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Ʊ׶ ۿ -񡩾Ʊ׶ǰ-pom555.kr-񡩾Ʊ׶ ȿ Visit our website:(xn--fast-fy4p586i.com)
    2025-09-1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131,645
  • 김성남 경기도의원, 경기도 조사료 생산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 상임위 통과

    김성남 경기도의원, 경기도 조사료 생산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 상임위 통과

    경기도의회 김성남 의원(국민의힘, 포천2)이 대표발의한 「경기도 조사료 생산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이 9일에 열린 제386회 임시회 제1차 농정해양위원회 상임위 심사를 통과했다. 이번 조례안은 사료 가격 급등과 수입 의존 심화로 어려움을 겪는 도내 축산농가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최근 수입 조사료 의존도가 높아지고 국제 곡물 가격이 불안정해지면서, 축산농가의 사료비 부담이 크게 증가했다. 이에 따라 국내산 조사료의 자급률을 높이고 품질을 개선하는 일이 축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도 조사료 확대 정책을 추진 중이며,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대응 역시 요구돼 왔다. 김성남 의원이 대표 발의한 이번 조례안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경기도가 조사료 생산과 지원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도지사의 책무를 비롯해 조사료 생산 및 지원계획 수립, 실태조사, 사업 지원 범위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김 의원은 “사료값 급등과 수입 의존 심화는 축산농가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라며 “이 조례안이 경기도가 양질의 국내산 조사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자급 확대를 통해 축산농가의 경영 안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김완규 경기도의원, 성과 있는 복지사업 예산 삭감·집행 부진 사업 방치...도민 체감도 떨어뜨려

    김완규 경기도의원, 성과 있는 복지사업 예산 삭감·집행 부진 사업 방치...도민 체감도 떨어뜨려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완규 의원(국민의힘, 고양12)은 9월 10일 열린 제386회 임시회 보건복지위원회 회의에서 2026년도 복지분야 출연계획 동의안을 심사하며, 성과 있는 사업은 축소되고, 집행 부진한 사업은 개선 없이 예산만 이어지는 문제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김완규 의원은 먼저 ‘경로당 스마트 환경조성 사업’의 집행률이 7월 기준 0.8%에 불과하다는 점을 들어 “에어컨, TV 설치와 같은 주요 시설은 이미 설치 시기를 놓쳤음에도 불구하고 집행이 지지부진하다”며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지 못한 채 2026년도 예산은 19억 원으로 대폭 줄어든 것은 무책임한 행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예산이 줄어든 만큼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명확히 설명해야 한다”며 철저한 사업 관리와 효율적인 예산 집행을 요구했다. 반대로 성과가 높게 나타난 사업이 오히려 예산 삭감을 당한 문제도 지적했다. 김완규 의원은 “복지정보안내도우미 사업은 7월 기준 94.2%의 집행률을 기록하며 도민 만족도도 높은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2026년 예산에서 3억 8,200만 원이 삭감됐다”며 “의회가 제안해 추진된 성과 있는 사업을 단순히 재정 여건을 이유로 줄이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이런 식의 예산 조정은 도민의 복지 체감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는다”고 비판했다. 또한 지원기반 구축 사업의 예산 증액 문제를 언급하며 “집행률이 29.5%에 불과한 사업이 내년도에는 2억 원 이상 증액되었고, 특히 정책홍보비는 5,800만 원에서 1억 5,895만 원으로 세 배 가까이 늘었다”며 “증감 사유에 ‘정책홍보 및 연구용역’이라고 적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홍보비가 대폭 늘어난 것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도민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사업이 아닌 홍보성 예산이 늘어난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찾아가는 복지정책포럼’의 일몰 처리에 대해서도 강한 유감을 표했다. 김완규 의원은 “찾아가는 복지정책포럼은 도의원들에게 매우 소중한 소통의 장이자 정책 개발의 중요한 도구였음에도 불구하고, 내년 지방선거 등을 이유로 사업을 아예 중단시키고 예산 반영조차 하지 않는 것은 도민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처사”라며 “필요하다면 다시 조정해 반영할 수 있도록 의회와 협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완규 의원은 끝으로 “복지분야 출연기관 예산은 도민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만큼, 성과 있는 사업은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집행 부진 사업은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경기도는 단순히 재정 논리에만 치우칠 것이 아니라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성과를 최우선에 두고 예산을 편성·집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건설연, 무인 로봇으로 교량거더 설치기술 세계 최초 현장 적용

    건설연, 무인 로봇으로 교량거더 설치기술 세계 최초 현장 적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교량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교량용 거더 원격정밀거치 기술’을 개발해 세계 최초로 교량 공사 현장에 적용했다고 11일 밝혔다. 지상에 원격제어 시스템을 설치하고 원격정밀거치 로봇을 조종해 교각 등에 상판을 올리기 위해 놓는 보를 가리키는 ‘거더’를 로봇 기술로 설치하는 방식이다. 기존에는 교각이나 교대 위에서 작업자가 직접 위치를 조정하며 거더를 설치해야 했는데,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추락해 중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지난 2월 25일 경기 안성 서운면 서울세종고속도로 세종~포천 포천방향 구간 청룡천교 공사 현장에서 당시 작업자 10명이 추락, 매몰돼 4명이 숨지고 6명이 다치는 사고가 일어났다. 당시 거더가 넘어지는 것을 막으려 설치한 스크류잭을 별다른 조치 없이 제거해 사고가 발생했다. 이 기술은 건설연과 한국로봇융합연구원, SB엔지니어링, 동일기술공사가 공동으로 개발했다. 2020년 설계를 시작해 2023년 한국도로공사와 함께 마련한 교량 시험 적용을 거쳐 이번에 국가철도공단에서 제공한 교량 시공 현장에 이 기술을 시험적으로 적용했다. 박선규 건설연 원장은 “교량 건설 현장에서 로봇을 이용해 거더 설치를 수행하는 첫 사례로서, 우리나라는 물론 해외에서도 사례를 찾아볼 수 없다”며 “고위험 작업의 무인화로 중대재해 없는 안전한 건설 현장을 구현하는 데 이바지할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한국도로공사가 총괄하는 스마트건설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한 ‘도로구조물 원격․자동화 시공 기술 개발(2020~2025)’ 지원으로 수행됐다.
  • 오석규 경기도의원, 관광취약계층 여행권 보장, 차별없는 관광복지 시대 제도적 발판 마련

    오석규 경기도의원, 관광취약계층 여행권 보장, 차별없는 관광복지 시대 제도적 발판 마련

    경기도의회 오석규 의원(더불어민주당, 의정부4)이 대표 발의한 「경기도 관광취약계층 여행 기회 보장에 관한 조례안」이 10일 소관 상임위원회인 문화체육관광위원회를 통과하며, 모든 도민의 보편적 관광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적 초석을 다졌다. 오석규 의원은, “아동·청소년 시기의 여행 경험은 인생 전반에 큰 의미가 있지만, 현실적으로 이들이 독립적인 여행을 하기가 어려운 현실이다”면서, “사회적 제도나 복지기관 등의 수혜로 여행 기회가 상대적으로 어른들 위주로 제공이 되고 있어, 아동·청소년의 여행 활동 지원에 방점을 두고 조례를 제정했다”라고 강조했다. 이번에 통과된 조례안은 장애인, 고령자 등을 위한 물리적 장벽을 허무는 ‘무장애 (Barrier-Free)’ 환경 조성을 뛰어넘어 경제적·사회적 장벽을 허무는 ‘기회보장(Opportunity –Guarantee)’의 의미로 확대되었음을 강조하였다. ▲여행에 필요한 경비 지원 ▲장애물 없는 관광 환경 조성을 위한 관광시설 개선 지원 ▲관광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관광 정보 제공 및 홍보 ▲여행 동반자 양성 및 지원 등이 포함된다. 일회성, 시혜적 지원을 넘어 경기도 차원의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이번 조례안 통과로 경기도 내 약 513,994명으로 추산되는 관광취약계층이 실질적인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 누구나 차별 없이 여행의 즐거움을 누리고, 이를 통해 삶의 활력을 되찾는 보편적 관광복지 실현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게 됐다. 오 의원은 “여행은 일부 계층의 전유물이 아닌, 모든 도민이 누려야 할 보편적 권리”라며 “이번 조례안 통과가 경제적, 사회적 제약으로 여가를 즐기기 어려웠던 분들께 희망을 드리는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 단순한 여행 지원을 넘어, 사회 구성원으로서 함께 어울리고 삶의 활력을 되찾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앞으로 조례가 현장에서 실질적인 정책으로 이어져 예산이 확보되고 많은 도민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해 살피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오석규 의원은 관광학 박사로 대학(원)에서 관광학 전공 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중국 국영 관광기업의 한국법인에서 임원으로 재직하는 등 실무와 이론을 겸비한 관광전문가로 국회(문화·체육·관광) 입법지원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이오수 경기도의원, “재해보험 감액 우려…농민에게 실질적 안전망 유지돼야”

    이오수 경기도의원, “재해보험 감액 우려…농민에게 실질적 안전망 유지돼야”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이오수 의원(국민의힘, 수원9)은 10일 열린 ‘제386회 임시회 농정해양위원회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의’에서, ‘농작물재해보험 가입지원’ 사업의 도비 예산 10억 원 감액에 대해 “기후위기 속 농업의 불안정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농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질적 안전망은 오히려 더욱 강화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이 의원은 “도에서는 수입안정보험의 가입률이 낮다는 이유로 전체 예산을 감액했지만, 정작 현장에서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은 ‘농작물재해보험’”이라며 “두 보험이 하나의 예산 항목으로 묶여 있고, 가입자가 둘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하는 구조인데 이 구조 속에서 수요가 높은 항목까지 감액되는 건 타당하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또 “경기도의 재해보험 가입률은 전국 평균보다 20%p 이상 낮은 30%대에 머무르고 있다”라며 “도민의 재난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오히려 재해보험 참여를 유도하고,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절실하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수입안정보험에 대해서는 “보장 품목이 제한적이고, 자부담 비율이 높아 농민들이 실제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의 보상이 이뤄지기 어렵다”라며 “현장 수요와 작물별 특성을 반영한 제도 개선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이오수 의원은 “재해보험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어려움에 직면한 농민들에게 최소한의 보호장치는 있어야 한다”라며, “기후변화에 맞서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지키기 위해 도 차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 김옥순 경기도의원, 경기도 경기알이백(RE100) 지원 조례안 상임위 심사 통과

    김옥순 경기도의원, 경기도 경기알이백(RE100) 지원 조례안 상임위 심사 통과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김옥순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이 대표발의한 「경기도 경기알이백(RE100) 지원 조례안」이 10일(수) 경기도의회 제386회 임시회 제2차 도시환경위원회 회의에서 원안가결됐다. 이번 조례안은 경기도가 추진하는 기업ㆍ도민ㆍ공공ㆍ산업부문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에너지 전환정책인 경기알이백(RE100)이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제정됐다. 경기도는 2023년 ‘경기 RE100 비전’ 선언을 통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3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으며 이를 위해 공공기관 RE100 전환, 산업단지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 재생에너지 거래 플랫폼 구축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김 의원은 제안설명에서 “경기알이백(RE100)은 기업과 도민이 함께 참여하는 경기도 차원의 핵심 에너지 전환 전략”이라며 “이번 조례를 통해 경기도가 지역 맞춤형 에너지 전환을 뒷받침하는 공공주도의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민간 확산을 견인하는 제도적 장치를 확보하게 됐다”고 밝혔다. 조례안의 주요내용은 ▲ 경기알이백(RE100) 추진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 ▲ 지역맞춤형 대규모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경기알이백(RE100) 특별구역 지정 및 지원 ▲ 공공ㆍ기업ㆍ도민ㆍ산업 부문별 지원사업 추진 ▲ 자가소비형 재생에너지 발전량 인증 및 인증서 거래 플랫폼 개발ㆍ운영 ▲ 재정지원 및 융자사업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규정하고 있다. 김 의원은 “이번 조례는 지방정부 차원에서 RE100 확산을 종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전국 최초의 조례로 재생에너지 전환 과정에서의 사회적 갈등을 줄이고 정책의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며 “이를 계기로 경기알이백(RE100)이 에너지 자립과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모범적 모델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상임위원회를 통과한 조례안은 오는 19일 제4차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될 예정이다.
  • “청년에게 힐링과 즐거움을” 19일 천안서 피크타임 페스티벌

    “청년에게 힐링과 즐거움을” 19일 천안서 피크타임 페스티벌

    충남 천안시는 19일 시민체육공원에서 전국청년축제 ‘2025 피크타임 페스티벌’이 열린다고 11일 밝혔다. 충남도와 공동으로 주최하는 이번 축제는 ‘꿈동산, 유스토피아’를 주제로, 꿈을 향해 나아가는 청년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피크타임 페스티벌은 잔디광장에서 별도의 좌석 없이 누구나 무료로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피크닉(picnic)형 축제다. 행사는 △대학생 동아리 경연대회 △클래식과 재즈가 혼합된 창작 국악 공연 △토크콘서트 △가수 축하 무대 등이 열린다. 행사 기간 축제장에서는 대기업 현직자 멘토링과 버스킹존 남녀 2대2 매칭, 체험형 추리 게임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힘겨운 일상을 사는 청년들에게 힐링과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도록, 청년이 주인공이 되는 피크타임 페스티벌을 안전하게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DK아시아, 신검단 로열파크씨티Ⅱ ‘로열 트레인&로열 뮤직룸’ 공개

    DK아시아, 신검단 로열파크씨티Ⅱ ‘로열 트레인&로열 뮤직룸’ 공개

    -프리미엄 리조트 라이프를 통해 건강한 쉼, 일상이 힐링이 되는 삶 구현-단지 안팎으로 운행되는 로열 트레인, 가족과 함께 동심으로 돌아가는 사계절 여행-가족과 이웃이 하나 되는 로열 뮤직룸, 일상이 곧 휴식 힐링이 되는 특별한 체험 제공 대한민국 첫 번째 리조트 도시 로열파크씨티가 이번에는 일상 속 특별한 행복을 선사하기 위해 ‘로열 트레인’과 ‘로열 뮤직룸’을 선보인다. DK아시아는 신검단 로열파크씨티Ⅱ에 국내 최초로 로드 기차를 도입하고, 단지 내 상업시설인 로열 아너스 애비뉴에는 음악으로 소통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열 트레인은 궤도 없이 바퀴로 달리는 무레일 기차로 삼성에버랜드 등 대형 놀이공원에서만 즐길 수 있던 특별한 힐링 콘텐츠다. 국내 최초로 아파트 단지에서 기차가 운행되는 사례로 16m에 이르는 기차가 운행될 수 있을 만큼 넓은 동간 거리와 여유로운 단지 공간을 갖춘 특별한 자신감에서 운행이 시작됐다. 로열파크씨티즌들은 로열 트레인을 통해 사계절의 풍경과 조경을 감상하며 동심(童心)으로 돌아가는 특별한 여행 같은 순간을 누릴 수 있다. 로열 트레인은 시속 5~7km의 안전한 속도로 운행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으며,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단지 전체를 하나의 프리미엄 리조트처럼 경험하게 하는 특별한 라이프 콘텐츠다. 로열 트레인은 총 5대가 운행 될 예정으로 기관차와 객차로 구성되어 최대 16명까지 탑승할 수 있다. 로열파크씨티즌 뿐만 아니라 방문 고객도 사전 예약이나 현장 접수를 통해 탑승할 수 있으며, 단지 내부뿐 아니라 순백의 메밀꽃과 황토 십리길을 잇는 관광형 코스로도 운영되어 집 앞에서 특별한 여행 같은 힐링을 즐길 수 있다. 이와 함께 단지 내 상업시설에는 ‘로열 뮤직룸’이 마련된다. 이곳은 6개의 호텔식 고급 뮤직룸으로 조성돼 가족과 이웃이 함께 노래하며 웃음을 나눌 수 있는 정서적 힐링 커뮤니티다. 아파트 단지에서 호텔식 고급 뮤직룸을 운영하는 것은 국내 최초로 단순한 오락을 넘어 서로의 마음을 이어주고 일상의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건강한 쉼과 정서적 힐링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DK아시아 조재만 대표는 “대한민국 첫 번째 리조트 도시의 진정한 가치는 멀리 떠나야만 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 가까이에 마련된 공간과 순간 속에서 자연스럽게 채워 진다.” 며 “단지 안팎을 운행하는 로열 트레인은 가족과 함께 동심으로 돌아가 사계절을 여행하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며, 호텔식 고급 뮤직룸은 이웃과 가족이 함께 웃고 노래하는 가운데 일상이 곧 힐링이 되는 공간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로열파크씨티는 앞으로도 주거 공간을 넘어 특별한 자부심을 선사하는 프리미엄 리조트 라이프를 구현하고, 다양한 공간과 프로그램을 통해 대한민국에서 가장 특별한 도시로 성장해 나갈 것” 이라며 “로열파크씨티즌들이 프리미엄 리조트 라이프를 통해 건강한 쉼과 일상이 힐링이 되는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서울데이터랩]삼천당제약 1.64% 하락 중 혼조세 나타나

    [서울데이터랩]삼천당제약 1.64% 하락 중 혼조세 나타나

    코스닥 바이오 및 기술주들이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알테오젠(196170)(액면가 500원)은 현재가 47만9,0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44% 하락하고 있다. 상장주식수 53,465주에 외국인비율 14.25%를 기록하며, 거래량은 223,014주로 나타났다. PER 271.54, ROE 29.52로 재정 상태는 안정적이나 주가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반면, 2위 에코프로비엠(247540)(액면가 500원)은 현재가 11만6,1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26% 상승하며 소폭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 종목의 상장주식수는 97,801주이며, 외국인비율 12.06%와 거래량 170,730주를 기록하고 있다. PER -146.59, ROE -6.26으로 재정 상태는 부정적이지만 외국인의 매수세가 주가를 지탱하고 있다. 시가총액 3위 펩트론(087010)은 8.81% 상승하는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거래량은 258,371주로 나타났다. 파마리서치(214450)는 2.81% 상승했으며, 거래량 80,462주를 기록 중이다. 에이비엘바이오(298380)는 3.11% 상승하며 거래량 801,458주로 높은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이오테크닉스(039030)는 0.24% 상승 중이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삼천당제약(000250) ▼1.64%, 휴젤(145020) ▼1.83%, 리노공업(058470) ▼0.20%, 클래시스(214150) ▼1.24%, ..., 실리콘투(257720) ▲1.97%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 시장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 비율이 높은 종목들에서도 엇갈린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거래량이 많은 종목들은 대체로 상승세를 보이며, 이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종목별 재정 상태는 전반적으로 불안정하지만, 일부 종목은 안정적인 재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에이프로젠 거래대금 206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에이프로젠 거래대금 206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에이프로젠(007460)이 2,600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769원으로, 시가총액의 0.82%에 해당하는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3.50%의 상승률을 보인다. 에이프로젠의 PER은 -4.16, ROE는 -37.91로, 재무 지표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엔케이(085310) 역시 2,400만주 이상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하고, 현재 주가는 1,543원으로 6.05% 상승 중이다. 시가총액의 3.20%를 차지하는 거래대금과 함께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PER은 -77.15, ROE는 0.50이다. 퍼스텍(010820)은 현재가 4,995원으로 13.52% 급등하며 거래량 1,400만주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72,600원으로 보합세를 유지하며 872만주가 거래되고 있으며, 한진중공업홀딩스(003480)는 6,220원으로 7.24% 상승, 834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두산퓨얼셀(336260)은 30,500원으로 14.88% 급등하며 거래량 787만주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HJ중공업(097230)은 32,650원으로 1.36% 하락하며 688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SK오션플랜트(100090)는 25,700원으로 7.76% 상승, 610만주 이상이 거래되고 있으며, 화승알앤에이(378850)는 3,730원으로 3.61% 상승, 584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삼성중공업(010140)은 22,300원으로 3.48% 상승, 566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상상인증권(001290) ▼4.46%, 미래에셋증권(006800) ▼2.64%,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 ▲29.96%, SK증권(001510) ▼1.57%, SK하이닉스(000660) ▲2.38%, 두산에너빌리티(034020) ▼1.92%, 화인베스틸(133820) ▲2.90%, 신성이엔지(011930) ▼0.77%,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003060) ▲1.23%, 한국토지신탁(034830) ▲1.72%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퍼스텍과 두산퓨얼셀은 각각 13.52%와 14.88%의 급등세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퍼스텍은 거래량 1,400만주 이상, 거래대금 696억원으로 시가총액의 2.86%를 기록하고 있어 시장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두산퓨얼셀도 거래량 787만주 이상, 거래대금 2,329억원으로 시가총액의 11.65%에 달하는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강한 매수세를 받고 있다. 반면, 상상인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은 각각 4.46%와 2.64% 하락하며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피는 엇갈린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 종목들은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며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시장의 흐름을 주시하며 신중한 대응이 필요할 전망이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두산에너빌리티 2.08% 하락 시장 엇갈린 흐름

    [서울데이터랩]두산에너빌리티 2.08% 하락 시장 엇갈린 흐름

    코스피 주요 종목들이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다. 11일 오후 12시 20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005930)(액면가 100원)는 현재가 72,45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21% 하락하며 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 상장주식수 5,919만6,638주에 외국인비율이 50.54%인 삼성전자는 PER 16.18, ROE 9.03으로 안정적인 재무 지표를 보이고 있다. 반면, SK하이닉스(000660)(액면가 5,000원)는 현재가 310,000원으로 1.97% 상승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상장주식수 72만8,002주와 외국인비율 55.97%를 기록하며, PER 7.82, ROE 31.06으로 수급과 재무 지표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2.35% 상승하며 거래량은 16만2,939주를 기록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0.68% 상승세를 보이며, 거래량은 3만4,757주에 달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3.31% 오르며 활발한 거래량 15만8,951주를 기록 중이다. 반면, 삼성전자우(005935)는 0.51% 하락하며 거래량 74만6,023주를 기록하고 있다. 현대차(005380)는 0.23% 하락하며, 거래량은 21만1,567주이다. HD현대중공업(329180)은 보합세를 보이며 거래량 6만6,166주를 기록 중이다. KB금융(105560)은 0.94% 하락하며 거래량은 51만9,245주로 나타났다. 기아(000270)는 0.19% 하락하며 거래량은 29만4,216주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두산에너빌리티(034020) ▼2.08%, 셀트리온(068270) ▲0.12%, NAVER(035420) ▲0.21%, 한화오션(042660) ▼0.09%, 신한지주(055550) ▲0.59%, 삼성생명(032830) ▲0.19%, 삼성물산(028260) ▲0.99%, HD한국조선해양(009540) ▲1.21%, 현대모비스(012330) ▼0.63%, 카카오(035720) ▲0.33%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시장은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 비율과 거래량이 높은 종목들이 대체로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SK하이닉스와 LG에너지솔루션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으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거래량이 높은 종목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성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텔콘RF제약 거래대금 352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텔콘RF제약 거래대금 352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텔콘RF제약(200230)이 약 2,918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276원이며, 거래대금은 35,270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12%에 해당한다. 매수세와 매도세가 접전을 펼치는 가운데, 텔콘RF제약은 -19.44%의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PER는 -2.22, ROE는 -28.11로써 재무 지표는 부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어서 빌리언스(044480)는 27,982,193주의 거래량으로 2위를 기록하며, 19.12% 급등한 486원에 거래되고 있다. 거래대금은 13,851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7%에 달한다. PER는 -7.71, ROE는 -10.32로 재무 지표는 부정적이다. 씨피시스템(413630)은 27,263,230주의 거래량으로 3위를 차지하며, 현재 3,275원으로 23.12% 폭등하고 있다. 동일스틸럭스(023790)는 2.06% 상승한 3,715원에 거래되며 17,422,985주의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로보로보(215100)는 9.04% 상승하여 5,670원에 거래 중이다. 나무기술(242040)은 7.43% 상승한 1,547원, 현대무벡스(319400)는 0.24% 상승한 8,330원, 엑셈(205100)은 6.38% 상승한 2,335원에 거래되고 있다. 스맥(099440)은 6.48% 상승한 4,685원, 글로벌텍스프리(204620)는 11.05% 급등하여 5,73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대한광통신(010170) ▲1.50%, 유니슨(018000) ▲12.92%, 휴림로봇(090710) ▼2.00%, 한국선재(025550) ▲5.90%, 동양에스텍(060380) ▲22.37%, 다날(064260) ▲0.88%, 대창솔루션(096350) ▲1.79%, 일승(333430) ▲5.85%, KD(044180) ▲0.71%, 케이프(064820) ▲16.50%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씨피시스템과 케이프가 있다. 씨피시스템은 23.12% 폭등세를 기록하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약 7%에 달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케이프는 16.50% 상승하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2%를 넘는다. 하락 종목으로는 텔콘RF제약과 휴림로봇이 있는데, 텔콘RF제약은 -19.44% 급락하며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12%를 차지해 변동성이 큰 상태다. 휴림로봇은 -2.00% 하락했지만, 거래대금은 시가총액의 약 1%로 매수세와 매도세가 팽팽히 맞서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 종목과 하락 종목이 엇갈리며,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높은 종목들이 많아 투자 심리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투자자들의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어린이의 시선으로 무대에 담은 노원…어린이·청소년 연극제

    어린이의 시선으로 무대에 담은 노원…어린이·청소년 연극제

    서울 노원구가 지역 어린이들이 직접 제작·발표하는 ‘노원 어린이·청소년 연극제’를 연다고 11일 밝혔다. 노원 어린이·청소년 연극제는 노원구의 다양한 장소, 역사, 문화를 주제로 한 창작극을 어린이 배우들이 참여해 발표하는 지역 기반 공연 예술 프로젝트다. 공연을 통해, 구는 어린이들의 무대 경험과 표현의 장을 제공한다. 올해는 지역구 내 어린이·청소년 24명이 지역 예술단체 2곳, 마을플랫폼 1곳과 협업해 공연을 완성했다. 노원연극협회는 ‘깨비들의 떡소동’을 선보인다. 도깨비들이 몰래 살아가는 공릉동 도깨비시장을 배경으로, 배고픈 도깨비 냠냠이가 떡을 훔쳐 생긴 소동을 그렸다. 조각바람프로젝트는 일곱 명의 어린이가 연극제를 준비하며 동네의 의미와 공동체에 대해 고민하는 과정을 그렸다. 연극제는 노원어린이극장에서 오는 9월 13일 오전 11시와 오후 3시, 총 2회에 걸쳐 열릴 예정이다. 전석 무료로 진행되며 관람 가능 연령은 36개월 이상으로 1인 1장의 입장권을 소지하여야 한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앞으로도 어린이들이 문화예술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지역과 소통하는 기회를 넓혀가겠다”고 말했다.
  • 도봉구청, ‘다음 주 목’…청년 진로·정책 캠퍼스로 변신

    도봉구청, ‘다음 주 목’…청년 진로·정책 캠퍼스로 변신

    서울 도봉구가 오는 18일 오후 2시 도봉구청에서 청년 진로·정책 박람회, ‘제2회 청(년)정(책)모아’를 개최한다. 이번 박람회는 청년들이 정책 상담을 통해 실질적인 자립 기반을 다지고 기업 관계자 등과의 소통으로 진로 방향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도봉구청 1~2층은 청년들의 미래 설계를 위한 공간으로 꾸며진다. 청년정책 홍보관, 기업 홍보관이 조성되며, 취업 지원프로그램 등도 운영된다. 청년정책 홍보관에서는 취업, 창업, 주거, 금융 등 청년들에게 필요한 정책 정보를 제공한다. 청년들은 개별 상황에 맞는 1대1 맞춤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참여 기관으로는 도봉구 청년창업센터, 서울영테크, 청년안심주택 종합지원센터, 청년취업사관학교 도봉캠퍼스, 국민연금공단 도봉노원지사 등이 있다. 기업 홍보관에서는 기업별 직무 상담과 더불어 기업에서 준비한 자체 프로그램을 진행해 직무별 업무 프로세스와 필요 역량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도봉구 청년창업센터 입주기업 등 총 11개 기업이 참여한다. 취업 지원프로그램에는 대기업·전문직 현직자 직무특강이 준비돼 있다. 인사(HR), 데이터분석, 서비스 기획 관련 대기업 현직자와 회계사, 노무사, 변리사 등 전문직 종사자가 참여해 직무 이해를 돕는다. 일대일 취업 컨설팅도 마련됐다. 전문 취업 상담사 4명이 1인당 30분씩 자기소개서 첨삭부터 면접 노하우까지 상세히 알려준다. 오언석 도봉구청장은 “이번 박람회를 통해 청년들이 ‘삶’과 ‘일’의 방향을 찾고 주체적으로 성장해나갈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부산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가능성 커져…내달 최종 심의

    부산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가능성 커져…내달 최종 심의

    부산 대표 명산인 금정산이 연내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커졌다. 부산시는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이 지난 4일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원안 의결됐다고 10일 밝혔다. 이 심의는 금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려면 거쳐야 하는 핵심 절차다. 심의에서는 금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려면 필요한 공원 구역 지정과 공원 용도지구 설정,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등을 검토했다. 이번 심의 통과에 따라 금정산은 내달 개최 예정인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 최종 심의만 통과하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다. 이후에는 올해 말까지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후속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게 된다. 금정산은 낙동정맥에 있는 국가 주요 생태축으로 천혜의 자연경관을 지녔다. 다양한 생태자원을 비롯해 범어사, 금정산성 등 역사·문화자원도 풍부하게 갖추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이 국립공원이 될만한 가치가 있는지 평가한 결과 금정산 일대에 멸종위기 13종을 포함한 동식물 1482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신라시대에 창건한 범어사와 사찰 안팎 보물 등을 포함한 국가 유산 105점이 있어 기존 국립공원과 비교해도 최상위 수준의 문화자원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 부산에서는 지역의 대표적인 명산인 금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자는 여론이 2005년부터 형성됐다. 타당성 검토 등 여러 과정을 2019년 시가 환경부에 국립공원 지정을 공식 건의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통과는 부산시민 모두가 노력해 얻은 소중한 성과다. 금정산이 국내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도록 남은 절차를 차질 없이 이행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대기업 ‘1년 연봉’ 4000만원을 단 하루에 벌어?”…코인 성공담 빠져든 취준생 [파멸의 기획자들 #05]

    “대기업 ‘1년 연봉’ 4000만원을 단 하루에 벌어?”…코인 성공담 빠져든 취준생 [파멸의 기획자들 #05]

    서울신문 나우뉴스는 ‘사기공화국’ 대한민국에 경종을 울리고자 르포 소설 ‘파멸의 기획자들’을 연재합니다. 우리 사회를 강타한 실제 가상화폐 사기 사건을 나한류 작가가 6개월 가까이 취재·분석해 소개합니다. 독자 여러분께 ‘사기를 피하는 바이블’이자 정부가 범죄에 더 엄하게 대응하도록 촉구하는 ‘여론 환기’ 역할을 하고 싶습니다. 제보자 및 피해자 보호를 위해 사건 속 인물과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 등은 모두 가명 처리했습니다. 대전의 한적한 대학가. 졸업을 코앞에 둔 20대 청년 이성진은 오늘도 자신의 원룸에 켜켜이 쌓인 전공 서적 옆에서 한숨을 쉬었다. 지역에서 알아주는 4년제 대학을 다니고 있지만 지금같은 불경기에는 원하는 회사에 취직하기가 쉽지 않음을 알고 있었다. 이수 학점을 거의 채웠지만 졸업을 최대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일로 하루를 보냈다. 낮에는 왁자지껄한 중국집 주방에서 웍 소리와 기름 냄새에 뒤섞여 땀을 쏟아냈다. 뜨거운 불 앞에서도 그의 머릿속은 온통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가득했다. 밤이 되면 시 외곽 공업단지 한편에 자리잡은 편의점의 계산대를 지켰다. 그나마 여기는 일이 많지 않아 조금이나마 숨통이 트이는 곳이었다. 처음엔 저녁 6시부터 10시까지 네 시간을 일했지만, 야간 근무를 하던 형이 취업에 성공해 ‘심야 알바’ 자리가 공석이 되었다. “성진아, 야간 일 좀 맡아줄 수 있을까? 정 안 되면 사람 구할 때까지만이라도…” 편의점 사장의 간절한 부탁에 성진은 망설였다. 돈은 필요했다. 하지만 밤까지 이 일을 이어가면 ‘알바 인생’에서 영원히 벗어나지 못할 것 같은 두려움이 앞섰다. 그래도 사장의 거듭된 요청을 못이겨 며칠만 해보기로 했다. 그리고 그 며칠이 그의 인생을 180도 바꿔놓았다. 공단 지역 편의점은 밤이 되면 유령 마을처럼 고요했다. 편의점을 찾는 손님이 거의 없었다. 새벽 내내 졸아도 아무도 신경 쓰지 않았고, 심지어 한두 시간 가게 문을 잠그고 창고에서 잠을 자도 문제가 없었다. 폐쇄회로(CC)TV를 돌려보니 자정 이후 편의점을 찾는 손님은 하루에 한두 명뿐. 이마저도 상당수는 술에 취해 잠긴 문을 잡고 졸다가 돌아갔다. 이곳 심야 알바 자리는 그야말로 ‘신이 숨겨놓은 꿀 보직’이었다. 사장은 편의점 매출에 별 관심이 없었다. 그는 도심 곳곳에 여러 사업체를 운영하는 ‘큰손’이었고, 요즘은 번화가에 막 개업한 프랜차이즈 고깃집에 온 정신이 팔려 있었다. 하루 매출 400만원을 넘나드는 그 가게에 비하면 편의점은 그저 용돈벌이 수준이었다. 다른 편의점 사장들은 심야 매출이 조금만 떨어져도 알바생을 닦달한다지만, 이 사장은 오히려 알바생이 가게를 걱정해 줄 만큼 편의점 경영에 무심했다. 덕분에 성진은 길고 긴 심야 시간을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업무가 몸에 익자 계산대에 앉아 교재를 펼쳐 놓고 취업을 위한 자격증 공부를 시작했다. 그가 이성조 교수의 텔레그램 채팅방을 알게 된 것은 심야 아르바이트를 시작한 지 두 달쯤 지나서였다. 유튜브로 지루한 취업 콘텐츠를 시청하다가 문득 ‘틈나는 대로 투자 공부나 해볼까’ 하는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그렇게 이 교수의 카카오톡 채팅방을 발견했고, 오래지 않아 김가영 비서의 안내로 텔레그램으로 옮겨갔다. IEKAF 거래소에도 가입했다. 거래소에서 가입 기념으로 300 USDT(약 42만원)를 받았다. 공짜 돈이었지만 성진은 이 교수가 이끄는 선물 거래에는 일절 참여하지 않았다. 몇 년 전 외삼촌이 가상화폐 선물 투자로 큰 손실을 봤다는 이야기를 들어서였다. 그는 그저 이 교수의 리딩을 면밀히 관찰하며 회원들의 투자 성공담을 ‘눈팅’만 하고 있었다. 그런데 단 한 차례도 손실을 보지 않는 이 교수의 ‘족집게 예언’에 성진도 마음이 흔들렸다. 거래가 끝난 뒤 채팅방에는 수익 인증 사진들이 올라왔는데, 한 회원의 ‘인증샷’에 그의 가슴이 ‘쿵’ 하고 내려앉았다. 성진이 그토록 입사하고 싶었던 대기업 A사의 초봉이 4000만원이었는데, 그 회원은 30분 만에 그 돈을 벌었다고 자랑한 것이다. ‘내가 1년 동안 뺑이쳐서 벌어야 할 돈을 불과 한 시간도 안 돼 모을 수 있는 세상이라니… 어차피 거래소에서 준 300 USDT는 공짜 돈이니까 그걸 다 잃어도 손해는 아니잖아? 속는 셈 치고 한 번 도전해 볼까?’ 그날 저녁, 그는 끓어오르는 호기심을 이기지 못하고 이 교수의 리딩에 맞춰 가상화폐 ‘HERMES’ 선물을 20% 비중으로 매수했다. 12분 뒤, 이 교수의 매도 신호에 맞춰 버튼을 누르자 정확히 33 USDT(약 4만 6000원)가 수익금으로 들어왔다. 편의점에서 4시간 넘게 일해야 벌 수 있는 돈을 단 10여분 만에, 그것도 버튼 몇 번 눌러서 얻었다는 사실이 너무 기뻤다. 그의 심장이 기쁨에 못이겨 격렬하게 요동쳤다. (6회로 이어집니다. 사기 피해 예방과 범인 검거를 위해 많은 이들과 기사를 공유해 주세요.)
  • 서산시·독립기념관 독립운동가 40명 발굴

    서산시·독립기념관 독립운동가 40명 발굴

    충남 서산시와 독립기념관은 서산 지역 출신 독립운동가 40명을 발굴해 국가보훈부에 포상 대상자로 추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들은 일제강점기 때 작성된 공문서와 지역 자료에 대한 공동 조사로 확인됐다. 양 기관은 시청 문서고에 보관되고 있던 ‘수형인명표 폐기목록’에서 독립 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했던 인물을 다수 확인했다. 목록을 통해 운산면 태봉리 19명, 용현리 18명 등 37명이 신규 독립운동가로 발굴됐다. 이밖의 문헌 자료에서 추가로 3명이 확인됐다. 시와 독립기념관은 발굴한 40명의 독립운동가를 내년 3.1절에 포상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완섭 서산시장은 “이번 발굴은 알려지지 않았던 지역 독립운동가의 헌신을 조명하고 역사적 명예를 회복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은 “독립운동가 발굴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업은 처음”이라며 “이 같은 성과가 더욱 확산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인천서도 KT 소액결제 피해신고 접수…4건·227만원

    인천서도 KT 소액결제 피해신고 접수…4건·227만원

    인천에서도 KT 이용자들이 소액결제 피해를 당했다는 신고가 4건 접수됐다. 11일 인천경찰청에 따르면 KT 알뜰폰 사용자 4명으로부터 소액결제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신고한 피해 금액은 총 227만원이다. 부평구에서 신고한 3명은 지난 2일 휴대전화 소액결제로 각각 99만원, 33만원, 27만5000원이 빠져 나갔다고 신고했다. 또 미추홀구 신고자는 지난달 12일 교통카드와 상품권 소액결제로 68만원의 피해를 봤다고 주장했다. 경찰은 다른 지역 피해 사례와 연관이 있는지 조사하고 있다. KT 이용자들의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가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집계 결과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9일 오후 6시까지 경찰에 신고된KT 소액결제 피해 사례는 모두 124건, 전체 피해액은 8천60여만원에 달한다.
  • [단독]만성적자에 허덕이는 1220억원 짜리 대구 군위 ‘삼국유사 테마파크’ 홀로서기 해야 하나

    [단독]만성적자에 허덕이는 1220억원 짜리 대구 군위 ‘삼국유사 테마파크’ 홀로서기 해야 하나

    콘텐츠 부실 등으로 인한 이용객 저조로 만성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대구 군위 삼국유사테마파크가 ‘3대 문화권’ 활성화 사업 지원 사각지대에 놓이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군위군이 2023년 7월 경북도에서 대구시로 편입된 이후 3대 문화권 사업으로 예산 1223억원이 투입돼 문을 연 삼국유사테마파크에 대한 지원이 거의 끓기다시피해서다. 3대 문화권 사업은 경북의 유교·가야·신라 등 역사문화자원과 낙동강·백두대간권의 친환경 녹색자원을 ‘관광 자원화하겠다’는 비전을 품고 시작됐다.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사업비만 2조원 가량이 투입됐다. 경북도는 ‘3대 문화권 문화생태관광기반 조성사업 활성화 추진 계획’을 수립, 도 차원의 지원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3대 문화권 사업의 열악한 입지 여건과 컨텐츠의 한계, 코로나19 확산 등이 겹치며 사업난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도 관계자는 설명했다. 2023년 기준 경북도 내 3대 문화권 사업 누적 적자 규모는 933억여원(41개 시설)에 달했다. 지난해에도 46개 시설 중 39곳의 적자 규모만 288억원에 이른다. 3대 문화권 사업이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 열악한 지방재정을 더욱 옥죄고 있다. 이에 도는 최근 ‘3대 문화권 활성화 지원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실시해 관련 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도는 우선 내년 예산에 10억원 반영키로 하는 등 지속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하지만 2023년 11억여원, 지난해 9억 7000여만원의 적자를 낸 삼국유사테마파크는 군위군의 대구 편입에 따라 ‘홀로서기’를 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경북도의 삼국유사테마파크에 대한 지원은 2021년 아이누리, 2022년 미디어센터 건립비 등 총 60억원을 마지막으로 끓겼다. 대구시의 구체적인 지원 계획은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군위군 관계자는 “삼국유사테마파크가 군 출연금에 의존해 근근히 버티고 있는 마당에 외부 지원이 끓길 경우 경영 악화가 심화될 것”이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대구시 등으로부터 최대한 지원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단독] 불량석유 판매한 ‘양심불량’ 주유소…5년간 1128곳 적발

    [단독] 불량석유 판매한 ‘양심불량’ 주유소…5년간 1128곳 적발

    최근 5년간 전국 주유소에서 품질부적합 또는 가짜 석유를 유통하다가 적발된 건수가 1128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이 한국석유관리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7월까지 5년 간 전국 주유소의 불량석유 유통 적발 건수는 1128건으로 파악됐다. 유형별로는 품질부적합이 710건(6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짜석유 249건, 정량미달 103건, 등유판매 67건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227건) ▲경북(146건) ▲충남(124건) ▲전북(110건) 순으로 적발 건수가 많았다. 불법으로 유통된 석유를 사용할 경우 차량이나 기계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석유관리원은 불법유통에 대해 석유사업법에 따라 6개월 이내의 사업정지나 과징금을 부과한다. 하지만 좀처럼 불법 석유 유통이 근절되지 않고 있다. 불법으로 저품질·불법 석유를 판매하고 단속 전 폐업하는 ‘먹튀주유소’ 적발도 지난 5년(2020~2024) 409건으로 나타났다. ▲경기(95건) ▲충북·충남(각 49건) ▲전북(40건) ▲경남(33건) 순으로 적발됐다. 먹튀주유소의 전체 탈세액 675억원 가운데 당국이 회수한 금액은 6억 7600만원으로 전체 1%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인천·대구·광주 등 회수율이 0%인 곳도 있었다. 먹튀주유소 운영자들은 노숙자 등 다른 사람의 명의로 주유소를 개설한 뒤 폐업을 반복하며 단속망을 피하고 있다. 불량석유 유통이나 먹튀주유소 모두 특·광역시보다 도(道) 단위의 발생 건수가 더 높았다. 연평균 불량석유 유통 적발은 도가 193건, 특·광역시 32.6건이다. 먹튀주유소도 도가 63.8건, 특·광역시 9.2건으로 나타났다. 연료비용 부담에 민감한 농·어·물류업 종사자 등이 많아 불량석유 유통이 상대적으로 쉬운 환경이고, 넓은 면적에 주유소가 산발 푼포해 감시 사각지대가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의 피해방지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정책대응이 요구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허 의원은 “불량석유 유통행위는 차량·기계 등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고 자칫 큰 인명피해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아주 심각한 범죄행위”라며 “행정당국은 국민의 안전 및 재산권 보호를 위해 불량석유 유통이 근절될 수 있도록 사전·사후조치가 강력하게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