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AI
    2025-07-19
    검색기록 지우기
  • 일본 지진
    2025-07-19
    검색기록 지우기
  • 노선
    2025-07-19
    검색기록 지우기
  • ȸں(SOC)
    2025-07-19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0,833
  • [서울데이터랩]KB금융이 5.07% 상승하며 금융주 강세 주도

    [서울데이터랩]KB금융이 5.07% 상승하며 금융주 강세 주도

    KB금융(105560)이 5.07% 상승하며 금융주 강세 주도 하나금융지주(086790) 8.05% 상승 SK하이닉스(000660) 3.69% 상승 두산에너빌리티(034020) 4.77% 상승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005930)는 현재가 61,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32% 하락하며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상장주식수 5,919만6,638주에 외국인비율이 49.75%로 높은 이 종목은 PER 11.91, ROE 9.03으로 수급과 재무 지표 모두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도체 대장주인 SK하이닉스는 281,000원으로 3.69% 상승하며, 거래량 177만1,658주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비율 55.42%에 PER 7.88, ROE 31.06으로 수급과 재무 지표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3.02% 하락하며 거래량 18만2,857주를 기록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1.36% 하락, 거래량 4만2,791주로 나타났다. 반면, KB금융은 5.07% 상승하며 거래량 90만1,947주를 기록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4.77% 상승하며 거래량 719만4,851주로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셀트리온(068270) ▼1.40%,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0.62%, 신한지주(055550) ▲7.73%, HD현대중공업(329180) ▲2.52%, 삼성물산(028260) ▲1.23%, 현대모비스(012330) ▲0.51%, 카카오(035720) ▲0.83%, 하나금융지주 ▲8.05%, 삼성생명(032830) ▲1.42%, POSCO홀딩스(005490) ▼1.44%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 시장에서는 금융주와 일부 반도체주가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활발한 거래가 이어지며, 거래량 증가에 따라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이 강세를 보이며 금융주 중심의 상승을 이끌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외국인비율 49.75%, 55.42%로 주요 외국인 투자 종목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두산에너빌리티는 거래량이 높아 주목받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재정 상태가 부진하지만, 여전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파마리서치 11.03% 급등하며 바이오주 주도

    [서울데이터랩]파마리서치 11.03% 급등하며 바이오주 주도

    파마리서치(214450) 11.03% 급등하며 바이오주 주도 알테오젠(196170) -1.08%, HLB(028300) -1.07%, 에코프로(086520) -1.11% 등 하락세...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알테오젠(액면가 500원)은 현재가 412,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4,500원(-1.08%) 하락세를 보인다. 상장주식수 53,465주에 외국인비율이 15.08%인 이 종목은 PER 176.51, ROE 29.52로, 높은 PER과 ROE를 기록하고 있다. 2위 에코프로비엠(247540)(액면가 500원)은 101,000원으로 0.70% 상승하며 거래량 232,858주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비율 12.07%, PER -106.43, ROE -6.26으로 수급과 재무 지표에서 다소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3위 HLB는 1.07% 하락한 48,475원을 기록하며 거래량 337,603주를 보였다. 에코프로는 1.11% 하락하여 44,700원을 기록했고, 거래량은 266,072주로 나타났다. 반면, 파마리서치는 11.03% 급등하며 574,0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364,850주의 활발한 거래량을 보였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리노공업(058470) ▼0.40%, 삼천당제약(000250) ▲0.39%, 코오롱티슈진(950160) ▲1.08%, 실리콘투(257720) ▲2.32%, 에이비엘바이오(298380) ▲2.59%, 에스엠(041510) ▲2.71%, 펄어비스(263750) ▼0.12%, JYP Ent.(035900) ▲0.28%, 젬백스(082270) ▲0.18%, 이오테크닉스(039030) ▲1.78%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바이오 종목인 파마리서치가 급등하면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외국인비율이 높은 알테오젠과 에코프로는 각각 하락세를 보였으며, 거래량이 많은 파마리서치는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외국인비율과 거래량이 주가 등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거래량이 많았던 종목인 에코프로와 파마리서치는 각각 하락과 급등의 방향성을 보이며, PER과 ROE 지표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 주목할 만하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AI보다 나은 점 제출하라”…올해만 7만명 일자리 잃었다

    “AI보다 나은 점 제출하라”…올해만 7만명 일자리 잃었다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잇따라 대규모 해고를 단행하면서, 인공지능(AI)에 의한 인간 일자리 대체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외신들은 올해 미국 8개 빅테크 기업 감원 규모가 총 7만 5000여명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전체 테크 업계 기준으로는 10만명 이상이 기존 일자리를 잃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올해만 벌써 세 차례 감원을 단행하며 총 1만 5000명을 해고했다. 지난 5월 6000명에 이어 이번 7월에는 약 9000명을 추가로 내보냈다. MS 측은 “중복 인력을 줄이고, 새로운 기술 도입을 통해 직원들이 더 의미 있는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번 해고는 워싱턴주 본사를 비롯해 글로벌 전역에서 진행됐으며, 게임 디자이너, 엔지니어, 연구원, 법무팀 등 다양한 부문이 포함됐다. MS는 이미 내부 코드의 20~30%를 AI가 작성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향후 AI 활용 비중을 더욱 늘릴 계획이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이번 대규모 감원이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막대한 투자 비용을 상쇄하기 위한 조치라고 분석했다. 구글은 지난해 약 1만 2000명을 감원한 이후 올해에도 부문별로 수백 명 규모의 해고를 이어가고 있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는 “구글 신규 코드의 25% 이상을 AI가 작성하고 있다”고 밝히며 AI 중심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아마존 역시 2022년 이후 2만 7000여명을 감원했다. 앤디 재시 CEO는 “생성형 AI와 AI 에이전트 도입으로 인해 사무직 인력이 줄어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인텔은 올해 4월 약 2만 2000명의 감원을 발표했다. 지난해 8월에도 1만 5000명을 감원하는 등, AI와 데이터센터 투자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구조조정을 이어가고 있다. 메타 역시 올해 2월 전체 직원의 5%에 해당하는 3600명을 해고하며 “AI가 2026년까지 개발 업무의 절반을 담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크 저커버그 CEO는 “저성과자를 더 빨리 내보내겠다”고도 밝혀 긴장감을 높였다. AI 확산은 신입 채용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벤처캐피털 시그널파이어에 따르면, 주요 15개 테크 기업의 신입 채용은 2019년 대비 50% 이상 줄어들었다. 특히 토비 뤼트케 쇼피파이 CEO는 “팀에 추가 인원을 요청하려면 AI로는 불가능한 업무임을 증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일부 CEO들은 직원들에게 자신이 맡은 일이 AI로 대체될 수 없는 이유를 직접 입증하라는 요구까지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AI가 업무 전반에 도입되면서 자본과 노동의 균형이 무너지고 있다”며 “직원들이 AI와 경쟁하게 된 현실에 사기 저하와 극심한 스트레스를 호소하고 있다”고 전했다.
  • 서울 강서구 “AI 카메라 장착한 마을버스가 도로 포트홀 잡는다”

    서울 강서구 “AI 카메라 장착한 마을버스가 도로 포트홀 잡는다”

    서울 강서구가 도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마을버스에 인공지능(AI) 영상탐지 카메라를 장착해 포트홀을 탐지한다고 8일 밝혔다. 서울시 자치구 중 최초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포트홀 자동 영상 탐지 시스템을 도입한 것이다. 도로 표면이 마모되거나 파손돼 움푹 파인 포트홀은 재빨리 보수하지 않으면 차량 타이어 파손이나 보행자 낙상 등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강서구에는 포트홀 정비 민원이 연평균 1229건 접수되지만, 도로 순찰이나 반자동 탐지 시스템(ADAS)만으로는 실시간 대응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강서구는 마을버스 7개 노선에 각 1대씩 총 7대에 포트홀을 자동으로 촬영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AI 영상탐지 카메라를 설치한다. 포트홀 발생 12시간 안에 긴급보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집한 데이터는 도로 유지보수 정책 수립에도 활용할 수 있다. 서울시 통합 관리시스템과의 연계해 행정 효율성도 높아진다. 강서구는 사전 시범운영을 거쳐 다음달부터 본격적으로 시스템을 가동한다. 진교훈 강서구청장은 “AI 기반 포트홀 자동 영상 탐지 시스템 도입으로 주민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체계적인 도로 유지관리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 [서울데이터랩]현대ADM 29.94%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현대ADM 29.94%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8일 오전 9시 15분 현대ADM(187660)(현대ADM)이 등락률 +29.94%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현대ADM은 개장 직후 3,225,634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456원 오른 1,979원이다. 한편 현대ADM의 PER은 -3.82로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ROE는 -118.31%로 수익성이 낮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어 상승률 2위 앱코(129890)는 현재가 1,180원으로 주가가 29.24% 폭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글로벌에스엠(900070)은 현재 587원으로 26.78% 폭등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자이글(234920)은 20.00% 급등하며 6,42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유틸렉스(263050)는 14.29%의 상승세를 타고 2,68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쿠콘(294570)은 현재가 39,150원으로 9.36% 상승 중이다. 7위 오름테라퓨틱(475830)은 현재가 20,750원으로 8.64% 상승 중이다. 8위 메가터치(446540)는 현재가 4,780원으로 8.39% 상승 중이다. 9위 윙입푸드(900340)는 현재가 1,343원으로 8.31% 상승 중이다. 10위 오가닉티코스메틱(900300)은 현재가 543원으로 7.95%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334970) ▲7.93%, 대보마그네틱(290670) ▲7.11%, 와이바이오로직스(338840) ▲6.88%, 안트로젠(065660) ▲6.70%, 캐리(313760) ▲6.27%, 오가노이드사이언스(476040) ▲5.42%, 대한광통신(010170) ▲5.38%, SGA(049470) ▲5.01%, 조이시티(067000) ▲4.94%, 스튜디오미르(408900) ▲4.92%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국민 모두 건강하게 80세까지” 건강수명 5080, 국민운동 본격 시동

    “국민 모두 건강하게 80세까지” 건강수명 5080, 국민운동 본격 시동

    건강수명 5080 국민추진위원회(위원장 임지준)는 지난 7월 4일에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제1차 회의를 열고, 오는 9월 8일에 공식 출범할 ‘건강수명 5080 국민운동본부’의 실행 계획과 상징 도입, 협력 전략 등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지난 5월 2일 국회에서 열린 ‘오복데이 비전선포식’에 이어, 건강수명 80세 달성을 위한 국민운동의 방향성과 실행 기반을 구체화하는 준비 차원의 성격이었다. 위원회는 건강수명 격차 해소와 건강정책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중심에 두고, 국민이 참여하는 실천운동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방안을 집중적으로 검토했다. 회의에서는 이번 운동의 공식 상징으로 ‘건강 무한루프(Healthy Infinity Loop)’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숫자 8의 형태를 활용한 이 상징은 건강수명의 목표인 80세와 무한(∞)의 의미를 동시에 담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건강과 세대 간 연결, 삶의 질 향상을 표현한 디자인으로 주목받았다. 해당 상징물은 서울대 미술대학 김경선 교수가 디자인을 맡아, 9월 8일 출범식에서 공식 공개될 예정이다. 위원회는 건강수명 5080이 단순한 캠페인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사회 변화로 이어지기 위해 각계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대한체육회를 비롯한 체육계, AI 기술 기반 기관, 교육·복지 단체, 시민사회와의 연대를 추진하며, 출범식에서는 홍보대사 위촉식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건강 형평성 문제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지역과 소득에 따라 최대 10년 이상 벌어지는 건강수명 격차를 줄이기 위해, 위원회는 예방 중심의 건강체계를 전국으로 확산하고 AI와 공공의료 시스템을 활용한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한 공론화의 일환으로, 9월 중 국회에서 건강수명 격차 해소를 주제로 한 공청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임지준 위원장은 “이제는 단순히 오래 사는 시대가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시대를 만들어야 한다”며 “의료뿐 아니라 경제, 교육, 기술, 복지 전 분야가 힘을 모아야 한다. 국민이 먼저 움직이고 정부가 이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건강정책의 틀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한민국이 세계 최초로 건강수명 80세를 실현하는 나라가 되도록 민관이 함께 나아가자”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는 강용수 대한응급구조사협회장, 곽지연 대한간호조무사협회장, 김경범 대구가톨릭대 보건의료경영학과 교수, 김영진 서울시약사회 부회장, 박정란 대한치과위생사협회장, 윤지현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이선희 가천대 간호대학장, 이지은 대한작업치료사협회장, 임지준 대한치매구강건강협회장, 임희숙 경희대 동서의학대학원 교수, 정형구 서울대 간호대 교수, 조경애 (재)돌봄과미래 사무처장, 최연희 경북대 치과대학장, 함선옥 연세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등 각계 보건의료 전문가들이 참석해 국민운동의 방향성에 힘을 보탰다. 건강수명 5080 국민운동본부는 오는 9월 8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공식 출범하며, 이를 기점으로 전 국민이 참여하는 건강수명 실천운동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 [서울데이터랩]한세엠케이 21.09%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한세엠케이 21.09%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8일 오전 9시 10분 한세엠케이(069640)가 등락률 +21.09%로 폭등하며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한세엠케이는 개장 직후 10분간 94,565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21원 오른 1,269원이다. 한편 한세엠케이의 PER은 0.89로 매우 낮아 시장에서 저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ROE는 -58.73%로 수익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어 상승률 2위 애경케미칼(161000)은 현재가 13,170원으로 주가가 15.02% 급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온타이드(005320)는 현재 624원으로 14.50% 급등하며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에이블씨엔씨(078520)는 10.16% 상승하며 8,3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진흥기업우B(002785)는 9.86%의 상승세를 보이며 3,845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동양철관(008970)은 현재가 1,675원으로 8.98% 상승 중이다. 7위 대한유화(006650)는 현재가 100,000원으로 8.11% 상승 중이다. 8위 코웨이(021240)는 현재가 101,600원으로 5.18% 상승 중이다. 9위 달바글로벌(483650)은 현재가 205,000원으로 5.07% 상승 중이다. 10위 계양전기우(012205)는 현재가 3,590원으로 4.36%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JB금융지주(175330) ▲4.25%, 하나금융지주(086790) ▲4.20%, HD현대(267250) ▲4.14%, 두산2우B(000157) ▲4.02%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개장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서울데이터랩]개장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오늘(7월 8일) 오전 9시에 개장한 국내 증시에서 삼성전자(005930)가 개장 5분 만에 16.93%의 검색비율을 기록하며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의 현재가는 61,7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00% 보합권에 머물고 있다. 거래량은 1,702,104주를 기록했다. 이어 두산에너빌리티(034020)가 검색비율 2위를 기록하며 0.64%의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검색비율 3위의 한화오션(042660)은 2.30% 상승하며 순조롭게 출발하는 모습이다. 검색비율 4위 카카오(035720)는 개장 초반부터 0.50%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검색비율 5위 SK하이닉스(000660)는 0.92% 하락하며 주가가 다소 하락하고 있다. 6위 NAVER(035420)는 등락률 0.78%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7위 다날(064260)은 4.43%의 등락률로 주가가 하락 중이다. 8위 쿠콘(294570)은 12.43%의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9위 POSCO홀딩스(005490)는 0.80% 하락하며 주가가 다소 하락하고 있다. 10위 현대로템(064350)은 하락률 1.19%로 주가가 다소 하락하고 있다. 이 밖에도 삼성중공업(010140) ▲3.27%, LG씨엔에스(064400) ▲1.89%, 애경케미칼(161000) ▲9.69%,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0.75%, 현대차(005380) ▼0.36%, 알테오젠(196170) ▼1.44%, 한화솔루션(009830) ▼0.56%, 한국전력(015760) ▼0.54%, 셀트리온(068270) ▼0.28%, 한화시스템(272210) ▲0.00% 등이 많이 검색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스토리·XDC 네트워크·딕시, 24시간 상승률 상위

    [서울데이터랩]스토리·XDC 네트워크·딕시, 24시간 상승률 상위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24시간 동안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가상자산은 스토리(IP)로, 3.28%의 상승률을 보였다. 스토리의 현재 가격은 4,337원이며, 시가총액은 약 1조 2,425억 원에 이른다. 스토리는 최근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활용성을 높이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XDC 네트워크(XDC)는 2.75% 상승하며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XDC의 가격은 89원이며, 시가총액은 약 1조 4,482억 원이다. XDC 네트워크는 기업용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점차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채택되고 있다. 딕시(DEXE)의 상승률은 2.02%로 세 번째로 높았다. 딕시의 가격은 1만 647원이며, 시가총액은 약 8,915억 6,391만 원이다. 딕시는 탈중앙화 금융(DeFi) 플랫폼에서 사용되며,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게이트 토큰(GT)은 0.48% 상승했으며, 가격은 2만 1,340원이다. 시가총액은 약 2조 6,229억 원이다. 게이트 토큰은 게이트아이오 거래소의 네이티브 토큰으로, 거래 수수료 할인 및 다양한 거래소 기능을 이용하는 데 사용된다. 레오(LEO)는 0.3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레오의 가격은 1만 2,448원이며, 시가총액은 약 11조 4,910억 원으로 알려져 있다. 레오는 비트파이넥스 거래소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래소에서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한편, 트론(TRX)은 0.19% 상승하여 가격이 394원에 도달했다. 리플(XRP)은 0.16% 상승하며 가격이 3,135원을 기록했다. 페이팔 USD(PYUSD)와 퍼스트 디지털 USD(FDUSD)는 각각 0.06%, 0.04% 상승했다. 유에스디코인(USDC)은 0.02%의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시럽 펏지 펭귄 방귀코인 24시간 하락률 상위

    [서울데이터랩]시럽 펏지 펭귄 방귀코인 24시간 하락률 상위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시럽(SYRUP)은 24시간 동안 -9.98%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시럽의 현재가는 712원이며, 시가총액은 약 8480억 6346만 원에 이른다. 시럽은 최근 급격한 가격 변동으로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펏지 펭귄(PENGU)은 -9.43%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두 번째로 큰 하락폭을 나타냈다. 펏지 펭귄의 현재가는 19원이며, 시가총액은 약 1조 2552억 원에 달한다. 펏지 펭귄은 독특한 NFT 테마를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방귀코인(FARTCOIN)은 -8.93%의 하락률로 세 번째로 큰 하락폭을 보였다. 방귀코인의 현재가는 1504원이며, 시가총액은 약 1조 5040억 원이다. 이 코인은 유머러스한 이름과 더불어 독특한 마케팅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토(JTO)는 -7.73%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2536원의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지토의 시가총액은 약 8768억 2629만 원으로 기록되어 있다. 지토는 데이터 분석과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플랫폼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에스피엑스6900(SPX)은 -7.56%의 하락률로 주목받고 있으며, 현재 1698원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은 약 1조 5810억 원이다. 에스피엑스6900은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다양한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프로젝트로 평가된다. 한편, 플로키(FLOKI)는 -7.25%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도그위프햇(WIF)은 -6.27% 하락한 115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버추얼 프로토콜(VIRTUAL)은 -5.82%의 하락률로 20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에어로드롬 파이낸스(AERO)는 -5.60% 하락한 928원에, 주피터(JUP)는 -4.96% 하락한 594원에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정연호 기자
  • “항암효과 500배”라던 버섯…“절대 먹으면 안 된다” 경고

    “항암효과 500배”라던 버섯…“절대 먹으면 안 된다” 경고

    최근 맹독성 버섯인 붉은사슴뿔버섯이 온라인상에서 면역력 강화, 항암 효과가 있는 ‘약용 버섯’으로 둔갑하며 조리법까지 공유되자, 관계 당국이 강력히 경고하고 나섰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7일 “붉은사슴뿔버섯을 식용 버섯으로 소개하거나 이를 활용한 음식 레시피를 공유하는 사례가 확산되고 있다”며 “절대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붉은사슴뿔버섯은 화려한 외형으로 눈에 잘 띄지만, 소량만 섭취해도 치명적인 중독 증상을 일으키는 맹독성 버섯이다. 이 버섯에 함유된 트리코테신 계열 독성물질은 소화기 계통뿐 아니라 신경계, 호흡기, 혈액, 피부 등 전신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최근 붉은사슴뿔버섯이 “면역력 강화와 항암, 항산화 효과가 있다.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건강식품”이라는 잘못된 정보가 빠르게 확산됐다. 한 포털 블로그에는 ‘붉은사슴뿔버섯의 숨겨진 효능과 맛있는 레시피’라는 글까지 등장해 샐러드나 볶음 요리 등 구체적인 조리법을 소개하며 위험성을 키웠다. 챗GPT 등 일부 검색 서비스에서도 붉은사슴뿔버섯을 적당히 즐기면 이로운 식재료로 소개한 사례가 논란이 됐다. 현재는 “일부는 독성이 있어 전문가 확인 없이 채취하거나 섭취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는 경고 문구가 표시되고 있다. 붉은사슴뿔버섯이 면역력 강화나 항암에 도움이 된다는 오해는 과거 연구 결과에서 비롯됐다. 국립산림과학원과 성균관대학교 연구팀이 붉은사슴뿔버섯에서 발견된 ‘로리딘E’라는 물질이 유방암 치료제인 독소루비신보다 500배 이상 강력한 항암 효능을 보인다는 사실을 밝혔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정제된 단일 물질의 효능으로, 버섯 자체를 섭취해도 안전하다는 의미가 아니다. 만약 버섯을 먹은 뒤 구토, 복통, 설사, 어지럼증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 박응준 산림과학원 산림미생물이용연구과 과장은 “인터넷과 AI 기반 검색 서비스에서 떠도는 잘못된 정보에 절대 속아서는 안 된다”며 “야생 버섯은 전문가도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위험할 수 있어, 조금이라도 의심되면 아예 채취하거나 섭취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 [서울인싸] 디자인으로 주목받는 서울의 미래

    [서울인싸] 디자인으로 주목받는 서울의 미래

    서울이 세계의 ‘디자인 도시’로 본격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2010년 ‘세계디자인수도’(World Design Capital)로 선정되면서부터다. 이 프로젝트는 세계디자인기구가 주관하는 국제 경쟁으로, 디자인을 통해 도시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지와 성과가 뛰어난 도시를 2년마다 선정한다. 당시 서울시는 공공디자인 혁신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건립 등 도시 전반에 도입한 디자인 정책을 높이 평가받았다. 특히 당시 5명 심사위원 모두의 만장일치로 선정됐다는 점은 서울의 디자인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상징적인 사건으로 볼 수 있다. 그로부터 15년 디자인은 이제 서울의 도시 정책과 경제 전략 속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서울시는 ‘동행매력특별시’를 비전으로 내세우며 모두가 누릴 수 있는 포용적 환경을 디자인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미적 향상이나 편의성 확보 차원을 넘어 도시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디자인의 기능을 확장하는 것이다. 디자인은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성장동력이다. 서울의 대표 디자인 랜드마크인 DDP에서 열리는 ‘DDP디자인페어’와 ‘서울디자인창업센터’는 청년 디자이너의 창의적 도전과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이곳에선 아이디어와 기술이 융합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탄생하며 디자인이 산업 간 경계를 넘나드는 창조적 연료로 작용한다.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창업이 지속 가능한 경제로 이어지는 것이다. 서울시와 서울디자인재단은 중소기업의 디자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2025년 중소기업 산업디자인 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보다 실질적인 지원도 펼치고 있다.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부터 소비재 브랜드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40개 참여 컨소시엄을 구성해 일대일 진단과 코디네이팅, 멘토링, 역량 강화 교육 등을 제공하며 디자인이 중소기업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동하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서울디자인재단이 주관하는 ‘서울디자인어워드’는 디자인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한 사례를 발굴하고 격려하는 세계 유일의 지속 가능 디자인 어워드다. 2019년 첫 회에는 75개 작품이 접수됐지만 2024년에는 무려 65개국에서 575개 프로젝트가 출품되며 5년 만에 7.6배 성장했다. 올해는 글로벌 심사위원단을 32명으로 확대하고 라이브 심사를 도입해 공정성과 신뢰성을 한층 강화했다. 이 어워드는 수상을 넘어 전 세계 디자인 실천가들이 모여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연대를 논의하는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세계적 디자인 행사인 ‘디자인 마이애미’가 오는 가을 아시아 최초로 서울에서 열린다. 올해 창립 20주년을 맞이한 디자인 마이애미는 전 세계 디자이너, 갤러리, 컬렉터, 큐레이터, 비평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디자인계의 최고 수준 글로벌 페어다. 전시작은 기능성과 조형성, 예술성과 희소성을 겸비한 디자인 작품들로 세계 디자인 시장의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자리다. 특히 9월 초 열리는 세계적 아트페어 ‘프리즈 서울’과의 시너지로 서울은 디자인과 예술이 교차하는 창의 도시의 면모를 한층 더 뚜렷이 드러낼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은 이제 단순한 ‘디자인 도시’의 타이틀을 넘어 디자인을 통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세계와 소통하며 미래를 창조하는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디자인이 도시 경쟁력의 핵심임을 서울이 스스로 증명하고 있다. 차강희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
  • 광주 서구 ‘대한민국 골목경제 1번지’ 도약… 민생경제 되살린다

    광주 서구 ‘대한민국 골목경제 1번지’ 도약… 민생경제 되살린다

    어디서나 온누리상품권 사용 가능일부 상가 매출 10~20% 오르기도 ‘착한도시’ 브랜드로 고효율 정책천원국시·공유주차장 등 주민 호응‘서구아너스’로 복지 사각지대 해소동 중심 생활정부로 주민들과 소통 광주 서구가 달라지고 있다. 신속·정확·친절한 행정으로 주민 만족도가 높아지고 삶의 질도 눈에 띄게 향상되고 있다. ‘전국 최초’, ‘전국 유일’의 정책들이 지방자치의 새로운 기준이 되고 있으며, ‘착한도시 서구’라는 독특한 도시브랜드가 선한 영향력으로 지역 구석구석 스며들며 서구의 정체성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구청장 골목 집무실’ 운영 서구는 이재명 정부의 첫 국정과제인 ‘민생경제 살리기’에 가장 먼저 응답했다. 서구는 전국 최초로 전 지역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하고 지난달 30일 ‘대한민국 골목경제 1번지 선포식’을 열어 골목경제 회복의 새 지평을 열었다. ‘골목이 살아야 민생이 산다’는 절박함 속에 민관이 머리를 맞댄 지 100일 만에 이뤄 낸 성과다. 서구는 유흥업소 등을 제외한 1만 1500여개 점포를 119개 구역으로 나누고 골목형상점가로 100% 지정했다. 지난해 5월 기준 전국 골목형상점가 600여개의 약 20%에 해당한다. 이번 지정으로 서구는 전 지역에서 온누리상품권 사용이 가능한 유일한 지자체가 됐다. 소비자들은 온누리상품권 구매 시 10% 할인을 받고 페이백 행사 기간에는 추가 10% 할인으로 최대 20%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실제 지난해 말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된 일부 상가에서는 매출이 전년도보다 10~20% 늘어 정책 효과를 현장에서 체감했다. 후속 조치에도 나섰다. 매주 주요 골목형상점가를 찾아 주민과 상인의 목소리를 듣는 ‘구청장 골목 집무실’을 운영한다. 구청장실에는 ‘골목경제 상황판’을 설치해 데이터 기반의 정책 결정과 대응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착한정책, 주민 삶의 질 높여 서구는 민선 8기 들어 ‘착한도시’를 도시브랜드로 내걸고 저예산 고효율의 생활밀착형 정책을 펼쳐 타 지자체의 주목을 받고 있다. 나눔과 연대, 주민 체감형 복지를 핵심축으로 한 서구의 ‘착한정책’은 주민의 삶에 변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 대표 착한정책인 ‘천원국시’는 돌봄이 필요한 이웃에게 국수 한 그릇을 1000원에 제공하는 사업이다. 현재 10개 매장에서 매일 1000그릇씩 판매한다. 어르신 일자리 창출, 우리밀 소비 촉진, 나눔 문화 확산이라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내며 벤치마킹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도심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들여 주차장을 신설하는 대신 아파트·학교·종교시설 등 유휴공간을 활용해 ‘공유주차장’을 만들고 있다. 현재까지 30곳 1666면을 확보해 약 240억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이는 행정안전부 공공자원 개방 공유 분야 평가 전국 1위라는 성과로 이어졌다. 서구는 18개 동 전체에 맨발길 32개를 조성해 주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도심맨발축제, 걷기 지도자 육성 등과 연계해 건강한 지역문화를 확산하고 있다. ●고액 후원자 모임 ‘서구아너스’ 출범 서구는 복지 사각지대도 ‘서구형 모델’로 해소한다. 서구는 지난해 11월 광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손잡고 ‘서구아너스’를 출범했다. 서구아너스는 5년간 3000만원 이상 기부를 약정한 고액 후원자 모임으로, 9개월 만에 83명이 30억원 기부를 약정했다. 기부금은 ‘복지틈새 제로, 12달이 행복한 서구’를 위한 민관협력사업에 쓴다. 서구는 매월 주제를 정해 지난 1월에는 다문화이주여성과 자녀 52명을 선정해 ‘엄마나라 외갓집 보내주기’ 사업을 했고, 2월에는 가족돌봄청년과 자립준비청년들에게 장학금과 응원금을 전달했다. 4월에는 ‘장애인의 날’을 맞아 시각장애인들에게 텐덤바이크 20대를 기증했다. 5월에는 서구아너스 회원들이 ‘깜짝 산타’로 변신해 아동 포함 2인 이상 가구 90가구에 30만원 상당의 선물을 전달했다. 지난달에는 6·25 참전유공자와 보훈 사각지대에 있는 월남참전유공자 유가족들을 위로했다. ‘서구형 통합돌봄’도 주목받는다. 전국 최초 재택의료센터 운영, 인공지능(AI) 기반 24시간 안심콜·출동 시스템, 스마트 돌봄체계 등으로 디지털 복지를 선도한다. 청년 복지 분야에서도 전국 최초로 가족돌봄청년수당(연 300만원 지급)을 도입했다. 복지와 지역경제 분야에서도 선순환 구조를 구축했다. 착한가게 1200여곳이 매월 3만원씩 후원하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주민에게 착한쿠폰을 지급해 착한가게에서 다시 소비하는 구조다. 2023년 651개였던 착한가게는 지난달 기준 1247곳으로 두 배 증가했고, 누적 쿠폰 발행액은 3억 7000만원을 넘겼다. ●정체성 살린 ‘마을BI’ 개발 서구가 빠른 속도로 주민 중심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었던 것은 ‘동 중심 생활정부’ 덕분이다. 현장을 가장 잘 아는 리더를 동장으로 발탁, 주민과 직접 소통하고 움직이는 생활행정을 실현 중이다. 아울러 전국 최초로 도입한 거점동·연계동 협업 시스템은 새로운 행정실험으로 주목받고 있다. 서구는 18개 동을 4개 권역으로 묶고 각 권역에 거점동을 둬 수직적인 구청 중심 구조를 수평적 네트워크로 전환했다. 성과에 따라 동장이 국장으로 승진하는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해 동기를 부여했다. 올해는 ‘생활정부국’ 신설로 보다 체계화된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서구는 각 동의 정체성을 살린 ‘마을 BI(브랜드 아이덴티티)’도 개발해 주민 참여를 이끌어 내고 있다. 동마다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BI를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민 스스로 마을사업을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풍암동은 ‘힐링쉼터 건강마을’, 동천동은 ‘다독다독 책마을’을 BI로 정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동아리, 프로그램, 공동체 활동을 펼친다.
  • 강서, 서울 자치구 첫 ‘인공지능 기본조례’ 제정

    강서, 서울 자치구 첫 ‘인공지능 기본조례’ 제정

    서울 강서구가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확산함에 따라 행정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해 ‘인공지능 기본조례’를 제정하고 오는 9일 공포·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 서울시 자치구 중 이러한 조례를 마련한 건 강서구가 처음이다. 이번 조례의 주요 내용을 보면 구청장의 책무(제3조)를 명시하고 AI를 행정 전반에 도입해 구민 편익을 높이도록 했다. 아울러 매년 초 AI 정책 연도별 실행계획 수립(제5조)을 의무화해 정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했다. AI 기술·정책 자문단 설치 근거(제6조)나 행정서비스·교육·산업협력 등 정책 추진 범위(제7조) 등도 명시해 AI 기술을 활용한 정책 추진의 법적·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 강서구는 직원들이 AI를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이달 중 생성형 AI툴 유료 버전을 보급한다. 하반기에는 전문가로 구성된 AI 기술·정책 자문단을 꾸려 관련 정책 심의와 평가, 자문 등을 받을 계획이다. 진교훈 강서구청장은 “이번 조례 제정으로 강서구가 AI 시대를 선도하는 자치구로 도약하는 첫걸음을 내디뎠다”며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AI 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 AI 열풍 속 AI인력 없어 속타는 지방

    글로벌 산업 판도가 인공지능(AI) 중심으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으나 지방은 전문인력 가뭄현상이 심각해 지자체와 지방대가 지역에 특화된 AI 인력 양성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7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AI가 미래 신산업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면서 지자체마다 특화전략을 수립하는 등 관련산업 육성에 사활을 걸고 있다. 광주는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전남은 솔라시도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 대구는 AI로봇 수도를 내세운다. 그러나 지방은 전문인력 부족으로 관련 산업 육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전북의 경우 올해 추경에 피지컬 AI 핵심기술 실증사업 예산 229억원을 확보했다. 로봇, 센서, 디지털트윈 등 현실 세계에서 작동하는 물리적 인공지능 기술을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해 보는 실증 사업으로 총 382억원을 투자할 계획이지만 인력수급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지역에 AI 관련 기업, 연구기관 등이 부족해 현대차, 네이버, 리벨리온, 카이스트, 성균관대 등을 참여시켜 실증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하는 실정이다. 전북도에는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물리적 실증 기반’ AI 기술을 검증하고 보급하는 플랫폼 설계 등을 수행할 고급 전문인력이 턱없이 부족해서다. 지역 거점대학인 전북대도 에너지AI융합공학과, 컴퓨터인공지능학부, AI교육센터 등을 운영하나 기술주권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의 인재 양성은 어려운 상황이다. 그나마 우수한 졸업생들은 수도권 기업으로 빼앗겨 지역 기업은 인력난에 허덕인다. 상당수 전북지역 AI 관련 기업들도 수도권으로 회사를 옮기는 것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AI 육성에서 나서는 광주, 전남, 대구, 경북, 부산, 경남 등 다른 지역도 상황이 비슷하다. 정부도 AI 인재 양성을 서두르고 있지만 지역 불균형 해소에 역부족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지역 AI 인재 양성을 위해 부산과 강원, 충북, 광주 등 4개 지자체를 지원 대상으로 선정하는 데 그쳤다. 나머지 지역은 정부 지원 없어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전북도 관계자는 “AI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지역 대학과 기업, 연구기관이 긴밀하게 협력해 교육과 취업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적합한 전문교육을 제공하는 게 시급하다”면서 “지역 산업 특성과 연계한 AI 활용 모델 발굴과 이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까지 연결하는 종합 전략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 통신3사, 번호이동 담합 과징금 177억 줄었다… 963억 최종 확정

    통신3사, 번호이동 담합 과징금 177억 줄었다… 963억 최종 확정

    SKT 388억·KT 299억·LGU+ 276억매출액 재산정하면서 과징금 감경통신 3사 “이중 규제” 반발은 여전 번호이동 가입자 유치를 놓고 담합을 벌였다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재받은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에 대한 과징금이 963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 앞서 부과됐던 1140억원에서 177억원 줄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지난달 말 SK텔레콤·KT·LG유플러스에 담합 사건 심의 결과를 담은 의결서(법원의 판결문 격)를 발송했다. 공정위는 의결서에 “시장 점유율 변화 억제를 목적으로 판매장려금을 조율한 행위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공동행위(담합)에 해당한다”고 명시했다. 그러면서 963억원의 과징금과 함께 시정명령 조치 등 행정처분을 담았다. 공정위는 3사 실무자 간 정보 공유와 공모 정황을 ‘번호이동 유치 경쟁을 회피한 경쟁 제한적 담합’이라 판단하고 제재를 확정했다. 과징금은 SK텔레콤 388억원, KT 299억원, LG유플러스 276억원 등 총 963억원으로 통보됐다. 지난 3월 부과됐던 과징금 1140억원에서 177억원 줄었다. SK텔레콤 39억원, KT 31억원, LG유플러스 107억원씩 감경됐다. 과징금은 공정위가 부과 기준이 되는 매출액을 재산정하면서 줄었다. 공정위는 사업자별 제출 자료를 재검토한 뒤 알뜰폰으로 이탈한 번호이동 가입자에 대한 매출과 법인·특판 영업을 통한 매출을 과징금 산정 대상에서 제외했다. 통신 3사는 의결서를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과징금 집행은 소송과 무관하게 이뤄진다. 통신 3사가 행정소송에서 최종 승소하면 환급 가산금이 더해진 과징금을 돌려받지만, 패소하면 돌려받지 못한다. 과징금이 줄었지만 통신 3사의 반발은 여전하다. 이들은 “방송통신위원회의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집행에 따랐을 뿐 담합 의도는 없었기 때문에 제재를 받아들일 수 없다. 공정위 제재는 이중 규제”라며 “의결서를 살펴본 뒤 행정소송 등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앞서 공정위는 통신 3사가 2015년 11월부터 2022년 9월까지 번호이동 가입자 수가 특정 사업자에게 쏠리지 않도록 조정한 혐의에 대해 통신업계 사상 최대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3사는 포화 상태인 통신 시장에서 번호이동 가입자를 놓고 뺏고 빼앗기는 유치 경쟁을 피하기 위해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와 함께 서울 서초구 서초동 오피스텔에 ‘시장 상황반’을 운영하며 실무자 간 “지난주 우리 쪽 번호이동 가입자가 순감소했으니 이번 주엔 양보해 달라”는 식의 요구를 주고받았다.
  • [사설] 교수들 해외 줄이직… ‘서울대 10개’커녕 1개도 못 지킬 판

    [사설] 교수들 해외 줄이직… ‘서울대 10개’커녕 1개도 못 지킬 판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등 4개 과학기술원에서 지난 4년간 70명 넘는 교수가 해외 대학으로 빠져나갔다.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경쟁 시대에 연구의 핵심인 대학에서 인재 유출에 비상이 걸린 것이다. 상대적으로 낮은 연봉, 정부의 지나친 간섭 등이 원인이었다.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는커녕 서울대 1개도 지키지 못할 거라는 걱정이 커진다. 국민의힘 서지영 의원이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받은 전국 국립대 교수 이직 현황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 5월까지 서울대에서 56명의 교수가 해외 대학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 중 41명은 미국 대학으로 이직했고 나머지는 홍콩, 싱가포르, 일본, 호주, 중국 등으로 향했다. 서울대의 구멍은 카이스트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등 4대 과학기술원에서 메웠다. 이들 대학의 교수 28명이 서울대로 옮겼고, 또 다른 18명은 해외로 빠져나갔다. 서울대와 카이스트 등의 연봉은 국내 대학 중 상위권이다. 서울대에서 연봉 1억 2000만원대를 받던 교수로서는 홍콩과기대에서 30만 달러(약 4억 6000만원) 수준으로 3배 더 주겠다면 마다하기도 어려울 만하다. 무엇보다 이들의 마음을 떠나게 하는 심각한 문제는 정부의 간섭이다. “정권마다 연구 과제와 담당자가 바뀌고 개입해 1~2년 앞을 내다보기 어렵다”고들 토로한다. 도미노식 인재 유출이 가속화하면서 대학의 연구 역량은 악화일로일 수밖에 없다. 국가 경쟁력 저하는 말할 것도 없다. 최근 발표된 ‘네이처 인덱스 2025’에서 한국은 서울대, 카이스트만 세계 100위권 대학에 겨우 포함됐다. 연공서열을 타파하고 성과연봉제를 도입하는 등 구조개혁을 하되 등록금 동결 등 정부의 불필요한 입김은 없애야 한다. 연구개발(R&D)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인재 영입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옳은 방향이다. ‘인재 강국’은 입으로 외쳐서 될 일이 아니다.
  • 반등 없는 저성장의 늪… 한국 잠재성장률, 2%대 무너졌다

    반등 없는 저성장의 늪… 한국 잠재성장률, 2%대 무너졌다

    사상 첫 1%대… 美에도 5년째 역전생산성 약화·기술혁신 부족 등 원인“구조 개혁 시급… 신산업 육성해야” 경제 기초체력에 해당하는 ‘잠재성장률’이 올해 처음으로 2% 선이 깨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쓸 수 있는 노동과 자본을 최대한 동원해 물가 상승을 일으키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대로 떨어져 국부가 늘어날 여지도 줄었다는 의미다. 7일 한국은행의 ‘주요국 연도별 잠재성장률’ 자료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잠재성장률을 1.9%로 추정했다. 지난해 12월 제시한 2.0%에서 0.1% 포인트 낮췄다. OECD가 추정한 한국의 잠재성장률 추정치가 2% 아래로 내려간 것은 처음이다. OECD의 잠재성장률 전망은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을 정도로 신뢰도가 높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2011년 3.8% 이후 14년간 반등 없이 내림세를 보였다. 특히 2022~2024년 3년간 2.2% 수준을 유지하다 올해 0.3% 포인트 급락하며 1%대로 내려앉았다. 세계 1위 경제 대국인 미국보다 성장 동력이 약화했다는 점은 심각성을 더한다. 고도성장을 이룬 선진국일수록 잠재성장률이 낮은 편인데 한국은 2021년 2.3%로 하락하며 2.4%인 미국에 역전당한 이후 5년 연속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생산성 약화와 기술 혁신 부족, 투자 위축 등이 잠재성장률 하락 원인으로 꼽힌다. 저성장이 심화하면 국민 소득이 적게 늘어나 국민 생활 수준이 정체되고 성장의 파이가 줄면서 분배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사회 갈등이 커질 수 있다. 그러면 국가는 경쟁력을 잃게 된다. 이재명 정부는 지난 대선 캠페인 과정에서 인공지능(AI) 3대 강국에 진입하고 잠재성장률 3%를 달성해 세계 주요 5개국(G5)으로 발돋움한다는 ‘3·3·5 전략’을 제시했다. 세계 5강은 명목 GDP 기준이다. 한국은 지난해까지 세계 12위였고 올해 13위로 한 단계 하락할 전망이다.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노동·교육·의료·연금 등 ‘4대 구조 개혁’이 시급하다. 역대 정부마다 국가 대개조 수준의 개혁을 천명했지만 기득권 저항과 재정 부담, 정치·사회적 합의의 어려움으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저출생·고령화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투자 부진으로 자본력에 한계가 있다. 남은 건 신산업 육성뿐”이라면서 “규제 샌드박스(유예 제도)를 활성화하고 신기술의 시장 진입을 원활하게 해 시장 경쟁이 활발해지면 투자가 늘어나고 생산성도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 잠재성장률 너마저… 1%대로 추락한 韓경제 기초체력

    잠재성장률 너마저… 1%대로 추락한 韓경제 기초체력

    경제 기초체력에 해당하는 ‘잠재성장률’이 올해 처음으로 2% 선이 깨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쓸 수 있는 노동과 자본을 최대한 동원해 물가 상승을 일으키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대로 떨어져 국부가 늘어날 여지도 줄었다는 의미다. 이재명 정부는 ‘진짜 성장’을 강조하며 ‘잠재성장률 3%’ 진입을 목표로 세웠다. 경제학자들은 한국 경제가 저성장에서 탈출하기 위한 첫 단추로 ‘규제개혁’을 꼽는다. 7일 한국은행의 ‘주요국 연도별 잠재성장률’ 자료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잠재성장률을 1.9%로 추정했다. 지난해 12월 제시한 2.0%에서 0.1% 포인트 낮췄다. OECD가 추정한 한국의 잠재성장률 추정치가 2% 아래로 내려간 것은 처음이다. OECD의 잠재성장률 전망은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을 정도로 신뢰도가 높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2011년 3.8% 이후 14년간 반등 없이 내림세를 보였다. 특히 2022~2024년 3년간 2.2% 수준을 유지하다 올해 0.3% 포인트 급락하며 1%대로 내려앉았다. 세계 1위 경제 대국인 미국보다 성장 동력이 약화했다는 점은 심각성을 더한다. 고도성장을 이룬 선진국일수록 잠재성장률이 낮은 편인데 한국은 2021년 2.3%로 하락하며 2.4%인 미국에 역전당한 이후 5년 연속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생산성 약화와 기술 혁신 부족, 투자 위축 등이 잠재성장률 하락 원인으로 꼽힌다. 저성장이 심화하면 국민 소득이 적게 늘어나 국민 생활 수준이 정체되고 성장의 파이가 줄면서 분배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사회 갈등이 커질 수 있다. 그러면 국가는 경쟁력을 잃게 된다. 이재명 정부는 지난 대선 캠페인 과정에서 인공지능(AI) 3대 강국에 진입하고 잠재성장률 3%를 달성해 세계 주요 5개국(G5)으로 발돋움한다는 ‘3·3·5 전략’을 제시했다. 세계 5강은 명목 GDP 기준이다. 한국은 지난해까지 세계 12위였고 올해 13위로 한 단계 하락할 전망이다.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노동·교육·의료·연금 등 ‘4대 구조 개혁’이 시급하다. 역대 정부마다 국가 대개조 수준의 개혁을 천명했지만 기득권 저항과 재정 부담, 정치·사회적 합의의 어려움으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 구조개혁의 문을 여는 열쇠로는 ‘규제개혁’이 꼽힌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저출생·고령화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투자 부진으로 자본력에 한계가 있다. 남은 건 신산업 육성뿐”이라면서 “규제 샌드박스(유예 제도)를 활성화하고 신기술의 시장 진입을 원활하게 해 시장 경쟁이 활발해지면 투자가 늘어나고 생산성도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 ‘통신 3사 담합’ 과징금 963억… 177억 줄었다

    ‘통신 3사 담합’ 과징금 963억… 177억 줄었다

    번호이동 가입자 유치를 놓고 담합을 벌였다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재받은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에 대한 과징금이 963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 앞서 부과됐던 1140억원에서 177억원 줄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지난달 말 SK텔레콤·KT·LG유플러스에 담합 사건 심의 결과를 담은 의결서(법원의 판결문 격)를 발송했다. 공정위는 의결서에 “시장 점유율 변화 억제를 목적으로 판매장려금을 조율한 행위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공동행위(담합)에 해당한다”고 명시했다. 그러면서 963억원의 과징금과 함께 시정명령 조치 등 행정처분을 담았다. 공정위는 3사 실무자 간 정보 공유와 공모 정황을 ‘번호이동 유치 경쟁을 회피한 경쟁 제한적 담합’이라 판단하고 제재를 확정했다. 과징금은 SK텔레콤 388억원, KT 299억원, LG유플러스 276억원 등 총 963억원으로 통보됐다. 지난 3월 부과됐던 과징금 1140억원에서 177억원 줄었다. SK텔레콤 39억원, KT 31억원, LG유플러스 107억원씩 감경됐다. 과징금은 공정위가 부과 기준이 되는 매출액을 재산정하면서 줄었다. 공정위는 사업자별 제출 자료를 재검토한 뒤 알뜰폰으로 이탈한 번호이동 가입자에 대한 매출과 법인·특판 영업을 통한 매출을 과징금 산정 대상에서 제외했다. 통신 3사는 의결서를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과징금 집행은 소송과 무관하게 이뤄진다. 통신 3사가 행정소송에서 최종 승소하면 환급 가산금이 더해진 과징금을 돌려받지만, 패소하면 돌려받지 못한다. 과징금이 줄었지만 통신 3사의 반발은 여전하다. 이들은 “방송통신위원회의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집행에 따랐을 뿐 담합 의도는 없었기 때문에 제재를 받아들일 수 없다. 공정위 제재는 이중 규제”라며 “의결서를 살펴본 뒤 행정소송 등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앞서 공정위는 통신 3사가 2015년 11월부터 2022년 9월까지 번호이동 가입자 수가 특정 사업자에게 쏠리지 않도록 조정한 혐의에 대해 통신업계 사상 최대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3사는 포화 상태인 통신 시장에서 번호이동 가입자를 놓고 뺏고 빼앗기는 유치 경쟁을 피하기 위해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와 함께 서울 서초구 서초동 오피스텔에 ‘시장 상황반’을 운영하며 실무자 간 “지난주 우리 쪽 번호이동 가입자가 순감소했으니 이번 주엔 양보해 달라”는 식의 요구를 주고받았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