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과수화상병 피해 충북이 가장 심각할 듯
올해 충북지역 과수화상병 피해가 전국에서 가장 심각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28일 충북도에 따르면 전날 오전 기준 올해 전국 과수화상병 발생 현황은 111농가 44.0㏊다.
지역별로는 충북이 59농가 20.84㏊로 압도적으로 많다. 피해 농가 수는 절반을 넘었고, 피해 면적은 절반에 조금 못 미친다. 과수화상병이 충북에 집중된 셈이다. 뒤를 이어 경기 27농가, 전북 11농가, 충남 8농가. 강원 6농가 순이다.
7월과 8월에는 과수화상병이 산발적으로 발생해 충북이 올해 최대 피해지역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에는 충남 피해가 가장 컸다.
올해 충북지역 시군별 피해 상황은 사과의 고장 충주가 36농가 15.21㏊로 가장 심각하다, 뒤를 이어 제천 8농가 3.11㏊, 음성 8농가 1.48㏊, 괴산 2농가 0.26㏊, 진천 2농가 0.12㏊, 단양 1농가 0.50㏊, 청주 1농가 0.15㏊, 증평 1농가 0.01㏊ 등이다. 청주에서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것은 처음이다.
충북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수년 전부터 충주와 제천에서 과수화상병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잠복균이 남아 다음 해 발병하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며 “충주는 과원 밀집도가 높아 더 많이 발생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어 “도내 전체 피해는 지난해와 비교해 농가 수는 비슷하지만 피해면적은 다소 감소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지난해 충북지역 과수화상병 피해는 63농가 28㏊다.
과수화상병은 사과, 배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잎과 꽃, 가지, 줄기, 과일 등이 불에 탄 것처럼 붉은 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하며 말라 죽는다. 1793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됐고, 국내에선 2015년 경기 안성의 배 농장이 첫 사례다. 치료제는 아직 없다. 정확한 원인도 규명되지 않았다.
발생 농가 매몰 여부는 감염된 나무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감염된 나무 비율이 5% 미만이면 감염나무 제거 또는 부분 폐원, 5%~10% 사이는 전체 폐원, 또는 부분 폐원 또는 감염나무 제거, 10% 이상은 전체 폐원이다. 지난해까지는 5% 이상이면 전체 폐원 대상이었다. 매몰기준 완화는 과수산업 위축이 우려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발생 농가는 기준에 따라 피해보상이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