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Ʊ׶-񡩾Ʊ׶ Ϻ-pom555.kr-ε 񡩾Ʊ׶ Visit our website:(xn--3e0b8js7vm4g9mj3ja.kr)
    2025-10-1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138,524
  • 도쿄의 영혼 ‘센소지’, 어른거리는 백제의 그림자

    도쿄의 영혼 ‘센소지’, 어른거리는 백제의 그림자

    서기 628년. 일본 도쿄 아사쿠사의 스미다강 인근에 ‘하마나리’와 ‘다케나리’라는 어부 형제가 살았다. 여느 날처럼 강에서 물고기를 잡고 있었지만, 그날따라 물고기는 잡히지 않고 작은 불상 하나가 계속 그물에 걸려들었다. 불길한 예감에 불상을 강물에 던져도 다시 그물에 걸리자, 형제는 이 물건이 보통이 아님을 직감하고 마을의 지도자 ‘하지노 나카토모’에게 알렸다. 나카모토는 불상을 찬찬히 살펴본 뒤 그 자리에서 무릎을 꿇고 외쳤다. “이것은 단순한 불상이 아니다. 세상의 소리를 듣고 중생을 구제하는 자비의 관세음보살임이 분명하다!” 나카모토는 자신의 집을 사당으로 개조해 관세음보살상을 모셨고 서기 645년 ‘쇼카이’라는 승려가 이곳에 정식 사찰을 세운 것이 바로 아사쿠사의 랜드마크인 센소지(浅草寺)의 시작이었다고 전해진다. 비밀에 잠긴 관음보살상 센소지는 도쿄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사찰이다. 한 해 약 3000만명의 관광객과 참배객이 이곳을 찾지만, 아쉽게도 어부 형제가 건져 올렸다는 그 관음보살상은 만날 수 없다. 전설에 따르면 센소지를 세운 승려 쇼카이의 꿈에 관음보살이 나타나 “나의 모습을 감추어 세상 사람들로 하여금 경배를 받게 하라”는 계시를 내렸다고 한다. 쇼카이는 관음보살상의 영험함을 지키기 위해 불상을 비불(秘佛)로 모시고 일반에게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비불은 일본 불교만의 독자적인 문화로, 불상을 특정한 때에만 공개하고 평소에는 공개하지 않는 전통을 의미한다. 이 전통은 지금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다. 지금까지 관음보살상은 단 한 번도 공개된 적이 없으며, 심지어 주지승조차 볼 수 없도록 여러 개의 자물쇠가 채워진 본당 깊숙한 곳에 봉인돼 있다고 한다. 9세기 중반 일반인 참배를 위해 모조상을 만들었으나, 현재는 그 모조상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센소지 본당은 이렇게 신비로운 침묵 속에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도쿄 대공습에서 되살아나다 제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에 달했던 1945년 3월 10일 새벽, 미 육군 항공대의 B-29 폭격기들이 도쿄 상공을 뒤덮었고 대규모 공습이 감행되었다. 이 공습으로 약 10만명 이상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당시 강제동원 등으로 도쿄에 거주하던 조선인 약 1만명도 희생됐다고 전해진다. 도쿄 대공습 당시 수많은 사람이 센소지로 대피했다. 관동대지진 때도 무사했던 센소지를 지켜주는 관음보살상의 영험함을 기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이탄의 위력 앞에서 센소지는 목조 건물 대부분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다. 다행히 본당 깊숙한 곳에 안치돼 있던 관음보살상은 안전했다. 이는 관음보살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을 더욱 강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본당은 일본 전역 신자들의 기부와 참여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재건됐다. 센소지 가는 길, 금빛 용의 전설 아사쿠사역에서 내려 인파를 따라 약 70m 정도 걸으면 센소지의 첫 관문인 카미나리몬(雷門)을 만날 수 있다. 문 양옆에는 일본 신화의 ‘풍신’(風神)과 ‘뇌신’(雷神) 조각상이 서 있으며, 중앙에는 ‘雷門’이 적힌 거대한 붉은 등(높이 3.9m, 무게 700㎏)이 걸려 있다. 이 등 위에는 ‘금룡산’(金龍山) 현판이 있는데, 이는 센소지의 산호(山號)이다. 공식 명칭이 ‘긴류산 센소지’(金龍山浅草寺)인 이유다. 전설에 따르면 관음보살상을 모신 지 얼마 되지 않아 수백 그루의 소나무가 나타나고 그 위로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빛 용이 날아다녔다고 한다. 이를 기리기 위해 산호를 금룡산으로 정했다고 한다. 카미나리몬을 지나 약 250m에 달하는 나카미세 상점가를 통과하면 두 번째 관문인 호조몬(寶藏門)에 도착한다. 이 문 양옆 벽에는 악귀의 접근을 막는 역할을 한다는 거대한 짚신 ‘오와라지’(길이 4.5m, 무게 500㎏)가 걸려 있다. 이 길을 지나면 마침내 본당이 모습을 드러낸다. 백제인의 사찰이었을까? 이야기의 시작으로 돌아가서 관음보살상을 건진 어부 형제 ‘하나마리’와 ‘다케나리’의 성(姓) ‘히노쿠마’(檜前)와 사당을 바친 ‘나카토모’의 성(姓) ‘하지’(土師)에 주목해보자. 이 두 성씨는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백제 출신이 주로 사용하던 성씨였다. 이를 근거로 일부 학자들은 센소지 설립의 주역들이 백제 출신의 후예라는 주장을 제기한다. 아직 이 가설은 학계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센소지가 시작된 7세기 초중반이 쇼토쿠 태자에 의해 일본의 불교가 왕성하게 발전하고, 백제에 의한 문화적 영향이 활발했던 시기였음을 감안하면 전혀 근거 없는 주장도 아니다. 그 진실이 무엇이건 간에, 종교적 이유나 역사적 호기심, 또는 인문학적 관심 그 어느 것 하나라도 가지고 있다면 도쿄의 역사를 관통하는 센소지는 한 번쯤은 반드시 마주해야 할 공간임에 분명하다.
  • 도쿄의 영혼 ‘센소지’, 어른거리는 백제의 그림자 [한ZOOM]

    도쿄의 영혼 ‘센소지’, 어른거리는 백제의 그림자 [한ZOOM]

    서기 628년. 일본 도쿄 아사쿠사의 스미다강 인근에 ‘하마나리’와 ‘다케나리’라는 어부 형제가 살았다. 여느 날처럼 강에서 물고기를 잡고 있었지만, 그날따라 물고기는 잡히지 않고 작은 불상 하나가 계속 그물에 걸려들었다. 불길한 예감에 불상을 강물에 던져도 다시 그물에 걸리자, 형제는 이 물건이 보통이 아님을 직감하고 마을의 지도자 ‘하지노 나카토모’에게 알렸다. 나카모토는 불상을 찬찬히 살펴본 뒤 그 자리에서 무릎을 꿇고 외쳤다. “이것은 단순한 불상이 아니다. 세상의 소리를 듣고 중생을 구제하는 자비의 관세음보살임이 분명하다!” 나카모토는 자신의 집을 사당으로 개조해 관세음보살상을 모셨고 서기 645년 ‘쇼카이’라는 승려가 이곳에 정식 사찰을 세운 것이 바로 아사쿠사의 랜드마크인 센소지(浅草寺)의 시작이었다고 전해진다. 비밀에 잠긴 관음보살상 센소지는 도쿄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사찰이다. 한 해 약 3000만명의 관광객과 참배객이 이곳을 찾지만, 아쉽게도 어부 형제가 건져 올렸다는 그 관음보살상은 만날 수 없다. 전설에 따르면 센소지를 세운 승려 쇼카이의 꿈에 관음보살이 나타나 “나의 모습을 감추어 세상 사람들로 하여금 경배를 받게 하라”는 계시를 내렸다고 한다. 쇼카이는 관음보살상의 영험함을 지키기 위해 불상을 비불(秘佛)로 모시고 일반에게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비불은 일본 불교만의 독자적인 문화로, 불상을 특정한 때에만 공개하고 평소에는 공개하지 않는 전통을 의미한다. 이 전통은 지금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다. 지금까지 관음보살상은 단 한 번도 공개된 적이 없으며, 심지어 주지승조차 볼 수 없도록 여러 개의 자물쇠가 채워진 본당 깊숙한 곳에 봉인돼 있다고 한다. 9세기 중반 일반인 참배를 위해 모조상을 만들었으나, 현재는 그 모조상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센소지 본당은 이렇게 신비로운 침묵 속에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도쿄 대공습에서 되살아나다 제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에 달했던 1945년 3월 10일 새벽, 미 육군 항공대의 B-29 폭격기들이 도쿄 상공을 뒤덮었고 대규모 공습이 감행되었다. 이 공습으로 약 10만명 이상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당시 강제동원 등으로 도쿄에 거주하던 조선인 약 1만명도 희생됐다고 전해진다. 도쿄 대공습 당시 수많은 사람이 센소지로 대피했다. 관동대지진 때도 무사했던 센소지를 지켜주는 관음보살상의 영험함을 기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이탄의 위력 앞에서 센소지는 목조 건물 대부분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다. 다행히 본당 깊숙한 곳에 안치돼 있던 관음보살상은 안전했다. 이는 관음보살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을 더욱 강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본당은 일본 전역 신자들의 기부와 참여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재건됐다. 센소지 가는 길, 금빛 용의 전설 아사쿠사역에서 내려 인파를 따라 약 70m 정도 걸으면 센소지의 첫 관문인 카미나리몬(雷門)을 만날 수 있다. 문 양옆에는 일본 신화의 ‘풍신’(風神)과 ‘뇌신’(雷神) 조각상이 서 있으며, 중앙에는 ‘雷門’이 적힌 거대한 붉은 등(높이 3.9m, 무게 700㎏)이 걸려 있다. 이 등 위에는 ‘금룡산’(金龍山) 현판이 있는데, 이는 센소지의 산호(山號)이다. 공식 명칭이 ‘긴류산 센소지’(金龍山浅草寺)인 이유다. 전설에 따르면 관음보살상을 모신 지 얼마 되지 않아 수백 그루의 소나무가 나타나고 그 위로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빛 용이 날아다녔다고 한다. 이를 기리기 위해 산호를 금룡산으로 정했다고 한다. 카미나리몬을 지나 약 250m에 달하는 나카미세 상점가를 통과하면 두 번째 관문인 호조몬(寶藏門)에 도착한다. 이 문 양옆 벽에는 악귀의 접근을 막는 역할을 한다는 거대한 짚신 ‘오와라지’(길이 4.5m, 무게 500㎏)가 걸려 있다. 이 길을 지나면 마침내 본당이 모습을 드러낸다. 백제인의 사찰이었을까? 이야기의 시작으로 돌아가서 관음보살상을 건진 어부 형제 ‘하나마리’와 ‘다케나리’의 성(姓) ‘히노쿠마’(檜前)와 사당을 바친 ‘나카토모’의 성(姓) ‘하지’(土師)에 주목해보자. 이 두 성씨는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백제 출신이 주로 사용하던 성씨였다. 이를 근거로 일부 학자들은 센소지 설립의 주역들이 백제 출신의 후예라는 주장을 제기한다. 아직 이 가설은 학계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센소지가 시작된 7세기 초중반이 쇼토쿠 태자에 의해 일본의 불교가 왕성하게 발전하고, 백제에 의한 문화적 영향이 활발했던 시기였음을 감안하면 전혀 근거 없는 주장도 아니다. 그 진실이 무엇이건 간에, 종교적 이유나 역사적 호기심, 또는 인문학적 관심 그 어느 것 하나라도 가지고 있다면 도쿄의 역사를 관통하는 센소지는 한 번쯤은 반드시 마주해야 할 공간임에 분명하다.
  • 여순10·19 범국민연대 “법무부의 국가배상소송 항소포기” 적극 환영

    여순10·19 범국민연대 “법무부의 국가배상소송 항소포기” 적극 환영

    여순10·19 범국민연대가 법무부의 여수순천 10·19사건 국가배상소송 항소포기 발표에 적극 환영의 뜻을 밝혔다. 법무부는 지난 9일 여순사건 피해자 126명에 대한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한 광주지법 순천지원과 서울중앙지방법원의 24명에 대한 1심 판결에 항소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또 법무부의 여순사건 항소 포기 방침 공표 이전에 일선 검찰청에서 소송 수행청에 항소제기 지휘를 하고, 그 이후 수행청에서 항소장을 제출한 사건에 대해서도 항소를 취하한다고 발표했다. 이와관련 여순10·19범국민연대(범국민연대)는 13일 성명서를 내고 “오랫동안 ‘빨갱이 가족’이라는 오명과 함께 가족이 해체되는 등 고통 속에 살아온 유족들에게 가해자인 국가의 책임과 배상을 요구해왔기에 77년 만에 ‘항소 포기’라는 정부의 책임있는 발표에 대해 정성호 법무부 장관의 결단을 환영한다”고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일부에서 나온 검찰항명이라는 등 확인되지 않은 발언에 대해서는 유감을 표한다”고 입장을 보였다. 범국민연대측은 “그동안 여순사건 유족들은 지난 진실과화해위원회의 진실규명으로 일부 유족들이 국가 배상소송을 진행하면서 대법원 최종 결심까지 3년 이상 걸리면서 희망 고통에 시달려왔다”며 “또한 이런 과정 속에서 구례군 유족 등 상당수 유족들은 소멸시효 규정에 따라 국가배상 소송 기회조차 갖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지난 8일 여순사건 유족 20여명이 제기한 소송이 광주지법 순천지원에서 승소한 후 소송을 담당한 서동용(21대 국회의원) 변호사와 신정훈 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이 앞장서 유족들의 아픔을 헤아려 다른 형제원 사건 등과 마찬가지로 ‘항소 포기’를 법무부 장관에게 건의해왔다. 최경필 범국민연대 사무처장은 “오랫동안 ‘반란’의 오명에 시달려온 유족들에게 이번 법무부의 ‘항소 포기’는 국가의 국민 생명 보호라는 무한 책임을 상기시켰다”며 “여수순천10·19 특별법에 따른 유족들에 대한 지원과 함께 재단 설립 등 명예회복을 위한 후속 조치에도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 경북 포항 영일만항 예인선서 기름 유출…해경, 방제 조치

    경북 포항 영일만항 예인선서 기름 유출…해경, 방제 조치

    경북 포항 영일만항에 계류 중인 배에서 기름이 유출돼 해경이 방제작업을 벌였다. 13일 포항해양경찰서는 지난 11일 오전 9시쯤 포항시 북구 영일만항 역무선부두에 계류 중이던 147t 규모 예인선 A호에서 벙커A유가 유출됐다고 밝혔다. “검은색 기름이 보인다”는 신고를 접수한 해경은 현장에 경비함정 2척, 인력 23명, 방제기자재 등을 급파해 12일 방제작업을 마쳤다. 조사 결과 A호에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파손이 생기면서 벙커A유 약 120ℓ가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기름 유출로 인한 오염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포항해경은 정확한 유출경위와 유출량을 추가 조사할 예정이다. 이근안 포항해경경찰서장은 “앞으로도 해양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으로 해양오염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최상목 경제수석이 ‘R&D 예산 대폭 삭감’ 지시”

    “최상목 경제수석이 ‘R&D 예산 대폭 삭감’ 지시”

    2023년 연구개발(R&D) 예산 삭감 과정에서 당시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10조원으로 삭감하라고 했으며, R&D 예산 책정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사실상 배제되고 “대통령실에 끌려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3일 국회 과학기술방송정보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당시 R&D 삭감 과정과 예산 조정을 누가 주도했냐는 더불어민주당 노종면 의원의 질의에 이렇게 답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초부터 R&D 예산 삭감 과정 조사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당시 삭감 과정을 조사하고 있다. 노 의원이 과기정통부에서 받은 R&D 예산 삭감 과정 조사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과기정통부는 원래는 전년 대비 6000억원 증액한 25조4000억원 규모 주요 R&D 예산을 마련했다. 그러나, 6월 28일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R&D 나눠 먹기’를 지적하며 원점 재검토를 지시했고, 7월 6일에는 최 수석이 대통령보고 이후 주요 R&D를 10조원으로 맞추라는 지시를 내렸다. 노 의원에 따르면 이는 2008년 수준이다. 과기정통부는 주요 R&D 예산 10% 이상 구조조정하는 대상 절감 재원을 재투자하는 내용으로 ‘R&D 카르텔 혁파 및 꿈의 R&D 대전환 방안’을 대통령에게 보고할 예정이었지만, 5일 최 수석이 대통령에게 10조원 재검토 안을 보고한 후 취소됐다. 이후 최 수석은 10조원을 기반으로 타당성 있는 예산을 하나하나 더해가는 ‘벽돌쌓기’ 방식을 진행하겠다며 증액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7월 20일 열린 대통령 주재 용산 내부 토론회에서 대통령실은 17조4000억원으로 주요 R&D 예산을 만들 것을 통보했고, 이후 과기정통부의 필요성 설득으로 21조5000억원 규모 주요 R&D 예산이 만들어졌다. 배 부총리는 “예산 벽돌 쌓기를 진행하고 주도한 것은 경제수석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R&D 예산 삭감의 출발점이 2023년 4월 진행된 한미 정상회담이었다는 지적도 나왔다. “R&D 삭감 출발점이 당시 윤석열 대통령의 4월 미국 순방이 아니냐”는 이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배 부총리는 “순방 이후 글로벌 R&D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강조가 됐고 관련된 예산 확보에 대한 논의들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한편 배 부총리는 R&D 삭감으로 피해를 본 과학 기술계에 사과할 의향이 있냐는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R&D 삭감으로 피해 본 모든 분께 사과의 말씀 드린다”며 “다시는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과기정통부는 최소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성안머티리얼스 거래대금 213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성안머티리얼스 거래대금 213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성안머티리얼스(011300)가 약 4,276만주가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521원으로, 거래대금은 21,397백만원에 이른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약 2,637%로 투자자들의 집중적인 매수세가 확인된다. PER -3.47, ROE -111.28로 재무 지표는 부정적이나, 금일 주가는 상한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된다. 삼성전자(005930)가 91,700원으로 1.52% 하락하며, 거래량 1,453만4,207주를 기록한다. 삼성전자의 거래대금은 1조 3,349억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2.46%를 차지하고 있다. PER 20.48, ROE 9.03으로 안정적이다. 유니온머티리얼(047400)은 2,210원으로 상한가를 기록하며, 1,331만2,700주의 거래량을 보인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77,900원으로 상승하며, 1,133만9,672주가 거래된다. 유니온(000910)은 5,930원으로 폭등세를 보이며, 980만7,731주가 거래된다. 흥아해운(003280)은 1,662원으로 상승하며 804만2,745주의 거래량을 기록한다. 대한전선(001440)은 17,890원으로 상승하며 753만2,119주의 거래량을 보인다. 동양(001520)은 793원으로 하락하며 703만7,121주가 거래된다. 디아이(003160)는 22,450원으로 급등하며 657만2,336주의 거래량을 기록한다. 대원전선(006340)은 3,285원으로 상승하며 648만5,781주의 거래량을 보인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HJ중공업(097230) ▲0.60%, 한미반도체(042700) ▲6.88%, 서울식품(004410) ▲1.91%, 대원화성(024890) ▲14.00%, SK하이닉스(000660) ▼3.97%, 삼화전자(011230) ▲7.13%, 삼성중공업(010140) ▼1.12%, 한화투자증권(003530) ▼4.83%, KEC(092220) ▼0.44%, 삼성전자우(005935) ▼2.69% 등의 성적을 기록한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폭등세를 보인 성안머티리얼스와 유니온머티리얼이 있다. 이들 종목은 각각 42,759,769주와 13,312,700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도 높아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거래량이 높았으나 하락세를 보여 주목된다. 거래대금은 시가총액 대비 2.46%를 차지하며, 매수세와 매도세가 치열하게 공방을 벌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코스피 시장은 일부 종목의 급등세와 하락세가 섞인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상위 거래량 종목들 중 일부는 투자자들의 집중적인 매수세를 받았으나, 다른 종목들은 매도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한화에어로스페이스 4.41% 하락하며 약세 종목 중 두각

    [서울데이터랩]한화에어로스페이스 4.41% 하락하며 약세 종목 중 두각

    코스피 주요 종목들이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13일 오후 12시 20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005930)는 현재가 91,55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2,850원(▼3.02%) 하락하며 약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비율이 51.96%에 달하는 삼성전자는 PER 20.45, ROE 9.03으로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거래량은 1,505만5,480주를 기록 중이다. 반도체 대장주인 SK하이닉스(000660)는 409,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8,500원(▼4.32%) 하락하며 거래량 308만1,746주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 비율은 55.61%로 높은 편이며, PER 10.33, ROE 31.06으로 재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357,000원으로 ▼0.70% 하락했고,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1,018,500원으로 ▲0.44% 상승하고 있다. 삼성전자우(005935)는 72,300원으로 ▼2.82% 하락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996,000원으로 ▼4.41% 하락 중이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77,300원으로 ▲3.76% 상승하며 거래량이 크게 증가했다. HD현대중공업(329180)은 514,000원으로 ▼0.19%, 현대차(005380)는 216,000원으로 ▼0.46%, KB금융(105560)은 110,800원으로 ▼1.77%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NAVER(035420) ▼2.43%, 기아(000270) 0.00%, 셀트리온(068270) ▼1.79%, 신한지주(055550) ▼2.64%, 삼성물산(028260) ▼1.78%, 한화오션(042660) ▲0.46%, SK스퀘어(402340) ▼0.81%, 삼성생명(032830) ▼2.62%, HD한국조선해양(009540) ▲0.24%, 현대모비스(012330) ▼2.52%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 시장에서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지속되며 주요 종목들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거래량이 높은 두산에너빌리티는 상승세를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하락세로 인해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10월 13일 암호화폐 시총 상위종목 동향

    [서울데이터랩]10월 13일 암호화폐 시총 상위종목 동향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현재가는 1억 6450만 원이며, 시가총액은 3279조 400억 원이다. 24시간 등락률은 3.74% 상승을 기록했으나, 1시간 등락률은 -0.44%로 소폭 하락하여 상승세가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거래량은 131조 1978억 원에 달한다. 이더리움은 현재 593만 3107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716조 1453억 원이다. 24시간 동안 9.49% 상승했지만, 1시간 등락률은 -0.46%로 하락하여 단기적으로 반전 가능성이 엿보인다. 거래량은 86조 3489억 원이다. 비앤비는 현재 185만 8745원이며, 시가총액은 258조 7038억 원이다. 24시간 동안 15.70%의 상승을 보였으며, 1시간 등락률은 -0.38%로 나타났다. 거래량은 15조 1236억 원으로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리플은 3655원으로 9.11% 상승했다. 시가총액은 219조 268억 원이다. 같은 시각 솔라나는 27만 9205원으로 10.05% 상승했다. 시가총액은 152조 6030억 원이다. 도지코인은 296원으로 11.77% 상승했으며, 시가총액은 44조 9007억 원이다. 같은 시각 트론은 463원으로 3.18% 상승했다. 시가총액은 43조 9006억 원이다. 에이다는 1008원으로 11.18% 상승했으며, 시가총액은 36조 1292억 원이다. 하이퍼리퀴드는 5만 5991원으로 5.33% 상승했고, 시가총액은 18조 8515억 원이다. 한편, 체인링크는 2만 7242원으로 11.24% 상승했다. 시가총액은 18조 4732억 원이다. 스텔라루멘은 487원으로 6.95% 상승했으며, 시가총액은 15조 6250억 원이다. 비트코인 캐시는 77만 1339원으로 5.23% 상승했다. 시가총액은 15조 3791억 원이다. 같은 시각 수이는 3968원으로 11.25% 상승했다. 시가총액은 14조 3870억 원이다. 아발란체는 3만 1866원으로 5.83% 상승했으며, 시가총액은 13조 4565억 원이다. 레오는 1만 3836원으로 0.04% 상승했다. 시가총액은 12조 7639억 원이다. 헤데라는 263원으로 9.00% 상승했고, 시가총액은 11조 1635억 원이다. 라이트코인은 14만 1815원으로 5.69% 상승했다. 시가총액은 10조 8349억 원이다. 전반적으로 가상자산 시장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단기적인 변동성을 감안하여 신중한 투자가 필요하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펩트론(087010) 4.07% 하락 코스닥 시장 혼조세

    [서울데이터랩]펩트론(087010) 4.07% 하락 코스닥 시장 혼조세

    코스닥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인 알테오젠(196170)(액면가 500원)은 현재가 447,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2.93% 하락하고 있다. 상장주식수 53,506주에 외국인비율이 13.35%인 이 종목은 거래량이 164,686주이며, PER 253.68, ROE 29.52로 높은 재무 비율을 보인다. 반면, HLB(028300)(액면가 500원)는 현재가 39,500원으로 6.76% 상승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 종목은 상장주식수 131,454주에 외국인비율이 20.62%이며, 거래량은 750,961주로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PER과 ROE는 각각 -36.27, -16.33이다. 에코프로비엠(247540)은 4.72% 상승하며 117,600원을 기록하고 있고, 거래량은 517,085주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는 3.34% 상승하며 340,500원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370,768주이다. 또한 에코프로(086520)는 3.87% 상승하며 48,350원에 거래되고 있다. 거래량은 601,660주에 달한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리노공업(058470) ▲2.70%, 코오롱티슈진(950160) ▼0.56%, 케어젠(214370) ▲0.16%, 휴젤(145020) ▼2.91%, 이오테크닉스(039030) ▲0.19%, 클래시스(214150) ▼1.43%, HPSP(403870) ▼0.82%, 보로노이(310210) ▼3.28%, 에스엠(041510) ▲1.27%, 실리콘투(257720) ▼0.86%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 시장은 상승 종목이 강세를 보이며 활기를 띠고 있다. 외국인 비율이 높은 종목들의 상승세가 두드러지며, 거래량이 많은 종목들이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반면, 하락세를 보인 종목들은 높은 PER과 부진한 ROE를 기록하며 재정 상태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원익홀딩스 거래대금 무려 3천억원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원익홀딩스 거래대금 무려 3천억원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원익홀딩스(030530)가 1,526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22,400원으로, 시가총액의 1.91%에 해당하는 거래대금 3,310억원에 비해 17.46%의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PER -41.10, ROE -7.41로, 재무 지표는 다소 부진한 상태다. 클로봇(466100)은 1,471만주가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주가는 40,100원으로 9.71% 상승하고 있다. 시가총액 대비 5.75%에 달하는 5,707억원의 거래대금이 집중되었다. PER -128.12, ROE -15.71로, 재무 상태는 부정적이다. 휴림로봇(090710)은 현재 3,540원으로 1.72% 상승하며 1,384만주의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현대ADM(187660)은 3,210원으로 13.23% 급등하며 1,193만주가 거래되었다. 우리기술(032820)의 주가는 4,325원으로 1.59% 하락하며 1,066만주가 거래되었다. 엔시트론(101400)은 360원으로 4.35% 상승, 873만주가 거래되었다. 한라캐스트(125490)는 8,560원으로 0.47% 상승, 715만주가 거래되었다. 티플랙스(081150)는 3,500원으로 12.72% 급등하며 699만주가 거래되었다. 온코닉테라퓨틱스(476060)는 25,500원으로 20.57% 급등하며 682만주가 거래되었다. 우림피티에스(101170)는 7,550원으로 상한가를 기록하며 674만주가 거래되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동국알앤에스(075970) ▲13.20%, 삼영엠텍(054540) ▲9.27%, 엑시온그룹(069920) ▲14.74%, 성호전자(043260) ▲6.81%, 코퍼스코리아(322780) ▲23.69%, 상보(027580) ▲4.63%, 하이드로리튬(101670) ▲7.34%, 엘컴텍(037950) ▲4.72%, 해성에어로보틱스(059270) ▲16.08%, 케이엔알시스템(199430) ▲19.03%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상승률이 높은 우림피티에스와 코퍼스코리아가 있다. 우림피티에스는 상한가를 기록하며 674만주의 거래량과 475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 시가총액의 46.62%에 달하는 대규모 자금이 유입되었다. 코퍼스코리아는 23.69% 급등하며 482만주의 거래량과 91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 시가총액의 11.11%에 달한다. 하락률이 높은 종목으로는 우리기술과 하이드로리튬이 있으며, 각각 1.59%와 7.34%의 등락률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 흐름을 보면, 코스닥 시장은 상승세를 보이는 종목들이 다수 존재하며, 특히 원익홀딩스와 클로봇이 주목받고 있다.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큰 비율을 차지하는 종목들이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동작구, 초등학생 대상 ‘AI 로봇 가을 특강’…“창의적 역량 키울 것”

    동작구, 초등학생 대상 ‘AI 로봇 가을 특강’…“창의적 역량 키울 것”

    서울 동작구는 오는 25일과 26일 구청 신청사 4층 소회의실에서 ‘초등학생과 함께하는 AI(인공지능) 로봇 가을 특강’을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특강은 지역 내 초등학교 4~6학년생들이 로봇을 직접 체험하고,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돕고자 마련됐다. 우선 ‘피지컬 AI 지역 특산물 스마트 물류 시스템 만들기’ 특강에선 물류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온디바이스 AI 기능 탐구, 이미지 분류 실습과 컨베이어 벨트 구동 등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나의 로봇친구, AI 에이전트’ 특강에선 로봇과 생성형 AI의 개념 이해 및 비전 AI 기초 체험, 뉴스와 날씨 서비스 로봇 제작과 AI 에이전트 체험 등이 진행된다. 구 관계자는 “두 프로그램 모두 단순 이론이 아닌 실습 중심 교육”이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AI 윤리와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역량을 자연스럽게 익힐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강은 오는 19일까지 구 통합예약시스템을 통해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모집 인원은 총 50명으로, 프로그램별 25명씩 참여할 수 있다. 박일하 동작구청장은 “이번 특강은 초등학생들이 AI와 로봇을 친근하게 접하며, 미래 사회에 필요한 창의적 역량까지 키우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우리 아이들이 꿈을 펼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한식 뷔페 먹고 200여명 식중독…장티푸스·패혈증 일으킨다는 ‘이것’

    한식 뷔페 먹고 200여명 식중독…장티푸스·패혈증 일으킨다는 ‘이것’

    지난달 충북 진천군에서 열린 지역 축제에서 집단 식중독이 발생한 가운데, 보건당국이 식중독 원인으로 살모넬라균을 지목했다. 살모넬라균은 올해 들어 발생한 식중독 가운데 약 10% 가량의 원인이 된 식중독균으로, 발열과 복통 등이 3~4주 지속되는 장티푸스를 일으킬 수 있다. 진천군 보건소에 따르면 지난달 25~28일 충북 진천군에서 열린 생거진천문화제 행사장에서 한 식당이 제공한 한식 뷔페를 먹은 주민들에게서 발생한 집단 식중독 사태는 살모넬라균에 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당시 행사장에서는 7개 읍·면이 식당을 운영했는데, 이중 한 식당에서 350인분의 한식 뷔페를 주문했고 이를 먹은 주민 291명에게서 구토와 설사 등 식중독 증상이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50여명은 입원 치료를 받았다. 진천군 보건소는 식중독 중상을 보인 주민 15명의 가검물에서 살모넬라균이 검출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한식 뷔페의 어떤 음식이 식중독을 일으켰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식중독 증상이 나타난 주민들 가운데 심각한 상태를 보이는 환자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은 생닭과 같은 가금류 생고기, 덜 익힌 계란, 유제품 등을 통해 발생하며 6~9월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뱀이나 거북이, 도마뱀 등을 만진 뒤에도 살모넬라균에 감염될 수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1~8월 발생한 식중독 환자(7884명) 가운데 살모넬라가 원인이 된 사례는 825명(10.5%)로 노로바이러스(2308·29.3%)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생닭 손질한 칼·도마로도 2차 오염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살모넬라균은 열에 약해 저온 살균(62~65℃에서 30분 가열)으로도 충분히 사멸된다. 충분히 가열되지 않은 식품을 먹었거나 조리된 식품에 2차 오염이 있을 경우 살모넬라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2차 오염의 원인은 생닭이나 날달걀이 대표적이다. 살모넬라균이 있는 생닭을 조리하기 전 물에 씻으면서 물이 다른 식재료에 튀거나, 생닭을 손질할 때 사용한 도마와 칼을 다시 사용하면서 살모넬라균이 전파된다. 또 날계란을 깬 손으로 다른 식재료를 만지는 경우도 대표적인 전파 경로다. 살모넬라균에 감염되면 급성 위장염과 발열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보인다. 심한 경우 패혈증이나 뇌수막염 등 합병증으로 이어진다. 살모넬라 타이피균이 10만 마리 이상 인체에 침투하면 장티푸스가 발병할 수 있다. 고열과 오한, 두통으로 시작해 복통 등의 증상이 이어지며 3주가 넘도록 치료를 받지 않으면 장천공으로 인한 심한 복통과 위장 출혈, 독성 뇌병증, 뇌혈전증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닭고기 등 가금류나 계란을 조리할 때 75°C의 온도에서 충분히 익혀야 한다. 조리하기 전 손을 깨끗이 씻고 도마와 칼 등 식기도구는 교차오염을 막기 위해 소독하고 용도별로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생닭을 물에 씻지 않고 날계란을 만진 손은 깨끗이 씻는 것도 중요하다.
  • APEC 홍보 효과 톡톡…추석 연휴 70만명 경북 경주 찾아

    APEC 홍보 효과 톡톡…추석 연휴 70만명 경북 경주 찾아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둔 명절 연휴 동안 경북 경주시에 70만명에 달하는 관광객이 몰렸다. 13일 경주시는 지난 추석 연휴 기간(3~9일) 황리단길·대릉원·첨성대·동궁과 월지 등 주요 관광지 4곳 무인계측 결과 관광객 70만 1375명이 몰렸다고 밝혔다. 황리단길 일원이 44만 8657명으로 가장 많았고, 동궁과 월지 10만 2237명, 대릉원 7만 8375명, 첨성대 7만 2106명 순으로 집계됐다. 일일 관광객은 연휴 첫날인 3일 6만 3103명에서 시작해 추석 당일인 6일 11만 2255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마지막 날인 9일에도 10만 2307명이 찾아 연휴 내내 관광객이 몰려들었다. 한류문화 확산과 APEC 정상회의 개최를 앞두면서 국제적 관심이 높아져 관광지 곳곳에서는 외국인 관광객이 크게 늘었다. 야간 조명을 설치해둔 동궁과 월지, 첨성대 일대는 야경 명소를 찾는 관광객이 몰려들었다. 이 외에도 불국사 관광안내소 집계 결과 총 53만 6623명이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은 3만 5045명으로, 일본 1만 2499명, 중국 6202명, 미국 1605명 순이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추석 연휴 기간 황리단길과 불국사, 동궁과 월지 등 도심 전역이 활기를 되찾았다”며 “이달 말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경주의 품격과 매력을 세계에 보여줄 수 있도록 교통·숙박·안전 등 전 분야를 세밀히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 천안시 ‘봉주로 배드민턴장’ 건립…2028년 준공 목표

    천안시 ‘봉주로 배드민턴장’ 건립…2028년 준공 목표

    충남 천안시는 시민 생활체육 수요 급증에 대응 등을 위해 성거읍에 ‘봉주로 배드민턴장’ 건립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봉주로 배드민턴장은 문화체육관광부 2024년 기초생활체육 저변확산 지원사업에 선정돼 총사업비의 30%를 국비(체육기금)로 지원받는다. 봉주로 배드민턴장은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성거읍 소우리 일원으로 연면적 3443㎡ 규모에 실내배드민턴장 16면 등을 갖출 예정이다.
  • “상수도 시설분담금 이중 부과 아냐”…인천시, LH와 7년 소송서 승소

    “상수도 시설분담금 이중 부과 아냐”…인천시, LH와 7년 소송서 승소

    인천시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정비구역 내 상수도 시설분담금을 놓고 벌인 7년간의 소송에서 최종 승소했다. 이번 승소로 9억원에 가까운 세수 손실을 예방하고 710억원에 달하는 소송 유발도 방지했다.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는 LH가 제기한 ‘상수도 시설분담금 부과 처분 취소’ 소송 상고심에서 최종 승소했다고 13일 밝혔다. 소송은 2018년 10월 시가 용마루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사업시행자였던 LH에 상수도 시설분담금 8억7300만원을 부과하자 LH가 이에 불복해 제기했다. 1심에서는 시가 승소했고 2심에서는 패소했다. 그러나 대법원이 2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돌려보내 시가 최종 승소하게 됐다. 이에 따라 시는 LH가 납부한 8억7300만원을 돌려주지 않아도 된다. 또 그간 다른 사업장에서 부과한 710억원 상당의 시설분담금에 대한 정당성도 확보했다. 이번 소송의 쟁점은 LH가 사업을 진행하면서 수도법에 따른 원인자부담금을 냈음에도 시설분담금을 따로 부과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원인자부담금은 수도법상 개발 등의 행위로 수도시설의 신설·증설 등 비용이 발생할 경우 그 원인을 제공한 자가 비용을 부담하는 금액이다. 이와 달리 시설분담금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시정비법)상 시행자가 이미 설치된 수도시설을 이용해 특별한 이익을 보는 경우 부과한다. LH는 시설분담금 부과는 ‘이중 부과’라고 주장했으나 대법원은 정비구역 내 수도시설 설치는 수도법보다 도시정비법이 우선 적용된다고 명확히 했다. 지자체가 별도로 시설분담금을 부과하더라도 이중 부과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시한 것이다. 시는 이번 대법원 판결이 전국 지자체의 유사 소송에서 중요한 법적 기준이 될 것으로 본다. 최근 13대 한국상하수도협회 회장으로 취임한 유정복 시장은 “이번 판결은 불합리한 상황을 막아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협회장으로서 이번 판례를 전국 지자체와 공유하고 불필요한 분쟁을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 “돈을 벌어 오겠다” 출국한 광주 20대···캄보디아서 2개월째 연락 끊겨

    “돈을 벌어 오겠다” 출국한 광주 20대···캄보디아서 2개월째 연락 끊겨

    광주에 사는 20대가 “돈을 벌어 오겠다”며 태국으로 출국한 뒤, 캄보디아서 가족과 마지막 통화 후 연락이 두절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광주경찰청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사는 A씨(20)가 캄보디아에서 ‘살려주세요’하는 마지막 통화를 한 뒤, 연락이 두절됐다는 가족들의 신고를 지난 8월 20일 접수해 현재 수사가 진행중이라고 13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 6월 26일 가족들에게 “돈을 벌어 오겠다”며 태국으로 출국했고 8월 10일 마지막 통화 후, 연락이 끊기기 직전까지 캄보디아에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A씨의 행방 추척에 나선 경찰은 A씨의 휴대전화가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마지막으로 사용된 기록을 확인한 가운데 외교부를 통해 현지 대사관에 ‘재외국민 소재확인’을 요청했지만 현재까지 A씨의 행적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경찰은 “A씨가 전화금융사기 등 범죄 조직에 의해 캄보디아에서 억류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현지 경찰과 외교부 등과 공조체제를 유지하며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 중국 쇼트트랙 잡는 ‘18세 에이스’ 임종언, 금 2·은 1로 첫 성인 대회 마무리…“더 완벽하게”

    중국 쇼트트랙 잡는 ‘18세 에이스’ 임종언, 금 2·은 1로 첫 성인 대회 마무리…“더 완벽하게”

    18세의 한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임종언(노원고)이 개인전에 이어 남자 계주에서도 중국을 제치고 정상에 오르면서 생애 첫 성인 대회를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로 마쳤다. 임종언, 황대헌(강원도청), 이준서(성남시청), 신동민(고려대)으로 구성된 한국 대표팀은 13일(한국시간)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 모리스 리처드 아레나에서 열린 2025~26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월드투어 1차 남자 5000m 계주 결선에서 6분50초781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한국은 중반까지 하위권에서 머물다가 31바퀴를 돌고 2위로 치고 올라왔다. 이어 이탈리아가 넘어진 사이 이준서가 1위가 됐고 황대헌이 바통을 이어받았다. 이어 임종언이 마지막 주자로 마지막 45바퀴까지 중국의 추격을 뿌리치고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중국(6분51초160), 3위는 캐나다의 실격으로 이탈리아(7분03초224)에 돌아갔다. 전날 개인 1500m 금메달을 목에 걸었던 임종언은 첫 시니어 대회에서 2관왕을 차지했다. 그는 이날 1000m 결선에서도 1분30초488의 기록으로 이탈리아의 피에트로 시겔(1분30초407)에 이어 은메달을 수확했다. 임종언은 경기를 마치고 “시겔을 존경한다”면서 “저도 조금 더 완벽한 레이스를 펼치면 이번 시즌의 주인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계주팀은 가족과 같다. 최고의 시즌을 보낼 것”이라고 기뻐했다. 여자부 김길리(성남시청)도 1500m 결선에서 2위(2분22초217)에 오르면서 전날 1000m에 이어 개인전 은메달 2개를 따냈다. 그는 여자 단체 계주 3000m에선 금메달을 따낸 바 있다. 김길리와 함께 1500m 결선에 오른 최민정(성남시청)은 9바퀴를 남기고 넘어졌다. 최민정, 김길리, 임종언, 이정민(성남시청)이 호흡을 맞춘 혼성팀은 계주 결선에서 2위로 결승선을 통과했지만 임종언이 페널티를 받으며 실격 처리됐다. 이로써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은 이번 월드투어 1차 대회에서 금 3개, 은 4개로 대회를 마쳤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황대헌이 남자 1500m에서 임종언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 유정희 서울시의원, 시민이 참여하는 서울시 감사 ‘시민제보창구’ 운영

    유정희 서울시의원, 시민이 참여하는 서울시 감사 ‘시민제보창구’ 운영

    서울특별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유정희 의원(더불어민주당, 관악4)은 10월 14일부터 11월 4일까지 시민 의견을 직접 접수받는 ‘행정사무감사 시민제보창구’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제보창구는 “시민이 직접 서울시 행정을 감시하는 열린 감사”를 목표로 마련됐다. 서울시 본청과 산하기관의 예산 낭비, 행정 비효율, 부당한 업무처리 등 현장에서 체감되는 문제를 시민이 직접 제보하면, 이를 11월 행정사무감사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유 의원은 “행정의 문제는 시민의 눈에서 가장 먼저 발견된다”며 “서울시의 정책이 시민의 삶과 괴리되지 않도록, 시민 목소리를 감사의 중심에 두겠다”고 말했다. 제보 대상은 서울시 문화본부, 관광체육국, 홍보기획관, 대변인실, 서울문화재단, 서울관광재단, 세종문화회관, 서울시립교향악단, 120다산콜재단,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시체육회, 서울시장애인체육회 등이다. 또한 유 의원의 지역구인 관악구를 포함한 서울시 전역의 행정 현안, 불합리한 제도 운영, 예산 낭비 사례 등도 자유롭게 제보할 수 있다. 시민 제보는 10월 14일부터 11월 4일까지 진행되며, 이메일(dorimchun@hanmail.net) 또는 문자(010-5452-3858)를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접수된 내용은 검토를 거쳐 실제 행정사무감사 질의와 정책 개선안에 반영된다. 유 의원은 “행정사무감사는 시민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옮기는 가장 현실적인 과정”이라며 “서울시의 예산이 투명하게 쓰이고 시민이 신뢰할 수 있는 행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꼼꼼히 살피겠다”고 강조했다. 유 의원은 최근 3년간(2022~2024년)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TBS 경영난 해결 위한 예산확보 방안 제시, 서울시 산하기관의 예산 효율성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며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공행정 감시 역할을 수행해왔다.
  • 이제 유럽 가려면 ‘지문·얼굴’ 스캔 필수…“대기 시간 길어질 듯”

    이제 유럽 가려면 ‘지문·얼굴’ 스캔 필수…“대기 시간 길어질 듯”

    유럽연합(EU) 국적자가 아닌 여행객이 유럽 국가에 가려면 지문이나 얼굴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 EU 집행위원회는 여행객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범죄 대응과 국경 관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새 출입국시스템(EES·Entry Exit System)을 12일(현지시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하기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한국인을 포함해 EU 비회원국 국적자가 유럽 국가의 외부 국경을 통과할 때마다 지문과 얼굴 사진 등 생체 정보를 등록하는 자동화된 IT 체계다. 유럽 내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솅겐조약에 가입한 29개국에서 시행된다. 독일은 뒤셀도르프 공항에서 시범 운영을 시작해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다른 주요 국가들도 단계적 시행을 거쳐 내년 4월부터 전면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주벨기에 한국대사관은 지난달 24일 공지를 통해 “새 출입국 시스템은 국경 심사 현대화, 불법 체류 방지, 솅겐 지역 보안 강화를 목표로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시행일 이후 솅겐 국경을 처음 통과하는 비EU 국적자는 입국심사 과정에서 지문을 스캔하거나 얼굴 사진을 촬영해야 한다. 수집된 개인 정보는 디지털 파일로 저장된다. 이후 재입국 시에는 기존에 저장된 정보로 지문과 얼굴만 확인하면 된다. 등록 대상자는 비EU 국적자 중 단기체류 비자 소지자 또는 무비자 방문자다. 다만 비EU 국적자이더라도 EU 국적자의 직계가족, 거주 허가 및 장기체류 비자 소지자 등은 등록 대상에서 면제된다. 한국대사관은 “제도 시행 초기에는 출입국 대기 시간이 길어지거나 혼잡이 예상된다”며 “여행객들은 충분한 시간을 두고 이동 일정을 계획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신민아♥’ 김우빈, 비인두암 통증 토로…“기억이 안 날 정도”

    ‘신민아♥’ 김우빈, 비인두암 통증 토로…“기억이 안 날 정도”

    배우 김우빈(36)이 비인두암 투병 당시 극심했던 고통을 털어놨다. 지난 12일 가수 겸 작곡가 정재형(55)의 유튜브 채널 ‘요정재형’에는 ‘이 영상은 근래 텐션이 가장 높은 우빈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이날 영상에서 김우빈은 비인두암 투병에 대해 “하늘이 주신 휴가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2017년 5월 비인두암 판정을 받고 활동을 전면 중단했던 김우빈은 당시 최동훈 감독의 영화 ‘도청’ 출연을 앞둔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작품을 하기로 결정해놓고 한 달 뒤에 아픈 걸 알게 됐다”며 “많은 생각이 들었다”라고 털어놨다. 정재형이 “그런데 지금 모습을 보니까 그런 시간의 의미는 분명히 있었던 것 같다”고 하자 김우빈은 “너무나”라며 고개를 끄덕였다. 그는 “좋은 것만 남은 것 같다. 쉬던 시간이 나에게 좋은 것만 준 것 같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통증은 사실 기억이 안 난다. 레벨이 너무 높아서”라고 밝혔다. 김우빈은 “기억이 나지 않으니까 통증은 제 인생에 없는 것이지 않나. 그러면 좋은 것만 남는 것”이라고 긍정적인 면모를 보였다. 이어 “내가 받았던 사랑을 돌려주는 것도 생각해보게 되고, 너무 익숙해서 당연하게 생각했던 것들이 너무 많다는 걸 알게 됐다”며 “‘하늘이 나에게 너무 큰 선물을 주는구나’라고 생각하면서 (투병) 이후에 제 마음이 너무 좋다”고 덧붙였다. 코와 목, 편도선에 생기는 비인두암은 10만명당 1명꼴로 발병하는 희귀암이다. 김우빈은 2019년 비인두암 완치 판정을 받고 2022년 tvN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로 복귀했다. 지난 3일 공개된 넷플릭스 시리즈 ‘다 이루어질지니’에서는 램프의 정령 지니로 분해 배우 수지와 호흡을 맞췄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