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Ʊ׶ ۿ -񡩾Ʊ׶ǰ-pom555.kr-񡩾Ʊ׶ ȿ Visit our website:(xn--fast-fy4p586i.com)
    2025-09-1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131,558
  • 한국배구연맹, 컵대회 취소·재개 혼선에 팬들만 ‘열폭’

    한국배구연맹(KOVO)이 안일한 행정으로 컵대회를 시작했다가 취소하고 또 재개하는 황당한 일을 자초했다. 혼선이 계속되며 프로배구 구단과 팬들은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KOVO는 14일 새벽 2025 여수·NH농협컵 프로배구대회 남자부 경기를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곧이어 오전에는 “국제배구연맹(FIVB)으로부터 컵대회 남자부 경기를 조건에 맞춰 개최할 수 있음을 승인받았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이날 대한항공과 우리카드, 삼성화재와 KB손해보험이 경기를 치렀다. 앞서 KOVO가 남자부 컵대회를 취소한다고 한 이유는 대회 개최 승인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FIVB는 ‘세계선수권대회가 끝난 후 3주 이상 휴식기를 갖고 각국 리그 경기를 시작해야 한다’고 규정하는데, 올해 남자 세계선수권은 필리핀에서 지난 12일 개막했고 오는 28일 끝난다. KOVO는 컵대회가 공식 리그 경기가 아닌 ‘이벤트 경기’라며 대회 개최를 강행했으나 결국 14일 0시까지 FIVB의 개최 승인을 받지 못하면서 컵대회는 13일 개막전만 치른 채 이후 남자부 경기를 모두 취소하게 된 것이다. 상황은 KOVO가 FIVB의 조건부 승인을 얻어냈다고 밝히면서 다시 뒤집혔다. FIVB는 ‘KOVO컵을 위한 국제이적동의서(ITC) 발급 제한’, ‘외국팀 및 외국인 선수 참가 불허’, ‘세계선수권대회 등록 선수의 출전 불허’를 조건으로 내걸었다. 이에 따라 초청팀 나콘라차시마(태국)의 대회 출전은 최종 불발됐다. 컵대회가 일단 치러지게 됐지만 외국인 선수는 물론 대표팀 소속 선수들도 출전이 불가능해지며 파행이 불가피해졌다. 컵대회를 공동주최한 여수시와 NH농협 등 대회 스폰서들도 적지 않은 피해를 떠안아야 할 처지다. 이와 관련 KOVO는 “계속된 번복으로 팬과 관계자들께 혼란을 일으킨 점을 진심으로 사죄드린다”며 고개를 숙였고, 남자부 잔여 경기를 선착순 무료 관람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기존 예매 티켓은 전액 환불하고 예매된 좌석 점유권은 유지한다.
  • “이야기가 나의 집… 문학은 그 누구도 될 수 있는 자유로움”

    “이야기가 나의 집… 문학은 그 누구도 될 수 있는 자유로움”

    ‘내 집은 어디에 있을까.’ 다소 실없는 질문처럼 보이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철옹성처럼 단단해지는 국경의 장벽 가운데 우리는 끝없이 우리가 ‘어디에’ 속하는지 심문받는다. 낯선 자를 환대하기보다는 혐오하는 것이 익숙해진 세계. ‘홈 스위트 홈’이라는 구호는 왜인지 고통스럽게 들린다. 스웨덴 소설가 요나스 하센 케미리(47)는 조금 다른 통찰을 소개한다. “이야기가 나의 집”이란다. 20세기 어느 철학자는 “언어가 존재의 집”이라고 했는데, 그것과는 맥락이 조금 다른 듯하다. 이야기는 곧 문학, 어쩌면 한 줌도 되지 않을 어떤 것. 그것이 어떻게 내 몸을 누일 집이 되는가. 문학이 집이라면 우리는 그곳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2025 서울국제작가축제’를 맞아 한국을 찾은 케미리를 지난 13일 서울 종로구 그라운드서울에서 만났다. 대표작 ‘몬테코어’를 비롯해 ‘아버지의 원칙’, ‘나는 형제들에게 전화를 거네’ 등의 작품이 민음사를 통해 한국어로 번역됐다. 아버지는 튀니지인, 어머니는 스웨덴인으로 다문화가정에서 자란 작가는 현재 미국으로 넘어가 뉴욕대에서 문예창작을 가르치고 있다. ‘너는 어디에 속하는가.’ 케미리가 살면서 내내 받았을 이 질문을 그에게 다시 던졌다. “부모의 인종이 다르다는 정체성은 작가로서 무척 중요합니다. 열다섯 살 때 가고 싶었던 학교가 있었습니다. 학교와 집 사이 거리에 따라 배정되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저는 떨어지고 더 먼 곳에 사는 친구는 붙었더라고요. 어머니에게 어찌하면 좋을지 물어봤더니 학교에 편지를 쓰라더군요. 실제로 그랬더니 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습니다. 말은 그저 소리가 아닙니다. 무언가를 바꿀 힘과 연결됩니다.” 소설뿐만 아니라 희곡도 쓰는 케미리는 스웨덴을 비롯한 유럽 문단에서는 대중과 평단의 지지를 두루 받고 있다. 최근 발표한 소설 ‘자매들’(The Sisters)은 미국 최고 권위 문학상인 올해 전미도서상 후보에도 올랐다. 수상 여부는 오는 11월 결정된다. ‘몬테코어’를 비롯해 케미리의 작품은 자전적인 삶을 소재로 끌어오고 거기서 보편으로 뻗어 간다. 그러나 이것이 삶을 그대로 소설화하는 ‘오토픽션’과는 다르다고 그는 주장했다. “오토픽션은 현실에서 시작하지만 저는 상상에서 이야기를 시작하죠. 저는 현실보다 상상의 힘이 훨씬 세다고 생각합니다. 계속 변화하는 현실의 나를 붙잡을 순 없습니다. 오히려 이렇게 변화하는 나를 향해 질문을 던지는 게 문학의 일입니다.” 원래 케미리는 정치적 발언을 서슴지 않았던 작가다. 스웨덴에서 활동할 당시 이민자를 차별하는 내용의 법 시행을 두고 2009년 한 일간지를 통해 당시 베아트리스 아스크 법무부 장관에게 공개 서한을 보낸 것이 지식인 사이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 미국에서 교수로 일하는 그는 정치적 발언을 하는 것을 조심스러워했다.“나의 정치적 입장을 ‘이야기’에 둘 수 있겠지요. ‘활동가’는 구조를 단순화해서 말할 수 있지만 소설가는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복잡한 세계를 그대로 드러내야죠. 예술은 우리를 간단하지 않은 진실로 밀고 가는 힘이 있습니다.” 그래서 문학이 우리의 집이다. 새로움을 찾아 스웨덴에서 미국으로 본거지를 옮긴 작가는 그런데도 ‘센스 오브 홈’(Sense of Home)을 강조했다. ‘집의 감각’으로 옮길 수 있으려나. 감이 잘 잡히지 않아 정확히 다시 물었더니 이런 답이 돌아왔다. “익명성. 제가 미국에서 처음 느낀 것. 그 누구도 될 수 있다는 것. 자유의 핵심이자 궁극적으로는 두려움이 없는 상태. 독서할 때도 그것을 느낍니다. 오로지 문학만이 줄 수 있는 감각.”
  • 체육·문화·관광 합친 융복합 축제… 부산의 매력 전국에 알린다

    체육·문화·관광 합친 융복합 축제… 부산의 매력 전국에 알린다

    #국내 최대 스포츠 축제1920년 조선체육회 야구에서 시작지역 대표로 출전… 올림픽급 열기 박지성·박태환 등 체육스타 등용문지역 체육 발전·경기력 향상 계기#부산 스타일로 재구성 체전 기획단 신설·체육국 만들고 인기 종목 클라이밍 경기장 신설 숙소 700곳·봉사단 4200명 준비 박칼린 지휘로 부산 이야기 조명제106회 부산 전국체육대회·전국장애인체육대회 개막이 약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전국체전이 부산에서 열리는 건 2000년 이후 25년 만이다. 부산시는 경기장 신설, 개보수 등 개최 준비를 마치고 다방면에 걸친 홍보로 대회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시는 이번 대회를 체육과 문화·관광이 결합된 융복합 축제로 치러 내 부산의 다양한 매력을 전국에 알릴 계획이다. ●50종목, 약 3만명 참가… 역대 최대 규모 부산시는 제106회 전국체전이 다음달 17일부터 23일까지 7일간 연제구 아시아드주경기장 등 82곳에서 열린다고 14일 밝혔다. 제45회 전국장애인체전은 다음달 31일부터 11월 5일까지 6일간 38곳에서 치러진다. 이번 전국체전에는 17개 시도에서 선수 1만 9418명, 임원 9373명 등 선수단 2만 8791명이 참가한다. 지난해 전국체전보다 638명 많은 역대 최다 참가 인원이다. 대회 종목은 총 50개로 기존 48개 정식종목에 시범종목으로 족구와 주짓수가 채택됐다. 장애인체전에는 31개 종목 선수부, 동호인부에 선수 7000여명 등 선수단 1만여명이 참가한다. 1920년 처음 열린 전국체전은 명실상부한 국내 최대 스포츠 축제다. 일제강점기인 1919년 일제가 근대 스포츠를 보급하겠다며 일본인 중심으로 조선체육협회를 만들었는데, 이에 대항해 조선인들이 ‘체육을 통한 애국 운동’을 목표로 조선체육회를 창립하고 전조선야구대회를 개최한 게 전국체전의 기원이다. 전국체전은 중일전쟁(1937년), 조선체육회 강제해산 기간(1938년, 1940~1944년), 한국전쟁 발발(1950년), 코로나19 확산(2020년)을 제외하고는 빠짐없이 열렸다. 시도별 예선을 거쳐 지역 대표로 출전해 전국체전에서 메달을 따내는 기쁨은 다른 국내 대회와 비교할 수 없이 크다. 이 때문에 스포츠 선수들을 전국체전에서 최고의 기량을 뽐내기 위해 1년간 구슬땀을 흘린다. 전국체전이 아시안게임·올림픽 스타 등용문이 된 이유이기도 하다. 축구선수 박지성의 첫 전국대회 우승이 제79회 전국체전이었고, 수영선수 박태환은 전국체전에서만 36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MVP를 5번 차지했다. 전국체전은 1957년부터 시도를 순회하며 개최되고 있다. 대회 개최를 위해 오래된 체육시설을 개보수하고 확충하면서 지역 체육 환경 발전, 경기력 향상에 이바지하는 계기가 된다. 모든 경기를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전국체전은 스포츠를 사랑하는 시민과 선수들이 만나는 축제의 장이기도 하다. ●82개 경기장 정비, 숙박·교통 만반 준비 부산시는 이번 전국체전·장애인체전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지난해 2월 체전 기획단을 신설하고 올해는 광역시 최초로 체육국을 신설하면서 철저히 준비했다. 시는 북구 화명생태공원 내 테니스 경기장을 국제경기 규격에 맞춰 하드코트 12개 면으로 새로 단장하는 등 총 628억원을 들여 82개 경기장을 개보수했다. 특히 사직 론볼 경기장에 지붕을 설치하고 국제경기 규격에 맞도록 폭을 확장하면서 장애인 선수들의 숙원이 이뤄졌다. 론볼은 공을 굴려 표적구에 얼마나 가까이 접근시키는지 겨루는 구기 스포츠로 영국 등에서 생활체육으로 널리 즐기고 있다. 사직 론볼 경기장은 연간 1만 8000명이 이용하는데도 비가 오거나 바람이 세차게 불 때면 경기를 할 수 없어 불편을 겪었는데, 이번에 사시사철 경기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개선했다. 이와 함께 최근 뜨거운 인기를 얻고 있는 스포츠인 클라이밍 경기장을 신설했다. 클라이밍은 2021년 도쿄올림픽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됐지만 부산에는 국제경기를 치를 수 있는 경기장이 없었다. 이번에 스피드, 리드, 볼더 등 3개 종목 경기장을 조성해 국제경기 개최 환경을 마련하며 전문 선수의 훈련 환경 개선, 생활체육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3만명에 가까운 선수단이 참가하는 만큼 시는 숙소로 약 700곳을 마련했다. 선수단이 묵는 숙소를 대상으로 구·군과 부산소방재난본부가 위생과 안전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숙박업소 영업주 450명이 참여한 가운데 친절한 서비스를 다짐하는 결의대회도 열었다. 시는 또 선수단 수송을 위해 전세버스 730대, 렌터카 1230대, 택시 2200대 등 총 4200대를 지원한다. 선수단 수요를 반영한 배차를 완료했으며 대회 중에는 수송 상황실을 운영해 선수단 이동을 지원한다. 시민 열기도 뜨겁다. 전국체전에서 경기장 안내, 운영 지원, 질서 유지, 환경 정비 등을 담당할 자원봉사자 모집에 6283명이 지원했다. 이는 시 목표의 157% 수준이다. 시는 4200명을 선발해 교육을 마쳤으며 오는 17일 발대식을 열 예정이다. 1120명을 모집하는 일반 시민 성화 봉송 주자에도 1520명이 신청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지적장애 자녀와 함께 달리는 부모, 교통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됐지만 봉사활동에 매진하는 시민 등이 참여해 역경을 이겨 내는 희망의 이야기를 전한다. 성화 봉송은 또 해운대에서는 요트를, 광안리에서는 패들보트를 타고 전하는 등 부산의 특색을 살려 진행한다. ●부산의 역사·비전 담은 개·폐회식 기대 배우이자 공연 연출가인 박칼린이 부산 전국체전 개·폐회식의 총감독을 맡아 기대를 모은다. 박 총감독은 부산에서 학창 시절을 보냈고 경남여고 연극부에서 활동하며 뮤지컬과 인연을 맺었다. 부산에 대한 이해와 애정을 바탕으로 부산 역사와 비전을 담은 무대를 보여 줄 예정이다. 17일 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열리는 개회식에서는 ‘배 들어온다, 부산!’을 주제로 부산의 상징 중 하나인 컨테이너를 이용해 대형 무대를 만들고 지역 역사와 산업, 부산 사람들 이야기, 전통 예술을 아우르는 공연을 선보인다. ‘뱅기 뜬다, 날자!’가 주제인 폐회식에서는 부산 해변을 구현한 무대에서 경기를 마친 선수들이 휴식을 즐기고 하늘길, 다음 전국체전 개최지인 제주와 연결되는 모습이 표현된다. 다음달 31일 열리는 장애인체전 개회식에선 부산 지형에 언덕과 산이 많은 점에 착안, 아크로바틱·파쿠르 공연을 펼쳐 육체의 한계를 뛰어넘은 선수의 위대함과 저력을 조명한다. 폐회식에서는 선수들의 새로운 도전, 재회를 기약하는 부산시민의 목소리를 담아 합창 무대를 선보인다.
  • 영남 최초 4대 프로스포츠 구단 보유… “생활체육 천국 부산 만들 것”

    영남 최초 4대 프로스포츠 구단 보유… “생활체육 천국 부산 만들 것”

    시민 80%, 주 1회 이상 운동 활동 스포츠 대회·프로구단 유치 영향 “건강하고 활기찬 부산 조성할 것” 부산시가 다양한 방법으로 생활체육 활성화를 추진하면서 시민의 체육활동 참여율이 전국 주요 도시 중 1위로 올라서는 등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부산시는 시민의 주 1회 이상 규칙적 체육활동 참여율이 지난해 기준 80.3%였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전국 주요 7개 도시 중 가장 높은 것이다. 부산 다음은 대전 76.5%, 울산 71.5% 순이었다. 부산도 2022년에는 참여율이 61.6%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73.0%로 오르는 등 최근 2년간 체육활동 참여율이 18.7% 포인트 증가하면서 80%를 돌파했다. 2020년 40.7%에 불과했던 걷기 실천율은 매해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에는 60.3%까지 늘었다. 이는 전국 주요 도시 중에서 서울 68.0% 다음으로 높은 실천율이다. 실제로 총길이 278.8㎞인 지역 탐방로, ‘갈맷길’ 완보자 수도 5년째 증가하면서 지난해까지 누적 8175명을 기록했다. 이는 시가 생활체육 참여 여건 개선, 각종 스포츠 대회와 프로구단 유치 등을 통해 일상 속 체육에 관한 관심을 키워 온 영향으로 풀이된다. 시는 지난해 2월 세계탁구선수권대회를 개최했고, 2023년 남자 프로농구단 KCC 이지스, 올해 남자 프로배구단 OK저축은행 읏맨을 연고 구단으로 유치해 영남권에서 처음으로 4대 프로스포츠인 야구·축구·농구·배구 구단을 모두 보유한 도시가 됐다. 시는 또 올해부터 5월을 생활체육의 달로 지정, 배구·테니스·파크골프·볼링·에어로빅힙합 등 ‘5대 인기 종목 전국 생활스포츠 페스티벌’도 개최했다. 오는 21일에는 광안대교 등 해상교량 4개, 지하차도 2개, 터널 1개 등 77㎞를 자전거를 타고 달리는 ‘세븐브릿지 투어: 라이딩 인 부산’도 개최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스포츠는 시민의 건강을 지키고 활기찬 공동체를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한다. 생활체육 시설을 확충하고 관련 대회, 아카데미, 프로그램도 늘려 생활체육 천국 도시가 되게 하겠다”고 밝혔다.
  • 中国著名演员兼歌手张新成向BTS成员田柾国发出邀请引发关注

    中国著名演员兼歌手张新成向BTS成员田柾国发出邀请引发关注

    最近,中国演员兼歌手张新成在宣传他的新专辑《不适症》(Maladjustment)的采访中表示,他希望邀请田柾国作为他演唱会的特别嘉宾。 此前,张新成曾在2020年翻唱了防弹少年团(BTS)数字单曲《Dynamite》的MV中田柾国的时尚风格,展现了他对田柾国的喜爱。 田柾国在中国年度颁奖典礼“2024年中国年度颁奖典礼”(China Year End Awards 2024)上,凭借自创歌曲《Never Let Go》获得了“最佳畅销(英语)男性单曲”(Best Selling English Male Single)奖项,这是他在该颁奖典礼上第六次获奖。 此外,田柾国还在中国的“第38届华鼎全球音乐奖”上获得了“亚洲最受欢迎男歌手奖”。 2023年11月,田柾国发行的专辑《Golden》在中国最大的音乐流媒体平台QQ音乐上取得了令人瞩目的成绩,成为2023年唯一一位专辑销售额突破300万元人民币的K-pop男歌手,获得了“三白金”(Triple Platinum)认证,展现了他作为个人艺术家在中国取得的辉煌成就和独特的魅力与影响力。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中 유명 배우 겸 가수 장신청, 방탄소년단(BTS) 정국에게 팬심 가득 러브콜 방탄소년단(BTS) 정국을 향해 중국 유명 배우이자 가수가 러브콜을 보내 눈길을 끈다. 최근 중국 배우 겸 가수 장신청(张新成)은 새 앨범 ‘Maladjustment’ 관련 인터뷰에서 정국을 자신의 콘서트 특별 게스트로 초대하고 싶다고 밝혔다. 장신청은 앞서 지난 2020년에도 방탄소년단 디지털 싱글 ‘다이너마이트’ 뮤직비디오 속 정국의 패션 스타일을 커버하며 팬심들 드러내기도 했다. 정국은 중국 연말 시상식 ‘2024년 차이나 이어 엔드 어워드’(China Year End Awards 2024)에서 자작곡 ‘네버 렛 고’로 ‘베스트 셀링 (영어) 남성 싱글’ 부문을 수상하며 해당 시상식에서 통산 6번째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그는 또 중국의 ‘제38회 화딩 글로벌 뮤직 어워드’에서 ‘아시아 최고 인기 남성 가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정국은 2023년 11월 발매한 ‘Golden’으로 중국 최대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인 큐큐 뮤직에서 2023년 K팝 남자 솔로 가수 중 유일하게 앨범 판매액 300만위안 이상을 돌파하며 ‘트리플 플래티넘’(Triple Platinum) 인증을 획득하기도 하는 등 현지에서 솔로 아티스트로서 눈부신 업적을 거둠과 동시에 독보적인 인기와 존재감을 빛내고 있다.
  • 노원 찾은 보스턴 바이오의 주역

    노원 찾은 보스턴 바이오의 주역

    방한한 ‘보스턴 바이오의 주역’ 요하네스 프루에하우프 랩센트럴 회장이 지난 12일과 14일 노원구 S-DBC(서울디지털바이오시티)의 현장을 방문했다. 요하네스 회장은 S-DBC 추진 현황과 입지 여건에 대해 서울시와 노원구로부터 설명을 들었다. 노원구는 요하네스 회장이 이틀간 S-DBC가 추진될 창동차량기지 일대, 서울아레나 건립현장, 노원구청 옥상 전망대, 도심형 자연휴양림 ‘수락휴’ 등을 방문했다고 14일 밝혔다. 요하네스 회장은 랩센트럴 회장이자 바이오랩스 최고경영자(CEO)로 활동하며 보스턴 바이오산업을 성장시킨 주역으로 꼽힌다. 오승록 노원구청장과 김창규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은 12일 요하네스 회장과 창동차량기지가 내려다보이는 노원구청 옥상전망대에서 사업 조성지가 가진 입지조건과 주변환경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진 간담회에서는 서울형 랩센트럴 등 바이오산업단지 활성화 방안을 설명했다. 요하네스 회장은 연구여건과 교통망 등에 대해 호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지역 국회의원 등 관계 인사들과 만나 세계 바이오산업의 현안과 지역의 집중적인 지원의 필요성 등을 설명했다. 이번 방문은 S-DBC 추진을 위해 서울시와 노원구가 지난 2023년부터 보스턴 랩센트럴과 논의를 이어온 연장선이다. 지난 6월 보스턴 바이오 USA 행사 현장에서 제안하면서 성사됐다. 오 구청장은 “바이오산업단지의 성공은 하드웨어의 개발과 동시에 산업 생태계가 유기적으로 혁신을 촉진하는 소프트웨어 전략이 병행돼야 한다”며 “보스턴의 혁신 DNA를 노원에 이식해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청년 도시’ 마포, 축제·일자리 페스타 열었다

    ‘청년 도시’ 마포, 축제·일자리 페스타 열었다

    서울 마포구는 지난 13일 홍대 레드로드 R1 일대에서 ‘2025 마포 청년축제 및 일자리 페스타 – 레드로드림’을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축제는 마포청년축제기획단 주관으로 진행돼 마포구 청년들이 기획부터 운영까지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축제는 서강대 응원단 ‘트라이파시’와 청년댄스팀 ‘깔’의 공연을 시작으로 청년 대상 공개 모의면접, 청문청답 토크콘서트, 비전 선포식, 청년 싱어송라이터 8팀의 자작곡 콘서트, 취업특강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이어졌다. 또 9월 청년의 달을 맞아 구직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 페스타도 함께 열렸다. 서울청년센터 마포, 마포청년취업창업지원센터 나루, 서울서부고용센터, 마포직업소개소 등이 참여해 30여 개 체험·홍보 부스를 운영하며 다양한 구직 정보를 제공했다. 아울러 아마존, 넷마블, 나이키, 현대모비스, SK하이닉스 등 12개 기업의 전·현직자가 참여한 소그룹 컨설팅도 마련됐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마포구는 청년을 위한 7대 분야인 일자리, 주거, 복지, 금융, 문화, 교육, 권리 분야 인프라를 더욱 강화해 청년 친화 도시로 발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용산, 체납 차량 실시간 단속해 번호판 떼 간다

    서울 용산구는 체납 차량을 실시간으로 단속할 수 있는 ‘공영주차장 입차 알림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단속 대상은 등록 절차 없이 불법으로 운행되는 무적 차량과 명의만 빌려 범죄에 악용되는 대포차량 등 차량관련 지방세 및 과태료 체납 차량이다. 용산구는 체납 징수 부서와 주차장 관제시스템을 연계해 차량 번호를 자동 확인하고, 이를 통해 단속반의 무선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정보가 전송돼 입차 즉시 번호판을 떼어 가는 영치가 가능해진다. 영치된 번호판은 구 세무관리과를 방문해 체납된 세금을 납부하고 반환받아야 한다. 이번 시스템은 기존 무작위 순찰 방식과 달리 인력과 장비 투입을 최소화하면서도 체납 차량 징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는 현재도 자동차세·주정차 위반 과태료 체납 차량을 대상으로 상시 단속반을 운영 중이며, 올해 1~8월 약 2억 2000만원의 징수 실적을 올렸다. 여기에 이번 시스템을 더해 효율성을 더욱 높일 계획이다. 특히 평일 무작위 순찰과 더불어 오후 6시 이후 야간 영치 특별단속도 병행해 체납 징수 목표 달성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 “강서, 항공기 선회하지 않는 지역 과감하게 고도제한 풀 필요 있어” [현장 행정]

    “강서, 항공기 선회하지 않는 지역 과감하게 고도제한 풀 필요 있어” [현장 행정]

    “강서 동북쪽 25층까지 완화 가능”조속한 법령 개정·지침 마련 촉구 “강서구 동북쪽은 김포국제공항을 오가는 항공기가 선회 접근하지 않습니다. 과감하게 고도제한을 풀 필요가 있는 거죠.” 진교훈 서울 강서구청장은 지난 11일 서남권 최초의 마곡안전체험관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새 고도제한 국제기준의 의미를 이렇게 설명했다. ICAO는 국가나 공항별 특성에 따라 고도제한을 정할 수 있도록 기존 장애물 제한표면을 70년 만에 장애물 금지표면과 평가표면으로 나눴다. 진 구청장은 “김포공항 동남부 방향으로 비행기가 돌아가기에 활주로 북측은 기존 15층 높이인 40m에서 약 25층 높이인 80m로 완화할 수 있다는 연구용역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날 진 구청장은 직접 일일 가이드로 나서 주거와 상업 지역, 녹지가 어우러진 마곡지구 곳곳을 소개하기도 했다. 고도제한 완화가 현실화하면 김포공항 일대 등도 마곡지구처럼 변신하는 데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서구에서 재개발·재건축이 추진 중인 구역은 48곳에 달한다. 물론 강서구가 제시한 높이가 그대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항공 안전과 재산권 보호 등을 고려해 국내에 적용할 방안을 연구용역 중이다. ICAO가 올해 공개하고 내년에 확정하기로 한 항공학적 세부기준도 참고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금지표면은 축소됐지만, 넓어진 평가표면은 어떤 경우 고도제한에서 예외로 할지도 쟁점이다. 양천구·영등포구 등이 수평표면(10.75㎞ 구간)에 들어가게 돼 추가로 90m 고도제한을 받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진 구청장은 “현재보다 고도제한이 불리해지는 지역이 발생해선 안 된다”며 “이는 항공기술 발전에 따라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개정 취지와 배치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강서구도 10.75㎞ 기준은 적용하지 않는 게 타당하다는 전문가 자문을 받았다”며 “높이 90m가 넘는 건물이 일대에 79개나 되는 데다 지금도 ICAO의 외부수평표면(반경15㎞·150m)과 이륙상승표면(15㎞·300m)을 적용하지 않는다. 비행기 운항이 안전하다는 걸 방증한다”고 덧붙였다. ICAO 개정안은 2030년 11월 전면 시행되지만, 하루 빠른 고도제한 완화를 위해 강서구는 관련 법령 개정과 세부 지침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진 구청장은 “ICAO에서 국내 제도 정비를 마치면 조기 도입이 가능하다는 답을 받았다”며 “구민들의 숙원이 해결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성동, 4년 연속 ‘집중안전점검’ 우수 자치구 선정

    성동, 4년 연속 ‘집중안전점검’ 우수 자치구 선정

    서울 성동구는 ‘2025년 대한민국 안전대전환 집중안전점검’에 대한 서울시 평가에서 4년 연속 우수 자치구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대한민국 안전대전환 집중안전점검은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범국민적 안전문화운동이다. 중앙부처, 지자체, 국민이 함께 참여하는 안전점검을 통해 선제적 재난 예방과 국민의 안전의식을 높이고자 시행 중이며, 올해는 지난 4월 14일에서 6월 13일까지 61일간 추진됐다. 구는 올해 집중안전점검 평가에서도 우수 자치구로 선정됨에 따라 서울시 최초로 2022년부터 올해까지 4년 연속 우수 자치구에 이름을 올려 명실상부한 ‘안전관리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이번 평가에서는 주민들의 적극적인 자율점검 참여, 사고우려 시설 위주의 대상 선정, 높은 후속조치 이행률에 의한 사후관리 실적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성동구는 올해 총 81곳의 안전취약시설에 대해 민간 전문가 참여에 의한 합동점검을 실시했다. 문제점이 발견된 시설 중 현장에서 시정이 가능한 부분은 즉시 조치를 완료했으며, 보수·보강이 필요한 시설에 대해서는 보강 조치 방안을 마련하여 개선하는 등 지속적인 관리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구는 설명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집중안전점검 평가에서 4년 연속으로 우수 자치구에 선정된 것은 구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두가 합심해서 노력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주민 모두가 안전한 성동을 만들기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 AI·ICT 인재 키우는 서초… 장학생 30명 선발

    서울 서초구는 오는 24일까지 인공지능(AI)·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장학생 선발 신청을 받는다고 14일 밝혔다. 문주장학재단에서 주관하는 이번 장학생 모집은 양재·우면동 일대가 AI특구로 지정된 가운데 지역 내 AI·ICT 분야 핵심 인재를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한 구의 노력에 재단이 힘을 보태며 마련됐다. 앞서 지난 상반기에는 AI·ICT 전공 대학생 30명을 선발해 올해 1학기 장학금 총 1억 3000여만원을 지원한 바 있다. 이번 하반기에도 구는 내부 기준을 수립해 심사를 거쳐 장학생 30명을 선발하고 재단에서 2학기 장학금을 전액 지원할 예정이다. 장학생 신청 자격은 부모 또는 본인이 모집 공고일 기준 1년 이상 서초구에 거주 중인 2학년 이상 대학생으로, AI·ICT 관련 학과 학생이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다. 구는 학업 성적과 소득 수준 등을 기준으로 심사해 최종 선발 대상자를 다음달 안에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장학생 선발 신청자는 신청서와 구비 서류를 서초구청 교육지원과로 등기우편 접수하면 된다. 구비서류 안내는 서초구청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젊음의 거리 신촌, 글로벌 플랫폼으로

    젊음의 거리 신촌, 글로벌 플랫폼으로

    40개국 50개 대학 청년들 모여 교류사흘간 퍼레이드·전통 의상 등 체험 이성헌 구청장 “화합의 순간 이을 것” “세계 여러 나라 대학생의 젊은 문화가 모인 신촌이 글로벌 플랫폼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이성헌 서울 서대문구청장은 지난 12일 신촌글로벌대학문화축제 개막식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한 신촌글로벌대학문화축제는 40개 나라의 50개 대학 청년들이 참가해 14일까지 이어졌다. 연세대, 이화여대 등 서울의 주요 대학 9개가 모여 하나의 거대한 캠퍼스를 이룬 서대문구의 장점을 살린 축제다. 첫날은 대학교 응원단과 성균관 유생복을 입은 외국인 유학생 등이 참가한 ‘글로벌 거리 퍼레이드’가 연세로를 가득 메웠다. 대만 전통 용춤 공연도 열렸다. 두 번째 날에는 외국인 유학생을 포함한 대학생 300여명이 신촌 스타광장에서 연세대 캠퍼스, 안산 자락길을 달리며 우애를 나눴다. 마지막 날 열린 외국인 유학생 가요제는 K팝에 대한 높은 관심이 나타나는 무대였다. ‘지구촌 문화여행’ 무대에는 튀르키예, 인도, 에콰도르의 전통 공연이 펼쳐졌다. 전통의상을 입어볼 수 있는 주한 외국대사관 부스, 유학생이 직접 소개하는 모국의 문화를 만나는 유학생존, 대사관과 지역상인회가 참여한 세계음식존도 이틀 내내 북적였다. 특히 이번 축제는 8개 대학 38명의 학생들로 구성된 대학생 중앙기획단이 주도적으로 준비했다. 기획에 참여한 카일 구아다나(24) 연세대 외국인 유학생회장은 “학교의 다양성 문화를 보여주기 위해 공들여 부스를 준비했다”며 “서대문구가 글로벌 대학 문화의 본고장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외국인 유학생과 지속적인 교류를 하고 있어 큰 힘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 구청장은 “신촌은 수많은 대학생과 각국의 유학생이 각자 스쳐만 가는 공간이 아니라 하나의 문화를 만들어내는 글로벌 문화 플랫폼으로 거듭나고 있다”며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는 교류하는 즐거움과 화합의 순간을 앞으로도 이어가겠다”고 했다.
  • 로봇 메카 강남

    서울 강남구는 ‘제2회 강남구 로봇·AI 테스트베드’ 공모에서 5개 사를 선정하고, 이달부터 구가 보유한 공공 인프라를 개방해 본격 실증에 들어간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공모에는 총 23개 기업이 지원해 전년 대비 약 2배 증가한 경쟁률을 보였다. 이 가운데 혁신성과 실증 가능성이 높은 5개 과제가 선정됐다. 특히 올해는 행정 수요 중심이었던 지난해 1회차와 달리 병원·도서관·스마트팜·생활체육 시설 등 주민이 직접 로봇을 체감할 수 있는 생활현장으로 범위를 넓힌 점이 특징이다. 이번에 뽑힌 과제들은 생활 속 다양한 공간에서 로봇이 실제로 어떻게 쓰일 수 있는지를 시험한다. 강남구 로봇·AI 테스트베드는 기업이 개발한 로봇 기술과 서비스를 실제 현장에 적용해 성능을 검증하고 보완하는 상용화 지원 프로그램이다. 조성명 강남구청장은 “생활현장에서 바로 쓰이는 로봇 서비스를 구 인프라와 연결해 실증·고도화·상용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며 “실증 과정에서 드러난 한계를 보완해 기업의 시장 진입을 앞당기며, 강남구가 로봇산업 중심도시로 자리매김하도록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 골라 즐기는 재미~ 양천 야외 팝업 놀이터

    골라 즐기는 재미~ 양천 야외 팝업 놀이터

    서울 양천구는 다음 달까지 열리는 5곳의 가을 축제 현장에서 서울형 키즈카페와 연계한 ‘테마형 야외 팝업 놀이터’를 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안전한 야외 환경에서 3세부터 9세까지 아동과 보호자가 함께하는 가족 참여형 놀이공간으로 운영한다. 지난 13일 개최한 ‘파리공원 문화축제’에서는 ‘파리에서 놀다 가자’를 주제로 파리의 상징물을 활용한 테마 놀이터가 운영됐다. 20일 열리는 ‘오목공원 가을문화축제’에서는 ‘가을놀이터’를 테마로 밤 찾기, 나뭇잎 날리기, 캠핑놀이 등이 펼쳐진다. 다음 달 18일 ‘해맞이마을 문화축제’에서는 ‘해맞이 꿈동산’을 주제로 신체활동과 모험을 결합한 놀이가 제공된다. 다음 달 25일 ‘능골산 청소년문화축제’에서는 ‘능골산 탐험대’를 테마로 에어바운스, 회전라이더 등 활동 놀이로 구성된다. 다음 달 26일 ‘양천가족 거리축제’에서는 ‘양천 부루마블’을 주제로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형 놀이공간이 마련된다. 이기재 양천구청장은 “앞으로도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살기 좋은 양천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아동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 노후 준비는 은평에서~ ‘플랜E’ 신청자 모집

    서울 은평구는 중장년의 안정적인 노후 준비를 돕는 ‘플랜 E 은평’ 사업 신청자를 모집한다고 14일 밝혔다. 이 사업은 재무설계사가 효율적인 소득 지출 관리와 안정적인 투자관리 등을 알려주는 일대일 맞춤형 재무 컨설팅이다. 사업 대상은 구에 사는 40세부터 64세까지 중장년 40명이다. 참여 희망자는 15일부터 24일까지 구청 누리집에서 신청서를 받아 작성한 후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결과는 다음달 2일 발표할 예정이다. 사업은 다음달 초부터 12월 5일까지 약 2개월간 운영된다. 참여자는 1인당 총 3회의 대면 또는 비대면 상담을 받는다. 대면 상담 장소는 서울청년센터 은평과 청년취업사관학교 은평캠퍼스, 구 1인가구지원센터 등이다. 사업 관련 자세한 내용은 구 청장년희망과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김미경 은평구청장은 “플랜 E 은평 사업을 통해 중장년 세대에게 맞춤형 자산관리 컨설팅을 제공하고자 한다. 분명 구민들의 금융 복지 향상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인생 재무 설계에 관심 있는 중장년 구민들의 많은 신청 바란다”고 말했다.
  • “공원보다 학습권” 하남시 결단… 미사 과밀학급 내년 3월 ‘숨통’

    “공원보다 학습권” 하남시 결단… 미사 과밀학급 내년 3월 ‘숨통’

    市 공원 부지, 학교 용지로 임대이현재 시장의 ‘1호 결재’ 결실 경기 하남 미사강변도시 과밀학급 문제를 해결해 줄 미사5중(가칭 한홀중)이 내년 3월 개교한다. 한흘중 개교는 이현재 하남시장이 3년여 전 취임 직후 임시 전담팀(TF)을 만들어 가장 먼저 추진한 사업이다. 14일 하남시에 따르면 미사강변도시는 수년간 학급 과밀 문제가 심각해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갈등이 이어져 왔다. 이를 풀기 위해 하남시는 공원 부지를 학교 용지로 무상 임대하는 결정을 내렸다. 아이들의 학습권을 지키기 위한 하남시의 결단이었다. 학교는 설계 단계부터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방향으로 추진돼 개교 이후 운동장과 강당 등 체육시설을 시민에게 개방하는 방안도 반영됐다. 이 시장은 “취임 직후 1호 결재로 추진한 과제가 결실을 맺고 있다”며 “시민과 행정이 협력해 교육문제를 해결한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지난 11일 오성애 광주하남교육지원청 교육장, 학부모 대표, 주민대표들과 함께 현장을 점검하며 안전 대책을 논의했다. 이지영 청아초 학교운영위원장, 최문정 청아초 학부모회장, 김현석 한홀초 학교운영위원장, 이현미 한홀초 학부모회장 등 학부모 대표들은 주요 공정 등을 확인하며 “학생들의 안전한 통학 환경이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는 현재 진입로 개설과 미사숲공원 조성, 블록포장과 공원등 12개 및 폐쇄회로(CC)TV 6대 설치 등 통학로 개선 공사 중이며 다음달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한홀중은 부지 1만 5000㎡ 규모에 총 31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 846명을 수용할 수 있다. 오 교육장은 “공원을 학교 부지로 전환한 것은 전례 없는 결단으로 하남이 교육 신도시로 발돋움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장은 “학부모와 주민, 교육청이 함께해 준 덕분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며 “끝까지 행정력을 집중해 쾌적하고 안전한 학교 환경을 조성하고, 시설을 시민에게 개방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10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한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개정안에 따라 하남교육지원청 신설이 가시화되면서 ‘교육도시 하남’으로 도약할 토대를 확보했다.
  •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억새·단풍으로 ‘가을 멋 내기’

    서울시는 보라매공원에서 열리고 있는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가 가을을 맞아 정원을 재정비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시는 코스모스·국화 등 2만본의 계절 초화를 추가로 심고 가을맞이는 준비했다. 억새, 단풍 등 가을의 계절감을 보여주는 식물들로 봄과 여름과는 다른 정원의 풍경을 만날 수 있다. 지난 5∼6월 큰 인기를 끌었던 ‘메타몽 가든’에 이어 가을 브랜드 협업 캐릭터 팝업 정원인 ‘브레드 이발소 가든’이 열린다. 브레드 이발소 가든은 박람회장 동측 잔디밭에 지난 12일 조성을 완료했다. 추석 연휴 기간에는 한가위 특별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서울달 미니정원’에서 소원을 비는 ‘소원을 들어주는 서울달’과 정원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정원한컷’ 등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한편 올해 서울국제정원박람회는 개막 111일차인 지난 9월 누적관람객 700만명을 돌파했다.
  • ‘케데헌 도시’ 서울서 세계 도시들 미래 꿈꾼다

    국내외 70여개 대도시 관계자들이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도시 서울에 모인다. 서울시는 오는 29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2025 세계대도시협의회 창립 40주년 기념 서울 총회’가 개최된다고 14일 밝혔다 서울은 협의회의 공동의장 도시로, 총회가 서울에서 개최되는 것은 2002년 이후 두 번째다. ‘메트로폴리스’로 불리는 세계대도시협의회는 대도시가 공통으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5년 설립된 국제도시 네트워크로, 인구 100만명 이상의 도시 또는 수도가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이번 총회에는 의장인 모로코 라바트 시장을 비롯해 뉴욕, 부에노스아이레스 등 전세계 40여개국 70여개 도시 시장단 등 총 300여명이 참석한다. 총회 첫날 개회식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대도시의 미래’라는 주제와 연계해 ‘서울이 준비하는 미래의 모습과 주요 정책’을 소개하고, 세계적인 미래학자 제이슨 솅커 퓨처리스트 인스티튜트 의장이 기조연설을 한다. 이어 서울시는 도시의 미래를 논의하는 ‘메가시티 다이얼로그’에서 디딤돌소득, 서울런 등 주요 정책의 성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한다. 아울러 참석자들은 ‘케데헌’의 배경이 된 서울 명소들을 둘러볼 예정이다. 한편 서울디자인재단은 세계디자인기구(WDO) 창립 70주년을 기념해 열리는 2027년 정기총회 개최지로 서울이 선정됐다고 이날 밝혔다.
  • 새만금공항 취소 후폭풍… 제주 제2·가덕도 촉각

    새만금국제공항 건설 기본계획을 취소해야 한다는 법원 판결이 나오자 제주 제2공항, 가덕도신공항, 흑산공항 등 현재 추진되는 지방공항들도 제동이 걸릴까 우려하며 지자체마다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일제히 성명을 내고 백지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부산시는 비상이 걸렸다. 가덕신공항이 행정소송과 함께 위헌법률심판 제청까지 걸려 있어 이번 판결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서울행정법원은 지난 11일 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이 국토교통부를 상대로 낸 새만금공항 개발사업 기본계획 취소소송에서 조류 충돌과 환경파괴를 제대로 검토하지 않았다며 원고 승소 판결했다. 가덕도신공항반대시민행동은 12일 “가덕도는 국제적 철새 이동 경로이며 낙동강하구 철새도래지로부터 불과 3.3㎞ 거리에 위치한 핵심 서식지이다”며 “조류충돌위험횟수(TPDS) 가 김해공항의 최대 8배, 무안공항의 최대 353배가 예측됐음에도 전략환경영향평가 보고서는 이를 축소했다”고 지적했다. 제주도는 내년도 예산안에 실시설계 용역비 150억원이 편성된 제주 제2공항이 제주 최대 철새도래지 한 가운데 추진하고 있어 후폭풍을 주시하고 있다. 제주 2공항은 최근 동식물상 조사범위가 300m에서 2㎞로 확대되면서 환경영향평가에 1년여 소요될 전망이다.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는 11일 성명을 내고 “제2공항 역시 사전타당성 용역 과정에서 조류충돌 위험을 평가하지 않았고,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도 172종 중 39종만 반영해 위험성을 축소·조작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환경연구원 등 전문가들이 제2공항 후보지에 대해 ‘입지 부적합’ 의견을 여러 차례 냈음에도 사업은 강행됐다”고 덧붙였다. 전남도가 추진하는 신안 흑산공항도 조류 충돌 위험과 생태계 훼손 등에서 자유롭지 않은데다 사업 규모가 늘어나면서 기획재정부가 타당성 재조사를 하고 있어 영향을 받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 현대백화점, 명절 상품권 패키지 판매

    현대백화점, 명절 상품권 패키지 판매

    현대백화점은 올 추석을 앞두고 다음달 5일까지 서울 압구정본점 등 전국 14개 점포에서 명절 상품권 패키지를 판매한다. 상품권 30만원 이상 구매 시 신사임당 고서화를 그려 넣은 고급 봉투를 증정한다. 사진은 14일 서울 강남구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에서 직원들이 명절 상품권을 소개하는 모습. 현대백화점 제공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