후보와 김 후보는 원전을 두고 충돌했다. 이재명 후보는 ‘탈원전 정책이 잘못됐다고 생각하느냐’는 김 후보의 질문에 “에너지 정책에 대해서는 일도양단으로 판단할 수 없다”며 “에너지 믹스가 필요하다. 재생에너지도 필요하고 원전도 필요한데 비중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문제”라고 답했다. 이재명 후보는 “원전은 위험하고 지속성 문제가 있기 때문에 활용하되 과하지 않게 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와 이재명 후보는 원전의 위험성을 두고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김 후보는 “우리는 원전 세계 강국”이라며 “만약 원자폭탄 같은 게 떨어져서 반응하는 부분이 파괴되거나 하지 않는 이상 고장이 없고 굉장히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김 후보 생각에 어폐가 있다”며 “후쿠시마와 체르노빌을 보면 어떻게 장담하느냐”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지방소멸 문제에 대한 이재명 후보의 질문에 “경기 평택 삼성반도체도 120만평 규제 완화로 가능했고 이천 하이닉스도 규제 완화로 했다”며 “다 외국으로 가려고 하는 기업을 유치해 지방 사람들이 와서 취업했다. 무슨 문제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이재명 후보는 “지방을 다녀 보면 실제로 지방 소멸이 심각하다”며 “서남해안 중심으로 전력 요금 차등을 둬 전력 생산지역은 싸게 공급하면 좋겠다”고 언급했다. 이재명 후보는 이날 국가경쟁력 약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윤석열 정부의 무능, 무책임을 꼽기도 했다. 이재명 후보는 “세계 경제가 어렵다곤 하는데 대한민국 경제만 더 많이 어렵다”며 “세금을 깎아 재정이 부족해졌고 내수가 죽고 국제 문제에 잘 대응하지 못해 어려워졌다”고 비판했다.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를 겨냥해 “AI 시대라고 모든 후보가 입 맞춰 얘기하는데 AI 이해도는 낯부끄럽다”며 “이재명 후보는 AI에 10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하면서 매년 5조~15조원에 달하는 농촌 기본소득을 도입하겠다고 한다. 지도자는 한정된 자원을 어디에 쓸지 냉정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와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코스피 5000시대 공약’도 함께 비판했다. 이준석 후보는 “저는 상법 개정안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도 “이재명 후보는 표가 된다고 생각해 부산 가서 HMM, SK해운은 민간기업인데 옮긴다고 했다. 그게 바로 주식시장 ‘이재명 리스크’”라고 지적했다. 권 후보는 ‘차별금지법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이재명 후보가 원론적 답변에 그치자 “사회적 합의의 문제가 아닌 결단의 문제”라며 “이재명 후보는 광장에서 멀어지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재명 후보는 “저는 방향은 맞다고 보지만 현안이 얽혀 있어 이걸로 새롭게 논쟁이 심화되면 당장 할 일이 쉽지 않다”고 언급했다. 그러자 권 후보는 “영원히 못 할 것 같다”고 비판했다.
  • 이재명 “노란봉투법 당연”… 김문수 “52시간 예외 둬야”

    이재명 “노란봉투법 당연”… 김문수 “52시간 예외 둬야”

    李 “尹정권 장관 저성장 책임 느끼나”金 “무조건 반대한 李도 책임 크다” 6·3 대선이 16일 앞으로 다가온 1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첫 TV 토론에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를 향해 “마이너스 경제 성장에 대해 책임감을 느끼느냐”고 직격했다. 김 후보는 “이 후보의 책임도 매우 크다”고 맞받아쳤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마포구 상암동 SBS 스튜디오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김 후보를 향해 “대한민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 0% 성장이 된 데 대해 국민의힘 책임 또 윤석열 정권 주무장관으로서 책임감을 느끼거나 죄송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느냐”고 직격했다. 이에 김 후보는 “매우 죄송하게 생각하고 어려운 점이 많지만 이 후보의 책임도 매우 크다”면서 “이 후보는 우리가 뭐를 하려고 하면 전부 반대했다. 기껏 만들어 낸 게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중대재해처벌법”이라고 반박했다. 노란봉투법을 놓고도 이 후보와 김 후보 간 설전이 벌어졌다. 김 후보가 “이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노란봉투법을 또 밀어붙일 것인가”라고 묻자 이 후보는 “대법원 판례가 이미 (필요성을) 인정하는 법안이다. 국제노동기구도 다 인정하고 있다. 노란봉투법은 당연히 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에 김 후보는 “무리하게 밀어붙이면 우리나라에서 기업을 할 수가 없다”고 했다. 그러자 이번엔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가 김 후보를 향해 “진짜 사장이랑 교섭을 하자는 게 악법인가”라며 따져 물었다. 이 후보와 김 후보는 반도체특별법에 52시간 예외를 인정하는 걸 두고도 충돌했다. 김 후보가 “반도체 분야 52시간 예외 보장을 안 해 주면서 어떻게 다른 나라와 경쟁을 하겠나”라고 묻자, 이 후보는 “고용노동부 장관답지 않은 말씀”이라고 받아쳤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인공지능(AI) 육성 정책과 정년 연장 정책 등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돈풀기가 아닌 교육과 생산성으로 대한민국을 다시 성장시키겠다”고 했다.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주관하는 TV 토론은 오는 23일(사회 분야)과 27일(정치 분야) 두 차례 더 예정돼 있다.
  • 이재명 “AI 세계 3대 강국으로”…국민·기업 참여 100조 펀드 조성

    이재명 “AI 세계 3대 강국으로”…국민·기업 참여 100조 펀드 조성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인공지능(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며 기술 주도 성장을 강조하고 나섰다. 모든 국민과 지역, 대기업부터 소상공인까지 모든 경제주체가 성장의 과실을 함께 누리는 ‘모두의 성장’도 이 후보가 그리는 경제 청사진이다. 이 후보는 지난 17일 페이스북을 통해 경제정책을 발표하며 “이제 단기 부양이 아닌 지속 가능한 성장, 숫자가 아닌 체감할 수 있는 성장, 초격차 첨단기술이 주도하는 성장으로 진짜 성장 시대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가 가장 앞세운 경제 공약은 ‘AI 세계 3대 강국’이다. AI 산업 육성은 이 후보의 10대 정책 공약 중에서도 ‘1호 공약’일 정도로 공을 들이는 정책이다. AI 강국은 제조업 기반 수출 강국에서 정보기술(IT) 강국으로 성장한 한국의 그다음 이정표다. 이 후보는 “정부 예산을 대폭 증액해 민간투자의 마중물이 되겠다”며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약속했다. AI 자율주행으로 미래차 시장을 선점한 테슬라, 단백질 구조 예측 AI로 생명과학의 난제를 해결한 구글 사례를 인용하며 산업별 AI를 확대하고 융합할 수 있는 물꼬를 트겠다고도 했다. 이 후보는 “글로벌 첨단기업을 육성하겠다”며 국민과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100조원 규모 펀드 조성을 언급했다. 그는 대만의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기업 TSMC가 세계 1위 점유율을 차지하게 된 배경에도 정부투자가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국부펀드 설립을 더 늦출 수 없다고 했다. 이 후보는 또 첨단산업으로의 생태계 재편에 필요한 중소·벤처기업 육성 방안도 내놓았다. 40조원 규모의 벤처 투자시장 창출, 모태펀드(재간접펀드) 예산 확대 및 존속기간 연장 등이 담겼다. 또 퇴직연금의 벤처투자도 허용하기로 했다. 에너지 분야와 관련해선 ‘2030년까지 서해안 해상전력망 건설’, ‘AI 기반 지능형 전력망 구축을 통한 RE100(재생에너지 사용 100%) 산단 조성’, ‘햇빛·바람 연금의 전국 확산’ 등이 공약으로 제시됐다. 이 후보는 재생에너지를 “기후위기 대응 핵심 수단이자 산업과 국가경쟁력을 이끄는 동력”이라고 강조한 뒤 박정희 전 대통령의 경부고속도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보화고속도로처럼 ‘에너지 고속도로’로 촘촘한 전력망을 구축해 대도약을 이끌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문화산업을 미래 성장 기반으로 키우겠다는 구상도 내놓았다. K팝, K드라마, K웹툰 등 K컬처의 세계시장 진출을 전폭 지원해 300조원 시대를 열겠다는 목표를 정하고 콘텐츠 기술개발과 정책금융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수도권에 편중된 경제구조를 지역 주도로 바꾸겠다며 권역별 성장 전략도 공개했다. 부산·울산·경남의 경우 조선, 철강, 기계부품, 자동차, 로봇 등에 집중 지원해 미래산업의 선도 지역으로 키우겠다는 것이다. 호남권은 AI 선도 지역, 미래형 농생명·식품산업 중심지로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면서 “진짜 경제는 수도권과 지역, 중소기업과 대기업, 청년층과 중장년층 모두의 참여로 만들어진다”고 강조했다.
  • 김문수 “경제 판갈이”…‘규제혁신처 신설’ 등 구조 전반 개혁

    김문수 “경제 판갈이”…‘규제혁신처 신설’ 등 구조 전반 개혁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18일 비상등이 켜진 한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선 경제 구조 전반을 개혁하는 ‘경제 판갈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규제와 인프라, 미래 산업 정책 전반에 걸쳐 구조 개혁 처방을 완수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경제 공약을 발표하며 “진짜 일자리 창출, 경제, 민생 대통령이 돼서 약속을 반드시 실천하겠다”고 했다. 김 후보는 규제를 상시 관리하고 감독할 수 있는 규제혁신처를 신설하겠다고 했다. 각 부처에 산재해 있으나 충분히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규제 개혁 기능도 통합할 계획이다.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의 1%를 규제혁신 예산으로 반영하고, ‘자유경제혁신기본법’(가칭)을 제정해 다른 나라에 없는 규제가 우리나라에서만 적용되지 않도록 개선하겠다고 했다. 김 후보는 능력을 마음껏 펼치면서 일한 만큼 보상받는 임금체계 개편을 약속했다. 이를 위해 취업규칙 변경절차를 완화하겠다는 공약도 내걸었다. 현행 근로기준법은 노동조합 동의를 받아야만 취업규칙 변경이 가능한데, 이를 노조 의견 청취 또는 부분 대표자를 만들어 직군 동의를 받으면 취업규칙을 바꿀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윤희숙 정책총괄본부 공약개발단장은 “나라가 민간기업의 임금체계를 바꿀 순 없지만 기업에서 원하면 바꿀 수 있도록 제도를 만들어주는 일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유연근무 요건을 완화해 주 52시간제 운영에 자율성을 갖도록 하고, 탄력근로 및 선택근로제에 대한 사용 가능한 단위 기간도 최소 반기(6개월) 이상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담겼다. 고소득 전문직 근로자에 대해선 주 52시간제 예외를 두는 안도 포함됐다. 윤 단장은 ‘근로시간 유연화가 과로를 야기한다’는 노동계 지적에 대해 “대체 불가능한 근로자들에 대해 본인과 회사가 서로 동의한다면 52시간이라는 아주 엄격한 규제로부터 벗어나 잠깐 집중적으로 일할 수 있는 기간을 서로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는 5대 광역권을 성장거점 메가시티로 육성하겠다는 구상도 내놓았다. 지방자치단체장이 기업 유치와 경제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규제 특례를 신청하면 중앙정부가 적극 구현하는 ‘메가프리존’ 도입도 포함됐다. 메가프리존에서는 최저임금제나 근로시간 규제 등의 특례 적용 권한이 지자체장에 부여된다. 김 후보는 ‘인프라 판갈이’의 일환으로 인공지능(AI) 산업에 필수인 전력 인프라 확충을 내걸었다. 재생에너지 뿐 아니라 가스, 원전까지 활용하는 현실적 ‘에너지 믹스’ 전략으로 에너지 공급 능력을 대폭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또 국가 예산지출의 5% 이상을 R&D에 투자하고,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 규모를 5년 내 10조원대로 확대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글로벌 통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통상교섭본부를 ‘경제안보교섭본부’(가칭)로 확대 개편하는 방안도 담겼다. 김 후보는 미래 산업 정책을 육성하기 위해 대통령이 직접 ‘대한민국 미래기술 3+1(AI·바이오·양자+우주) 위원회’를 챙기겠다고 했다. 또 AI 민·관 혁신펀드 등에 100조원 이상 투자, AI 인재 20만명 양성 등 AI 생태계 구축 방안도 제시했다. 벤처 생태계 지원책에는 정부의 모태펀드 재원을 2030년까지 총 20조원 규모로 확대하는 안 등이 담겼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