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듭된 변화·융합의 美… 모래 위에 찬란히 피다
이슬람예술박물관 소장 83점 소개쿠란 필사본·왕좌용 카펫 등 선보여돔 지붕·기하학적 무늬 창문 등 배치모스크에 들어온 듯 전시 공간 연출
아라베스크 패턴과 좌우 대칭의 엄격한 기하학적 구조, 화려한 서예 장식…. 7세기 무렵 아라비아반도에서 시작된 이슬람 예술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으로 확산했고, 변화와 융합을 거듭하며 역동적이고 다채로운 시각문화로 자리 잡았다.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세계문화관에 아직은 낯설지만 우리 사회에 훌쩍 가까이 다가온 이슬람 세계의 길잡이가 될 이슬람실이 새로 마련돼 ‘이슬람 미술, 찬란한 빛의 여정’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7~21세기 이슬람 유리공예, 도자기, 필사본, 직물, 조각, 보석 등 소장품 1만여 점을 보유한 이슬람예술박물관(카타르 도하)과 국립중앙박물관이 공동 주최한다. 이슬람예술박물관은 루브르박물관(프랑스 파리)의 유리 피라미드를 만든 세계적 건축가 이오 밍 페이가 설계한 건물로도 유명하다.
모두 83점의 이슬람 미술품이 전시된다. 가장 먼저 관람객을 맞는 것은 ‘미흐랍 석판’이다. 무슬림은 하루 다섯 번 메카를 향해 기도하는데, 미흐랍 석판은 이슬람 건축에서 메카의 방향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박물관 측은 이슬람실에 석판을 설치할 때도 메카의 방향에 맞췄다. 대리석판에는 ‘알라’라는 글자를 새긴 램프가 가운데 자리 잡았는데, 이는 쿠란의 ‘빛의 구절’을 표현한 것이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쿠란 필사본 중 하나(7세기 말~8세기 초)도 전시됐다. 원초적이면서도 꾸밈없는 형태에 내구성이 뛰어난 고가의 양피지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쿠란을 향한 경외심을 엿볼 수 있다. 또 다른 필사본에서는 글자 자체가 하나의 예술로 자리매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상 숭배를 금기시하는 이슬람 문화에서 서예는 가장 중요한 예술로 빠르게 성장했다. 금니(아교에 개어 만든 금박가루) 장식이나 교차하는 기하학적 무늬로 이뤄진 글씨 등을 발견할 수 있다.
14세기 나스르 왕조 시절의 천문 도구 아스트롤라베는 이슬람 세계의 뛰어난 과학 기술과 예술 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유물이다. 이슬람 세계에서는 시간을 재거나 메카의 방향을 확인할 때, 또 천체의 위치를 계산하는 데 아스트롤라베를 사용했다.
카펫이나 도자에서는 아라베스크 양식의 진면목을 찾을 수 있다. 이슬람 세계에서는 인간이나 동물을 그리는 것 역시 우상 숭배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기하학적 문양, 식물 덩굴 등을 그려 넣은 아라베스크 양식이 발달했다. 세로 2m 68㎝, 가로 1m 95㎝에 달하는 17세기 사파비 제국의 걸작 ‘왕좌용 카펫’은 구부러진 낫 모양의 이파리와 꽃, 덩굴무늬가 서로 얽혀 있으며 짙은 빨간색, 파란색, 초록색이 어우러져 리듬감 있는 구성을 보여준다.
전시 공간의 디자인도 주목할 만하다. 전시장 일부를 돔 지붕과 팔각형 구조로 꾸며서 관람객이 마치 모스크에 들어온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도록 연출했다. 기하학적 무늬를 감상할 수 있는 창문도 중간중간 배치했다. 특히 전시장 끝에는 ‘다마스쿠스 귀족의 응접실’을 미디어로 연출해 관람객이 자연광과 함께 휴식을 취하며 이슬람 문화가 꽃피운 당시의 분위기를 느껴볼 수 있도록 했다. 전시는 내년 10월 11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