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1
    2025-08-16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106,832
  • 조선대‑왓슨앤컴퍼니, 웰에이징 산업 활성화 ‘맞손’

    조선대‑왓슨앤컴퍼니, 웰에이징 산업 활성화 ‘맞손’

    조선대학교가 23일 본관 청출어룸에서 ㈜왓슨앤컴퍼니와 웰에이징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대학은 ‘Asia No.1 웰에이징 대학’ 비전을 달성하고 글로컬대학 본지정을 위한 산학협력 기반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의료기기 기반 웰에이징 기술 공동 연구·개발 ▲산학협력형 인재양성 프로그램 운영 ▲지역 특화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조성 등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조선대 김춘성 총장, 박종락 기획처장, 김현우 대외협력처장, 정부자 통합발달지원센터장, 왓슨앤컴퍼니 김은민·김민규 대표, 김순중 고문이 참석하여 실질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왓슨앤컴퍼니는 디지털 브레인 케어 전문기업으로 뇌 과학기술을 적용한 소비자용 디바이스를 개발하여 지자체 보건소를 비롯해 소방청, 치매안심센터 등에 공급하고 있으며 베트남에도 진출해 있다. 특히 고령친화산업분야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바탕으로 수면장애 극복 및 치매 치료제 등의 연구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는 글로벌 웰에이징 특화기업이다. 조선대학교는 바이오메디, 에이지테크, 라이프케어 등 고령친화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 중이며, 글로컬대학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산학연 연계 기반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김춘성 총장은 “글로컬대학 지정 시 웰에이징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글로벌 자회사를 설립하고 베트남·태국 등지로 진출해 국제적 웰에이징 산업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김은민 대표는 “조선대가 보유한 아시아 최대 규모 정밀의료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초고령화 시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 롯데百, ‘FC서울 VS FC바르셀로나’ 팝업스토어 오픈

    롯데百, ‘FC서울 VS FC바르셀로나’ 팝업스토어 오픈

    롯데백화점이 FC바르셀로나 내한으로 열리는 FC서울과의 친선 경기를 기념하기 위해 잠실 롯데월드몰 1층 아트리움에서 ‘FC 서울 VS FC 바르셀로나’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고 23일 밝혔다.
  • 수도권 아파트 올랐는데…빌라 3채 중 1채 ‘역전세’

    수도권 아파트 올랐는데…빌라 3채 중 1채 ‘역전세’

    지난 2년 간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이 올랐지만 전국의 연립·다세대(빌라) 전셋값은 3채 중 1채꼴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2023년 상반기와 올해 상반기 전국의 빌라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세 계약이 있었던 1만 4550개 평형(타입) 가운데 31.9%인 4641개에서 전세 보증금이 하락했다. 빌라 3채 가운데 1채가 전셋값이 하락하면서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제대로 돌려주지 못하는 이른바 ‘역전세’ 상황이 벌어진 셈이다. 빌라 전셋값 하락 폭은 대구(-9.7%), 인천(-7.0%), 세종(-5.2%), 대전(-4.3%), 부산(-3.5%) 등의 순으로 컸다. 반면 서울(2.4%)과 경기(0.5%) 빌라에서는 전셋값이 상승했다. 인천의 경우 2년 전 대비 역전세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70.2%를 기록했다. 이어 대구(64.3%), 부산(48.0%), 대전(44.1%) 등도 역전세 비율이 높았다. 역전세가 발생한 빌라의 평균 하락액이 가장 큰 곳은 광주광역시(3364만원)였고, 대구(2524만원)와 제주(3750만원) 등에서도 금액이 크게 깎였다. 집토스는 “올해 상반기 아파트는 전세 수요가 몰렸지만, 빌라는 전세 사기 여파 등으로 수요가 위축되면서 전셋값이 하락했다”고 진단했다.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 담보 대출액을 6억원 이하로 묶는 6·27대책 이후 빌라 시장 전세가 하락을 부채질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집토스는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지원하던 청년·신혼부부·신생아 버팀목 전세 대출의 한도를 축소하는 내용이 포함됐는데, 이들 대출을 주로 이용해 보증금을 마련하던 빌라 세입자들의 부담도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 ‘2025 전국 대학생 스피치 대회’ 본선 개최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 ‘2025 전국 대학생 스피치 대회’ 본선 개최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은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고 미래 세대의 리더십 함양을 위한 ‘2025 전국 대학생 스피치 대회’ 본선을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본선 대회에는 서울, 강원, 경기, 경상, 전라 등 전국 각지의 대학생들 중 예선을 통과한 10명의 진출자가 25일 열리는 본선에서 열띤 경연을 펼치게 된다. 본선 진출자들은 24일부터 25일까지 1박 2일 동안 목포에서 진행되는 특별 투어에 참가한다. 이번 투어는 김대중 대통령 관련 사적지 탐방, 목포 맛집 투어, 전문 아나운서의 스피치 강연, 작가 멘토링 등 다양한 체험으로 구성됐다. 본선 진출자 전원에게 수상의 영예가 주어진다. 대상(1명)에게는 전라남도지사상과 상금 200만 원, 최우수상(1명)에게는 전라남도교육감상과 상금 100만 원, 우수상(4명), 장려상(4명)에게도 각각 상장과 상금이 수여된다. 또,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은 대회와 목포 관광 홍보를 위한 SNS 인증 이벤트도 진행한다. 인증 게시물을 올린 참가자에게는 10만 원 상당의 기념품이 제공될 예정이다.
  • 내년 1월부터… 한라산국립공원 탐방안내소 주차장 이용요금 오른다

    내년 1월부터… 한라산국립공원 탐방안내소 주차장 이용요금 오른다

    내년 1월부터 한라산국립공원 탐방안내소 주차장 이용 요금이 30년 만에 오른다. 제주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는 공원 내 주차장 등 시설 이용요금 개편을 위한 ‘한라산국립공원 시설사용료 징수 규칙’ 전부개정규칙안을 마련하고 7월 23일부터 8월 12일까지 20일간 입법예고한다. 지금까지는 몇 시간을 주차하든 같은 금액을 내는 정액제였지만, 앞으로는 주차한 시간만큼 요금을 내는 시간제로 바뀐다. 이에 따라 승용차량, 승합 15인승 이하, 1t 이하 화물차는 최초 1시간 이내 1000원의 주차 요금이 발생하며, 1시간 초과부터 20분당 500원이 가산된다. 1일 9시간 이상 최대 요금은 1만 3000원이다. 승합 16인 이상 중형·대형 차량 및 1t 이상 화물차는 최초 1시간 이내 2000원 이후 20분당 800원의 주차료가 더 붙는다. 1일 9시간 이상 최대 요금은 2만원이다. 이는 현행 당일 하루 주차료 경형차 1000원, 승용차 및 4t 미만 화물차 1800원, 11인승 이상 15인승 이하 승합차 3000원, 버스 및 4t 이상 화물차 3700원에 비해 5∼13배 인상된다. 현행 65세 이상 운전자에 대한 주차요금 면제 혜택도 사라진다. 이용자 간 형평성과 지속가능한 공원 운영을 위한 조치다. 또 1박 기준 야영장 및 샤워장 요금은 대형(31㎡ 이상) 9000원, 중형(11∼30㎡) 7000원이며 코인 샤워장 요금은 6분 이내 기본은 1000원이며 추가로 3분 이상 초과할 때마다 500원이 가산된다. 현행 야영장 요금은 소형(3인용 이하) 3000원, 중형(4∼9인용 이하) 4500원, 대형(10인용 이상) 6000원 등이다. 1회당 샤워장 요금은 어른(25세 이상 64세 이하) 600원, 청소년(13세 이상 24세 이하) 400원, 어린이(7세 이상 12세 이하) 300원을 받고 있다. 한라산국립공원에는 성판악·관음사·어리목·영실·돈내코 등에서 탐방안내소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고 야영장은 관음사에만 있다. 한라산 탐방안내소 주차장 주차 및 야영장 이용 요금 인상은 1996년 이후 처음이다. 이번 개편은 탐방객 증가로 인한 1100도로 일대 주차난을 해소하고 이용자 간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관음사, 성판악, 어리목, 영실, 돈내코 등 관리비만 연 24억원의 비용이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는 시설사용료 현실화를 통한 이용시설 및 시간에 따른 차등 요금제를 도입해 장기 주차를 억제하고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 전남농협, 폭우 뒤 병해충 방제 집중 실시

    전남농협, 폭우 뒤 병해충 방제 집중 실시

    이광일 농협전남본부장은 최근 나주 동강농협(조합장 이동현)을 찾아 긴급항공방제(200ha)를 진행하고 있는 현장의 농협직원들을 격려했다. 전남지역엔 17일부터 구례 396.7㎜, 곡성 395.1㎜, 나주 373.6㎜ 등 평균 강수량 210㎜의 폭우가 쏟아져 벼 6,520.7ha, 논콩 486.3ha, 시설원예 263.2ha 침수와 농업분야 22.1ha의 유실·매몰 피해가 발생했다. 이번 집중호우로 인해 벼 등의 작물이 장기간 침수와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될 경우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벼멸구 등 병해충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전남농협은 긴급방제활동을 총력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광일 농협전남지역본부장은 “집중호우 뒤 일주일이 병해충 발생 예방의 골든 타임인 만큼 지자체와 함께 피해 농가의 2차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제작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트램 공사 이동 불편, 대전시·도로공사 ‘고속도로 통행료’ 지원

    트램 공사 이동 불편, 대전시·도로공사 ‘고속도로 통행료’ 지원

    대전시와 한국도로공사가 도시철도 2호선(트램) 공사로 인한 교통 체증 완화를 위해 고속도로 통행료를 지원한다. 23일 대전시와 도로공사에 따르면 양 기관은 전날 ‘고속도로 통행료 지원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시는 출퇴근 시간대(오전 7∼9시, 오후 6∼8시) 지역 8개 고속도로 영업소 구간을 이용하는 시민의 차량에 대해 통행료를 20%를 지원한다. 도로공사 역시 20%를 지원하기로 하면서 최대 4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트램 건설에 따른 도심 교통 혼잡을 줄이고 출퇴근 편의를 높이기 위한 교통 분산 대책이다. 지자체가 시민 불편 완화를 위해 고속도로 통행료를 지원하는 것은 전국에서 처음이다. 통행료 지원은 대전시민만 대상이며, 이용자가 한 달 단위로 정산해 신청하면 할인액을 돌려주는 방식이다. 시행 시기는 공사가 본격 시작되는 올해 하반기로 예상된다. 시는 도심 평균 통행속도가 시속 20㎞ 이하로 떨어지면 4개 고속도로 영업소에서 시범 실시한 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적용 구간은 대전·서대전·남대전·북대전·신탄진·유성·안영·판암 등 총 8개 영업소다. 도시철도 2호선은 총연장 38.8㎞에 5개 구를 순환하는 노선으로, 총사업비 1조 5069억원을 투입해 2028년 개통 예정이다. 대전시 교통정책과 관계자는 “대전시 교통정보 시스템을 통해 간선도로의 혼잡률 및 통행속도 분석이 가능하다”면서 “도로공사와 협력해 통행료 지원이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韩流传奇一代偶像H.O.T.时隔6年再次合体。

    韩流传奇一代偶像H.O.T.时隔6年再次合体。

    23日,韩流全球公司(代表理事 姜英浩)宣布 “9月6日、7日两天在首尔世界杯体育场举行的‘韩流音乐节’(HANTEO MUSIC FESTIVAL,以下简称‘韩流音乐节’)上,H.O.T.将以压轴嘉宾的身份登台演出” H.O.T.将以压轴嘉宾的身份登台,献上60分钟以上的单独演唱会级别的表演。这是他们自2019年以来的首次完整阵容演出。 特别值得一提的是,9月7日不仅是他们出道29周年纪念日,也是他们迈向30周年的重要日子,因此具有特殊的意义。 ‘韩流音乐节’是今年首次举办。据韩流全球公司介绍,本次音乐节将呈现从韩国音乐历史一路走来的K-pop一代艺术家到五代艺术家的特别舞台。 作为首届活动,选择H.O.T.作为压轴嘉宾,更增添了活动的意义。 ‘韩流音乐节’将于9月6日至7日在首尔麻浦区世界杯体育场举行。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H.O.T. 6년 만에 완전체 재결합! 한터뮤직페스티벌 헤드라이너 장식23일 한류글로벌(대표이사 강영호)은 “오는 9월 6일과 7일 양일간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개최되는 ‘한터뮤직페스티벌’에 H.O.T.가 헤드라이너로 출연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H.O.T.는 이번 페스티벌에서 60분 이상의 단독 콘서트급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며, 2019년 이후 처음으로 모든 멤버가 함께하는 완전체 무대다. 특히 9월 7일은 H.O.T.의 데뷔 29주년 기념일이자 30주년을 향해 나아가는 의미 깊은 날이어서 더욱 뜻깊다. 올해 처음 개최되는 ‘한터뮤직페스티벌’은 한국 음악 역사를 아우르는 K팝 1세대부터 5세대 아티스트까지 특별한 무대를 선사할 예정이다. 첫 회를 맞아 H.O.T.를 헤드라이너로 선정한 것은 이번 행사의 의미를 더욱 깊게 한다. ‘한터뮤직페스티벌’은 9월 6일부터 7일까지 서울 마포구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다.
  • 韩流传奇一代偶像H.O.T.时隔6年再次合体。

    韩流传奇一代偶像H.O.T.时隔6年再次合体。

    23日,韩流全球公司(代表理事 姜英浩)宣布“9月6日、7日两天在首尔世界杯体育场举行的‘韩流音乐节’(HANTEO MUSIC FESTIVAL,以下简称‘韩流音乐节’)上,H.O.T.将以压轴嘉宾的身份登台演出” H.O.T.将以压轴嘉宾的身份登台,献上60分钟以上的单独演唱会级别的表演。这是他们自2019年以来的首次完整阵容演出。 特别值得一提的是,9月7日不仅是他们出道29周年纪念日,也是他们迈向30周年的重要日子,因此具有特殊的意义。 ‘韩流音乐节’是今年首次举办。据韩流全球公司介绍,本次音乐节将呈现从韩国音乐历史一路走来的K-pop一代艺术家到五代艺术家的特别舞台。 作为首届活动,选择H.O.T.作为压轴嘉宾,更增添了活动的意义。 ‘韩流音乐节’将于9月6日至7日在首尔麻浦区世界杯体育场举行。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H.O.T. 6년 만에 완전체 재결합! 한터뮤직페스티벌 헤드라이너 장식23일 한류글로벌(대표이사 강영호)은 “오는 9월 6일과 7일 양일간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개최되는 ‘한터뮤직페스티벌’에 H.O.T.가 헤드라이너로 출연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H.O.T.는 이번 페스티벌에서 60분 이상의 단독 콘서트급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며, 2019년 이후 처음으로 모든 멤버가 함께하는 완전체 무대다. 특히 9월 7일은 H.O.T.의 데뷔 29주년 기념일이자 30주년을 향해 나아가는 의미 깊은 날이어서 더욱 뜻깊다. 올해 처음 개최되는 ‘한터뮤직페스티벌’은 한국 음악 역사를 아우르는 K팝 1세대부터 5세대 아티스트까지 특별한 무대를 선사할 예정이다. 첫 회를 맞아 H.O.T.를 헤드라이너로 선정한 것은 이번 행사의 의미를 더욱 깊게 한다. ‘한터뮤직페스티벌’은 9월 6일부터 7일까지 서울 마포구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다.
  • 입학때부터 빼돌린 시험지로 고3까지 ‘전교 1등’ 안 놓친 여고생

    입학때부터 빼돌린 시험지로 고3까지 ‘전교 1등’ 안 놓친 여고생

    경북 안동의 한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시험지 유출 사건과 관련, 해당 학생은 입학 후 2년 반 동안 훔친 시험지를 이용해 내내 전교 1등을 차지해온 것으로 경찰 결과 드러났다. 경북 안동경찰서는 23일 자녀의 과거 담임교사와 함께 고등학교 행정실에 침입, 중간·기말고사 시험지를 상습적으로 빼돌린 혐의(특수절도 및 야간주거침입절도, 뇌물공여 등)로 학부모 A(40대)씨와 이들의 범행을 도운 학교 행정실장 C(30대·구속)씨를 구속 송치했다. A씨 딸(10대)도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 C씨에게는 야간주거침입 방조,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상 공동건조물 침입 방조,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 방조, 증거인멸 혐의가, A씨 딸은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 혐의가 각각 적용됐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딸의 고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였던 기간제 교사 B(30대·18일 구속송치)씨와 함께 지난 2023년부터 최근까지 10차례에 걸쳐 딸이 재학 중인 경북 안동 소재 모 고등학교에 무단 침입, 중간·기말고사 시험지를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다. A씨 딸은 유출된 시험지란 사실을 알면서도 문제와 답을 미리 외우고 시험을 치른 혐의다. 딸은 고등학교 내신 평가에서 단 한 번도 전교 1등을 놓치지 않았다. B씨는 A씨 자녀가 중학교 1학년이었던 2020년 초부터 최근까지 개인 과외를 해온 혐의(교육공무원법 위반)로도 구속 송치됐다. 현행법상 현직 교사는 별도 허가 없이 개인 과외를 할 수 없다. A씨 역시 현직 교사를 과외 선생으로 채용한 혐의(학원의 설립 운영 및 과외 교습에 관한 법률 위반)가 적용됐다. 이들의 범행은 기말고사 평가 기간이었던 지난 4일 사설 경비 시스템이 작동하면서 발각됐다. 경찰조사 결과 과외비와 시험지를 빼돌리는 비용으로 A씨와 B씨 사이에 오간 금융 거래만 최소 2000만원 이상으로 파악됐고 C씨는 2024년 초부터 이들의 범행을 인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 가평 상면 발견 시신은 낚시터 실종 70대

    가평 상면 발견 시신은 낚시터 실종 70대

    23일 오전 경기 가평군 상면 덕현리에서 발견된 시신은 집중호우로 낚시터에서 실종됐던 70대 남성인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이날 오전 10시 40분쯤 가평 돌섬유원지 인근에서 실종자 수색 작업을 벌이던 중 남성 1명의 시신을 발견해 수습했다. 경찰은 신원 확인을 통해 이 남성이 지난 20일 오전 4시 28분쯤상면 대보리 낚시터 인근 도로에서 급류에 휩쓸려 실종된 70대 A씨로 파악했다. A씨의 시신 발견 장소는 대보리 낚시터에서 약 7㎞ 떨어진 곳이다. 실종 당시 A씨는 폭우로 조종천이 범람하자 사위 및 부인과 함께 봉고차를 타고 대보교 인근을 빠져나오던 중 사고를 당했다. 하천이 급격히 불어나자 이들은 차량에서 탈출했다. 사위와 부인은 나무를 붙잡고 가까스로 구조를 기다리는 사이 A씨는 급류에 휩쓸린 것으로 알려졌다. A씨가 숨진 채 발견됨에 따라 이번 집중호우로 발생한 경기북부 지역의 사망자는 가평 4명, 포천 1명 등 총 5명으로 늘었다. 현재 실종자는 마일리 캠핑장에서 실종된 40대 여성과 10대 아들 그리고 덕현리 강변에서 급류에 휩쓸린 것으로 추정되는 70대 남성 등 3명이다.
  • 李대통령 “소비쿠폰 색상 차등, 즉시 시정하라”…강한 질타

    李대통령 “소비쿠폰 색상 차등, 즉시 시정하라”…강한 질타

    이재명 대통령이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선불카드에 금액에 따라 색상과 표기를 다르게 한 것과 관련해 “공급자 중심의 전형적인 행정 편의주의이자 인권 감수성이 부족한 조치”라며 강하게 질타했다. 23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해당 카드의 디자인이 사용자들의 소득 수준과 취약계층 여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며 “즉각 바로잡으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전 전 지자체를 대상으로 전수조사에 착수했다. 문제가 확인된 부산광역시와 광주광역시의 카드에 대해서는 이미 조치가 이뤄졌다. 대통령실은 “부산과 광주에서 제작된 선불카드에는 스티커를 부착해 외부에서 색상이나 금액이 보이지 않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앞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부산시에서 소비쿠폰을 받은 시민이 카드에 적힌 금액 표시를 지적하며 불편함을 토로한 글이 올라왔다. 카드 우측 상단에 43만원이 적힌 사진과 함께 “충전 금액을 왜 적어 놓느냐. 부끄럽다”는 글이었다. 해당 소비쿠폰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일반 국민은 1인당 15만원, 차상위계층과 한부모 가정은 30만원, 기초생활 수급자는 40만원을 받는다. 여기에 비수도권 거주자에게는 3만원이 추가로 지급된다. 문제가 된 것은 일부 지자체가 이 지급 금액을 카드 표면에 명시하거나, 색상으로 구분해 사회적 낙인을 유발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었다는 점이다. 광주시는 카드 색상까지 금액별로 달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 관계자는 “현장의 혼선을 줄이기 위한 조치였다”고 해명했지만, 대통령실은 이번 사안을 중대하게 받아들였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앞으로도 소비쿠폰 발급과 지급,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나 국민 불편 사항에 대해 빠르게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이영주 경기도의원, “G-스포츠클럽, 반쪽짜리 대안… 전면 재설계 필요”

    이영주 경기도의원, “G-스포츠클럽, 반쪽짜리 대안… 전면 재설계 필요”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이영주 의원(국민의힘, 양주1)은 7월 23일(수) 열린 경기도의회 제385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학교 밖 체육 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G-스포츠클럽’의 운영 실태와 구조적 한계를 강하게 비판하고, 제도 재설계와 도 차원의 통합 거버넌스 구축을 촉구했다. 이영주 의원은 “지난 6년간 경기도 내 학교운동부는 186개가 해체됐지만, 신설된 운동부는 17개에 불과하다”면서 “학생들의 체육 기회 자체가 줄어들고, 지역 스포츠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G-스포츠클럽이 이러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확대되고 있지만 지속성·체계성·실효성 측면에서 ‘반쪽짜리 대안’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이영주 의원은 이러한 문제의 원인으로 지도자 인건비조차 충당하지 못하는 열악한 예산 구조와 그에 따른 지도자 고용 불안을 꼽았다. “현재 시·군 예산에 교육청이 1:1 매칭해 운영되는 구조이다 보니, 예산이 줄어들 경우 전일제 지도자가 시간강사로 전환되고, 급여가 수십만 원 씩 줄어드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구조는 결국 “결국 학생들의 운동 환경을 악화시키고, 지도자 이탈을 불러오며, 나아가 기량이 우수한 학생 선수들이 타 지역으로 유출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또한 G-스포츠클럽 소속 학생 선수들이 훈련비·대회참가비·포상금 등에서 배제되는 구조적 차별도 지적했다. “이번 소년체육대회에서 양주 클럽 소속 학생 2명이 경기도 대표로 선발됐지만, 해당 지도자는 단복조차 지급받지 못했다”면서, “클럽이 ‘취미활동 수준’으로 치부되는 현실이 전문체육 진출을 가로막는 벽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영주 의원은 G-스포츠클럽이 진정한 지역 기반 스포츠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지자체-교육청-체육회 간 통합 거버넌스 체계 구축, ▲지도자 인력풀 확보 및 처우 개선, ▲초·중·고 간 종목별 선수 육성 시스템 마련, ▲도비 증액 지원을 통한 예산 구조 개편, ▲성과평가 기반의 인센티브 도입 및 차등지원 체계 구축, ▲지역 특화 종목의 지속적 육성 및 브랜드화 전략 추진 등 구체적 개선책을 제안했다. 아울러 “주말과 방과 후 시간만이라도 학교 체육관과 운동장을 적극 개방해, 클럽의 안정적인 훈련공간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끝으로 이영주 의원은 “지금이야말로 G-스포츠클럽을 재설계할 골든타임”이라면서, “경기도교육청은 더 이상 ‘반쪽짜리 대안’에 머무르지 말고, 실효성 있는 종합 혁신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하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 일본팀에 빼앗겼던 박신자컵…한국 챔프 BNK vs 일본 최강 후지쓰, 자존심 대결

    일본팀에 빼앗겼던 박신자컵…한국 챔프 BNK vs 일본 최강 후지쓰, 자존심 대결

    여자프로농구 챔피언 부산 BNK가 지난해 해외 구단에 빼앗긴 박신자컵을 되찾기 위한 여정에 나선다. 첫 경기 상대는 일본 최강 후지쓰 레드웨이브다. 한국여자농구연맹(WKBL)은 23일 2025 박신자컵 경기 일정을 발표했다. 이번 대회는 다음 달 30일부터 9월 7일까지 부산 사직체육관에서 열린다. 2023년부터 일본, 필리핀 등 해외 구단들을 초청해 국제대회로 규모를 키운 박신자컵은 올해 유럽팀들까지 참여, 총 10개 구단이 경쟁한다. 조별리그는 5개 팀씩 2개 조로 나눠 진행된다. A조에는 2024~25시즌 WKBL 챔피언 부산 BNK와 아산 우리은행, 용인 삼성생명이 포함됐다. 또 일본 W리그 통합 우승팀이자 지난해 박신자컵 정상에 오른 후지쓰와 스페인 리그 사라고사가 참가했다. 다음 달 30일 오후 2시 개막전에선 BNK가 홈에서 후지쓰와 자존심 대결을 펼친다. B조에선 청주 KB와 인천 신한은행, 부천 하나은행 등 국내 팀들과 덴소 아이리스(일본), DVTK 훈테름(헝가리)이 경쟁한다. 신임 사령탑을 선임한 WKBL 팀들이 모두 B조에 포함됐다. 최윤아 감독이 이끄는 신한은행은 8월 31일 오후 2시에 덴소, 이상범 감독이 지휘하는 하나은행은 같은 날 오후 7시에 KB와 맞대결한다. 각 팀은 4경기씩 조별리그를 치른다. 각 조 1, 2위는 9월 6일 4강에 진출한다. 결승전과 3, 4위 결정전은 준결승 다음날 열린다.
  • 경콘진, 콘텐츠 초기 스타트업 성장 이끄는 50억 원 신규 펀드 결성

    경콘진, 콘텐츠 초기 스타트업 성장 이끄는 50억 원 신규 펀드 결성

    경기콘텐츠진흥원(경콘진)은 50억 원 규모의 ‘SMCP-CNT 제1호 경기 레벨업 펀드’를 결성했다고 23일 밝혔다. 신규 조성된 벤처 투자조합은 총 50억 원 규모로, ㈜에스엠컬처파트너스와 씨엔티테크㈜가 공동 업무집행조합원(GP)으로 참여하고, 경콘진은 특별조합원(LP)으로 출자했다. 펀드의 공동 업무집행조합원(GP)인 ㈜에스엠컬처파트너스는 SM엔터테인먼트가 설립한 투자 전문 자회사로 미래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유망 초기 스타트업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공동 업무집행조합원(GP)인 씨엔티테크㈜는 초기 스타트업 투자에 특화된 액셀러레이터(AC)로 폭넓은 투자 경험과 창업 지원 역량을 갖춘 기관이다. 경콘진이 운영 중인 ‘2025 경기 레벨업 프로그램’에 선정된 초기 콘텐츠 스타트업 45개 사를 우선 투자 검토 대상으로 삼아 단계별 성장 지원과 실질적인 투자를 도울 계획이다. 탁용석 경콘진 원장은 “이번 펀드는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조성한 의미 있는 투자 재원으로, 실질적인 성과 창출이 기대된다”라며 “앞으로도 민간 투자와 연계한 지원 모델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경콘진은 2025년 7월 기준, 총 90개 투자사와 ‘경기 레벨업 인베스트 파트너스(G-VIP)’ 협약을 체결, 유망 콘텐츠 기업의 실질적인 투자 유치를 지원하며 기업 성장 단계에 맞춰 다양한 펀드를 운영 중이다. 주요 펀드는 ▲초기 단계 기업 대상 레벨업 펀드 1호(15억 원) ▲성장 단계 기업 대상 기회펀드(넥시드 펀드 5호 600억 원, 6호 385억 원) 등 2024년 기준 총 1,000억 원 규모의 콘텐츠 펀드를 결성했다. 2025년에도 ▲레벨업 펀드 2호(30억 원, 윤민창의투자재단) ▲레벨업 펀드 3호(50억 원, SMCP-CNT) 등이다.
  • 충북시민단체 “부적절한 돈거래 김영환 지사 공수처 고발”

    충북시민단체 “부적절한 돈거래 김영환 지사 공수처 고발”

    충북지역 시민단체들이 지역 업체 대표 등과 부적절한 돈거래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무혐의 처리된 김영환 충북지사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고발한다고 23일 밝혔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이날 도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뇌물수수 및 청탁금지법 위반,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등의 혐의로 김 지사를 충북경찰청에 고발했지만 경찰은 1년 6개월이 지나고서 납득할 수 없는 무혐의 결정을 내렸다”며 “공수처가 독립적이고 철저한 수사에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김 지사가 충북도 산하기관이 인허가권을 가진 지역 폐기물업자로부터 30억원을 빌린 점, 김 지사 소유의 서울 북촌 가희동 한옥 매매대금(75억원)이 시세보다 높은 점 등은 혐의가 명백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경찰은 수사 결과에 문제가 없다고 맞서고 있다. 경찰은 폐기물 업자가 인허가를 신청한 것이 없고, 다른 직무 관련 거래 사실이 전혀 없어 폐기물업자와의 돈거래를 직무 관련성과 연관이 없다고 판단했다. 비싼 가격에 한옥을 팔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당시 주변 거래 시세가 그 정도였고 실제 해당 금액 수준으로 2건의 실거래가 있어 혐의없음으로 결론 내렸다. 손인석 김 지사 정무특보는 “충북경찰청이 무혐의 송치한 사건을 또다시 끄집어내 공수처에 고발한다는 것은 차기 선거를 앞두고 흠집을 내려는 것”이라며 “허위사실 유포나 명예훼손 등에 대해 법적 조치 등 강력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 강북구 미아도심소어린이공원에 ‘공감놀이터’ 생겼다

    강북구 미아도심소어린이공원에 ‘공감놀이터’ 생겼다

    서울 강북구는 23일 미아도심소어린이공원 내 조성한 ‘공감놀이터’를 정식 개장했다고 밝혔다. 공감놀이터는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자 마련됐다. 1127㎡ 규모로 만들어졌다. 기존 노후한 어린이공원을 정비해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휴식 공간을 만들었다. 실제 조합놀이대와 운동기구, 벤치 등 다양한 시설이 새로 들어섰다. 산책로 정비와 덱 계단 보수도 이뤄졌다. 산수국을 비롯한 16종의 관목과 20종의 초화류도 식재돼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더했다. 무더운 여름에도 주민들이 쾌적하게 공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그늘 시설과 음수대도 함께 마련됐다. 공감놀이터 조성 사업은 지난해 1월 사업계획 수립과 설계용역을 시작으로 약 1년 반에 걸쳐 추진됐다. 구는 사업 전 과정에 주민 설문조사와 설명회, 워킹그룹 운영 등을 통해 주민의견을 적극 수렴해 공감놀이터를 맞춤형 공간으로 조성했다. 이순희 강북구청장은 “공감놀이터는 아이들이 자유롭고 안전하게 뛰놀 수 있는 공간이자, 주민 모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열린 쉼터”라며 “앞으로도 구민의 목소리를 반영한 생활 밀착형 공간 조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경기도 세입 확충에 인센티브 도입… 유경현 경기도의원 조례 제정

    경기도 세입 확충에 인센티브 도입… 유경현 경기도의원 조례 제정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유경현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부천7)이 대표발의한 「경기도 세입징수 포상금 지급 조례안」이 7월 23일(수) 열린 제385회 임시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조례안은 지방세 및 세외수입의 체납 징수와 세입 확대에 기여한 공무원과 민간인에게 포상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여, 자발적인 세입확충 활동을 장려하고 경기도 재정의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숨은 세원 발굴, 체납액 징수, 제도개선 등으로 세입증대에 기여한 자에 대한 포상금 지급 근거 마련 ▲포상금 지급 제외 기준 명확화 ▲공무원·민간인 대상별 차등 지급 기준 및 지급한도 설정 ▲포상금 지급을 위한 신청 절차와 지방세심의위원회 심사 규정 ▲부정수급 시 환수 조치 및 관리대장 운영 등이 포함됐다. 특히 징수 기여 정도에 따라 최대 5%의 포상률을 적용하고, 민간인의 경우 최대 1억원까지 지급할 수 있도록 해 실질적인 유인 효과를 높이고자 했다. 유경현 의원은 “지방재정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예산 절감뿐만 아니라 세입 확충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며, “이번 조례 제정은 숨은 세원 발굴이나 체납징수 등 현장 행정에 실질적인 동기를 부여해 지방세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례는 2025년 10월 1일부터 시행되며, 이후 징수되는 세입에 적용된다.
  • 경북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원회, 도민 삶 지킨 1년의 기록

    경북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원회, 도민 삶 지킨 1년의 기록

    경북도의회 제12대 후반기 행정보건복지위원회(권광택 위원장)가 구성 1주년을 맞이했다. 권광택 위원장(안동)을 비롯해 김일수 부위원장(구미), 도기욱 의원(예천), 박영서 의원(문경), 배진석 의원(경주), 백순창 의원(구미), 윤승오 의원(영천), 임기진 의원(비례), 황재철 의원(영덕) 총 9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제12대 후반기 행정보건복지위원회는 작년 7월부터 현장 중심의 활발한 의정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지난 1년 동안 ‘경북도 중대재해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조례’, ‘경북도 중증장애인자립지원센터 설치 및 지원 조례’, ‘경북도 저소득층 간병비 지원 조례’, ‘경북도 공공형대학 지원에 관한 조례’, ‘경북도 바르게살기운동조직 육성 및 지원 조례’, ‘경북도 인재개발원 도민교육 조례’, ‘경북도 달빛어린이병원 지원 조례’ 등의 제정을 통하여 아동, 장애인, 저소득층과 같은 사회적 약자와 소외계층의 복지와 권익 향상을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 한편, 행정보건복지위원회는 지난 3월 발생한 초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등 5개 시·군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지원과 제도 개선에 앞장섰다. 산림 9만 9000여ha, 주택 3800여 동이 피해를 입고 3600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상황에서, 소관 상임위원회로서 재난예산 확보와 제도 보완을 위해 원포인트 추경에서 2229억원을 신속하게 심의·의결로 대응했다. 이어 정례회 도정질문을 통해 국비 추가 확보, 주택 복구비 현실화, 대형산불특별법 제정, 재정지원 사각지대 해소, 상속세·증여세 감면, 1가구 2주택 기준 완화 등 입법·행정 전반의 구체적·실현가능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며, 도민의 조속한 일상 회복을 촉구했다. 또한 지난 6월에는 안동 임시주택과 청송국민노인요양원을 찾아 산불 피해 현장을 직접 확인하고, 이재민 주거 안정과 노인 돌봄 공백 방지를 위한 맞춤형 복지대책과 복구 예산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제도적 뒷받침을 강화하는 등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회복을 위한 노력을 이어갔다. 이외에도 지난 1년간 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5분 자유발언 등을 통해 다양한 민생 현안을 정책으로 제안했다. 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국립의과대학 설립, 경북의 백신·헴프·세포배양식품 등 특화 산업 기반의 바이오 정책 육성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지역소멸 대응 방안 등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특히 ‘새마을운동 노벨평화상 추진위원회’ 설립을 촉구하며 새마을재단 내 추진 준비 기획단이 구성되었고, 오는 9월 본격적인 추진위원회 출범이 예정되는 등 도의회 정책 제안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는 모범사례도 만들었다. 권광택 위원장은 “행정보건복지위원회 업무는 도민들의 삶과 가장 가깝게 맞닿아 있는 만큼 지난 1년 동안 여덟 분의 의원님들과 쉼없이 달려왔다”면서 “앞으로 남은 1년도 경북도의 자치행정 역량 강화, 도민들의 안전 및 복지 향상이라는 본연의 업무를 충실히 수행하는 한편, 현장의 목소리가 도정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도민들이 체감하는 의정활동으로 도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행정보건복지위원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자투리 원단이 에너지로…관악구, 재활용 봉투 배부

    자투리 원단이 에너지로…관악구, 재활용 봉투 배부

    서울 관악구가 봉제업체에서 발생하는 봉제원단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해 전용봉투를 무상으로 배부한다고 23일 밝혔다. 봉제원단 폐기물은 봉제업체에서 원단을 재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투리’ 원단이 대부분이다. 분리수거 대상이지만 생활폐기물과 혼합 배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지난해 7월부터 서울시는 수도권 매립지에 봉제원단 폐기물 반입을 금지했다. 관악구는 관내 봉체업체 410개소에서 매일 배출되는 3316㎏ 상당의 봉제원단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해 50ℓ 규격의 전용 재활용 봉투를 각 50매씩 무상 배부했다. 관악구는 신사동, 조원동 등 폐션봉제업체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폐기물 수거-운반-처리까지 이어지는 ‘전용 수거체계’를 구축해 안정적인 자원순환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전용봉투에 연락처를 기재하는 실명제도 도입할 계획이다. 업체가 매일 저녁 6시부터 자정까지 봉제원단만 담은 전용봉투를 점포 앞에 배출하면, 관악구 직영 청소대행업체가 다음날 새벽부터 수거한다. 수거된 원단폐기물은 1차 파쇄 등 중간 가공을 거쳐 고형연료로 재활용된다. 고형연료는 석탄 열량처럼 전용 발전소나 산업용 보일러, 지역 난방시설 등에서 보조 연료로 쓰인다. 박준희 관악구청장은 “이번 전용봉투 도입으로 봉제업체의 폐기물 처리 비용 부담은 완화하고, 고품질의 재활용 원료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자원순환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