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훔치고 싶은 문장]
나무 새 꽃, 느림의 미학(민병일 지음, 열림원)
“별로 가는 길이 초현실적인 동경을 통해 열린다면, 숲으로 향하는 길은 느림의 사색을 통해 열린다.//숲길은 초현실적인 몽상의 공간이면서 생명체들이 치열하게 살아가는 현장이다. 나는 문학적 꿈을 꾸고 생명이 숨 쉬는 신비를 느끼기 위하여 숲을 찾아간다.”
숲을 달리 보게 만드는 숲 해설서. 사진가이자 철학자이며 등단한 시인이기도 한 저자가 숲을 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안한다. 생태학이나 식물학이 아닌 인문학과 철학의 관점에 접근하는 게 독특하다. 저자는 십 년 넘게 오후 2시면 숲길을 산책해 왔다. 이를 통해 만난 나무와 새, 꽃 등 존재의 뿌리를 인문학과 잘 버무려 놨다. 496쪽, 2만원.
복미영 팬클럽 흥망사(박지영 지음, 현대문학)
“절망은 쉽고 낙관은 어렵다. 그러나 세상의 시간은 절망의 속도가 아니라 낙관의 속도로 움직인다. 아마도 용맹한 박자로, 경솔한 리듬으로, 낙관한 사람들이 먼저 도달한 나중의 세계에서 열어 놓은 문을 통해. 지금의 세계 역시 조금씩 물들어 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작가가 천착해 온 ‘돌봄’의 대상을 ‘나’로 환원한 소설. 용맹하면서도 경솔한 복미영(사실상 가장 무서운 부류의 인간이다)이 단 한 명의 팬을 위해 설계한 ‘역조공’ 팬서비스가 어떻게 일어서고, 실패했는가를 경쾌한 시선으로 따라간다. 이 과정에서 자신을 사랑해야겠다고 깨달은 복미영의 자기 돌봄이 시작된다. 268쪽, 1만 6000원.
나를 키워봐!(알렉스 테스티어 지음, 임이랑 옮김, 김영사)
“무엇 때문인지 몰라도, 꽃은 우리에게 손짓합니다. 꽃은 인간, 벌레, 새 등 자신을 바라보는 존재들을 끌어당기도록 설계돼 있죠.”
식물의 피어남과 스러짐을 통해 살핀 성장에 관한 그림책. 식물이든 사람이든 모두 무엇인가에서 시작해야 한다. 우리 마음 한구석엔 “심을 용기를 내기만 기다리는 씨앗”이 있다. 그 씨앗을 심고, 아주 작은 묘목부터 오랜 시간에 걸쳐 일구고, 수없는 동기부여와 함께 뿌리를 내려주면, 씨앗은 마침내 꽃을 피운다. 우리가 가진 어떤 작은 씨앗이라도 소중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 여겨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208쪽, 2만 9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