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AI
    2025-08-0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1,398
  • 한국공학대, AI 기반 마이크로전자제조 비전 선포… 120억 규모 고도화 사업 본격화

    한국공학대, AI 기반 마이크로전자제조 비전 선포… 120억 규모 고도화 사업 본격화

    한국산업단지공단과 공동 개최… 산학연 협력 모델 제시AI 접목한 첨단 분석 기술 공유… 120여명 전문가 현장 참석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일환… 국비 70억 포함 총 120억 투입 한국공학대학교 공동기기원은 한국산업단지공단 경기지역본부와 함께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3일간 강원도 오크밸리리조트에서 ‘마이크로전자제조 대응 정밀분석기반 고도화’ 사업의 비전 선포식 및 포럼을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행사는 AI 기반 첨단 분석 기술을 활용한 마이크로전자 제조 산업의 미래를 조망하고,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한 기술혁신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3일간 진행된 행사에는 기업, 대학, 유관기관 관계자 등 120여명이 참석했으며,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정밀 제조 기술과 실제 적용 사례가 공유됐다. 비전 선포식에서는 ‘AI 기반 첨단분석 인프라를 통한 마이크로전자 제조산업 경쟁력 제고’를 공동 목표로 설정하고, 산학연 협력을 통한 기술 고도화와 신산업 발굴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 사업 총괄책임자인 신소재공학과 이성의 교수는 “이번 사업은 마이크로전자제조 분야의 미래를 여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AI 융합 정밀 분석 플랫폼을 바탕으로 참여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의 ‘2024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에 선정돼 추진 중이며 한국공대 공동기기원 융복합시험분석센터(주관기관)와 한국산업단지공단 경기지역본부(공동기관)가 공동으로 수행한다. 총 120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며, 이 중 70억원은 국비로 지원된다. 한편, 한국공대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출연해 설립한 수도권 유일의 산업단지 내 공학특화대학으로, 산학협력 중심의 실무교육을 통해 높은 취업성과를 거두고 있다.
  • 수수료 적고 할인 듬뿍… 착한 배달앱 ‘먹깨비’ 가입하면 사장님도 소비자도 상생해요

    수수료 적고 할인 듬뿍… 착한 배달앱 ‘먹깨비’ 가입하면 사장님도 소비자도 상생해요

    “제주마 입목축제장에서 우연히 먹깨비 부스에서 휴대전화에 앱을 깔았더니 배달 할인쿠폰(3000원)을 받았어요. 저희 가족이 집으로 돌아와 음식을 배달시켰더니 매일 1인 1회 3000원 할인 배달비 쿠폰까지 더하니 6000원이 절약됐어요.” 제주도의 공공배달앱 ‘먹깨비’가 누적 매출액 125억원을 돌파하며 지역 소상공인과 소비자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23일 제주도에 따르면 2022년 12월 출시한 먹깨비는 2년 3개월여만에 2025년 4월8일 기준 누적 매출액 125억원, 가맹점 3906개소, 회원 수 5만 645명을 확보했다. 특히 월 평균 주문건수는 2024년 1만 8255건에서 2025년 2만 8098건으로 53.9% 증가했고, 월 평균 매출액도 2024년 4억 5072만 6000원에서 2025년 6억 9455만 3000원으로 54% 증가하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제주에서 유독 공공배달앱 먹깨비의 성장이 눈에 띄게 두드러진 이유는 제주에서 진행중인 이벤트 행사 덕분이다. 특히 지역화폐 탐나는전 연계로 이달부터는 주문금액의 15% 페이백(상품 사면 현금으로 돌려받는 것)이 가능하고 하루 1인 1회에 한해 배달비(3000원) 쿠폰을 사용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가성비 좋은 선택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1만원 배달음식을 탐나는전으로 결제하면 실제 8500원만 결제되는 식이다. 3000원 할인쿠폰까지 더하면 반값에 음식을 배달시킬 수 있다. 정순 제주도 소상공인과장은 “먹깨비 수수료는 민간앱 중개수수료 7~10%를 받는 것과 달리 1.5%에 불과한 착한 배달앱”이라며 ““더욱이 입점비·월사용료·광고비 무료여서 실제 민간앱과 비교하면 20%가까이 세이브돼 소상공인 수수료 부담 완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는 젊은층을 겨냥해 먹깨비 리뷰 이벤트도 상시 진행중이다. 매월 우수 리뷰를 작성한 사람을 추첨해 먹깨비 포인트 혜택도 주고 있다. 또한 이달내에는 숙박시설 배달주문 서비스 ‘인포챗’도 오픈할 예정이다. 인포챗 서비스는 숙박시설 등에 큐알(QR)코드 스캔으로 배달음식 주문 시 먹깨비앱과 연계해 외국인 관광객 등에 번역 주문을 도와주는 AI기능이 있어 편의를 제공한다. 도 관계자는 “인포챗 서비스 신청을 150곳 정도 예상했는데 두배가 넘는 300개 호텔들이 신청했을 정도로 관심이 높다”며 “QR코드만 찍으면 음식 배달 뿐 아니라 부가기능으로 호텔에 묵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등 15개 언어를 번역해 채팅해주는 서비스 기능이 있어 외국어 가능 직원이 부족한 호텔들이 앞다퉈 신청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지난 3월 10일 도소상공인연합회와 제주도가 함께 시작한 먹깨비 ‘3고(GO) 챌린지’가 페이스북 등 사회관계망(SNS)을 통해 퍼져나가며 먹깨비 활성화에 한몫했다. ‘먹깨비 탐나는전 사용하GO, 민생경제 살리GO, 소상공인 살리GO’를 의미하는 ‘3GO 챌린지’는 지난 3월 10일 소상공인연합회와 도지사 간담회때 박인철 소상공인회장이 오영훈 지사를 3GO 챌린지 수행자로 지명하면서 시작됐다. 지명자는 3명을 다시 지명하게 된다. 오 지사는 김완근 제주시장과 오순문시장, 양문석 제주상공회의소장을 지명해 현재까지 공직사회뿐 아니라 지역 구석 구석에까지 퍼지고 있다. 먹깨비 관계자는 “전국 먹깨비 점유율 면에서 제주시와 서귀포시 1, 2위를 다툴 정도로 실적이 좋다”며 “3고(GO) 챌린지 등 다양한 이벤트가 주효한 것으로 보여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오영훈 지사는 “올해 예산 4억 5000만원이 이달 중 소진될 만큼 회원수가 늘어난 게 매우 고무적”이라며 “수수료 거의 없는 착한 앱이어서 소상공인들을 살리고 소비자들은 할인이벤트가 많아 배달비 걱정 더는 착한소비를 할 수 있어 모두가 상생하는 공공배달앱”이라고 강조했다.
  • ‘다이어트 강박’ 고백했던 현아, ‘뼈말라’ 시절 회상 “고민이야…빼볼까”

    ‘다이어트 강박’ 고백했던 현아, ‘뼈말라’ 시절 회상 “고민이야…빼볼까”

    가수 현아가 다이어트에 대한 고민을 털어놨다. 지난 20일 현아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과거 영상과 사진을 올렸다. 사진 속 현아는 놀라울 정도로 깡마른 모습이었다. 현아는 “정말 고민이야. 이렇게 한 번만 더 살아볼까”라고 적었다. 이어 “빼볼까, 행복할까”라고 덧붙였다. 건강 문제와 몸매 강박을 고백했던 현아가 다이어트를 고민하는 듯한 게시글을 올리자 누리꾼들은 “건강 꼭 잘 챙겨요”, “행복보다 중요한 건 없어” 등 걱정 섞인 반응을 보였다. 현아는 지난해 MBC 예능 프로그램 ‘전지적 참견 시점’에 출연해 과거 다이어트 강박이 있었다고 고백했다. 키 161.8cm의 현아는 “몸매 강박이 있었던 것 같다. 잘못된 식습관으로 저혈압이 생겼다”며 “지금은 8kg 찌운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예전에는 김밥 한 알 먹고 버텼다. 한 달에 12번을 쓰러졌다”라고 덧붙였다. 이후 가수 엄정화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한 현아는 “과거 몸무게가 40kg이었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지난해 10월 가수 용준형과 결혼한 현아는 오는 30일 새 싱글 ‘못(Mrs.Nail)’를 발매하고 1년 만에 가요계로 복귀할 예정이다. 현아의 소속사 앳에어리어는 지난 16일 공식 SNS를 통해 컴백 홍보를 시작했다.
  • 연임 방성빈 부산은행장 “지역 살아야 은행도 발전…기업 안정화 전방위 지원”

    연임 방성빈 부산은행장 “지역 살아야 은행도 발전…기업 안정화 전방위 지원”

    “부산의 발전이 곧 부산은행의 발전입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지역 기업의 안정화를 지원하겠습니다.” 2023년 4월부터 2년간 부산은행을 이끌다 최근 연임에 성공해 1년 더 임기를 연장하게 된 방성빈 BNK부산은행장은 22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인구 감소와 장기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지방은행의 위기가 심화하는 가운데 ‘지역과의 상생’을 돌파구로 설정한 것이다. 방 행장은 “지역과 은행이 함께 도약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기반을 튼튼하게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한 사명이며 숙제라는 마음으로 업무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방 행장과의 일문일답. -지난 2년간의 소회와 새로운 임기를 시작하는 소감은. “취임 이후 은행 기반을 더욱 견고하게 하고,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위해 도전하는 데 집중해 왔다. 그 결과 부산시 금고 재유치와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주거래 은행 선정 등의 성과를 냈다. 또 인터넷 전문은행인 케이뱅크와 공동 대출 상품 출시를 위한 전략적 마케팅 제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해외 점포를 포함한 153개 전 영업점을 직접 방문하는 등 조직의 안정과 변화, 소통 문화 정착에 힘썼다. 부산시를 비롯한 지역과의 호흡에도 어느 때보다 힘을 쏟았다.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소상공인의 유동성 지원, 금리 감면 등을 위해 10조원 규모 맞춤형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혼인 및 출산을 하면 우대 금리를 적용하는 ‘너만 솔로 적금’, ‘아기 천사 적금’ 등 혼인율 제고와 저출산 극복을 위한 금융 상품도 출시했다. 부산은행 지역봉사단을 재정비해 사회공헌 활동도 확대했다. 지난 2년 동안 안정과 도약 기반을 마련했다면, 이제부터는 목표를 이루기 위한 행동과 실천의 시간이다. 수익 중심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선제적 리스크 관리에 박차를 가하고 채널과 인적 자원을 재정비해 생산성, 효율성을 높이겠다. 지역과의 동반 성장이라는 초심을 지켜 나가면서 수도권,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영업 기회도 적극적으로 모색하겠다.” -지역경제 침체에 따른 부산은행의 상황은. “최근 부동산 경기 하락과 건설업 침체로 지역경제 전반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국 곳곳에서 계속되는 지역 건설업체의 부도와 연체율 증가가 은행권의 주요 화두인데, 부산은 다른 지역보다 더 심각하다. 부산은행의 주요 거래처인 삼정기업, 금양 등 지역 기업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영향이 없지 않지만 현재는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판단한다. 다만 지역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 부산은행도 어려움에 직면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올해는 지역 거래업체들의 어려움을 어떻게 원만하게 해결해 나가는가가 부산은행의 경영 목표 달성 여부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최우선으로 건전성 관리에 집중하면서 지역 기업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안정적으로 경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지원하겠다.” -지역 금융 역할 강화 방안은. “현재 지방자치단체, 보증재단 등과 협력해 다양한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소상공인을 위한 1500억원 규모의 특별 자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부산신용보증재단에 100억원을 출연했으며 시민 긴급생계자금과 고금리 대환 대출, 시민 긴급생계자금 지원 등을 실시했다. 올해도 어려움을 겪는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주거래 기업 유동성 신속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이 외 부산시 등 관련 기관과 협업해 상생 금융을 계속해서 실천해 나가겠다. 지역이라는 기반 없이 지방은행은 생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역 기업,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 대한 지원은 결국 우리에게 튼튼한 기반이 돼 돌아올 것으로 생각한다. 이처럼 부산은행이 호황을 맞이하느냐는 결국 부산이 성장하느냐와 연결돼 있다. 현재 부산이 겪는 인구 유출과 고령화는 은행에도 큰 위협 요인이기 때문에 가덕도신공항 건설, 북항 재개발, 금융 기회발전특구 구축 등 지역 핵심 현안 추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 부산을 위해 부산은행만이 할 수 있는 일, 부산은행이 해야 하는 일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고민해 지역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겠다.” -올해 주요 사업과 경쟁력 강화 방안은. “부산은행은 국내 은행 중 유일하게 선박금융팀을 두고 있다. 이를 활용해 다른 은행과 차별화된 틈새 시장을 발굴하고 관련 기관과 협업해 선박금융 대표 은행으로 도약하겠다. 조만간 수협 등과 민간 해양금융 활성화 업무협약도 체결할 계획이다. 디지털 전환에 대비한 전략 수립을 위해 ‘정보기술(IT) 미래 발전 방향 및 실행 전략 수립’에 착수했으며, 제4 인터넷 전문은행 예비 인가를 신청한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에도 참여했다. 시대 흐름에 맞춰 변화하지 않으면 기업의 생존은 보장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올해 들어서는 비대면고객부, 고객분석센터, 영업추진부 등 고객 중심 전담 조직을 신설해 고객 관리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 디지털 기기 도입을 통한 영업점 운영 효율화, 내부 혁신을 위한 인공지능(AI) 도입 등을 추진하겠다. 비록 자산 규모와 인프라 등은 시중은행과 비교해 열위에 있지만, 변화와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국내외로 외연을 확장하고 초일류 글로컬 은행을 만들어 가겠다.”
  • ‘송파 채움교실’ 새달부터… 석박사급이 강의

    ‘송파 채움교실’ 새달부터… 석박사급이 강의

    서울 송파구는 다음달부터 7월까지 지역 11개 중고등학교에서 서울 3개 대학 석박사급 전공자가 방과후 수업에 참여하는 ‘송파 채움교실’을 운영한다고 22일 밝혔다. 송파 채움교실은 지역 내 교육 격차 해소와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 강화를 위해 2023년부터 시작한 민선 8기 역점사업이다. 올해 구는 교육 전문성 강화를 위해 성균관대, 광운대, 한양대 등 3개 대학과 새롭게 협력관계를 맺고, ▲첨단융합 ▲인공지능(AI) ▲진로 탐색 등 3개 분야에서 미래 교육에 특화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대학별로 보면 성균관대는 첨단융합 분야를, 광운대는 AI 분야를, 한양대는 진로·직업 분야를 맡아 수업을 진행한다. 다음달 초부터 해당 주제에 대해 각 대학에서 인증한 석사 이상 전공자가 송파에 있는 중고등학교를 직접 간다. 수업은 회차별 50분에서 최대 100분까지 최대 5회에 걸쳐 진행한다. 서강석 송파구청장은 “송파 채움교실이 단순한 방과후 학습을 넘어 자기 적성을 재발견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삼성전자 31만弗, 한화그룹 100만弗… 트럼프 취임 때 거액 냈다

    삼성전자 31만弗, 한화그룹 100만弗… 트럼프 취임 때 거액 냈다

    삼성, 현대, 한화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올 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식에 고액 기부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전부터 보편관세 도입을 예고하면서 대미 투자 기업들 사이에서 불확실성이 커졌고, 이에 일부 기업이 기부를 통해 현지에서 활로를 찾으려는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미국 연방선거관리위원회(FEC)가 공개한 서류에 따르면 삼성전자 미국 법인은 지난 1월 20일 트럼프 2기 취임식에 31만 5000달러(4억 5000만원)를 기부했다. 현대차 미국 법인도 지난 1월 6일 100만 달러(14억 2600만원)를 기부금으로 냈다. 한화디펜스와 한화큐셀은 각각 50만 달러(7억 1300만원)를 기부했다. 이 기업들은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식 땐 기부 명단에 없었다. FEC 규정에 따라 200달러 이상 기부자는 이름, 주소, 기부일, 총액 등이 공개된다. 국내 기업 외에도 세계 최대 규모의 종합 금융 기업인 JP모건체이스를 비롯해 메타(페이스북), 아마존, 구글, 애플, 오픈AI, 엔비디아 등 빅테크 기업들도 100만 달러 이상 기부금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가장 큰 금액을 기부한 곳은 500만 달러(약 71억원)를 기부한 양계 생산업체 필그림즈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취임식에서 기부받은 돈은 총 2억 3900만 달러(3400억원)에 달한다. 8년 전 1기 취임식(1억 700만 달러)보다 2배 이상 많으며, 미국 대통령 취임식 기부금 중 역대 최대다. 2021년 바이든 전 대통령 취임식(6200만 달러)과 비교해도 약 4배 수준이다. 한편 FEC는 기부자 명단과 기부 액수만을 공개할 뿐 자금 사용 내역을 밝히지 않아 미국 내에서 투명성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또 주요 기부자 중 일부가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인사로 지명되면서 ‘보은 인사’ 논란도 불거졌다. 예컨대 주영 미국대사로 임명된 워런 스티븐스나 미 항공우주국(NASA) 국장으로 지명된 제라드 아이작먼 등이 대표적이다.
  • 대전, 유망기업 ‘제2의 알테오젠’ 육성

    대전시는 22일 대전테크노파크(TP), 카이스트(KAIST)와 공동으로 지역 중소·벤처기업의 성공적인 기업공개(IPO)를 지원하는 제7기 지역 기업상장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한다고 밝혔다. 올해는 인공지능(AI)·반도체·이차전지·로봇 등의 분야에서 19개 유망 기업이 선정됐다. 우수한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보유했으나 IPO 추진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 유망기업 발굴 및 자본시장 진입을 통한 스케일업 지원이 목적이다. 선정 기업은 16주간 맞춤형 IPO 전략 수립 및 컨설팅, 산업 및 상장 트렌드 분석, 전문가 멘토링 등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지원을 받는다. 현재 대전에는 코스닥 시가 총액 1위의 바이오기업인 알테오젠을 비롯한 65개 상장사가 있다. 이중 오름테라퓨틱·에르코스 등 4개 기업이 이 프로그램을 거쳐 상장해 지역 혁신·벤처기업 상장 등용문으로 자리매김했다. 대덕특구 민간 연구소·기업 방문 프로그램의 첫 일정으로 알테오젠을 방문한 이장우 대전시장은 “바이오는 시간이 아니라 속도가 경쟁력”이라며 “지역 기업이 세계 시장을 무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자금·연구·인력 등 전방위 지원과 신속한 정책 추진 등으로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 BC카드, AI ‘퍼플렉시티 프로’ 1년 무료 이용권 이벤트

    BC카드는 유료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 ‘퍼플렉시티 프로’ 1년 무료 이용권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BC카드 회원사인 우리카드, 하나카드, NH농협카드, IBK기업은행, KB국민카드, iM뱅크, BNK부산은행, BNK경남은행, 신한카드, Sh수협은행, 광주은행, BC바로카드 이용 고객이 대상이다. 오는 5월 31일까지 ‘페이북’에서 BC 개인 신용·체크카드로 5만원 이상 결제하면 200달러 상당의 퍼플렉시티 무료 이용권을 받을 수 있다.
  • 무인 수상정 설계 맡은 HD현대… K방산, 무인 기술 개발 속도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론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국내 방산업계도 차세대 무인 무기 체계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HD현대중공업은 해군본부에서 ‘전투용 무인 수상정(USV) 개념설계 사업’을 수주했다고 22일 밝혔다. 전투용 무인 수상정은 유인 함정을 대신해 최전방 해역에서 탐색과 근접 교전 임무를 수행하는 함정이다. HD현대중공업은 이달 내 착수 회의를 열고 전투용 무인 수상정의 성능과 적용되는 기술 등 요구 사항을 결정하는 개념 설계 사업을 진행한다. 사업 기간은 약 8개월이다. 유인 함정 이상의 신뢰성과 경제성을 가진 전투용 무인 수상정을 설계하겠다고 회사는 밝혔다. 방산업계는 무인 무기 체계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앞서 이달 초 HD현대중공업은 미국 인공지능(AI) 방산기업 안두릴 인더스트리와 무인 수상정 개발과 시장 진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무인기 전문기업인 ‘제너럴 아토믹스 에어로노티컬 시스템’과 단거리 이착륙 무인기 GE-STOL 공동 개발에 협력하면서 연구개발에 7500억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현대로템은 다목적 무인 차량인 HR-셰르파의 성능 개량에 집중하고 있다. HR-셰르파는 수색, 정찰 등 임무에 따라 다양한 장비를 탑재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군용 무인 차량으로, 현재 4세대 HR-셰르파까지 출시됐다. LIG넥스원은 2015년부터 무인 수상정 ‘해검’ 시리즈를 개발해 해군의 ‘정찰용 무인 수상정 체계 개발사업’ 주관사로 선정됐다.
  • 숏폼에 실소하며 잠드는 밤… 학생도 직장인도 뇌가 썩어 간다 [유튜브 창립 20주년 특별기획]

    숏폼에 실소하며 잠드는 밤… 학생도 직장인도 뇌가 썩어 간다 [유튜브 창립 20주년 특별기획]

    짧은 영상에 인위적 도파민 분비내성 생겨 더 자극적 영상 찾게 돼‘스마트폰 중독’ 부모, 자녀도 영향영상 많이 볼수록 성적은 낮아져 “할 일도 없는데 유튜브나 볼까.” 학업과 업무에 시달린 뒤 밤이나 힘든 일주일을 끝내고 주말을 맞은 이들은 무의식적으로 스마트폰을 들고 유튜브를 비롯한 짧은 동영상이나 소셜미디어(SNS)에 빠져든다. 너무 지쳐서 아무것도 하기 싫고 만사가 귀찮다 보니 그저 누워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스마트폰을 보다가 잠드는 일상이 익숙해지는 것이다. 이런 사람들이 워낙 많아지다 보니 ‘옥스퍼드 영어 사전’을 출간하는 옥스퍼드 랭귀지는 지난해 12월 ‘올해의 단어’로 ‘뇌 썩음’(Brain rot)을 선정하기도 했다. 사실 뇌 썩음이라는 단어는 1854년 미국의 자연주의 철학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가 대표작 ‘월든’에서 처음 언급했다. 복잡한 사고를 하기 싫어하는 당시 사회 분위기를 지적하면서 정신적, 지적 노력이 전반적으로 쇠퇴하는 과정을 비판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다. 최근에는 SNS나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 콘텐츠를 과도하게 소비하면서 정신적, 지적 상태가 점점 낮아지고 악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어로 쓰인다. 전문가들은 중독과 뇌 썩음 현상은 도파민이라는 호르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본다. ‘도파민 밸런스’라는 책을 출간한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안철우 교수는 “노력 없이 얻는 쾌감은 중독 현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무서운 것”이라며 “모든 중독 증상은 더 많은 양, 더 강한 자극을 필요로 하면서 일상이 서서히 무너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도파민 분비를 유발하는 행동이나 물질, 자극에 중독되는 ‘도파민 중독’은 도파민이 지나치게 자주 분비되면 우리의 뇌가 어떻게 해야 더 많은 쾌감을 얻을 수 있는지 학습하며 나타나는 현상이다. 짧은 동영상은 즉각적인 쾌감을 제공해 뇌의 보상 회로를 자극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내성이 생겨 비슷한 쾌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자극이 필요해지고 도파민 분비 주기가 지나치게 빨라지면서 동영상 중독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오랜 시간 노력을 통해 어떤 목표에 도달했을 때 분비되는 도파민보다 노력 없이 짧은 시간에 더 많은 도파민이 분비돼 자극하기 때문에 쉽게 빠져드는 것이다. 동영상 중독은 뇌 기능과 구조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2021년 미국 컬럼비아대 의대 연구팀은 동영상을 정기적으로 장시간 시청할수록 뇌에 강한 자극을 줘 추리능력과 기억력이 감퇴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앨라배마대 연구팀은 약 100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동영상을 자주 보는 사람은 정보를 처리하고 다양한 활동을 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의 회백질량이 줄어들어 인지 기능이 떨어지고 치매 위험성이 높아진다고 밝혔다. 존스홉킨스대 의대 연구진 역시 동영상 시청 시간이 한 시간 늘어날 때마다 평균 0.5%의 회백질이 손상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유튜브 중독 증상은 학생들의 성적 하락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윤정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는 2022년 ‘사회과학논총’(제38권 제2호)에 아동 청소년의 유튜브 시청이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다. 초등학교 5, 6학년 부모와 자녀 300쌍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어릴 적부터 유튜브를 시청하는 것은 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정에서 부모가 유튜브나 동영상 시청을 많이 할수록 자녀의 성적이 낮아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최 교수는 “자기주도학습 습관이 완성되지 않은 초기 청소년들의 경우 유튜브 시청 시간과 프로그램에 대해 제한을 두면 유튜브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면서 “부모가 함께 실천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부모가 스마트폰에 빠져 있으면서 자녀들에게 스마트폰 사용과 유튜브 시청을 막는 것은 소용없다는 말이다. 유튜브에 빠져들면 뇌뿐만 아니라 신체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혼자 식사하는 ‘혼밥’ 인구가 급격히 늘었다. 문제는 식사하면서 동영상을 시청하는 습관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점이다. 2019년 브라질 상파울루대 연구팀은 유튜브를 보면서 식사하면 초가공식품이나 패스트푸드를 선택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패스트푸드나 초가공식품이 동영상을 보면서 먹기 편하기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2020년 영국 서식스대 의대 연구진은 식사 중 동영상 시청은 주의력을 떨어뜨려 배가 부르다는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게 만들고 맛을 느끼는 것도 방해하는 등 식사량과 식사 시간에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동영상을 보면서 식사하면 무엇을 얼마나 먹었는지 기억하지 못해 추가로 간식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다고도 한다. 2023년 네덜란드 레이던대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음식을 먹으면서 숫자를 외우도록 하는 실험을 했는데 숫자를 외우려고 노력한 사람들은 음식 맛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진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전문가들은 “유튜브나 SNS, 숏폼에 빠지는 것은 담배나 술, 마약에 빠지는 원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며 “유튜브의 폐해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뻔한 얘기 같지만 시청 시간에 제한을 두거나 스마트 기기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등 자기 통제력을 높이고, 운동 등 다른 취미 활동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 ‘도파민 저수지’에 가짜뉴스 범람… 저작권 눈감은 조회수 장사 [유튜브 창립 20주년 특별기획]

    ‘도파민 저수지’에 가짜뉴스 범람… 저작권 눈감은 조회수 장사 [유튜브 창립 20주년 특별기획]

    조회수 1회당 0.6원 정도의 수익시청 유도 위해 자극적 영상 생산가짜뉴스·음모론으로 극단 선동규제 어려워 AI 활용 표절도 확산 유튜브는 지난 20년간 ‘자유의 땅’이자 ‘기회의 땅’이었다. 휴대전화 하나만 있으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내고, 재능을 활용해 돈도 벌 수 있었다. 그러나 검증되지 않은 가짜뉴스가 난무하고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지 못하면 수익 올리기도 어려워졌다. 너도나도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생각하는 유튜브가 자극이 넘쳐 나는 ‘도파민 저수지’가 돼 간다는 지적도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가 최근 발표한 ‘2024년 디지털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디지털 크리에이터 시장 총매출액은 5조 3159억원이었다. 사업체 수는 1만 3514개, 종사자 수는 4만 2378명으로 조사됐다. 전년도와 비교하면 각각 2391개(21.5%), 7003명(19.8%) 늘었다. 해당 조사에서 전체 플랫폼 시장을 유튜브가 과점(68.1%)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된 점을 고려하면 유튜버 매출은 3조 4000억원 수준으로 추산할 수 있다. 유튜브 시장이 매년 20% 이상씩 성장하면서 직업으로 삼고 싶다는 초등학생들 수도 늘어나는 추세다. 그러나 성공하긴 생각보다 쉽지 않다. 전파진흥협회가 수익이 발생한 개인 또는 법인체 3만 6751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3년 디지털 크리에이터 활동 현황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수익은 2040만 9000원 수준에 그쳤다. 국세청의 2022년 자료에 따르면 ‘1인 미디어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사업자 3만 9366명의 연간 총수입은 1조 1420억원이었는데, 상위 1%에 해당하는 393명의 총수입이 3333억원으로 전체의 30%를 차지할 정도였다. 이를 소득 평균과 연결해 보면 결국 유튜브로 생계를 유지할 정도가 되는 이들은 일부에 그친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익 창출 역시 어려워지고 있다. 201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 채널 ‘1분미만’이 최근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조회수 수입은 1회당 0.6원 정도에 불과했다. 채널 관계자는 “조회수 100만을 찍어야 수익이 60만원 정도”라면서 “각종 비용 등을 빼면 채널 유지 역시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유튜버 김대권씨는 최근 자신의 채널에 ‘알고리즘에 버림받은 66만 목공 채널’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그가 2019년부터 꾸린 ‘김팀장 크래프트’는 구독자를 빠르게 늘리며 성공한 채널로 평가받았다. 조회수가 잘 나올 때는 한 달에 700만~800만원씩 벌기도 했지만 쇼츠나 릴스 등 ‘숏폼’이 대세를 이루는 최근 들어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김씨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영상 하나를 만드는 데 2주 가까이 걸리지만 알고리즘의 외면을 받자 조회수가 5분의1로 급감했다”고 밝혔다. 사회 영향력이 커지면서 유튜브는 뉴스 플랫폼으로도 주목받았다. 그러나 공익보다 조회수 올리기에 급급해 거짓을 퍼뜨리는 가짜뉴스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전 세계 47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4’에 따르면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시청하는 비율은 전 세계 평균 61%였고 우리나라는 이보다 14% 포인트나 높은 75%였다. 2017년 28%였던 점을 고려하면 8년 만에 2.5배 정도 늘어난 셈이다.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0’에서는 ‘가짜·허위 정보로 가장 우려되는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 유튜브가 31%로 1위를 차지했다. 가짜뉴스의 폐해는 사회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평소 보수 우익 유튜버 방송을 즐겨 보는 것으로 알려진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 보수 세력 일각에서 주장하는 ‘부정선거론’을 들고 나와 논란을 불렀다. 헌법재판소가 이달 만장일치로 대통령 파면을 선고했지만, 보수 우익 유튜버들은 가짜뉴스와 음모론을 퍼뜨리며 선동을 이어 오고 있다. 지난해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일어난 제주항공 참사 이후 ‘사고기 기장이 살아 돌아왔다’, ‘사고기는 사실 모형 항공기’와 같은 허위 주장을 담은 가짜뉴스가 유튜브를 통해 확산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가 단속에 나서기도 했다. 같은 해 11월 유튜브 등에는 ‘롯데그룹 공중분해 위기’라는 제목의 동영상이 올라오면서 막심한 피해로 이어졌다. 롯데지주와 롯데케미칼 등의 주가가 이후 10% 안팎 급락하면서 6000억원대 손해가 발생했고 경찰 수사 요청까지 이어졌다. 최근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영상 제작이 활발해지면서 저작권 논란도 거세다. 현행법상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로 규정한다. 그러나 타인의 저작물을 활용해 AI로 새롭게 창작물을 만드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규정이 없다. 유튜브에는 유명인 얼굴을 활용해 만든 딥페이크 영상, 허위 정보를 마치 실제 뉴스인 것처럼 주장하는 영상 등도 버젓이 돌고 있다. 한국저작권위원회 관계자는 “생성형 AI로 유명 캐릭터를 활용해 만든 이미지나 마이클 잭슨 목소리로 방탄소년단(BTS) 노래를 부른 음원을 제작해 유튜브 등에 올리면 저작권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세세한 규정은 없는 상황이라 문제가 불거지면 법으로 일일이 다투는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 나이키 만드는 트럼프?… “현실에 ‘메이드 인 USA’는 없다”

    나이키 만드는 트럼프?… “현실에 ‘메이드 인 USA’는 없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중 관세전쟁의 목표로 ‘제조업 부흥’을 내세운 가운데 중국에서 인공지능(AI)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나이키 운동화를 만드는 조롱 영상이 제작돼 화제다. 지난 15일 이 영상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미국 노동자의 잠재력을 제대로 보여 주지 못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노동력이 세계 최고라 믿기 때문에 제조업 리쇼어링(해외 공장의 미국 복귀)에 집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1일(현지시간) 나이키 제조공정을 사례로 들며 트럼프 대통령의 제조업 재부흥 구상이 실현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나이키는 지난 수년간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의 공장을 북미 지역으로 옮기려고 노력했지만 성과는 미미했다. 2015년부터 노동 집약적인 신발 산업의 자동화 계획을 추진한 나이키는 2023년 멕시코 과달라하라에 첨단 제조 시설을 건설했으나 목표에는 미치지 못했다. 신발 생산량이 늘자 근로자 수도 따라서 증가했고 결국 계획보다 2배나 많은 5000명을 베트남에서보다 많은 돈을 들여 고용해야만 했다. 로봇은 손바느질과 신발 밑창을 붙이는 인간의 꼼꼼함을 따라가지 못했고, 특히 온도에 따라 원재료의 신축성이나 경도가 바뀌는 것에 대처하지 못했다. 게다가 나이키는 자동차나 아이폰과 달리 다품종 소량 생산을 하고 있어 항상 변화하는 신발 디자인을 자동화된 생산 라인이 따라잡을 수 없었다. 심지어 승리의 여신 니케의 날개를 형상화한 나이키 로고를 신발에 자동으로 부착하는 공정을 8개월 만에 만들어 내면 이미 해당 모델은 단종된 상태였다. 나이키 자동화 공정에 참여했던 관계자는 WSJ에 “제조업 리쇼어링은 빠르게 되기 어려우며 돈과 인내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꼬리날개 없는 ‘가오리 스텔스기’… 美·中, 6세대 전투기 경쟁[글로벌 인사이트]

    꼬리날개 없는 ‘가오리 스텔스기’… 美·中, 6세대 전투기 경쟁[글로벌 인사이트]

    5세대와 차원 다른 스텔스 성능AI 적용해 유·무인기 통합 지휘트럼프, 6세대 전투기 ‘F-47’ 명명 “엔진 성능·전자제어능력 압도적”中, J-36·J-50 시험비행 SNS 공개“美 100년간 장악한 제공권 종언”세계 패권국가의 제1조건은 상대방을 압도하는 군사력이다. 20세기 군사력의 핵심은 항공모함이었다. ‘바다 위 공군기지’로 불리는 항공모함은 수백㎞ 떨어진 곳에서 공중 타격을 가할 수 있어 전쟁의 ‘게임 체인저’가 됐다. 그런데 전문가들은 21세기 군사력의 핵심은 차세대 첨단 전투기가 될 것으로 여긴다. 우주 가까이 상승해 적의 위성을 파괴하고 인공지능(AI)을 적용해 수많은 드론(무인기)을 지휘하는 등 ‘하늘 위 항공모함’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를 잘 아는 미국과 중국은 인도·태평양 지역을 두고 ‘6세대 전투기’로 공중 패권 경쟁에 나섰다. 21일(현지시간) 미 군사 전문 매체 ‘더워존’ 등에 따르면 6세대 전투기는 스텔스 기능으로 상징되는 현 최강 5세대 전투기보다 한 차원 높은 스텔스 성능과 AI, 유·무인기 복합체계, 드론 조종 능력, 레이저 무기 등을 갖춘 차세대 전투기를 일컫는다. 미국의 경우 해군은 FA-18(슈퍼호넷), 공군은 F-22(랩터)를 대체하고자 6세대 전투기를 준비하고 있다. 지난달 21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미 공군 6세대 전투기 이름을 ‘F-47’로 명명하고 사업자로 보잉을 선정했다. 미 정계 안팎에서는 그가 47대 대통령에 당선된 것을 기념하려는 이름으로 해석한다. F-47은 수직 꼬리날개 없이 평평한 ‘가오리’ 모양을 한 독특한 기체 설계로 눈길을 끈다. 레이더 피탐 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다. F-47은 2030년대 중반 실전 배치된다. 대당 가격은 2억 달러(약 2853억원) 안팎으로 F-22 최고가 3억 5000만 달러(4993억원) 대비 40% 이상 저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에서는 마오쩌둥의 생일이던 지난해 12월 26일 쓰촨성 청두시에서 미국의 F-47과 마찬가지로 꼬리날개 없이 ‘은행잎’과 흡사한 모양의 비행체가 모습을 드러냈다. 네티즌들은 이 비행기가 이동하는 모습을 소셜미디어(SNS)에 올렸고 군사 평론가들은 6세대 전투기 시제품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당국이 군사기밀이 담긴 SNS 내용을 검열하지 않았다는 것을 볼 때 중국이 이를 의도적으로 드러내 미국과의 차세대 전투기 선점을 두고 선전포고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이 전투기의 확대 화면에 ‘36011’이라고 적혀 있어 중국에서는 이 전투기를 ‘J-36’으로 부른다. J-36은 2030년쯤 실전 배치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일부 군사 전문가는 인민해방군 창군 100주년인 2027년 8월 1일에 J-36의 성과를 공개하는 행사를 가질 수 있다고 본다. 이와 별도로 지난 16일에는 중국 선양항공기공업그룹(SAC)이 개발 중인 또 다른 6세대 전투기도 SNS를 통해 공개됐다. J-50으로 불리는 이 전투기는 J-36이 처음 공개된 지난해 12월 26일 랴오닝성 선양에서 첫 시험비행을 했다. J-36과 J-50 모두 꼬리날개가 없는 무미익 전투기다. 미국도 6세대 전투기 프로젝트를 가동 중이지만 시험비행 모습이 공개된 바는 없다. 시험비행 모습 공개로만 따지면 중국이 미국을 앞서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 일부 누리꾼은 “과거 100년 동안 미국이 장악한 전 세계 제공권이 종언을 고하고 있다”고 흥분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의 빠른 질주에 조급해하지 않는 눈치다. 미국의 6세대 전투기 개발 프로젝트는 NGAD(차세대 공중 지배)로 불리는데 2014년 시작됐다. 2020년 미 공군은 NGAD 프로그램 시재기를 비밀리에 테스트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이 최근 장족의 발전을 이뤘지만 전투기 엔진의 성능과 내구성, 전자제어능력 등이 여전히 미국에 크게 뒤진다는 판단이다. 이를 반영하듯 지난 3월 데이비드 올빈 미 공군 참모총장은 F-47 프로젝트 관련 기자 회견에서 “중국이 지난해 12월 청두와 선양에서 6세대 전투기의 시험비행을 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진정한 세계 첫 6세대 전투기는 F-47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6세대 전투기는 단순히 더 빠르고 강력한 기체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유인기와 무인기를 병행하는 공중 전투 허브다. 조종사는 6세대 전투기의 지휘관 역할을 맡고 위험한 임무는 전투기에 딸린 ‘드론 군단’이 맡는 것이 기본 작전 개념이다. 레이저 등 신무기를 장착하고 전장 상황에 따라 전투기도 AI가 스스로 조종할 수 있다. 6세대 전투기 1~2대와 수십 대 드론으로 구성된 편대가 적진 한가운데로 날아가 엄청난 화력을 과시하는 모습이 현실로 다가왔다. 미중 두 나라에 6세대 전투기는 인도·태평양 패권 경쟁의 핵심 무기가 될 수 있다. 6세대 전투기는 날개 면적이 훨씬 커져 더 많은 항공유를 채울 수 있다. 작전 반경도 그만큼 늘어난다. 중국 입장에서는 공중급유기 지원 없이도 제1도련선(필리핀~대만~오키나와를 잇는 중국의 1차 봉쇄선)에서 작전을 펼칠 수 있다. 특히 J-36은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괌·사이판~팔라우 등을 잇는 ‘제2도련선’까지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괌에는 앤더슨 공군기지와 아프라 해군기지 등 미군 군사시설이 자리잡고 있다. 중국 입장에서는 미국의 견제를 뚫는 동시에 미국의 핵심 방어선을 공격 범위로 삼을 수 있게 된다. 6세대 전투기가 실전 배치되면 두 나라 간 우발적 충돌이 전면전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그만큼 커지게 된다.
  • [서울데이터랩]그린케미칼 30.00%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그린케미칼 30.00%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22일 오후 15시 35분 그린케미칼(083420)이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그린케미칼은 장 중 4,483,575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2,340원 오른 10,140원에 마감했다. 한편 그린케미칼의 PER은 29.74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며, ROE는 6.75%로 수익성은 보통 수준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어 상승률 2위 신성이엔지(011930)는 주가가 20.63% 급등하며 종가 1,596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SK이터닉스(475150)의 주가는 16,730원으로 17.32% 급등했다. 상승률 4위 코오롱(002020)은 14.35% 상승하며 25,10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삼화왕관(004450)은 14.35%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39,450원에 마감했다. 6위 금호전기(001210)는 종가 1,246원으로 13.69% 상승 마감했다. 7위 인스코비(006490)는 종가 1,755원으로 12.28% 상승 마감했다. 8위 코오롱ENP(138490)는 종가 6,330원으로 10.28% 상승 마감했다. 9위 전진건설로봇(079900)은 종가 48,800원으로 9.66% 상승 마감했다. 10위 서흥(008490)은 종가 14,250원으로 9.45%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SNT에너지(100840) ▲8.16%, 태양금속우(004105) ▲7.36%, LIG넥스원(079550) ▲7.23%, 우진플라임(049800) ▲7.21%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마감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서울데이터랩]마감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상지건설(042940)가 4월 22일 장 마감 5분 만에 6.50%의 검색비율을 기록해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상지건설의 현재가는 32,35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3.51% 상승하며 급등세로 마감했다. 거래량은 9,535,170주를 기록했다. 이어 검색비율 2위의 삼성전자(005930)는 하락률 0.72%로 소폭 하락 마감했다. 검색비율 3위의 HD현대일렉트릭(267260)은 9.75% 하락 마감했다. 검색비율 4위 에이비엘바이오(298380)는 5.86% 상승 마감했다. 검색비율 5위 박셀바이오(323990)는 29.34% 상승하며 상한가로 마감했다. 6위 엑스페릭스(317770)는 등락률 -11.19%로 급락을 기록했다. 7위 성신양회(004980)는 0.33%의 등락률로 약보합을 보였다. 8위 신라젠(215600)은 29.92%의 큰 폭의 상승세로 상한가를 기록했다. 9위 SK하이닉스(000660)는 1.59% 하락 마감했다. 10위 네이처셀(007390)은 29.88% 상승하며 상한가로 마무리됐다. 이밖에도 포바이포(389140) ▲29.89%, SK이터닉스(475150) ▲17.32%, 삼현(437730) ▲14.04%, 한화오션(042660) ▲1.41%, NAVER(035420) ▲3.31%, 한미반도체(042700) ▼0.27%, 현대차(005380) ▼0.91%, 두산에너빌리티(034020) ▼1.54%, 팬스타엔터프라이즈(054300) ▼2.37%,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 ▼16.57% 등이 많이 검색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5600만주 넘어 거래대금 800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5600만주 넘어 거래대금 800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가 5,600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354원으로, 시가총액의 11.39%에 해당하는 거래대금에 비해 10.63%의 하락률을 기록하고 있다. PER -2.96, ROE -86.60으로 재무 지표에서는 부진을 보이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매도세가 우세한 상황이다. 나우IB(293580)는 5,000만주 이상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주가는 1,896원이다. 거래대금은 시가총액의 6.12%를 기록하며, 13.03%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PER 22.84, ROE 8.15로, 수급 측면에서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지만, 재무 지표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팬스타엔터프라이즈(054300)는 현재가 1,318원, 25.05%의 폭등세를 기록하며 5,000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보인다. 엑스페릭스(317770)는 6,680원, 6.57% 하락, 3,200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한다. 메이슨캐피탈(021880)은 341원, 15.20% 상승하며 2,800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보인다. 우듬지팜(403490)은 1,956원, 16.71% 상승, 1,900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한다. 유니슨(018000)은 1,258원, 9.39% 상승, 1,900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보인다. 에코플라스틱(038110)은 3,167원, 28.22% 폭등하며 1,900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한다. LB인베스트먼트(309960)는 6,010원, 4.70% 상승, 1,600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보인다. 제로투세븐(159580)은 7,240원, 15.29% 상승하며 1,500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한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협진(138360) ▼12.84%, 아가방컴퍼니(013990) ▲2.07%, 에스지헬스케어(398120) ▲12.17%, 원익홀딩스(030530) ▲4.09%, 신라젠(215600) ▲29.92%, 토마토시스템(393210) ▼3.49%, 에어레인(163280) ▲11.99%, 삼현(437730) ▲23.27%, 컴퍼니케이(307930) ▼9.81%, 신신제약(002800) ▼8.54% 등의 성적을 기록한다. 코스닥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종목은 에코플라스틱과 팬스타엔터프라이즈다. 에코플라스틱은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4.41%에 달하며, 28.22%의 폭등세를 보인다. 팬스타엔터프라이즈는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7.50%에 달하며, 25.05%의 폭등세를 기록한다. 반면, 나우IB와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각각 13.03%, 10.63%의 하락률을 보이며,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6.12%, 11.39%를 기록하여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강하게 나타난다. 전체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상승세와 하락세가 혼재되어 있으며, 일부 종목에서는 폭등과 폭락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에코플라스틱과 팬스타엔터프라이즈는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하지만 나우IB와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급락하며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322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322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양철관(008970)이 1,939만8,108주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642원이며, 거래대금은 322억9,300만원에 달한다. 시가총액은 2,608억원이고, PER는 -11.48, ROE는 -20.13을 기록하고 있다. 대한제당(001790)은 1,895만3,712주가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3,600원, 거래대금은 710억2,400만원이며, 시가총액은 3,229억원이다. PER는 16.90, ROE는 3.68로 나타났다. 삼호개발(010960)은 8,642,848주가 거래되며 거래량 3위를 기록하고 있다. 현재가는 4,335원, 등락률은 +9.75%를 보이고 있다. 서울식품(004410)은 8,332,712주가 거래되며 1.23% 상승 중이다. 무림페이퍼(009200)는 8,141,027주 거래되며 3.11%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주성코퍼레이션(109070)은 8,065,637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5.73% 상승했다. 성신양회(004980)는 5,059,827주가 거래되며 15.79% 상승, 삼성전자(005930)는 4,565,272주 거래되며 -0.18% 하락했다. 깨끗한나라(004540)는 4,509,301주의 거래량을 보이며 0.56% 상승 중이다. 그린케미칼(083420)은 4,462,811주가 거래되며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대영포장(014160)(009770) ▼6.11%, 신성이엔지(011930)(011930) ▲3.63%, 동방(004140)(004140) ▼0.58%, 코오롱ENP(138490)(102940) ▲13.41%, 금호전기(001210)(001210) ▲15.60%, 일신석재(007110)(007110) ▼1.71%, 오리엔트바이오(002630)(002630) ▼5.18%, 인스코비(006490)(006490) ▲8.57%, 삼성중공업(010140)(010140) ▲0.71%, 윌비스(008600)(008600) 0.00%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그린케미칼과 성신양회가 있다. 그린케미칼은 상한가를 기록하며 거래대금이 431억500만원, 시가총액 대비 17.72%에 달한다. 성신양회는 15.79%의 급등세를 보이며 거래대금은 728억7,400만원, 시가총액 대비 21.33% 수준으로 집계되었다. 하락 종목 중에서는 대한제당과 대영포장이 두드러진다. 대한제당은 5.14% 하락했지만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약 22%에 달하며 치열한 매수·매도 공방을 나타낸다. 대영포장은 6.11% 하락하며 거래대금이 70억5,600만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3.99% 수준이다. 전체적인 시장은 상승과 하락이 혼재된 모습이다. 거래량 상위 20개 종목 중 일부는 강한 상승세를 보였지만, 일부는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그린케미칼과 성신양회는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며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네이처셀 29.88% 상승하며 주목받아

    [서울데이터랩]네이처셀 29.88% 상승하며 주목받아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알테오젠(196170)(액면가 500원)은 현재가 386,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변동이 없으며 보합세를 이어가고 있다. 상장주식수 53,319주에 외국인비율이 15.12%에 달하는 이 종목은 PER 330.06, ROE 29.52로, 수급 측면에서는 안정적이나 재무 지표에서는 높은 PER이 눈에 띈다. 2위 에코프로비엠(247540)(액면가 500원)도 94,900원으로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거래량은 132,717주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비율 10.74%를 보이며, PER -96.15, ROE -6.26으로 재무 지표는 부정적인 상황이다. HLB(028300)는 전 거래일 대비 1.12% 하락하며 현재가 52,9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191,612주로 나타났다. 펩트론(087010)과 삼천당제약(000250)도 각각 1.55%, 4.02% 하락하며 거래되고 있다. 반면,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는 0.53% 상승하여 현재가 285,0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리가켐바이오(141080)는 5.25% 상승을 기록하며 거래량 374,844주를 기록하고 있다. 코오롱티슈진(950160)은 8.16% 상승하며 47,05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파마리서치(214450) ▼1.38%, 에이비엘바이오(298380) ▲5.39%, 리노공업(058470) 보합, 에스엠(041510) ▲0.35%, JYP Ent.(035900) ▲0.80%, 펄어비스(263750) ▼0.59%, 네이처셀(007390) ▲29.88%, 보로노이(310210) ▼1.31%, 셀트리온제약(068760) ▲0.32%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 시장은 바이오와 2차 전지 관련 종목을 중심으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클래시스(214150)는 0.32% 하락하고 있으며, 거래량에서는 네이처셀이 3,400,646주로 눈에 띄는 거래량을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다. PER과 ROE 지표에서는 레인보우로보틱스가 긍정적인 재정 상태를 보이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성신양회우 29.77%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성신양회우 29.77%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22일 오전 9시 10분 성신양회우(004985)가 등락률 +29.77%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성신양회우는 개장 직후 39,535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5,690원 오른 24,800원이다. 한편 성신양회(004980)의 PER은 13.85로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어 상승률 2위 성신양회는 현재가 15,260원으로 주가가 26.85% 폭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그린케미칼(083420)은 현재 9,380원으로 20.26% 급등하며 강세를 보인다. 상승률 4위 크라운제과우(26490K)는 13.99% 급등하며 13,6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주성코퍼레이션(109070)은 12.60%의 상승세를 타고 1,278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삼호개발(010960)은 현재가 4,430원으로 12.15% 상승 중이다. 7위 코오롱ENP(138490)는 현재가 6,370원으로 10.98% 상승 중이다. 8위 흥국화재우(000545)는 현재가 18,620원으로 9.47% 상승 중이다. 9위 크라운해태홀딩스우(005745)는 현재가 10,900원으로 8.57% 상승 중이다. 10위 아센디오(012170)는 현재가 4,515원으로 8.27%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CJ씨푸드1우(011155) ▲5.86%, KIWOOM TDF2030액티브(435530) ▲5.72%, 깨끗한나라우(004545) ▲5.70%, 한일시멘트(300720) ▲4.79%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SK하이닉스 1.13% 하락하며 횡보 LG에너지솔루션 보합세 삼성바이오로직스 0.09% 상승

    [서울데이터랩]SK하이닉스 1.13% 하락하며 횡보 LG에너지솔루션 보합세 삼성바이오로직스 0.09% 상승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22일 오후 12시 20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005930)(액면가 100원)는 현재가 55,3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00원(-0.18%) 하락하며 횡보하고 있다. 상장주식수 5,919,638주에 외국인비율이 50.06%에 달하는 이 종목은 PER 11.17, ROE 9.03으로, 수급과 재무 지표 모두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도체 대장주인 SK하이닉스(000660)(액면가 5,000원) 역시 174,600원으로 1.13% 하락하며, 거래량 883,745주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비율은 53.43%, PER 6.42, ROE 31.06으로 수익성 측면에서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전 거래일 대비 0.09% 상승하며 현재가 1,073,000원을 기록하고 있다. 거래량은 26,598주로, 외국인 비율은 13.10%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우(005935)와 셀트리온(068270)는 각각 0.36%, 0.33% 상승하며 거래량 88,159주, 189,137주에 외국인 비율 47.31%, 74.08%를 기록하고 있다. KB금융(105560)는 0.72% 상승하며 거래량 371,709주를 보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는 전 거래일 대비 0.00% 보합세를 유지하며 현재가 332,500원을 기록하고 있다. 현대차(005380)는 0.21% 하락하며 거래량 168,947주를 기록했고, 기아(000270)는 0.57% 하락, 거래량 254,888주를 보였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0.31% 하락하며 거래량 521,383주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NAVER(035420) ▲2.27%, 신한지주(055550) ▲3.25%, 한화오션(042660) ▼0.31%, 현대모비스(012330) ▲0.64%, 메리츠금융지주(138040) ▼0.82%, POSCO홀딩스(005490) ▲0.08%, 삼성물산(028260) ▲0.40%, 크래프톤(259960) ▲1.57%, 카카오(035720) ▼1.17%, ##종목명_20## ▲0.90%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 시장은 외국인 비율과 거래량에 따라 종목별로 등락이 엇갈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높은 외국인 비율을 기록한 셀트리온와 HD현대중공업(329180)는 안정적인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거래량이 많은 현대모비스와 ##종목명_20##는 상승 흐름을 기록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