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지방소득세 90% 감소”…철강산업 위기 극복 힘 모은다
충남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 발족선제대응지역 지정 신청 계획
충남도와 당진시, 기업 등이 세계적 공급 과잉과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철강산업 위기 극복에 힘을 모은다.
도는 19일 당진시청에서 ‘충남 철강산업 위기선제대응 협의체’를 발족했다.
당진은 포항·광양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철강산업 중심지다. 당진시 철강산업 생산액은 18.7조원으로 전국 생산액(123.8조원) 15% 차지한다.
하지만 글로벌 공급과잉과 탄소규제, 보호무역 장벽 등으로 전례 없는 위기다. 기초 소재를 공급하는 철강산업 특성상 향후 충청 지역 경제 전반으로 악영향도 우려된다.
국내 철강산업 수출은 2024년 5.7억 달러로 2020년(10억 달러) 대비 43%로 감소했다. 이 같은 상황은 당진시 제조업 경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3년 기준 당진시 제조업 생산액 31.2조원 중 철강산업 비중은 60% 차지하고 종사자 3만 7872명 중 철강산업 종사자가 38%(1만 4414명)를 차지한다.
하지만 당진지역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수는 2023년 6월 59개소에서 2025년 6월 51개소로 13.6% 줄었다.
법인지방소득세도 2024년 32억원으로 2022년(317억원) 대비 89.9% 감소했다.
협의체는 도와 당진시, 산·학·연 전문가를 비롯해, 당진시 철강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주요 과제로 추진하고 도내 철강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안을 마련한다.
도는 당진시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신청 준비에 착수했으며, 11월 중 지정 신청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날 참석자들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필요성에 공감하고,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도록 사업 구조를 과감히 전환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안 호 충남도 산업경제실장은 “철강산업은 충남 산업 발전 중심축이자 국가 경제를 지탱하는 핵심 산업”이라며 “도와 당진시, 산업계가 하나된 힘으로 위기를 돌파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발족식에는 도와 당진시, 현대제철, 동국제강, 케이지(KG)스틸 등 도내 주요 철강기업 관계자, 산업연구원, 한국산업단지공단, 충남테크노파크 관계자 등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