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5년간 77.3조 투자”… 친환경·현지화로 ‘액셀’ 밟는다
“관세 파고에 북미 판매 비중 줄이고유럽·中 등 맞춤형 전기차로 ‘승부’2030년 555만대 판매 목표는 유지하이브리드 라인업 18종으로 확대혁신 생산기지로 수요 정체도 극복”
현대자동차가 현재 8종인 하이브리드차를 2030년까지 18종 이상으로 늘리고, 내년부터 유럽과 중국, 인도 등에서 전략 전기차를 대거 생산한다. 친환경차(전기차, 하이브리드 등) 기술 경쟁력과 국내외 혁신 생산기지를 바탕으로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과 미국발 관세 파고를 극복하고, 5년간 77조 3000억원을 투자해 지난해 설정한 2030년 555만대 판매 목표를 유지한다는 전략이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더 셰드’에서 ‘2025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중장기 전략과 목표를 발표했다. CEO 인베스터 데이를 해외에서 개최하는 것은 처음이다.
현대차는 전기차 캐즘의 반사이익을 얻은 하이브리드차 라인업을 2030년까지 18종 이상으로 확대하고, 제네시스 브랜드로는 최초인 럭셔리 하이브리드차도 내년에 출시한다. 현지에 특화된 신형 전기차들도 선보인다. 내년 유럽 시장에서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아이오닉3’를 출시하고, 중국에서는 준중형 전기차 세단을 내놓는다. 인도에서는 2027년 경형급 SUV 전기차를 선보인다.
현대차는 지난해 공개한 2030년 555만대 판매 목표를 유지하면서 2030년엔 북미 26%, 인도 15%, 유럽 15%, 한국 13%, 중동 및 아프리카 8%, 중남미 8%, 중국 8%, 아시아태평양(동남아·호주 등) 7% 비중으로 판매를 추진한다. 관세 부담 등을 고려해 현재 29% 수준인 북미 비중을 줄이고 중국, 동남아·호주, 유럽 판매 비중을 늘린다는 것이다. 친환경차 판매는 올해 100만대에서 2030년 330만대로 확대해 비중은 25%에서 60%로 늘린다.
이밖에 글로벌 생산 기지 확장을 통해 2030년까지 생산능력을 120만대 추가로 확보한다. 미국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연간 생산능력을 30만대에서 2028년까지 50만대로 확대하고, 올해 4분기엔 25만대 생산 규모의 인도 푸네 공장이 완공된다. 국내에서도 내년 1분기 울산 신공장이 완공돼 연간 20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한다. 북미 시장을 겨냥한 중형 픽업트럭도 2030년 이전까지 선보인다.
현대차는 내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국내외에 77조 3000억원을 투자한다. 지난해 제시했던 70조 3000억원에서 7조원 늘린 것으로, 연구개발(R&D) 30조 9000억원, 설비투자 38조 3000억원, 전략투자 8조 1000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올해 영업이익률 목표는 관세 영향을 반영해 기존 7~8%보다 1% 포인트 하향한 6~7%로 설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