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이것’ 먹이주기 금지…과태료 최대 ‘100만원’
오는 7월부터 서울숲, 광화문 광장, 한강공원 등에서 비둘기, 참새, 까치 등의 유해야생동물에게 먹이를 줄 경우 최대 100만원에 달하는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지난 4월 도시공원, 한강공원 등 38곳을 ‘유해야생동물 먹이 주기 금지구역’으로 지정해 고시했다.
현행법상 유해야생동물은 서식 밀도가 높아 피해를 주는 비둘기, 꿩, 고라니, 멧돼지, 청솔모를 비롯해 장기간에 걸쳐 무리를 지어 농작물·과수에 피해를 주는 참새, 까치, 까마귀 등이 해당된다.
금지 구역은 서울시가 관리하는 도시공원, 한강공원 등 전체 38곳이다.
서울숲, 남산공원, 여의도 공원 등 대부분의 도시 공원과 함께 서울광장, 광화문광장 등 광장 4곳이 금지구역이다.
한강공원 11곳(여의도·난지·강서·양화·광나루·잠실·뚝섬·잠원·이촌·반포·망원)도 포함된다.
금지 구역에서 유해야생동물에게 먹이를 주다 단속에 적발되면 최대 1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1회 적발 시 20만원, 2회 50만원, 3회 100만원의 과태료를 내야 한다.
7월 1일부터 단속 및 과태료 부과가 실시될 예정이다. 금지 기간은 7월부터 3년간이며, 관련 조례에 따라 시장은 금지구역 지정 변경 또는 해제를 3년마다 검토할 수 있다.
서울시는 “다중이 이용하는 장소에서 유해야생동물의 배설물, 털 날림 등으로 인한 위생상 피해와 건물 부식·훼손 등의 재산상 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하고자 한다”며 “6월 30일까지 계도 기간을 두고 7월 1일부터 단속과 과태료 부과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의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둘기 종류인 집비둘기는 1980년대 후반 올림픽 행사를 위해 해외에서 대량으로 들여오며 평화의 상징이 됐다. 하지만 길거리에서 악취, 불쾌감을 일으키고, 이들의 배설물로 인해 건물이 부식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며 2009년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