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블랙홀’ 된 수도권… 인구 편중 30년간 안 깨진다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이 최근 20년간 청년 인구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중장년층은 수도권을 이탈했다. 2020년 비수도권 인구보다 많아진 수도권 인구는 최소 30년간 비중이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측됐다. 정부가 아무리 지역 균형발전을 꾀해도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은 더욱 심화할 거란 전망이다.
통계청은 17일 이런 내용을 담은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 이동’을 발표했다. 청년층(19∼34세)과 중장년층(40∼64세)으로 구분해 최근 20년간 인구 이동 양상을 분석했다.
수도권 인구는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순유입’을 기록했다. 수도권을 떠난 인구보다 전입한 인구가 더 많았다는 의미다. 세대별로 청년층은 2004년부터 수도권으로 순유입이 지속됐고, 중장년층은 2007년부터 순유출이 이어졌다.
최근 20년간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한 주된 이유로는 취업·전직·이직·근무지 이동 등 ‘직업’이 가장 많이 꼽혔다. 주택 문제를 이유로 이동한 비중은 2014년 18.9%에서 지난해 10.9%로 줄었고, 교육 문제를 이유로 이동한 비중은 2014년 8.8%에서 지난해 12.4%로 늘었다.
나 홀로 거주지를 옮기는 ‘1인 이동’도 크게 늘었다.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1인이 이동한 비중은 2024년 77.9%,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1인이 이동한 비중은 74.0%를 기록했다. 이는 20년 새 각각 20.0% 포인트, 17.4% 포인트씩 증가한 수치다. 수도권 내에서도 1인 이동 비중은 2004년 32.5%에서 2024년 49.7%로 늘었다.
수도권에서 1인 이동 인구 중 청년층은 순유입, 중장년층은 순유출이 지속됐다. 청년층의 순유입 사유는 ‘직업’(2024년 기준 5만 8000명)이 가장 많았고, 교육(1만 6000명)이 뒤를 이었다. 중장년층은 자연환경(-4000명), 주택(-4000명), 직업(-3000명) 등을 이유로 혼자 수도권을 떠나는 이들이 많았다. 특히 청년층은 일자리와 학업을 위해 수도권으로 유입되고, 중장년층은 더 나은 자연환경과 생활 여건을 찾아 수도권을 떠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20년 50.2%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비수도권 인구 비중을 앞질렀다. 이후 꾸준히 확대되는 추세다. 2022년 50.5%에 이어 2030년 51.6%, 2040년 52.6%, 2052년 53.4%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이 향후 30년간 지속될 거란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