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다오서 현지 마케팅… 신규 물동량 확보 나선 제주
제주와 중국 칭다오를 잇는 첫 국제 컨테이너 정기항로가 지난달 공식 개통한 가운데 현지 마케팅을 통한 물동량 확보에 나섰다.
제주도와 제주경제통상진흥원은 제주-칭다오 신규 항로 개설 이후 첫 현지 마케팅으로, 오는 7일 중국 칭다오 하이티엔 호텔에서 ‘제주-칭다오 무역상담 및 유통협력 네트워크 교류행사’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제주경제통상진흥원 상해대표처 주관으로 열리며 제주 농수산물 가공 식품기업 8개사와 중국 바이어 22개사가 참여한다. 8개사는 ㈜농업회사법인 아침미소, 농업회사법인㈜제주자연식품, ㈜일해, 하효살롱협동조합, 소콩달콩, 미카의 달콤한 작업실, 영농조합법인 올레바당, 제주농장 영농조합법인 등이다.
이번 행사는 제주기업의 신규 바이어 발굴 및 현지 유통망 확대를 통해 제주~칭다오 항로 물동량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둔다.
행사는 제주기업과 중국 바이어 간 1:1 수출상담회, 중국 정부 및 수출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 교류, 제주경제통상진흥원 상해대표처 사업보고, 코트라 칭다오무역관 지원사업 소개, 칭다오보세구 정책 안내 등으로 구성된다. 상담회 이후에는 기업 간 자율미팅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 기회도 마련된다.
또한, 감귤과즐, 유자·레몬차, 감귤쥬스 농축액, 우도땅콩 그래놀라, 수산가공식품, 양배추즙 등 제주상품 전시와 중국 왕홍(網紅, 인플루언서로 불리는 중국의 인기 온라인 스트리머) 생방송 홍보도 진행돼 현지 소비자와 바이어에게 제주 브랜드를 직접 알린다.
앞서 도는 지난달 16일 중국 산둥성 칭다오 국제크루즈부두에서 열린 ‘제주–칭다오 신규 항로 취항식을 가졌다. 1968년 무역항으로 지정된 제주항은 57년 만에 국제 컨테이너선이 정기 운항하게 됐다.
이번 항로 개설로 물류비는 약 62% 절감되고, 운송기간은 절반 이상 단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미영 제주도 경제활력국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제주기업의 중국 진출 교두보를 마련하고 안정적인 수출 물류 기반을 확보할 것”이라며 “앞으로 수출기업, 물류업계, 중국 현지기관과 협력해 제주산 제품의 중국시장 진출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