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상의 “호남고속도로 확장, 정부 분담률 상향해야”
광주상공회의소가 호남고속도로 동광주IC∼서광주IC 구간 확장공사에 대해 “지방 재정 부담이 과도하다”며 정부와 한국도로공사의 분담률 상향을 공식 건의했다. 정부 정책 변화로 사업비가 대폭 늘어난 만큼, 재정 책임 또한 중앙정부가 더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주상의는 최근 대통령실과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 지역 국회의원실 등에 건의문을 전달하고 “환경·안전 기준 강화로 인한 비용 상승은 국가 정책의 결과이므로 정부가 책임을 분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광주IC∼서광주IC 구간은 1986년 4차로로 확장된 이후, 현재 하루 약 14만 대의 차량이 오가며 적정 통행량(5만1,300대)의 2.7배 수준에 달한다. 도심과 산업단지를 잇는 핵심 물류 축인 만큼 상습 정체와 교통사고 위험이 꾸준히 지적돼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구간을 6∼8차로로 확장하는 공사가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재정 분담 구조가 문제로 떠올랐다.
2012년 첫 협의 당시에는 정부 80%, 광주시 20% 부담으로 추진될 예정이었으나, 기획재정부의 재협의 요청으로 비율이 정부 20%, 한국도로공사 30%, 광주시 50%로 뒤바뀌었다.
여기에 더해 총사업비는 2015년 계획 당시 2,762억 원에서 2023년 실시설계 결과 7,934억 원으로 3배 가까이 늘어났다. 광주상의는 “방음터널 내 방재시설 설치 의무화 등 환경·안전 정책 강화로 발생한 추가 비용이 반영된 결과”라며 “이는 정부 정책 변화에서 비롯된 불가피한 증액”이라고 밝혔다.
광주상의는 이번 증액분 약 3,500억 원은 정부와 한국도로공사가 추가 분담하고, 나머지 4,530억 원에 대해서만 광주시가 기존 비율(50%)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조정할 것을 제안했다.
이럴 경우 광주시의 부담금은 약 2,267억 원으로, 현행 구조보다 약 1,000억 원 이상 경감된다.
광주상의 한상원 회장은 “정부 정책 강화로 인한 비용을 지방이 그대로 떠안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며 “지방 재정에 심각한 부담을 초래할 뿐 아니라 다른 지역 유사사업과의 형평성도 훼손된다”고 지적했다.
한 회장은 이어 “정부·지자체·도로공사가 참여하는 재정 분담 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해 현실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지속 가능한 인프라 확충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책임 강화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광주상의의 건의는 최근 정부의 각종 인프라사업에서 ‘지방비 분담률’이 갈등의 불씨로 떠오르고 있는 흐름과 맞물린다.
도로, 철도, 도시철도 등 대형 국책사업에서 환경기준 강화와 안전설비 의무화가 잇따르면서, 사업비가 급등하는 반면 지방비 비율은 줄지 않아 지자체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지방정부의 재정자립도가 낮은 상황에서 국책사업의 비용을 절반 이상 부담하는 구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국가 균형발전의 취지에 맞게 정부와 공기업의 분담률을 재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