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Ʊ׶౹-񡩾Ʊ׶-pom555.kr-񡩾Ʊ׶ Visit our website:(xn--3e0b8js7vm4g9mj3ja.kr)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 박록삼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 이경주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 김양진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 일본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138,117
  • 성동구, 긴 추석 연휴…6355가구 등 ‘집중 돌봄’

    성동구, 긴 추석 연휴…6355가구 등 ‘집중 돌봄’

    서울 성동구는 오는 13일까지 복지종합대책 ‘성동 든든돌봄’을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추석 연휴 소외되기 쉬운 취약계층이 따뜻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날부터 2일까지, 연휴가 끝난 10일과 13일에 ‘집중 안부확인의 날’을 운영한다. 동주민센터 직원과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복지통장, 우리동네돌봄단 등 지역 주민이 함께한다. 이들은 명절을 홀로 보내는 어르신과 청년, 중장년 1인 가구 등 6355가구를 가정 방문하거나 전화로 안부를 확인한다. 또한 명절 연휴 전 2주간 취약계층에 필요한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사전 지원하기 위해 ‘미리돌봄 서비스’를 운영한다. 연휴 동안 우려되거나 안전, 돌봄의 우려가 있는 주민에게 우선적으로 급식 연계 및 후원품을 지원한다. 동별 돌봄매니저와 마을간호사는 건강 취약 가구에 복약 지도 등을 선제 조치한다. 또 추석 연휴 중 안전사고에 대비해 동 복지플래너 116명 및 우리동네돌봄단 41명은 반지하, 옥탑 등 주거 취약계층 가정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아울러 평소 거동 불편 등으로 인해 경로식당을 이용 중이거나 식사 지원을 받는 어르신, 장애인, 긴급돌봄 대상자 등 총 1092가구에 2일 명절 특식과 대체 식품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구청과 17개 동주민센터, 22개의 급식 및 돌봄서비스 수행기관, 동 단위 인적 안전망 등 842명은 비상연락체계를 구축해 ‘긴급상황 대응반’을 운영한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앞으로도 주민의 일상을 더 세심하게 살피고 보듬는 맞춤형 복지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안양시, 추석 연휴(3~9일) 교통약자 지원 ‘착한수레·바우처택시’ 정상 운행

    안양시, 추석 연휴(3~9일) 교통약자 지원 ‘착한수레·바우처택시’ 정상 운행

    최대호 시장 “행복한 명절 보내도록 특별교통수단 정상 운영” 경기 안양시가 오는 추석 연휴 기간(10.3~10.9)에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이동지원서비스 ‘착한수레’와 ‘바우처택시’를 정상 운행한다고 1일 밝혔다. 연휴 기간에도 주 3회 이상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신장 투석 환자뿐 아니라 일상적인 외출과 식사가 어려운 장애인과 노약자 등을 위한 조치다. 중증 보행 장애인 및 휠체어 이용자 등 거동이 불편한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착한수레는 지난 8월부터 한국도로공사와 민자고속도로에서 하이패스 통행료가 전면 무료화돼 이용 부담이 줄었다. 안양시는 현재 법정 운영 대수 36대보다 많은 42대의 착한수레를 운영 중이다. 연휴 기간에도 착한수레는 24시간 운영한다. 바우처택시는 평상시에는 일반택시로 운행되다가 안양시 교통약자콜센터로부터 교통약자 이용 신청을 배정받으면 이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수단이다. 안양시는 지난 7월 31대를 증차해 총 71대를 운영하고 있다. 바우처택시는 연휴 기간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이용할 수 있고, 일요일(10.5)은 운행하지 않는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행복하고 건강한 추석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특별교통수단 이용지원서비스 정상 운영한다”면서 “앞으로도 더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민 의견에 귀를 기울이고 이용 불편을 개선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정성호 “尹, 곧 배달앱도 요구할 듯…밥투정 부리고 있다” 직격

    정성호 “尹, 곧 배달앱도 요구할 듯…밥투정 부리고 있다” 직격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1일 윤석열 대통령 측이 “법정에 나갈 때 제대로 된 식사도 못 한다”고 호소하며 인권 문제를 거론한 데 대해 “뻔뻔하고 후안무치한 태도”라고 비판했다. 정 장관은 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윤 전 대통령은 법정에 나와 수용실에서 ‘서바이벌’이 어렵다고 하고, 변호인단은 구치소 식사를 트집 잡아 밥투정을 부리고 있다. 곧 구치소에 ‘투룸’ 배정과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이라도 설치해달라고 요구하는 것 아니냐”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 장관은 “윤 전 대통령은 자신이 대한민국을 전복시키려 한 내란 혐의로 구속되어 구치소에 수감된 신분이라는 것을 잊지 말길 바란다”며 “호텔에 숙박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지난 26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5부(부장 백대현) 심리로 열린 보석(보증금 등 조건을 붙인 석방) 심문에서 “주 4~5회 재판해야 하고, 주말에 특검에서도 오라고 하면 가야 하는데, 구속 상태에서 응하는 게 불가능하다”며 불구속 재판을 요청한 바 있다. 그는 구치소 생활에 대해 “1.8평짜리 방 안에서 ‘서바이브’(생존)하는 것 자체가 힘들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윤 전 대통령 변호인인 김계리 변호사도 지난 29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올린 영상에서 출정 시 구치소의 현실에 대해 지적하며 “(앞서 윤 전 대통령의) 구속적부심사를 위한 출정의 예를 들면, 7시쯤에 출정 준비를 마치기 위해서는 6시에 기상해서 제대로 된 아침 식사도 하지 못한 채 점심시간에는 컵라면과 건빵으로 점심을 했다”고 토로했다. 이어 “구치소 저녁 식사는 오후 4시 30분이면 종료가 된다. 구치소에 복귀하면 저녁 식사가 없거나 미리 말을 하면 소량의 밥을 준비한다고 한다”며 “피고인이 앞으로 주 4회 진행될 모든 재판에 출정하고 여기에 더해 특검 조사까지 출석하면 제대로 된 식사를 할 수 있는 날은 사실상 주말밖에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와 같은 구속 상태에서의 재판과 수사 일정은 피고인의 지병과 건강을 심각하게 침해하게 된다”며 “방어권이 보장되지 않는 것을 넘어 피고인에게 실명과 생명의 위협까지 이를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인권 보장의 문제이기도 하다”라고 강조했다. “사법절차 협조 먼저…모든 수용자 평등해야” 윤 전 대통령은 지난 7월 10일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다시 구속된 뒤 지난달 29일까지 12차례 연속으로 내란 재판에 나오지 않고 있다. 법원은 윤 전 대통령을 보석할지 여부를 현재 심리 중이다. 이에 대해서도 정 장관은 “최소한 특검의 소환, 영장집행, 재판 출석 등 사법절차에 협조나 하면서, 수용자의 권리를 말하는 것이 전직 검찰총장이자 법조인으로서의 기본자세일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처우는 개별 관리가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수용자들과 철저하게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음을 다시 한번 분명히 밝힌다”며 “지난 1차 구속 때와 같은 은밀하고 부당한 특혜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 이 모든 상황은 스스로 전직 대통령의 품격을 내버리고 반성 없이 온갖 법 기술과 선동으로 사법질서를 우롱하고 있는 피고인이 자초한 것”이라며 “모든 국민이 평등하듯이 구치소 안의 모든 수용자도 평등해야 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윤 전 대통령은 내란 혐의로 구속 수감된 피의자일 뿐 특별한 대우를 요구할 처지가 아님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화학 대신 자연, 방부제 대신 멸균 화장품”

    “화학 대신 자연, 방부제 대신 멸균 화장품”

    급변하는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 ‘역행의 미학’을 선택한 기업이 업계의 시선을 끌고 있다. 화려한 마케팅과 단기적 효과 대신, 피부 본연의 회복력을 중시하며 ‘슬로우 코스메틱(Slow Cosmetics)’ 철학을 내세운 에이블리(Aivly)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최우선 가치로 삼은 이 회사는 식품 등급(Food Grade) 원료만을 고집하며, ‘무방부제 멸균 화장품’이라는 새로운 기준을 시장에 제시했다. ▒ 화학 성분 배제, 피부 본연의 회복력에 집중에이블리는 방부제·향료·색소·알코올 등 피부 자극 가능성이 높은 화학 성분을 철저히 배제한다. 일반 화장품은 물과 오일을 주성분으로 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나 방부제, 산화방지제를 투입하지만, 에이블리는 이 같은 관행에서 과감히 벗어났다. 이 회사는 수용성 아미노산과 다당류 원료만으로 안정성을 유지하는 독자적 기술을 개발했다. 여기에 소량 충진한 유리 바이알(vial)에 고온·고압 멸균 처리를 적용, 유통 과정에서의 변질 가능성을 원천 차단했다. 이 같은 차별화로 민감한 피부를 지닌 소비자뿐 아니라 영유아용 화장품 시장에서도 신뢰를 얻고 있다. ▒ 제약 공정에 준하는 안전성 확보에이블리 제품의 경쟁력은 제약 공정에 맞먹는 안전성이다. 100% 수용성 원료만으로 제조돼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방부제 대신 아미노산과 다당류가 수분을 오래 유지시킨다. 대표 제품인 에센스는 아미노산과 고순도 히알루론산을 활용해 인체 체액과 유사한 pH 5.5의 약산성으로 조제됐다. 이는 피부 친화적 흡수를 촉진하고 유·수분 밸런스를 최적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멸균 공정 또한 제약 수준의 엄격함을 따른다. 내열 유리 바이알과 천연 고무마개, 알루미늄 캡을 조합한 뒤 고압 스팀 멸균을 거쳐 안정성을 확보했다. 개봉 후 1주일 이내 사용을 권장하지만, 미개봉 상태에서는 상온에서 2년간 품질을 유지한다. ▒ 연구개발로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이블리는 단기적 판매보다 지속적 연구개발을 성장 전략으로 삼는다. 최근 기업 부설 연구소 **‘Aivly LAB’**을 설립해 남해안 특산품인 다시마에서 추출한 천연 보습 성분 연구에 착수했다. 기존 오일류를 능가하는 차세대 보습 소재 개발이 목표다. 에이블리컴퍼니 조원경 대표는 “우리는 단순한 화장품 제조사가 아니라, 자연과 과학을 결합해 피부 본연의 재생 메커니즘을 존중하는 기업”이라며 “28일 피부 재생 주기에 맞춘 ‘케어 테라피제이션(Care-therapization)’ 프로그램 등 혁신적 제품군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 [단독]전소된 96개 국가 시스템, 이중화 ‘0’…백업 공백 38%

    [단독]전소된 96개 국가 시스템, 이중화 ‘0’…백업 공백 38%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센터의 전산 복구가 수개월 이상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화재로 전소된 5층 ‘국가자원 7-1 전산실’의 96개 국가 주요 시스템이 단 한 건의 서버·스토리지 이중화 없이 운영돼 온 사실이 새롭게 확인됐다. 백업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 또한 대전센터 전체 647개 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서버·스토리지 이중화나 백업이 모두 이뤄진 건 399개뿐이었고, 나머지 248개(38%)는 백업조차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가 4주 내 복구를 공언했지만 실제 복구까지는 수개월 이상 걸릴 가능성이 커졌다. 1일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대전센터 재해복구시스템 세부 현황’에 따르면, 전체 647개 시스템 가운데 서버를 하나 더 두는 ‘서버 이중화’가 적용된 것은 28개(4.3%)에 불과했다. 데이터 저장 장치를 이중으로 구성해 장애에 대비하는 ‘스토리지 이중화’도 19개(2.9%)에 그쳤다. 화재가 나도 즉시 복구할 수 있는 서버·스토리지 이중화 기반 재해복구시스템은 전체의 7.2%(47개)에 불과했다. 국무조정실 국정관리 시스템, 해양수산부 해운항 물류정보시스템,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시스템과 정부24, 우체국 금융 시스템, 통계청 나라통계, 조달청 나라장터 등이 여기에 속하며 대부분 복구가 완료됐다. 이중화는 없지만 백업은 된 시스템은 352개(54.4%)에 그쳤고, 이도저도 아닌 나머지 248개(38.4%) 중 일부는 데이터 소실 우려가 크다. 전날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아예 영구적으로 데이터가 소실된 경우도 있는 것 아니냐”고 묻자,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그렇게 보여진다”고 답했는데, 이 발언이 수치로 확인된 셈이다. 국무회의에서는 국가보훈부의 국립묘지 안장 신청 9월 한 달 치 자료가 사라지는 등 일부 공공서비스 데이터가 이미 소실됐다는 보고도 나왔다. 행안부 관계자는 “(1·2등급 등)주요 시스템은 온라인으로 하루 한 차례, 나머지는 한 달에 한 번 전체 백업을 한 뒤 복사본을 공주센터에 둔다”며 “마지막 백업 시점은 8월 말이었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복구가 이뤄져도 백업되지 않은 248개 시스템 중 상당수는 8월까지만 데이터가 남을 가능성이 있다. 현재 작동이 멈췄던 647개 시스템 가운데 1등급은 38개, 2등급 86개, 3등급 294개, 4등급 229개다. 특히 화재 피해가 가장 심각한 ‘국가자원 7-1 전산실’ 96개 시스템은 상황이 더 열악하다. 서버와 스토리지 이중화가 모두 ‘제로’ 상태이고 백업 여부도 확인되지 않았다. 행안부 관계자는 “7-1 전산실 중 한 달에 한 번 백업되는 데이터가 몇 개인지 지금 확인이 어렵다. 등급이 낮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전소된 7-1 전산실 시스템 중 1등급(4개)에는 통합보훈정보시스템, 국민신문고 등이 포함돼 있다. 2등급(14개)에는 정부 대표 재난·안전 앱 ‘안전디딤돌’, 소방청 고속도로 119 긴급출동 알림서비스, 국가법령정보센터가 들어 있고, 3등급(40개)에는 화장장 예약용 e하늘장사정보시스템, 국민재난안전포털, 지진재해 대응시스템이 포함돼 있다. 시스템 복구가 수개월 지연될 경우 재난·재해 대응과 화장장 예약 등 국민 생활 전반에 혼란이 불가피하다. 윤건영 의원은 “윤석열 정부는 2023년 전산망 마비 이후 전면적인 이중화와 재해복구 강화를 약속하고도 각 부처의 신규 구축 예산을 막아섰다”며 “무책임한 예산 통제와 안이한 판단이 결국 이번 국가 전산망 마비와 데이터 소실 사태를 키운 것”이라고 지적했다.
  • 5·18기록관, 파리서 ‘5·18사진 특별전’ 개막

    5·18기록관, 파리서 ‘5·18사진 특별전’ 개막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은 지난 9월3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귀스타프 에펠대학에서 ‘광주 5·18-도시 정체성과 민주주의 전시 개막식’을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개막식에는 신석홍 주프랑스한국대사관 공사, 강여울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참사관, 귀스타프 에펠대학의 벵슬라스 비리 부총장과 크리스토프 프리외르 인문사회과학대학장 등이 참석했다. 이와 함께 김호균 5·18민주화운동기록관장과 이상훈 광주영화영상인연대 이사장, 참여작가 패트릭 쇼벨, 에펠대학 관계자 및 학생, 영화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시는 지난 26일부터 시작돼 5·18민주화운동의 기록사진 90여 점을 공개한다. ▲시위 ▲진압 ▲항쟁 ▲저항 ▲학살 ▲애도 등 항쟁의 주요 국면을 다루며, 특별 섹션에서는 국내외 사진가들의 기록 활동을 조명한다. 전시는 오는 14일까지 이어지며 기록영상과 시민 촬영 영상도 함께 상영된다. 개막식에 앞서 열린 ‘5·18 영화 상영회’에서는 다큐멘터리 ‘김군’과 단편영화 ‘양림동 소녀’, ‘괜찮아’가 상영됐다. 상영회에는 파리의 영화감독과 평론가, 에펠대학 학생들이 참여했다. 이상훈 광주독립영화관 이사장의 해설과 관객과의 대화가 이어졌다. 이어 열린 ‘라운드테이블’에서는 기록사진을 통해 본 5·18민주화운동과 광주의 도시 정체성을 주제로 논의가 진행됐다. 특히 세계적 보도사진가 패트릭 쇼벨과 5·18 당시 ‘꼬마 상주’ 사진을 촬영한 프랑수아 로숑이 직접 참여해 깊은 울림을 더했다. 두 기자는 1980년 5월 26~27일 봉쇄 상황에서 보여준 시민공동체의 모습과 27일 계엄군에 의해 짓밟히고 연행되던 시민들의 기억을 증언하며 “광주는 여전히 살아 있는 민주주의의 상징”이라고 강조했다. 뱅슬라스 비리 귀스타프 에펠대학 부총장은 “이번 전시는 한국 민주주의 경험을 성찰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이자 학생들에게 살아 있는 교과서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호균 5·18민주화운동기록관장은 “5·18 기록사진은 단순한 이미지가 아니라 진실을 증언하는 역사적 증거”라며 “광주의 기록이 파리에서 조명된 것은 5·18 세계화의 중요한 이정표”라고 강조했다.
  • 안성시, 추석 앞두고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장보기 행사

    안성시, 추석 앞두고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장보기 행사

    경기 안성시가 민족 대명절 추석을 앞두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전통시장 상인 지원을 위해 장보기 행사를 가졌다. 행사는 지난달 30일 안성맞춤시장과 안성중앙시장에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오전에는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이, 오후에는 안성시가 주관했다. 오전 행사는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및 중소벤처기업 관련 기관 관계자들이 안성맞춤시장 고객쉼터에서 전통시장 상인들과의 차담회와 함께 10월 개최 예정인 ‘안성남사당바우덕이 축제’ 홍보를 했다. 오후 행사에는 안성시장과 부시장, 국·소장 등 시청 공무원과 소비자교육중앙회 안성시지회 회원들이 안성맞춤시장과 안성중앙시장에서 추석 대목장을 봤다. 김보라 안성시장은 현장 방문을 통해 상인들의 애로사항을 듣고, 지역화폐 및 온누리상품권 사용 활성화를 위한 홍보 활동을 펼쳤다. 김 시장은 “이번 장보기 행사가 전통시장 매출 증대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지원과 홍보를 통해 전통시장과 상인들이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법정 언행 개선’…의사소통기법 1대1 과외 받는 법관들

    ‘법정 언행 개선’…의사소통기법 1대1 과외 받는 법관들

    광주고등법원과 관내 각급 법원들이 소속 법관들의 법정언행을 국민 눈높이에 맞춰나가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법원은 외부 전문가 1:1 컨설팅, 법관 상호 모니터링, 강의형 연수 등 다양한 방안을 동원, 품위 있고 절제된 재판진행 기법을 관내 법원 전체로 확산시켜 나간다는 방침이다. 1일 광주고법에 따르면, 관내 각급법원 소속 총 15명의 법관들이 재판 현장에서 활용할 부드러운 의사소통 기법을 익히기 위해 외부 전문 컨설턴트로부터 ‘1대1 과외’를 받았다. 지난 4월부터 8월까지 광주지법(5명), 전주지법(5명), 목포지원(1명), 장흥지원(1명), 순천지원(3명)에서 각각 전문가 컨설팅을 순차적으로 진행했다. 법관들은 현장에서 이를 직접 적용해본 뒤, 두번째 컨설팅을 추가로 받을 예정이다. 법정언행 컨설팅은 전문 컨설턴트가 해당 법관이 진행하는 실제 재판을 방청하거나 재판 진행 장면을 녹화한 비디오를 시청한 뒤, 해당 법관을 대면하여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알려주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또 ‘같은 뜻이라면 이렇게 바꿔서 말해보면 어떤가’라는 식으로 실전에서 활용 가능한 조언도 이뤄졌다. 법관 상호간 모니터링도 여러 법원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진행될 예정이다. 광주지법, 제주지법, 목포지원, 순천지원, 군산지원, 남원지원 등에서 각각 법관들은 다른 재판장이 진행하는 재판을 상호 교차 방청한 뒤, 모범적인 진행 기법은 배우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서로 지적해주는 기회를 갖게 된다. 제주지법, 군산지원 등은 올해 ‘법정언행개선연구회’를 신설했으며, 커뮤니케이션 기법 연구 등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밖에도 광주고법과 관내 각급법원들은 ‘바람직한 재판 진행의 언어’를 테마로 하는 강의형 연수를 실시하거나, 변호사단체와 재판 참관 로스쿨생의 의견을 널리 수렴하는 등 법정문화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나가기로 했다. 이와 관련, 장흥지원은 올 하반기부터 ‘오늘 재판 어떠셨나요’프로그램을 실시해, 당사자와 변호인 등을 대상으로 법정언행 관련 익명 설문을 받고 있다. 광주고법 관계자는 “이러한 모든 노력은 결국 당사자에게는 말할 기회를 충분히 주고, 법관은 차분하게 듣는 자세를 갖추는 바람직한 법정문화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것”이라며,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꾸준히 계속해나갈 수 있도록 필요한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서울데이터랩]파마리서치(214450) -6.82% 급락 외국인비율 20.67% 거래량 126982주

    [서울데이터랩]파마리서치(214450) -6.82% 급락 외국인비율 20.67% 거래량 126982주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다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인 알테오젠(196170)은 현재가 463,0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09% 상승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외국인비율은 13.45%이며 거래량은 95,775주로, PER은 262.47, ROE는 29.52를 기록하고 있다. 2위인 에코프로비엠(247540)은 113,300원으로 0.27% 상승했으며, 외국인비율은 11.86%, 거래량은 130,948주다. 이 종목의 PER은 -143.06, ROE는 -6.26으로 나타나고 있다. 3위 펩트론(087010)은 1.33% 하락한 296,000원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73,101주다. 에코프로(086520)는 47,100원으로 0.74% 하락하며 213,229주의 거래량을 기록 중이다. 반면, 리가켐바이오(141080)는 5.77% 상승한 148,600원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290,885주에 달하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리노공업(058470) ▲1.94%, 코오롱티슈진(950160) ▼2.40%, 휴젤(145020) ▼0.99%, 케어젠(214370) ▲0.32%, 클래시스(214150) ▼2.18%, 보로노이(310210) ▲0.92%, 에스엠(041510) ▼0.62%, 실리콘투(257720) ▲2.73%, 이오테크닉스(039030) ▼0.21%, HPSP(403870) ▲0.89%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현재 코스닥 시장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동향과 거래량에 따라 다양한 종목들이 상승세와 하락세를 번갈아 보이는 상황이다. 외국인비율이 높은 종목들은 대체로 안정적인 거래량을 보이며 등락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리가켐바이오와 에이비엘바이오(298380)는 높은 거래량과 함께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10월 1일 암호화폐 시총 상위종목 동향

    [서울데이터랩]10월 1일 암호화폐 시총 상위종목 동향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비앤비(BNB), 솔라나(SOL)이 주목받고 있다. 비트코인의 현재가는 1억 6073만 원, 시가총액은 3203조 2190억 원이다. 24시간 등락률은 -0.18%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1시간 등락률은 -0.08%로 소폭의 하락을 유지하고 있다. 거래량은 80조 8191억 원에 달한다. 이더리움은 현재 581만 4975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701조 8864억 원이다. 24시간 동안 -1.67% 하락하였고, 1시간 등락률은 -0.55%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거래량은 51조 9711억 원이다. 리플은 3965원에 거래 중이며, 시가총액은 237조 2418억 원이다. 24시간 동안 -2.06% 하락하였고, 1시간 등락률은 -0.83%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거래량은 6조 9083억 원이다. 비앤비는 현재 141만 5768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197조 543억 원이다. 24시간 등락률은 -1.81%로 하락하였고, 1시간 등락률은 -0.39%로 하락세가 약간 완화되었다. 거래량은 4조 2694억 원이다. 솔라나는 29만 1092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158조 2829억 원이다. 24시간 등락률은 -1.88%로 하락세를 보였고, 1시간 등락률은 -1.21%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거래량은 9조 5982억 원이다. 한편, 도지코인은 325원에 거래되며 24시간 등락률은 -0.82%를 기록했다. 거래량은 2조 7757억 원이다. 같은 시각 트론은 470원에 거래되며 -0.98% 하락했다. 거래량은 8610억 8116만 원이다. 에이다는 1123원에 거래되며 -0.00%의 등락률을 보였다. 거래량은 1조 5416억 원이다. 같은 시각 하이퍼리퀴드는 6만 3213원에 거래되며 0.44% 상승했다. 거래량은 5817억 3331만 원이다. 체인링크는 2만 9854원에 거래되며 -1.21% 하락했다. 거래량은 1조 58억 원이다. 아발란체는 4만 1753원에 거래되며 -0.76% 하락했다. 거래량은 1조 2920억 원이다. 또한, 스텔라루멘은 510원에 거래되며 -1.64% 하락했다. 거래량은 3223억 1601만 원이다. 수이는 4533원에 거래되며 -1.30% 하락했다. 거래량은 1조 2968억 원이다. 비트코인 캐시는 78만 9193원에 거래되며 -0.19% 하락했다. 거래량은 5773억 4702만 원이다. 같은 시각 헤데라는 296원에 거래되며 -2.12% 하락했다. 거래량은 3562억 9735만 원이다. 레오는 1만 3442원에 거래되며 -0.98% 하락했다. 거래량은 10억 4898만 원이다. 라이트코인은 14만 9026원에 거래되며 -0.53% 하락했다. 거래량은 6705억 2500만 원이다. 전반적으로 시장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변동성에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속적인 시장 모니터링과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NAVER가 5% 넘게 하락하며 시장에 충격을 주었다

    [서울데이터랩]NAVER가 5% 넘게 하락하며 시장에 충격을 주었다

    NAVER(035420)가 5% 넘게 하락하며 시장에 충격을 주었다 NAVER -5.40%,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1.54%, 삼성생명(032830) -1.28%...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1일 오후 12시 20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005930)(액면가 100원)는 현재가 85,7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2.15% 오르며 견조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상장주식수 5,919,638주에 외국인비율이 51.41%에 달하는 이 종목은 PER 19.14, ROE 9.03으로, 수급과 재무 지표 모두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반도체 대장주인 SK하이닉스(000660)(액면가 5,000원) 역시 356,500원으로 2.59% 상승하며, 거래량 1,394,084주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비율 55.45%, PER 8.99, ROE 31.06으로, 수급 상황은 양호하나 재무 지표는 다소 불안정하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현재가 346,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29% 하락세를 보이며 거래량은 83,714주로 나타난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1,002,500원으로 0.55% 상승했으며, 거래량은 38,551주로 집계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090,000원으로 1.54% 하락해 거래량 84,303주를 기록하고 있다. 삼성전자우(005935)는 67,700원으로 1.96% 상승했으며 거래량은 1,471,575주다. HD현대중공업(329180)과 현대차(005380)는 각각 1.55%, 0.12% 상승하며 107,376주, 169,180주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셀트리온(068270)(068270) ▲0.81%, NAVER(035420) ▼5.40%, 기아(000270)(000270) ▼0.40%, 신한지주(055550)(055550) ▼0.28%, 한화오션(042660)(009540) ▼0.36%, 삼성물산(028260)(028260) ▲1.41%, 삼성생명(032830) ▼1.28%, HD한국조선해양(009540)(009540) ▲0.49%, 현대모비스(012330)(012330) ▼1.01%, SK스퀘어(402340)(402340) ▲0.50%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 시장은 상승 종목과 하락 종목이 혼재된 가운데, 종목별로 등락 폭이 크게 엇갈리고 있다. 특히 외국인비율이 높은 종목들은 대체로 안정적인 상승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거래량이 많은 종목들은 상승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수급 상황이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NAVER는 외국인비율 40.96%에도 불구하고 5.40%의 하락을 기록하며 시장에 충격을 주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군포시, 청년친화도시 실무 TF 본격 가동

    군포시, 청년친화도시 실무 TF 본격 가동

    경기 군포시는 지난달 30일 시청에서 ‘국무조정실 청년친화도시 지정 공모’ 대응을 위한 실무TF 회의를 열었다. 실무TF는 부시장을 단장으로 청년정책 관련 17개의 부서, 기관, 단체 21명으로 구성됐으며, 청년친화도시 추진에 따른 연계사업 발굴, 네트워크 구축, 공모 대응 협의 등 실질적 역할을 수행한다. 군포시는 지난 9월 제정된 ‘군포시 청년친화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를 뼈대로 청년 참여와 주도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협업을 통해 청년들의 정책 체감도를 높일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책을 발굴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쉬었음’ 청년 및 청년 1인 가구 증가, 주거 불안정과 낮은 고용률 등 군포 청년이 마주한 현실을 종합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거·일자리·참여 권리 분야의 전략과제 발굴이 집중 논의됐다. 또 지역 맞춤, 청년주도, 확산거점의 3대 추진전략을 중심으로 전국 최대 규모의 청년센터인 청년 공간 플라잉 거점화를 통해 청년이 머무르고 성장할 수 있는 정주 여건 마련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이와 함께 노동시장 참여 기회 확대, 청년 안전망 강화, 주거 지원 확충 등 5대 중점과제를 제시하고 청년 감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정책 과정 전반에서 청년이 주체로 참여하며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하은호 군포시장은 “청년친화도시 지정은 단순히 국도비 예산 확보 차원이 아닌 청년들이 군포에서 머물며 지역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청년이 행복한 미래도시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네가 왜 여기서 나와?…300㎏ 폭탄 실은 우크라 해상 드론, 튀르키예서 발견 (영상)

    네가 왜 여기서 나와?…300㎏ 폭탄 실은 우크라 해상 드론, 튀르키예서 발견 (영상)

    우크라이나가 자랑하는 해상 드론이 황당하게도 튀르키예 해안에서 발견됐다. 1일(현지시간) 미 군사 전문 매체 더워존 등 외신은 약 300㎏의 폭발물을 실은 우크라이나군의 마구라 V5가 튀르키예의 항구 도시인 트라브존 인근 연안에서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목적지를 잃은 채 둥둥 떠다니다 현지 어부들에게 발견된 마구라 드론은 이번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큰 활약을 펼친 가성비 높은 무기다. 특히 흑해에서의 활약이 눈부신데, 사실상 해군이 없는 우크라이나는 마구라와 같은 해상 드론을 동원해 많은 러시아 함선을 파괴했다. 튀르키예 당국에 따르면 이 마구라 드론이 발견된 지점은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무려 1440㎞ 떨어져 있으며 러시아가 점령한 크림반도에서도 남동쪽으로 약 960㎞ 거리에 있다. 튀르키예 IHA 통신은 “우리 어부들이 바다에서 이상한 보트를 발견해 항구로 가져왔으며 조사 결과 폭탄이 탑재된 것을 확인했다”면서 “현재 폭발물 처리반 등 전문가들이 동원돼 조사 중에 있다”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국영기업이 개발한 마구라 V5는 정찰과 감시는 물론 폭탄을 싣고가 러시아 군함에 자폭하며 큰 전과를 올리고 있다. 마구라 V5는 최소 300㎏이 넘는 폭발물을 싣고 최고 80㎞/h까지 속도를 낼 수 있으며 공격 범위는 800㎞에 달한다. 개전 이후 우크라이나군은 비대칭 전력으로 다양한 해상 드론을 개발해 러시아군을 압박해왔다. 마구라 드론은 진화에 진화를 거듭 중인데 과거에는 자폭 방식이었으나 최근에는 단거리 열추적 공대공 미사일 R-73까지 탑재했다. 특히 최근에는 ‘마구라 V7’도 활약 중인데, 여기에는 미국과 캐나다가 지원한 AIM-9 적외선 유도 미사일을 탑재했으며 선수와 선미에 최소 3대의 직사각형 위성통신 안테나도 장착됐다. 실제로 지난 5월 우크라이나 국방정보국(GUR)은 마구라 V7으로 러시아 흑해 항구도시 노보로시스크 인근을 비행하던 수호이(Su)-30 전투기 2대를 사상 처음으로 파괴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우크라이나군이 공개한 영상을 보면 먼 거리에서 폭발한 물체가 불에 휩싸인 채 바다로 추락하는 장면이 확인된다. 다만 이번에 터키에서 발견된 마구라 V5에는 미사일 레일이나 포탑, FPV 드론 발사대 등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 [포착] 네가 왜 여기서 나와?…300㎏ 폭탄 실은 우크라 해상 드론, 튀르키예서 발견 (영상)

    [포착] 네가 왜 여기서 나와?…300㎏ 폭탄 실은 우크라 해상 드론, 튀르키예서 발견 (영상)

    우크라이나가 자랑하는 해상 드론이 황당하게도 튀르키예 해안에서 발견됐다. 1일(현지시간) 미 군사 전문 매체 더워존 등 외신은 약 300㎏의 폭발물을 실은 우크라이나군의 마구라 V5가 튀르키예의 항구 도시인 트라브존 인근 연안에서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목적지를 잃은 채 둥둥 떠다니다 현지 어부들에게 발견된 마구라 드론은 이번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큰 활약을 펼친 가성비 높은 무기다. 특히 흑해에서의 활약이 눈부신데, 사실상 해군이 없는 우크라이나는 마구라와 같은 해상 드론을 동원해 많은 러시아 함선을 파괴했다. 튀르키예 당국에 따르면 이 마구라 드론이 발견된 지점은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무려 1440㎞ 떨어져 있으며 러시아가 점령한 크림반도에서도 남동쪽으로 약 960㎞ 거리에 있다. 튀르키예 IHA 통신은 “우리 어부들이 바다에서 이상한 보트를 발견해 항구로 가져왔으며 조사 결과 폭탄이 탑재된 것을 확인했다”면서 “현재 폭발물 처리반 등 전문가들이 동원돼 조사 중에 있다”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국영기업이 개발한 마구라 V5는 정찰과 감시는 물론 폭탄을 싣고가 러시아 군함에 자폭하며 큰 전과를 올리고 있다. 마구라 V5는 최소 300㎏이 넘는 폭발물을 싣고 최고 80㎞/h까지 속도를 낼 수 있으며 공격 범위는 800㎞에 달한다. 개전 이후 우크라이나군은 비대칭 전력으로 다양한 해상 드론을 개발해 러시아군을 압박해왔다. 마구라 드론은 진화에 진화를 거듭 중인데 과거에는 자폭 방식이었으나 최근에는 단거리 열추적 공대공 미사일 R-73까지 탑재했다. 특히 최근에는 ‘마구라 V7’도 활약 중인데, 여기에는 미국과 캐나다가 지원한 AIM-9 적외선 유도 미사일을 탑재했으며 선수와 선미에 최소 3대의 직사각형 위성통신 안테나도 장착됐다. 실제로 지난 5월 우크라이나 국방정보국(GUR)은 마구라 V7으로 러시아 흑해 항구도시 노보로시스크 인근을 비행하던 수호이(Su)-30 전투기 2대를 사상 처음으로 파괴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우크라이나군이 공개한 영상을 보면 먼 거리에서 폭발한 물체가 불에 휩싸인 채 바다로 추락하는 장면이 확인된다. 다만 이번에 터키에서 발견된 마구라 V5에는 미사일 레일이나 포탑, FPV 드론 발사대 등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 닷새 앞으로 다가온 노벨평화상 발표…트럼프가 진짜 탈까

    닷새 앞으로 다가온 노벨평화상 발표…트럼프가 진짜 탈까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 발표가 닷새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그간 지속적으로 수상 열망을 드러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실제로 영예를 안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5일 노벨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는 오는 10일에 발표될 예정이며, 지난 1월 후보자 추천 마감 결과 338명이 이름을 올렸다. 규정에 따르면 후보자 명단은 50년 이후 공개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자 중 한 명이다. 추천한 사람은 비밀을 유지할 의무가 없는데, 우크라이나의 올렉산드르 메레츠코 의원이 지난해 11월 이후 트럼프 대통령을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에서도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을 후보로 추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재임 이후 자신이 7개의 전쟁을 해결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캄보디아-태국, 코소보-세르비아, 콩고민주공화국-르완다, 파키스탄-인도, 이스라엘-이란, 이집트-에티오피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사이의 전쟁(분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미국 버지니아주 콴티코 해병기지에서 열린 전군 지휘관 회의 연설에서 노벨평화상에 대해 “아무것도 하지 않은 이에게 상을 준다면 그것은 우리나라에 큰 모욕이 될 것이다. 나는 개인이 아니라 미국이 상을 받기를 원한다”며 다시 한번 수상 열망을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의 눈치를 보는 탓인지 일부 국가 정상들은 그의 노벨평화상 수상 지지를 표명한 바 있다. 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과 니콜 파시냔 아르메니아 총리는 지난 8월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 중재로 평화 협정에 서명하면서 “노벨평화상 후보로 트럼프 대통령을 공동 지명하겠다. 그가 아니라면 누가 자격이 있겠느냐”고 했다. 하지만 미국 내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워싱턴포스트(WP)와 여론조사업체 입소스가 지난달 미국 성인 25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 여론조사에 따르면 76%는 트럼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에 부정적이었다. 노벨평화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2%에 불과했다. 크리스티안 베르그 라르프비켄 노벨위 사무총장은 지난달 AFP 통신 인터뷰에서 “우리도 특정 후보에 언론 관심이 많은 걸 안다”면서도 “위원회가 진행하는 논의에서 그런 것에 휘둘릴 일은 전혀 없다. 위원회는 개별 후보를 각자 자질에 따라 검토한다”고 밝혔다. 미국 역사에서 노벨평화상을 받은 대통령은 시어도어 루스벨트, 우드로 윌슨, 지미 카터, 버락 오바마 등 4명뿐이다.
  • “군대 안갈래” 5년간 1만8천명 한국국적 포기…‘이 나라’로 떠났다

    “군대 안갈래” 5년간 1만8천명 한국국적 포기…‘이 나라’로 떠났다

    최근 5년간 한국 국적을 포기한 병역의무 대상자가 2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 포기 후 가장 많이 취득한 국적은 미국으로 전체의 66.4%에 달했다. 1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병무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8월 말까지 병역의무 대상자 가운데 국적 포기자는 총 1만 8434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유학 등 장기 거주로 외국 국적 취득 후 한국 국적을 포기한 ‘국적상실’이 1만 2153명(65.9%)이었고, 선천적 복수국적자가 대한민국 국적을 포기하는 ‘국적이탈’이 6281명(34.1%)이었다. 국적 포기 후 가장 많이 취득한 국적은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뉴질랜드 순이었다. 미국 국적 취득자는 1만 2231명으로 전체의 66.4%를 차지했고, 캐나다 2282명(12.4%), 일본 1589명(8.6%), 호주 821명(4.5%), 뉴질랜드 516명(2.8%) 등이었다. 반면 외국 영주권자 등 국외이주자 중에서 자원입영을 신청한 사람은 같은 기간 총 2813명이었다. 미국(511명), 중국(476명), 베트남(260명), 일본(220명), 캐나다(155명), 인도네시아(154명) 등 순이었다. 황 의원은 “병역기피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는 국적 포기자에 대한 엄격한 기준 정립이 시급하다”며 “이중 국적자의 병역 이행을 유도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병역의무자에 대한 지원도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인 이지호씨는 지난달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그는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났지만 미국 시민권을 포기하고 대한민국 해군 장교로 복무하기 위해 입대했다. 현행법상 복수 국적자는 사병과 달리 장교로 복무하기 위해 외국 국적을 포기해야 한다. 그는 해군 장교로 복무하겠다는 의지를 부친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게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장 역시 아들의 결정을 격려했다고 한다. 이씨의 이번 입대는 재계에서 보기 드문 장교 자원 사례로, 병역 회피 논란이 잦은 일부 대기업 자녀들과 대조되며 주목을 받았다. 이씨는 임관 후 함정 통역장교로 복무할 예정이다. 의무 복무 36개월을 포함해 총 39개월간 군 생활을 한다. 구체적인 보직과 부대는 성적과 인력 수요에 따라 결정된다.
  • (영상) 중국 크리에이터가 만든 ‘날아다니는 거실’ 정체

    (영상) 중국 크리에이터가 만든 ‘날아다니는 거실’ 정체

    중국판 유튜브인 빌리빌리(Bilibili)의 인기 과학·실험 분야 크리에이터 ‘아유의 과학 모험’(神奇阿宇Ayu)이 윈난성 푸저헤이(普者黑) 지역에서 ‘날아다니는 거실’을 만들어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실제 가구와 스마트 가전까지 갖춘 거실을 열기구에 통째로 실어 해발 3000m 구름 속을 비행한 실험인데요. 아유의 과학 모험은 공개한 영상에서 “거실 기초 공사만 보름 넘게 작업했다”며 “구조 점검과 안전 테스트를 완료한 후 완성된 거실을 통째로 트럭에 싣고 이륙 지점으로 옮겨 프로젝트를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구름 위를 유유히 날며 펼쳐지는 몽환적인 ‘공중 거실’ 풍경을 영상으로 감상해 보세요.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슈&트렌드 | 케찹(@ccatch_upp)님의 공유 게시물
  • 불 속에서 어머니 구하려다… 40대 아들 끝내 숨져

    불 속에서 어머니 구하려다… 40대 아들 끝내 숨져

    80대 노모는 목숨 건졌으나 전신 2도 화상 경기 구리의 한 아파트에서 불이 나 40대 아들이 숨지고 80대 노모가 크게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1일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4시 20분쯤 구리시에 있는 15층짜리 복도식 아파트 14층에서 불이 났다. 아들 A씨는 자택 베란다에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으나 치료 중 숨졌다. 어머니 B씨는 전신에 2도 화상을 입는 등 크게 다쳤으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화재로 이웃 주민 100여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A씨는 불이 나자 아파트 복도로 나와 ‘불이야’라고 소리치며 같은 층 주민들에게 대피할 것을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A씨는 거동이 불편한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집으로 들어갔다가 베란다에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소방당국은 대응 1단계를 발령, 화재 발생 약 44분 만에 불을 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현장 감식을 진행해 화재 원인을 조사할 방침이다.
  • 남자 둘이 친자식 낳는다?…피부로 난자 만들어 수정 성공, 현실 됐다

    남자 둘이 친자식 낳는다?…피부로 난자 만들어 수정 성공, 현실 됐다

    사람의 피부 세포에서 추출된 DNA로 난자를 만들고 정자와 수정시켜 초기 배아를 만드는 시도가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노화나 질병으로 아이를 낳지 못했던 이들뿐 아니라, 동성 커플도 두 사람 모두의 유전자를 물려받은 자녀를 가질 수 있게 된다. 30일(현지시간) 가디언, BBC 등 외신은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와 한국 차의과대 공동 연구진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한 논문 내용을 상세히 보도했다. 피부 세포핵 추출해 난자 만들어본래 생식은 남성의 정자와 여성의 난자가 만나 수정된 뒤 9개월이 지나 아기가 태어나는 과정이다. 하지만 이번 실험은 사람의 피부 세포에서 시작된다. 연구팀은 먼저 피부 세포에서 핵을 추출했다. 핵에는 인체를 만드는 데 필요한 모든 유전 정보가 담겨 있다. 이 핵을 유전 정보가 제거된 기증 난자 속에 넣은 뒤, 세포 분열 과정을 거쳐 난자가 염색체 절반을 버리도록 유도했다. 그 결과 연구진은 82개의 기능성 난자를 만들어냈다. 이들은 정자와 수정됐고, 일부는 초기 배아로 발달했다. 다만 6일 이상 발달하지는 못했다. 오리건 보건과학대 배아세포·유전자 치료 센터를 이끄는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교수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일을 이뤘다”고 말했다. 성공률 9%…완성까지 갈 길 멀어다만 이 기술은 아직 완성 단계에는 한참 못 미친다. 난자가 어떤 염색체를 버릴지 무작위로 정하기 때문이다. 성공률도 약 9%에 그치고, 염색체가 DNA를 재배열하는 핵심 과정도 빠져 있다. 현재로서는 과학적 발견 단계일 뿐 임상에 적용할 수준도 아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정자나 난자가 없어 체외수정을 받을 수 없는 부부를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더 이상 사용할 수 있는 난자가 없는 고령 여성이나 정자 생산이 부족한 남성, 암 치료로 불임이 된 이들에게 희망이 될 수 있다. 이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미탈리포프 교수는 “기술을 완벽하게 다듬어야 한다”며 “결국 미래는 이 방향으로 갈 것이다. 아이를 가질 수 없는 환자가 계속 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동성 커플도 유전자 물려받은 자녀 가능또한 이 기술은 여성의 피부 세포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남성의 피부 세포도 쓸 수 있다. 이는 동성 커플이 두 사람 모두의 유전자를 물려받은 아이를 가질 가능성을 연다. 예컨대 남성 동성 커플의 경우, 한 사람의 피부로 난자를 만들고, 다른 남성의 정자로 수정하는 식이다. 오리건 보건과학대 폴라 아마토 교수는 “난자나 정자 부족으로 불임을 겪는 수백만 명에게 희망을 주는 것은 물론, 동성 커플도 두 사람 모두와 유전적으로 이어진 아이를 가질 길을 열어준다”고 설명했다.
  • “말이 지뢰 피한다”…러시아군, 우크라에 기마부대 운용

    “말이 지뢰 피한다”…러시아군, 우크라에 기마부대 운용

    러시아군이 70년 만에 전통 기병대를 부활시켜 전장에 투입하고 있다. 현대전에서 사라졌던 말이 다시 전투 수단으로 돌아왔다. 차량 대신 말…“지뢰도 피해 간다”미국 군사 전문 매체 디펜스 블로그는 30일(현지시간) 러시아군 제51전군 예하 제9근위독립차량화소총여단 소속 특수부대 ‘슈톰’이 차량 대신 말을 활용하는 기마부대를 새로 창설했다고 보도했다. 전선에는 자성 지뢰가 광범위하게 매설돼 차량 이동이 제한되고 도로 상황도 열악하다. 이에 슈톰 부대는 말을 대체 기동수단으로 선택했다. 러시아 전쟁 전문 기자 세묜 페고프는 지난 27일 러시아투데이 기고문에서 “말은 본능적으로 위험을 감지해 지뢰를 피하고 어두운 곳에서도 길을 찾는다”고 전했다. 그는 “발굽에 금속 편자를 씌우면 지뢰가 반응할 수 있어 러시아군이 고무·합성수지 편자나 편자 없는 상태로 운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기마 전술은 병사 두 명이 한 마리에 탑승해 한 명이 말을 조종하고 다른 한 명이 화력을 지원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국방위원장 “야간 전술에 효과적”러시아 하원(국가두마) 국방위원장 안드레이 카르타폴로프도 말을 활용한 기마 전술에 힘을 실었다. 그는 현지 매체 데일리 스톰에 “야간이나 시야가 제한된 상황에서 말은 사슴이나 소처럼 보인다”며 “적 드론 관측자들이 굳이 드론을 소모하면서까지 말 한 마리를 추적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카르타폴로프는 또 “말은 어둠 속에서도 잘 길을 찾고 복잡한 지형도 빠르게 넘어설 수 있다”며 “이는 비정형적이지만 충분히 정상적인 접근 방식이며, 지휘관들이 현장에서 필요하다고 판단한다면 반드시 이유가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 병사가 말을 조종하고 다른 병사가 화력을 지원하는 방식은 사실상 새로운 전술적 기법이며 전투에서 모든 수단은 다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전투용 말 훈련 집중 훈련은 단순한 승마 기술을 넘어 말 자체를 전투 환경에 익숙하게 만드는 과정에 중점을 두고 있다. 총성과 폭발음 속에서도 당황하지 않도록 반복 훈련을 실시한다. 훈련을 마친 기마 돌격조는 정찰, 기습 공격, 보급 지원 등 차량 투입이 어려운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낭만이 아닌 현실적 선택”모스크바 타임스는 이번 시도가 과거 회귀가 아니라 전장의 현실에 따른 전술적 대응이라고 분석했다. 9여단은 오토바이, 사륜 오토바이(ATV), 픽업트럭, 전동 스쿠터 등 저비용 기동수단을 이미 활용해왔다. 말과 노새, 낙타까지 전장에 투입된 사례도 확인됐다. 해외에서도 이어지는 기병 운용말을 활용한 군사 작전은 러시아만의 특수 사례가 아니다. 폴란드는 벨라루스 국경 습지대에서 말을 이용해 순찰을 수행하고 있으며 미국과 독일, 중국, 칠레 등도 정찰과 은밀 침투 작전에 제한적으로 기병을 유지한다. 페고프는 텔레그램 채널 ‘워곤조(WarGonzo)’에서 “머지않아 러시아 기병의 역사적 귀환을 보게 될 것”이라며 “전장에서 말을 탄 병사들의 모습은 낭만이 아니라 냉혹한 생존”이라고 강조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