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보도와 취재 어떻게 이뤄지나 궁금하다면…
포털 기사나 종이 신문을 읽다가 가끔 ‘도대체 이 기사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라는 궁금증이 생길 때가 있다. 더군다나, 일반인이 쉽게 다가갈 수 없는 전문 영역인 과학기술 분야에 대해서는 특히 더 그렇다. 그런데, 이런 궁금증을 해결해줄 안내서가 나왔다.
과학기술과 의학 분야 담당 기자들이 회원으로 있는 41년 역사의 한국과학기자협회는 과학 저널리즘이 무엇인지, 독자들이 만나는 과학 기사는 어떻게 나오는 것인지 알려주는 ‘전문기자가 알려주는 과학취재 가이드북’을 발간했다.
협회는 과학기술과 의학 분야를 담당한 전·현직 전문기자 9명이 필진으로 참여한 이 가이드북이 취재 현장에서 직접 겪은 사례를 중심으로 집필돼 처음 과학 취재를 나서는 기자들은 물론 한국 과학 언론이 궁금한 모든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가이드북은 사회적 갈등 요인이 되기도 한 민감한 과학 이슈를 다뤄온 과학 언론의 역할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현장 취재 노하우를 공유함으로써 과학기술 분야 전문기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과학의 대중 이해 또는 과학 대중화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제작됐다. 이와 함께 ‘세상에 이런 일이’ 식의 기사들이 과학 기사로 포장되고 인식되는 점의 문제점을 지적함과 동시에 과학취재 기획과 보도에서 정확한 검증에 기초한 언론 활동의 모범을 제시함으로써 과학 저널리즘의 기반 확대 및 과학 뉴스 품질과 신뢰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가이드북은 크게 2장으로 구성돼 있으며, 1장은 과학취재의 전문성과 특수성을 보여주는 ‘과학취재 이해하기’, 2장은 과학기술, 의학 등 분야별로 취재 방법, 언론 윤리, 보도 지침 등을 알려준다. 가이드북의 처음은 유용하 서울신문 과학전문기자가 ‘과학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과학 저널리즘 역사와 한국 과학 언론 현황, 과학 기사는 어떻게 써야 하는지 등 과학 보도의 전반을 소개했고, 이어 김진두 YTN 기상재난 및 과학전문기자는 인쇄, 방송·영상, 디지털 매체의 강·약점을 분석하고 과학 보도에서 시각화 자료와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과학 전문매체 편집장 출신인 윤신영 한국과학기술미디어센터 미디어국장은 과학 기사의 공익성, 오류와 왜곡을 막기 위한 노력, 인물 서사의 폐해 등 과학 언론의 윤리와 책임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병문 매일경제 의료전문기자는 감염병 취재 시 지켜야 할 언론 준칙과 준비 사항 등을 보여준다. 또, 의학전문기자 출신인 조동찬 한양대 융합의과학 특임전문교수는 자살 보도와 보건의료 분야 특종 취재에 관해 설명했다.
이번 가이드북은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과학창의재단의 후원을 받아 제작됐고, 과학기자협회 누리집(https://koreasja.org) ‘자료실’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