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에 ‘치즈’ 한 번만 먹어도 ‘이 질병’ 위험 24% 뚝…日 8000명 조사
치즈를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먹으면 치매 발병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연구진의 조사 결과, 치즈를 먹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치매 위험이 최대 24% 낮았다.
28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 보도에 따르면, 국제학술지 뉴트리언츠(Nutrients)에 약 8000명을 대상으로 한 일본 연구진의 이러한 연구 결과가 최근 게재됐다. 참가자 절반은 치즈를 전혀 먹지 않았고, 나머지 절반은 일주일에 최소 한 번 이상 치즈를 먹었다.
3년 뒤 치즈를 먹은 사람은 먹지 않은 사람보다 치매에 걸릴 확률이 24% 낮았다.
연구 기간이 끝났을 때 치즈를 먹은 사람 중 3.39%가 치매에 걸렸지만, 먹지 않은 사람은 4.45%가 치매 진단을 받았다.
연구진은 과일, 채소, 고기, 생선 섭취량 같은 다른 식습관도 함께 고려했다. 이런 요인을 모두 고려한 뒤에도 치즈 섭취는 치매 위험을 21%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우리의 연구 결과는 유제품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기존 증거와 일치한다”고 밝혔다.
참가자들이 가장 많이 먹은 치즈는 가공 치즈(82.7%)였고, 그다음이 흰곰팡이 치즈(7.8%)였다.
가공 치즈는 우유와 유화제 등으로 만든 치즈다. 개별 포장된 치즈 슬라이스나 필라델피아 같은 크림치즈가 대표적이다. 흰곰팡이 치즈는 카망베르나 브리처럼 하얀 껍질이 있는 부드러운 치즈를 말한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과학자들은 치즈의 영양 성분이 보호 효과를 낸다고 설명했다. 치즈에는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K2, 항산화제, 펩타이드, 프로바이오틱스가 풍부하다.
연구진은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은 신경세포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다. 비타민K는 혈관 건강과 혈액 내 칼슘 균형 유지에 관여한다.
다만 연구진은 확실한 권고안을 내놓기 전에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전 연구에서도 치즈 섭취가 치매 발병 위험을 낮춘다는 결과가 나온 바 있다. 65세 이상 1500명 이상의 건강과 식습관을 관찰한 결과 정기적으로 치즈를 먹는 사람들이 인지 테스트에서 더 좋은 점수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