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
    2025-08-11
    검색기록 지우기
  • 대박
    2025-08-11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119,595
  • 文 전 대통령, 대통령실에 ‘조국 사면 필요’ 의견 전달

    文 전 대통령, 대통령실에 ‘조국 사면 필요’ 의견 전달

    문재인 전 대통령이 대통령실에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를 사면·복권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6일 알려졌다.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문 전 대통령은 전날 경남 양산 평산마을을 찾은 우상호 정무수석에게 이러한 뜻을 밝혔다. 우 수석은 오는 15일 광복절에 열리는 이재명 대통령의 국민임명식 초청장을 전달하기 위해 문 대통령을 예방했다. 문 전 대통령은 우 수석에게 광복절 특별 사면 대상에 정치인이 포함된다면 조 전 대표도 사면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여름휴가 중인 이 대통령은 광복절 특사와 관련 ‘민생 사면’에 방점을 찍으면서도 사면 대상에 정치인을 포함할지 여부를 두고 고심하고 있다. 대통령실은 윤석열 정부에서 파업을 벌이다 징역형을 선고받은 건설노조와 화물연대 간부 등 노동자들이 대거 포함된 사면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사회적 약자와 민생과 관련된 사면을 먼저 보라고 말했다”면서도 “(정치인 사면과 관련) 각계각층의 의견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법무부는 오는 7일 사면심사위원회를 열고 사면 대상자를 선정하면 이 대통령이 최종 결정하게 된다. 이 대통령은 휴가 복귀 후 오는 12일 국무회의에서 사면 대상자를 확정할 전망이다. 특별사면은 법무부의 심사를 거치게 돼 있지만, 사면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으로 규모나 대상자는 대통령의 결단에 따라 정해진다. 문재인 정부에서 민정수석과 법무부 장관을 지낸 조 전 대표는 자녀 입시 비리 등의 혐의로 징역 2년 형을 확정받아 지난해 12월 수감됐다.
  • 세계유산도시 경북 고령군, 인구 3만명선 회복에 비상 걸어

    세계유산도시 경북 고령군, 인구 3만명선 회복에 비상 걸어

    세계유산도시 경북 고령군이 인구 3만명선 회복에 비상을 걸고 나섰다. 고령군은 인구 3만 회복 비상대책 회의를 열고 전 부서 차원의 종합대책을 논의했다고 6일 밝혔다. 회의에서 인구감소 주요 원인을 분석하고, 추진 중인 인구 증가 시책의 보완과 신규 사업 발굴에 대해 머리를 맞댔다. 또 부서별로 실현할 수 있는 사업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해 적극적인 예산 투입을 예고했다. 고령군 인구는 지난 2월 인구 3만명선이 붕괴된 뒤 지난달 2만 9812명으로 계속 줄고 있다. 고령군은 1992년 인구조사를 실시한 이후 매년 총인구수 3만명대를 유지했으나, 올해 들어 처음으로 3만명 미만으로 떨어졌다. 인구가 가장 많았을 때는 1997년으로 당시 인구는 3만 8781명이었다. 이남철 고령군수는 “인구감소 문제에 대해 위기의식을 가지고 모든 부서에서 실효성 있는 인구정책을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고령 지산동고분군(대가야고분군)을 포함한 가야고분군은 2023년 9월 사우디아라비아서 열린 제45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우리나라에서는 16번째다.
  • ‘인천 사제총기 살인’ 대응 미흡 연수경찰서장·상황관리관 대기발령

    ‘인천 사제총기 살인’ 대응 미흡 연수경찰서장·상황관리관 대기발령

    인천 송도에서 발생한 사제총기 살인 사건 당시 경찰의 대처가 미흡했다는 논란과 관련해 책임자들이 대기발령 조치됐다. 신고 접수 약 70분 만에 피의자 위치를 확인한 점, 현장 도착 직후 내부 진입이 늦어진 점 등 부실 대응에 대한 감찰도 진행 중이다. 경찰청은 6일 “지휘 책임이 있는 인천 연수경찰서장과 당일 연수서 상황관리관을 인사 조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박상진 연수경찰서장과 상황관리관은 인천경찰청 경무기획과로 대기발령 조치됐다. 신임 서장은 인천청 112치안종합상황실장인 배석환 총경이 맡게 됐다. 경찰은 지난달 20일 오후 9시 31분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첫 신고를 접수했지만 약 70분 만에야 피의자 조모(63·구속)씨의 위치를 확인했다. 경찰특공대는 사건 당일 오후 10시 16분쯤 현장에 도착해 오후 10시 43분쯤 내부에 진입했으나 조씨는 이미 달아난 뒤였다. 총상을 입고 쓰러져 의식을 잃었던 피해자는 오후 11시 9분쯤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졌다. 당시 일선 경찰관들을 지휘해야 할 연수서 상황관리관은 현장이 아닌 경찰서 상황실에 있다가 인천경찰청 지시를 받고서야 현장으로 출동한 것으로 드러났다. 총기 범죄 관련 초동조치 매뉴얼에 따르면 ‘총격 등 급박한 경우 현장 책임자 판단에 따라 진압한다’고 돼 있지만, 현장엔 이를 판단할 책임자가 없었다. 이와 관련해 경찰청 감찰담당관실은 지난달 26일 부실 대응에 대한 감찰에 착수했다.
  • 해외여행 갔더니 ‘예약 안 돼 있어’…분통 터지는 여행 중개 플랫폼

    해외여행 갔더니 ‘예약 안 돼 있어’…분통 터지는 여행 중개 플랫폼

    지난달 베트남 나트랑으로 가족들과 함께 여름휴가를 떠난 지모(48)씨는 숙소에 도착한 뒤 “예약을 조회할 수 없다”는 황당한 답변을 들었다. 두 달 전인 5월 글로벌 온라인 여행 중개 플랫폼(OTA)에서 3박에 90만원을 결제했지만, 플랫폼이 예약을 누락한 것이었다. 지씨는 “해당 플랫폼에 문의했더니 환불과 함께 결제 금액의 10%를 적립금(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돈)으로 줄 테니 현장에서 알아서 예약하라고 하더라”며 “이미 리조트에는 빈방이 없어서 다른 숙소를 찾아 헤매야 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해외여행객이 늘어나는 가운데 부킹닷컴 등 글로벌 OTA를 통해 숙소나 항공편을 예약했다가 피해를 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계약 불이행, 환불금 미입금, 오버부킹(보유한 객실이나 비행기 수 이상의 예약을 받는 것) 등 피해가 늘고 있지만 해외에 본사를 둔 플랫폼들은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즉각적인 피해 구제도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석 달 전 부모님과 일본 여행을 위해 숙소를 예약한 대학생 김모(22)씨도 여행 출발 2주 전 플랫폼으로부터 “예약한 방보다 좁고 욕조도 없는 방만 남았다”는 일방적인 통보를 받았다. 김씨는 “항의하려고 20번 넘게 전화를 걸었는데 제대로 통화한 건 절반도 채 되지 않는다”며 “통화가 될 때마다 다른 상담원이 받아 피해 사실을 처음부터 일일이 설명해야 했다”고 토로했다. 이러한 피해 사례는 매년 늘고 있다.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소비자원을 통해 확보한 글로벌 OTA 피해 접수 현황을 보면 2023년 731건, 지난해는 8월까지 823건으로 집계됐다. 항공권을 예매했다 취소했지만 환불금을 3개월 넘게 받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직장인 신혜수(31)씨는 “태국 방콕행 항공권 2장에 대한 환불금 130만원을 돌려받지 못했다”며 “소비자원에 피해 구제를 신청한 뒤에야 돈을 돌려받았다”고 전했다. 글로벌 OTA는 소비자원이나 공정거래위원회가 강제 조사나 처분을 집행하기 어렵고, 조사나 시정 권고 수준의 대응을 하는 경우가 많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글로벌 OTA 가운데 한국 법인이나 체계적인 고객센터를 갖춘 곳은 일부 업체”라면서 “문제 발생이 지속되면 국내 영업에 제한을 두는 등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다이소에서 500원” 독일 ‘백년 전통’ 제품…결국 ‘판매 1위’ 올랐다

    “다이소에서 500원” 독일 ‘백년 전통’ 제품…결국 ‘판매 1위’ 올랐다

    균일가 생활용품점 다이소에서 판매 중인 독일 템포(Tempo) 사의 롤 화장지가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6일 다이소에 따르면 ‘템포 롤 화장지’ 24m 제품은 온라인 ‘다이소몰’에서 이날 오후 기준 하루 동안 가장 많이 판매된 상품 1위에 올랐다. 개당 가격은 500원이다. 템포는 1929년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문을 연 화장지 브랜드다. 당시 템포는 순수 펄프로 만든 ‘종이 손수건’(Papiertaschentuch)이라는 이름으로 특허를 출원해 성공을 거뒀다. 100여년이 지난 현재는 ‘크리넥스 티슈’를 만든 미국의 킴벌리-클라크 사와 함께 일회용 화장지 대중화의 효시로 평가된다. 다이소의 템포 롤 화장지는 대용량 묶음으로 판매되는 대다수 화장지와 다르게 단품으로도 구매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이름이 알려진 해외 브랜드 제품을 소포장으로 살 수 있다는 점이 인기 요인으로 풀이된다. 실제 제품 소비자들은 구매 후기 창에 “한두 개 먼저 구입해 보고 마음에 들어서 대량 주문했다” “개별 포장이라 놀러 갈 때 쓰기 좋다” “낱개 포장이라 좋다” 등의 댓글을 남겼다. 다이소몰 주간 판매량 순위에서도 템포 롤 화장지는 3위에 올랐다. 1위는 물티슈, 2위는 갑으로 된 미용 티슈 제품이다. 한편 판매처는 롤 화장지는 화장실용으로 제작된 만큼 식당이나 가정 등에서 냅킨 용도로 사용하지 말 것을 강조했다.
  • 文 “조국 사면 필요”… 李대통령 측에 의견 전달

    文 “조국 사면 필요”… 李대통령 측에 의견 전달

    문재인 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 측에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에 대한 8·15 광복절 특별사면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6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문 전 대통령은 전날 우상호 정무수석을 만난 자리에서 이같은 뜻을 전했다. 우 수석은 광복절인 오는 15일 열리는 국민임명식 초청장 전달 차 경남 양산 평산마을을 찾아 문 전 대통령을 예방했다. 문 전 대통령은 면담 말미에 우 수석에게 “이번에 사면·복권이 있느냐”고 물었고, 우 수석은 “정치인 사면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는 취지로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문 전 대통령은 “정치인을 사면하게 되면 조 전 대표도 할 필요가 있지 않으냐”고 말했고, 우 수석은 “뜻을 전달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름휴가 중인 이 대통령은 80주년 광복절을 맞아 민생경제 회복과 사회적 약자 보호에 초점을 맞춘 대규모 특별사면을 검토 중이다. 이번 사면은 새 정부의 첫 특별사면이기도 하다. 정치권의 관심은 조 전 대표가 사면 대상에 포함될지다. 조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자녀 입시 비리와 청와대 감찰 무마 혐의로 징역 2년이 확정돼 복역 중이다. 법무부는 7일 특별사면 심사위원회를 열고 광복절 특사 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심사가 끝나면 법무부 장관이 이를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국무회의 심의와 의결을 거쳐 대통령이 대상자를 최종 결정한다. 이 대통령이 휴가에서 복귀할 무렵인 12일 국무회의에서 사면 대상이 확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 “중국과 한국은 가까운 이웃”…조현 외교장관이 ‘리트윗’한 글

    “중국과 한국은 가까운 이웃”…조현 외교장관이 ‘리트윗’한 글

    정부가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해 한시적으로 비자를 면제하기로 하자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환영 메시지를 냈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이를 ‘리트윗’하며 화답했다. 다이 대사는 6일 자신의 엑스(X)에 “한국 측은 9월 말부터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해 무비자 입국을 시행하겠다고 발표했다”면서 “이는 방한 중국 관광객들에게 좋은 소식”이라고 말했다. 다이 대사는 “중국은 지난해 11월부터 한국에 대해 일방적인 무비자 입국 정책을 시행한 후 중한 간 인적 왕래가 빠르게 증가했다”면서 “중한 양국은 가까운 이웃으로, 양국 국민들이 자주 왕래하는 것은 이해 증진과 우호 심화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양국 정부와 각계가 함께 노력해 좋은 조치를 잘 시행해 나가고, 양국 간 인적 교류 확대와 민심 상통 촉진을 위한 우호적인 분위기와 여건을 계속 조성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말부터 주한 중국대사를 역임하고 있는 다이 대사는 자신의 엑스에 한국과 중국 간 관계 등에 대한 글을 거의 매일 올리며 소통하고 있다. 조 장관도 다이 대사의 글을 자신의 엑스에 ‘리트윗’했다. 이어 “올해 9월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해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기로 결정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이번 조치가 한중 양국 국민 간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이날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관광 활성화 미니정책TF’ 회의를 열고 9월 말부터 9개월 간 한시적으로 중국 단체관광객 대상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중국이 지난해 11월부터 한국 국민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했는데, 이에 대응한 조치이자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내수 진작을 위한 방안이다.
  • 관악구 문화복지타운 이름은 ‘관악더행복마루’

    관악구 문화복지타운 이름은 ‘관악더행복마루’

    서울 관악구가 11월 준공을 앞둔 관악문화복지타운의 명칭을 ‘관악더행복마루’로 정했다고 6일 밝혔다. 관악구는 주민 공모전을 통해 접수된 196건의 아이디어를 두고 심사위원회를 열었다. 그 결과, 관악이라는 지명을 살리면서 더 행복한 삶을 위한 중심 공간이라는 의미가 담긴 관악더행복마루가 선정됐다. 모두가 함께 어울리는 따뜻한 공동체 공간이라는 뜻도 담겼다. 관악문화복지타운은 봉천 4-1-2 재개발구역 내에 ▲ 강감찬종합사회복지관 ▲ 스크린 파크골프장 ▲ 탁구장 ▲ 배드민턴장 ▲ 생활문화센터 등 다목적 기능을 갖춘 ‘종합 복지문화공간’으로 탄생할 예정이다. 관악구는 공모작 중 4명에게 우수상을, 3명에게 장려상을 수여했다. 최종 선정된 관악더행복마루를 활용한 브랜딩으로 다양한 복지 시설도 더 널리 알릴 계획이다. 박준희 관악구청장은 “최종 선정된 ‘관악더행복마루’가 구민의 문화·복지·체육시설의 중심 공간으로서의 따뜻한 정체성을 잘 담아낼 수 있는 이름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물폭탄 함평군, 수해복구 속도

    물폭탄 함평군, 수해복구 속도

    집중호우로 큰 피해가 발생한 전남 함평군이 수해 복구와 민생 회복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함평군은 지난 3일과 4일 집중 호우로 함평천지전통시장과 인근 상가 46호, 주택 71호 등 총 117호를 비롯해 경로당·보육시설 등 복지시설 14곳에서 다발적인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지난 4일부터 매일 공무원 200여 명을 피해 현장에 투입해 가재도구 정리와 방역, 쓰레기 처리 등 복구 작업을 벌이고 있다. 또 6일 추가 강우 예보에 따라 배수로 정비와 빗물받이 정화, 침수 지구 청소 등 2차 피해 예방 조치도 병행하고 있다. 침수 피해 이후 각계각층의 지원도 이어지고 있다. 전남경찰청 기동대와 8332부대는 5일부터 함평읍 일원 복구에 참여 중이며, 함평경찰서와 함평소방서도 피해 예방과 현장 안전 확보에 나섰다. 함평군과 영광군 의용소방대와 푸른함평지킴이, 대한적십자사 광주전남서부봉사관 등 민간단체들도 연일 가재도구 정리 및 주택 청소 등에 힘을 보태고 있다. 소상공인을 위한 경제적 지원도 이뤄진다.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4일부터 함평천지전통시장에 ‘원스톱 합동 현장지원반’을 설치하고 긴급경영안정자금 융자와 보증서 발급, 피해 확인서 발급, 정책 안내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상익 함평군수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함께 힘을 모아준 모든 기관과 단체, 자원봉사자들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조속한 복구와 재발 방지를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 [서울데이터랩]동일스틸럭스 29.93%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동일스틸럭스 29.93%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6일 오후 15시 40분 동일스틸럭스(023790)가 등락률 +29.93%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동일스틸럭스는 장 중 4,945,186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217원 오른 942원에 마감했다. 한편 동일스틸럭스의 PER은 -3.12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으며, ROE는 -28.53%로 수익성이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어 상승률 2위 썸에이지(208640)는 주가가 29.87% 폭등하며 종가 513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빌리언스(044480)의 주가는 393원으로 29.70% 폭등하며 상승세를 보였다. 상승률 4위 지에프씨생명과학(388610)은 25.36% 폭등하며 19,13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PS일렉트로닉스(332570)는 24.83%의 급등세를 타고 종가 3,720원에 마감했다. 6위 노랑풍선(104620)은 종가 6,790원으로 24.82% 급등 마감했다. 7위 캔버스엔(210120)은 종가 1,670원으로 22.61% 급등 마감했다. 8위 뷰티스킨(406820)은 종가 13,120원으로 16.93% 급등 마감했다. 9위 아바코(083930)는 종가 14,760원으로 12.24% 급등 마감했다. 10위 새빗켐(107600)은 종가 29,350원으로 12.02% 급등 마감했다. 이밖에도 아비코전자(036010) ▲9.89%, 참좋은여행(094850) ▲9.88%, 와이바이오로직스(338840) ▲9.48%, 프로티나(468530) ▲9.22%, 디어유(376300) ▲8.19%, 서부T&D(006730) ▲8.07%, 한중엔시에스(107640) ▲8.04%, 자이글(234920) ▲8.04%, 리가켐바이오(141080) ▲7.86%, 라메디텍(462510) ▲7.81% 등의 상승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마감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서울데이터랩]마감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삼성전자(005930)가 8월 6일 장 마감 5분 만에 6.94%의 검색비율을 기록해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의 현재가는 68,8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57% 하락했다. 거래량은 12,537,565주를 기록했다. 이어 검색비율 2위의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상승률 2.31%로 상승 마감했다. 검색비율 3위의 네이처셀(007390)은 29.89% 하락 마감했다. 검색비율 4위 한국전력(015760)은 7.44% 상승 마감했다. 검색비율 5위 대한조선(439260)은 3.76% 상승 마감했다. 6위 카카오(035720)는 등락률 3.84%로 상승을 기록했다. 7위 NAVER(035420)는 1.51%의 등락률로 주가가 소폭 하락했다. 8위 에코프로비엠(247540)은 1.12%의 상승세로 거래를 마쳤다. 9위 한화오션(042660)은 1.64% 소폭 하락 마감했다. 10위 에이피알(278470)은 11.32%로 급등 마감했다. 이 밖에도 SK하이닉스(000660) ▼1.90%, 삼성SDI(006400) ▲2.11%, 노랑풍선(104620) ▲24.82%, HJ중공업(097230) ▲9.48%, LG씨엔에스(064400) ▼3.98%, 펩트론(087010) ▲6.10%, 현대로템(064350) ▼1.79%, 삼성중공업(010140) ▼0.76%, 에코프로(086520) ▼0.38%, 실리콘투(257720) 보합 등이 많이 검색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아센디오 29.98%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아센디오 29.98%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6일 오후 15시 35분 아센디오(012170)가 등락률 +29.98%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아센디오는 장 중 1,133,537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745원 오른 3,230원에 마감했다. 한편 아센디오의 PER은 -3.83으로 나타나며, ROE는 -32.60%로 수익성이 낮은 편에 속한다. 이어 상승률 2위 일정실업(008500)은 주가가 +29.95% 폭등하며 종가 14,360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GS피앤엘(499790)의 주가는 46,650원으로 +15.76% 급등했다. 상승률 4위 에이피알(278470)은 +11.32% 상승하며 208,50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이수스페셜티케미컬(457190)은 10.61%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51,100원에 마감했다. 6위 한국화장품(123690)은 종가 11,400원으로 +9.93% 상승 마감했다. 7위 HJ중공업(097230)은 종가 11,430원으로 +9.48% 상승 마감했다. 8위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은 종가 3,000원으로 +9.29% 상승 마감했다. 9위 광명전기(017040)는 종가 1,161원으로 +9.12% 상승 마감했다. 10위 CJ우(001045)는 종가 88,900원으로 +8.02%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한진칼(180640) ▲7.81%, 한국전력(015760) ▲7.44%, 현대글로비스(086280) ▲7.19%, 현대백화점(069960) ▲7.09%, 에이프로젠(007460) ▲6.97%, 한전기술(052690) ▲6.88%, 코스맥스비티아이(044820) ▲6.86%, SBS(034120) ▲6.65%, 한진칼우(18064K) ▲6.57%, 화인베스틸(133820) ▲6.52%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전주는 올림픽 선수가 독창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도시

    전주는 올림픽 선수가 독창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도시

    유승민 대한체육회장이 6일 “전북 전주는 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들이 독창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도시다”고 말했다. 유 회장은 이날 전북특별자치도 기자간담회에서 “(2036 하계올림픽 유치에 도전하는) 전주가 다른 올림픽 개최 희망 도시와는 다른 장점을 극대화하는 게 (유치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포인트”라며 이렇게 강조했다. 그는 “올림픽은 2주라는 기간 선수들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해줄 것인지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본다”며 “전주는 한옥마을과 전통문화, 비빔밥은 외국인들이 대명사처럼 얘기할 수 있는 포인트가 아주 많다”고 말했다. 유 회장은 “국제 스포츠 관계자들에게 전주는 다소 생소할 수 있지만, 이런 점을 잘 발굴하고 내세우면 (올림픽 유치에) 플러스 요인이 될 수 있다. 잘 치를 것으로 보고 있고 국민들도 도와주실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저도 어렸을 때부터 운동하면서 지방체육회의 지원을 받아 이 자리까지 왔는데 지방 체육계가 크게 살아나야 한다는 생각이 있다”며 “올림픽은 (지방 체육계가 살아나는) 큰 기폭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지방 균형 발전의 효과들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유 회장은 간담회 이후 ‘올림픽데이런 2025 in 전주’ 업무협약식에 참석했다. 올림픽데이런은 올림픽 가치 확산을 목표로 각국의 올림픽위원회가 주관하는 마라톤 등 스포츠 행사다. 유 회장과 김관영 도지사, 우범기 전주시장은 협약식에서 각종 재정적·행정적 지원으로 성공적인 행사를 치르기로 뜻을 모았다. 행사는 오는 11월 16일 전주월드컵경기장 일원에서 열린다. 마라톤 코스는 5㎞·10㎞다. 신청은 러너블(RUNABLE) 앱을 통해 8월 19일 오후 2시부터 가능하다. 김 도지사는 “IOC의 공식 인증을 받은 올림픽 관련 행사를 전북에서 개최하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이번 대회로 전주의 인지도를 높이고 올림픽 유치에 대한 확고한 의지도 널리 알리겠다”고 말했다.
  • 안광률 경기도의원, 경기도교육정보기록원 현장 방문 실시

    안광률 경기도의원, 경기도교육정보기록원 현장 방문 실시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안광률 위원장(더불어민주당, 시흥1)은 6일, 경기도교육정보기록원(원장 정수호)을 방문해 주요 시설을 둘러보고 기관 운영 현황을 점검했다. 경기도교육정보기록원은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안정적 운영 ▲교육기록물의 체계적 관리 ▲안전한 사이버 교육환경 구축을 위한 기관으로, 2부 1센터 7담당으로 구성되어 교육행정의 효율성과 보안성을 제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날 안광률 위원장은 사이버안전센터를 포함한 주요 내부 시설을 둘러보며, 정보보안 시스템 운영과 기록관리 체계 등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 특히 안광률 위원장은 경기도교육정보기록원의 기능과 역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기록원의 대외 인지도 제고와 역할 홍보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이에 경기도교육정보기록원에서는 인식 제고를 위하여 신설한 ‘2025년 경기도교육정보기록원 바로알기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설명하며 위원장의 제언에 적극 공감했다. 또한 안광률 위원장은 생활기록부를 비롯한 수기 기록물의 전산 작업으로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효율적이고 안전한 정보관리 체계 구축에 힘써달라 강조하였다. 경기도교육정보기록원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시스템 고도화와 정보보안 강화, 그리고 기록문화의 전문성 제고를 통해 교육행정의 신뢰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 “육안으로 구별 불가능”…가짜 라부부, ‘이곳’ 통해 대량 유통됐다

    “육안으로 구별 불가능”…가짜 라부부, ‘이곳’ 통해 대량 유통됐다

    중국 유명 캐릭터 인형 ‘라부부’(labubu)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해외 직구를 통해 국내로 유입된 가짜 라부부가 대량 적발됐다. 관세청에 따르면 최근 2개월 동안 위조 의심으로 적발돼 통관보류된 라부부 제품은 7000여 점에 달한다. 적발된 물품은 봉제 인형을 비롯해 피규어, 열쇠고리, 휴대폰 케이스 등 다양하다. 가짜 라부부는 주로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판매됐다. 가격은 보통 1만원 이하로, 정품 가격(2만원 이상)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특히 최근 위조 제품들은 외형이나 로고까지 정품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제작돼 일반 소비자가 육안으로 구별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가 위조 제품을 정품으로 오인해 구매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게 관세청의 설명이다. 관세청은 위조 의심 물품에 대한 통관검사를 강화하고, 적발된 제품은 통관보류 후 즉시 폐기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관세청 관계자는 “공식 판매처가 아닌 곳에서 정품 가격보다 현저히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는 제품은 위조 제품일 가능성이 높다”며 “소비자들은 구매 전 판매처의 신뢰도와 가격 수준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라부부는 홍콩 출신 예술가 카싱 룽이 2015년에 디자인한 캐릭터다. 중국 기업 팝마트는 2019년 지식재산권(IP)을 사들여 라부부 인형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팝마트는 2016년부터 블라인드 박스 전략(박스를 열어보기 전까지 어떤 인형이 들어 있는지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마케팅)을 채택해 자체 아트토이 상품을 판매했는데, 라부부도 이 박스에 담겨 팔렸다. 팝마트는 뽑힐 확률이 1.39%밖에 안 되는 희귀 제품을 선보이면서 라부부 인형의 희소성을 높이는 등 소비자들의 수집 욕구를 자극했다. 특히 2023년 블랙핑크 멤버 리사가 소셜미디어(SNS)에 라부부 키링 사진을 공개했고, 이를 계기로 태국 등 동남아 국가에서 인기가 급속히 확산됐다. 이후 팝스타 리한나, 축구 선수 데이비드 베컴 등 세계 유명 인사들이 라부부를 든 사진이 포착되면서 다시 한번 인기를 끌어모았다. 인기가 치솟자 가품 피해도 늘었다. 최근 가수 이영지는 라부부 인형 상자를 언박싱하면서 가짜 라부부임을 알아채는 영상을 올렸다가 대만 언론에 보도된 바 있다. 그룹 비투비 멤버 육성재와 아일릿 멤버 원희도 고가의 라부부를 샀지만 가품이었던 것으로 알려지며 화제가 됐다.
  • 유지·보수 기다리다 ‘고철’ 될 판…美 핵잠수함 10년째 수리 대기

    유지·보수 기다리다 ‘고철’ 될 판…美 핵잠수함 10년째 수리 대기

    미국의 조선업이 얼마나 낙후되어 있는지 보여주는 극단적인 사례가 공개됐다. 지난 5일(현지시간) 미 현지 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BI)는 유지·보수작업 지연으로 무려 10년 동안이나 발목이 묶여있는 핵잠수함의 사례를 보도했다. 2015년 순찰을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그대로 방치된 이 잠수함은 미 해군의 로스앤젤레스급 핵 잠수함 USS 보이시(Boise)다. 다른 나라는 돈 주고도 못하는 소중한 전략자산인 핵 잠수함이 보수를 기다리다 ‘고철’이 돼가고 있는 셈으로 급기야 퇴역 방안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1991년 진수돼 작전을 수행해 온 USS 보이시는 2015년 순찰 임무를 마치고 예정된 수리를 노퍽 해군기지에 정박했다. 그러나 이후 드라이독(물 밖에서 선박을 수리하는 시설) 부족과 숙련된 인력, 노후 설비 문제로 차일피일 잠수함의 보수작업이 미뤄졌다. 이후 USS 보이시는 한 해 두 해 지나며 잠수도 못 하는 상황에 몰렸고 작전 불능 상태에 빠졌다. 결국 지난해 2월 미 해군은 한 조선업체와 12억 달러에 유지 보수계약을 했으나 이 작업도 예정대로 끝나면 2029년이다. 이는 무려 15년간이나 잠수함이 임무를 수행하지 못한다는 의미로 심지어 이때가 되면 수명도 거의 끝난다. 이런 사실은 지난달 24일 열린 미 상원 군사위원회에서도 논란이 됐다. 당시 인준을 앞두고 있던 다릴 코들 미 해군 참모총장은 “USS 보이시의 상황을 자세히 검토해 어떻게 할지 결정하겠다”면서 “잠수함 장교 출신으로 이는 내 가슴에 꽂힌 비수와 같았다”고 털어놨다. 이에 대해 미국 싱크탱크 허드슨연구소의 국방 전문가이자 은퇴한 해군 잠수함 장교인 브라이언 클라크는 BI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핵 추진 잠수함 작업은 일반적으로 해군의 4개 공공 조선소 중 한 곳에서 담당하고 있다”면서 “해군의 투자 부족과 잠수함 및 핵 추진 항공모함의 복잡성 증가로 인해 수십 년 동안 수요가 급증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3일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이 군함 건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에서도 낙후된 기술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군 전력 운용에 차질이 우려된다고 보도했다. WSJ는 USS 보이시와 동급인 USS 헬레나를 그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했다. 1986년 진수된 USS 헬레나는 최근 수년간 바다에서의 임무 수행보다는 수리를 위해 정박해있는 시간이 많았다. 심지어 지난해 5월 USS 헬레나를 둘러보던 해군 기술병 티머시 샌더스가 전원 장치를 실수로 만졌다 감전되면서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WSJ에 따르면 1990년대 미국은 항모와 잠수함을 정비하는 공공 조선소의 수를 절반으로 줄이면서 해군의 함정 수리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다. 현재 남아있는 미국의 공공 조선소 4곳은 100년 전 풍력·증기 동력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 설립된 곳들로, 이곳 장비의 절반 이상은 예상 수명을 넘긴 상태라고 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국가 안보 차원에서 미국 조선업을 재건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관련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한국과 미국은 지난달 30일 타결한 무역 합의에서 1500억 달러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조선 부문의 협력을 강화하는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 유지·보수 기다리다 ‘고철’ 될 판…美 핵잠수함 10년째 수리 대기 [밀리터리+]

    유지·보수 기다리다 ‘고철’ 될 판…美 핵잠수함 10년째 수리 대기 [밀리터리+]

    미국의 조선업이 얼마나 낙후되어 있는지 보여주는 극단적인 사례가 공개됐다. 지난 5일(현지시간) 미 현지 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BI)는 유지·보수작업 지연으로 무려 10년 동안이나 발목이 묶여있는 핵잠수함의 사례를 보도했다. 2015년 순찰을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그대로 방치된 이 잠수함은 미 해군의 로스앤젤레스급 핵 잠수함 USS 보이시(Boise)다. 다른 나라는 돈 주고도 못하는 소중한 전략자산인 핵 잠수함이 보수를 기다리다 ‘고철’이 돼가고 있는 셈으로 급기야 퇴역 방안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1991년 진수돼 작전을 수행해 온 USS 보이시는 2015년 순찰 임무를 마치고 예정된 수리를 노퍽 해군기지에 정박했다. 그러나 이후 드라이독(물 밖에서 선박을 수리하는 시설) 부족과 숙련된 인력, 노후 설비 문제로 차일피일 잠수함의 보수작업이 미뤄졌다. 이후 USS 보이시는 한 해 두 해 지나며 잠수도 못 하는 상황에 몰렸고 작전 불능 상태에 빠졌다. 결국 지난해 2월 미 해군은 한 조선업체와 12억 달러에 유지 보수계약을 했으나 이 작업도 예정대로 끝나면 2029년이다. 이는 무려 15년간이나 잠수함이 임무를 수행하지 못한다는 의미로 심지어 이때가 되면 수명도 거의 끝난다. 이런 사실은 지난달 24일 열린 미 상원 군사위원회에서도 논란이 됐다. 당시 인준을 앞두고 있던 다릴 코들 미 해군 참모총장은 “USS 보이시의 상황을 자세히 검토해 어떻게 할지 결정하겠다”면서 “잠수함 장교 출신으로 이는 내 가슴에 꽂힌 비수와 같았다”고 털어놨다. 이에 대해 미국 싱크탱크 허드슨연구소의 국방 전문가이자 은퇴한 해군 잠수함 장교인 브라이언 클라크는 BI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핵 추진 잠수함 작업은 일반적으로 해군의 4개 공공 조선소 중 한 곳에서 담당하고 있다”면서 “해군의 투자 부족과 잠수함 및 핵 추진 항공모함의 복잡성 증가로 인해 수십 년 동안 수요가 급증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3일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이 군함 건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에서도 낙후된 기술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군 전력 운용에 차질이 우려된다고 보도했다. WSJ는 USS 보이시와 동급인 USS 헬레나를 그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했다. 1986년 진수된 USS 헬레나는 최근 수년간 바다에서의 임무 수행보다는 수리를 위해 정박해있는 시간이 많았다. 심지어 지난해 5월 USS 헬레나를 둘러보던 해군 기술병 티머시 샌더스가 전원 장치를 실수로 만졌다 감전되면서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WSJ에 따르면 1990년대 미국은 항모와 잠수함을 정비하는 공공 조선소의 수를 절반으로 줄이면서 해군의 함정 수리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다. 현재 남아있는 미국의 공공 조선소 4곳은 100년 전 풍력·증기 동력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 설립된 곳들로, 이곳 장비의 절반 이상은 예상 수명을 넘긴 상태라고 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국가 안보 차원에서 미국 조선업을 재건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관련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한국과 미국은 지난달 30일 타결한 무역 합의에서 1500억 달러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조선 부문의 협력을 강화하는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 종교 자유와 보편적 가치 위한 ‘세계 종교 지도자 대표단 기자회견’ 개최

    종교 자유와 보편적 가치 위한 ‘세계 종교 지도자 대표단 기자회견’ 개최

    8월 7일 잠실 롯데호텔월드 제이드룸서 열려 ‘2025 세계 종교 지도자 콘퍼런스’가 지난 5일부터 오는 8일까지 3박 4일 일정으로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개최된다. 이번 콘퍼런스 기간 중 오는 7일 오전 10시 30분에는 ‘종교의 자유와 보편적 가치를 위한 세계 종교 지도자 기자회견’을 통해 공동성명서가 발표될 예정이다. 이날 발표될 성명서에는 종교의 자유와 보편적 가치는 인류 모두가 함께 지켜야 할 공동의 유산임을 강조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종교의 자유가 절대적으로 보장되기를 기도한다. ▲우리는 각자의 신앙과 교리를 넘어 진리와 양심, 영성이라는 더 큰 차원에서 연대할 것을 약속한다. ▲우리는 진리와 사랑, 정의와 평화의 보편가치를 수호할 것을 선언한다. 이렇게 3가지 내용을 담을 예정이다. 2025 세계 종교 지도자 콘퍼런스의 핵심 주제는 ‘종교의 자유와 보편적 가치’로, 인류의 미래를 위한 영적 연대를 구축하고 평화의 길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콘퍼런스 조직위원회는 종교 간 대화와 협력을 통해 종교 본연의 가치를 회복하고, 인류 공동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길을 열어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콘퍼런스는 조지 스탈링스 대주교의 개회기도를 시작으로 타지 하마드 천주평화연합 세계회장의 개회사, 축사, 한국종교학회장 안신 박사의 주제강연, 김기훈 WCLC 의장의 특강, 마들렌 알렉산더 목사와 T.L 베렛 목사, 달링톤 오누추쿠 목사, 곤잘로 셀리 알메이다 대주교의 간증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2025 세계 종교 지도자 콘퍼런스에는 미국, 유럽, 남미, 아시아 종교지도자 70명과 한국에서 230명, 총 300여명이 참석하며, 매월 2회 격주로 진행돼 오는 12월까지 세계 종교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종교적 자유와 보편적 가치’를 위한 대화의 장을 만들어 갈 예정이다.
  • 전남 농수산식품 수출액 5.8% 증가

    전남 농수산식품 수출액 5.8% 증가

    올해 상반기 전남 농수산식품 수출액이 4억 1847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8% 늘었다. 수출이 늘어난 것은 주력 품목인 김, 쌀, 오리털, 전복, 미역, 음료 등의 수출이 꾸준히 이어진 데다 미국과 중국, 아시아권 시장 수출 확대가 성장세를 이끌었다. 품목별로는 김이 2억 1371만 달러로 12.1% 늘어 전체 농수산물 수출의 절반 이상인 51.1%를 차지했다. 쌀은 2795만 달러, 오리털은 2372만 달러, 전복은 1797만 달러, 미역은 1435만 달러, 음료는 1377만 달러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김과 장류·김치 수출 증가로 22.6% 늘었으며 중국도 김, 오리털이 호조를 보이면서 8.8% 증가했다. 대만에서는 배 수출이 247.4% 급증했으며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등지에서는 김과 오리털, 주류 수출이 크게 늘었다. 특히 인도네시아의 오리털 수출은 83.3% 증가했고, 필리핀에서는 김 수출이 313.4%나 급증했다. 신현곤 전남도 국제협력관은 “한·미 상호관세에 따른 수출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고 변화하는 통상환경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피해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겠다”며 “고부가가치 상품 중심으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고 위기를 기회로 활용해 글로벌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충남관광캐릭터 ‘워디가디’,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 탄생

    충남관광캐릭터 ‘워디가디’,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 탄생

    충남도(도지사 김태흠)와 충남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이기진)은 ‘2025-2026 충남방문의 해’를 맞아 6일 충남관광캐릭터 홍보 음원 ‘워디가디왔숑’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를 공개했다. 워디가디 탄생 스토리를 담은 ‘워디가디왔숑’ 음원 작사는 충남문화관광재단 직원이 담당하고, 작곡과 보컬은 AI 기술을 활용해 제작했다 ‘워디가디왔숑’은 충남도, 충남문화관광재단 공식 유튜브와 SNS 채널을 통해 감상할 수 있다.앞으로 국내·외 관광 박람회를 비롯한 각종 홍보 콘텐츠로도 다양하게 활용될 예정이다. 충남문화관광재단 관계자는 “외국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AI 번역 기술을 활용해 영어·일본어·중국어·프랑스어 등 총 5개 국어 버전으로 제작했다”고 말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