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훔치고 싶은 문장]
내 방에서 당장 나가(권민지 지음, 찰리북)
“곰오를 괴롭히는 상상을 할 때마다 곰오는 점점 커졌고, 난 점점 작아졌어. 이젠 어떡하면 좋을까? 어떻게 하면 곰오한테서 벗어날 수 있을까? 이젠 너와 함께하는 방법을 조금은 알 것 같아.”
미운 마음이 생길 때 읽으면 좋을 그림책. 누군가가 까닭 없이 미워지기 시작하면 자신이 지쳐 있는 상태라고 한다. 작가 역시 미움이 마음을 가득 채웠던 어느 날의 기억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들어 냈다. 멋대로 생쥐의 방에 들어와 괴롭히는 곰오. 그런 곰오를 방에서 내보내고 싶은 생쥐. 미움을 이해하려 하고 사라져 달라 기도도 하지만 미움은 절대 순순히 물러나지 않는다. 생쥐는 결국 놀라운 결정을 내린다. 68쪽, 1만 6800원.
빛이 스미는 동안(김경순 지음, 문학수첩)
“영가등의 밝은 보름달이 방안 가득 찼다. 옆으로 누워 그 빛을 바라보며 손에 잡히는 대로 진통제를 한 주먹 집어삼켰다. 오늘 새벽에는 그 빛을 품고 깊은 잠을 잤으면 좋겠다.”
서로 다른 색채로 반짝이는 아홉 가지 감정의 결을 그린 소설집. 관계의 균열, 일상의 위협, 사소한 흔들림이 켜켜이 쌓여 등장인물 주위를 에워싸지만 작가는 이를 단순한 고통의 나열로 두지 않는다. 대신 고통과 다정함, 빛과 어둠이라는 상반된 요소가 동시에 존재하는 장면을 세밀하게 붙잡아 우리가 쉽게 간과하는 내면의 결을 섬세하고도 정확한 언어로 드러낸다. 232쪽, 1만 4000원.
사막사랑 175(임지훈 글·사진, 눈빛)
“사랑한다고 말하는 그 음성을 손가락으로 비벼 보면 다른 결이 만져질 때가 있다. 쫑긋거리던 귀가 사라지고 이제 그 목소리만 들린다.”
시와 사진이 서로를 비추며 독특한 감각의 층위를 만들어 내는 사진 시집. 책의 왼쪽은 시, 오른쪽은 사진이다. 휴대전화 사진+시로 구성된 ‘디카시’와 다른 점은 사진이 실제 카메라로 찍혔다는 것. 사진은 구체적이고 시각적인 매체다. 하지만 작가의 사진은 다큐멘터리적 사실성을 강조하기보다 시의 정서를 확장하거나 반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책은 사막·고요·사랑 등 3부로 나뉜 뒤 각각 결핍, 성찰, 충만이라는 정서적 곡선을 따라간다. 380쪽, 2만 2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