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게 스민 석류즙처럼… 거장의 강렬한 미장센
“당신이 준 삶은 아름답지만, 흙은 더 고귀한 의미이니 이제 흙으로 돌아가게 하소서.”
영화는 시와 그림 사이에서 진동하는 예술이다. 종교적 물음을 품은 시인의 내면이 풍부한 색감으로 분출한다. 신앙, 민족, 전통을 기묘한 이미지로 얽어내는 감독의 미장센은 작품이 만들어진 지 56년이나 흘렀음에도 여전히 새롭게 다가온다.
오는 26일 개봉하는 영화 ‘석류의 빛깔’은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아르메니아 거장 세르게이 파라자노프(1924~ 1990)의 작품이다. ‘잊힌 조상의 그림자’(1965) 이후 감독의 두 번째 영화로 아르메니아가 소비에트연방(소련)에 속해 있던 1969년 현지 개봉했다. 당국의 검열 탓에 대부분 장면이 삭제돼 짧은 단편 버전으로 공개됐다. 그러다 영화의 진가를 알아본 할리우드 거장 마틴 스코세이지가 파라자노프의 의도를 살려 2014년 고화질로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복원된 영화는 러닝타임이 79분이다. 영화 연구자나 일부 시네필 사이에서만 알려져 있던 이 작품의 국내 정식 개봉은 처음이다.
영화는 18세기 아르메니아의 음유시인 사야트 노바(1712~1795)의 일생을 담고 있다. 그러나 시인의 일대기를 충실히 따라간다고 생각하면 아마 극장에서 큰 충격을 받을 것이다. 영화는 무수한 은유적 이미지로 가득하다. 그 이미지와 함께 던져지는 질문은 이것이다. 인간은 왜 세상에 존재하는가. 그리고 존재는 왜 이리도 고통스러운가. 석류에서 흘러나온 과즙이 천을 빨갛게 물들이는 장면, 시인의 얼굴과 해골이 나란히 놓이는 장면 등은 영화가 끝난 뒤에도 뇌리에 강렬하게 남는다. 뿌리 깊은 기독교 전통을 가진 아르메니아의 역사를 조금 알고 영화를 감상한다면 이미지들을 더욱 깊이 사유할 수 있을 것이다.
민족주의 색채가 짙은 이 작품 이후 파라자노프는 소련 당국의 블랙리스트에 올랐고, 십수 년간 영화를 제작하지 못했으며 체포, 구금 등의 고초를 겪었다. 우리에게도 익숙한 러시아 거장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1932~1986)와도 우정이 두터웠다고 한다.
인간은 왜 영문도 모르고 세상에 내던져진 채 끊임없이 고통받아야 하는가. 신에게 아무리 질문해도 대답은 돌아오지 않는다. 의문은 하나도 풀리지 않았지만, 인간에게는 점점 죽음의 순간이 찾아온다. 무(無)라는 백지 위에 빨갛게 스며드는, 석류의 과즙과도 같은 인간의 피와 고통. 영화 마지막 부분에서 “흙으로 돌아가게 하소서”라고 울부짖는 시인은 “이제 저는 지쳤나이다”라고 덧붙인다.
수입·배급사 오드의 김시내 대표는 “오감을 자극하는 ‘영화적 경험’의 차원에서 1969년 작품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동시대적인 영화라고 생각했다”면서 “극장에서 볼 때마다 새로운 의미와 감각이 열리는, 매번 새롭게 보이고 읽히는 마법과도 같은 작품”이라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