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으로 빛나는, 분홍으로 물드는 도시… 산문의 언어로 기록한 ‘파리’
출판사 달 ‘여행그림책’ 시리즈자연·와인 등 이야기 20편 담아
“초록으로 차를 밀어내고 걷자, 또 걷자. /초록들로 버터를 녹여내고 걷고 또 걷자.”(‘만찬까지는 아니더라도’ 부분)
예술의 도시, 사랑의 도시 프랑스 파리. 그곳은 초록으로 차를 밀어내는 도시다. 그곳은 초록으로 버터를 녹여내는 도시다. 무슨 말일까.
책 좀 읽어 본 사람치고 여행산문집 ‘끌림’ 속 문장 하나쯤 기억하지 못하는 이는 없을 것이다. ‘끌림’의 작가 시인 이병률(58)의 새 책 ‘좋아서 그래’는 그가 산문의 언어로 기록한 파리의 풍경화다. 이병률이 대표로 있는 출판사 달의 여행그림책 시리즈 첫 번째 책으로, 나태주의 탄자니아, 천선란의 뉴욕, 정세랑의 방콕 등이 예정돼 있다.
“‘할머니, 프랑스 말은 참 듣기가 좋아요. 왜 그렇죠?’ 선문답 같은 질문에 선문답 같은 답변을 들었다. 그때 할머니는 버터에 빵을 바르고 있었는지, 빵에다 버터를 바르고 있었는지 모르겠는데 갑자기 ‘이 버터를 먹어 볼래?’라는 질문이 돌아왔다. … ‘아, 버터를 많이 먹는 데 바로 그 비밀이 있었군요.’”(‘만찬까지는 아니더라도’ 부분)
예술과 사랑만큼이나 파리는 ‘먹고 마시는’ 데 특화된 도시다. 프랑스어는 왜 아름답게 들리는가. 대답할 수 없는 질문, 대답이 존재할 수 없는 질문에 할머니는 다만 신선한 버터를 건넬 뿐이다. 언어와 아름다움 그리고 신선한 버터 사이에는 무엇이 있을까. 그런데 그 사이에 무엇이 있는지 꼭 설명이 필요할까. 어쩌면 이런 ‘비약’ 속에 우리의 삶이 있을지도 모른다. 이병률의 산문집은 이 비약을 몸으로 받아들인 기록이다. 파리에서 만난 토끼, 꽃, 와인과 관련한 짧은 이야기 스무 편이 실렸다.
산문집이지만 또한 ‘그림책’이기에 여러 그림이 담겼다. 가수 아이유 등 다양한 예술가와 함께 협업하면서 이름을 알린 일러스트레이터 최산호가 파리의 아름다움을 형형색색 감각적으로 그려 냈다. 초록으로 빛나는, 분홍으로 물드는 파리는 우리가 원래 알던 파리가 아니다. 최산호를 통과한, 한없이 낭만적이고 고즈넉한 파리다. 지금 이곳에서 파리의 이야기를 읽는 게 무슨 소용인가. 지긋지긋하고 복잡한 한국의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저 먼 도시의 이야기가 무슨 도움이 되는가. 이병률도 묻는다. “‘르몽드’ 신문이며 온갖 잡지나 매체들은 왜 죽은 예술가들 이야기를 여전히 현재에도 끊임없이 늘어놓지? 지금은 2025년이잖아.” 파리에 사는 그의 친구 세바스티앙의 대답은 이렇다. “오십 년 전이면 잠깐이야. 백 년 전이면 순간인 거고.” 여기서 이병률은 이런 통찰을 건져 올린다.
“누구를 만나느냐는 곧 어떤 미래를 살 거냐의 문제와 닿아 있어요.”(‘에필로그’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