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Ʊ׶׸̸-Ż 񡩾Ʊ׶-pom555.kr-񡩾Ʊ׶ǰԻƮ Visit our website:(xn--fast-fy4p586i.com)
    2025-11-1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148,930
  • 경기도의회, SNS 서포터즈 통해 조례 홍보 강화

    경기도의회, SNS 서포터즈 통해 조례 홍보 강화

    경기도의회(의장 김진경)가 13일 도의회 예담채에서 ‘2025년 경기도의회 SNS 서포터즈’ 해단식을 개최했다. 이번 해단식은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3개월간 활발히 활동한 서포터즈들의 노고를 기리고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년도 경기도의회 SNS 서포터즈는 20명으로 구성됐으며 세 달의 운영기간 동안 60건의 홍보콘텐츠를 제작해 14만여 회의 조회수(9월 30일 기준)를 올렸다. 올해 서포터즈 활동은 경기도의회의 조례를 생활 속에서 직접 경험하고, 실제 현장을 방문한 기사와 콘텐츠로 생동감을 강화했으며, 이 가운데 16건의 서포터즈 기사는 소원이 캐릭터를 활용한 카드뉴스 등 콘텐츠로 재가공해 도민 친화적 소통 효과를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2024년 41건 홍보콘텐츠 제작으로 2만2천여회가 조회된 지난해 실적과 비교하면, 조회수가 6배 이상 오르는 성과를 거뒀다. 함신애 서포터즈가 만든 ‘경기도 공원 맨발걷기 활성화 지원 조례’ 콘텐츠는 1만회가 넘는 조회수를 올려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았다. 함 서포터즈는 공원 내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맨발 산책로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조례 내용을 소개하기 위해 직접 고양 성저공원을 찾아 다양한 맨발길 사진과 함께 도민의 참여를 기대했다. 이운정 서포터즈의 ‘경기도 전세사기 예방 및 안전전세 관리단 운영 조례’, 박국화 서포터즈의 ‘경기도 자원순환기본 조례<투명패트병을 현금으로>’ 등의 콘텐츠 역시 각각 8천여회, 7천5백여회의 조회수를 보이며 주목받았다. 박호순 의정국장은 “서포터즈 활동은 경기도의회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도민과 의회를 연결하는 소중한 다리가 되었다”라며 “서포터즈 여러분의 의견을 의정홍보 활동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20년부터 5년째 운영중인 ‘경기도의회 SNS 서포터즈’는 경기도민으로 구성된 ‘콘텐츠 제작 지원단’으로, 도의회가 운영하는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등 SNS을 통해 의정활동을 보다 쉽고 친근하게 도민들께 전달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 韩团防弹少年团BTS《春日》入选《滚石》21世纪最佳歌曲250首,位列第37位

    韩团防弹少年团BTS《春日》入选《滚石》21世纪最佳歌曲250首,位列第37位

    据韩联社报道,《滚石》杂志于当地时间8日通过官方网站公布了“21世纪最佳250首歌曲”榜单 BTS的歌曲《春日》成为排名最高的韩国歌曲,位列第37位。 《滚石》对《春日》给予了高度评价,称其为“21世纪最具影响力的流行组合之一防弹少年团的代表作”,并表示“歌曲中传达的在失落中重生的希望与恢复的情感具有超越性的共鸣”。《滚石》还指出,这首歌是“引领防弹少年团走向全球成功的标志性作品,展现了他们音乐中强大的凝聚力”。 《春日》是防弹少年团于2017年2月发行的正规二辑改版专辑《YOU NEVER WALK ALONE》的主打歌。这首歌融合了摇滚和电子元素,属于另类嘻哈风格,表达了等待与久违的朋友重逢并保持希望的信息。 《春日》在韩国Melon音乐平台上成为首支累计播放量突破10亿次的歌曲,并且在公开后的7年零11个月里一直保持在每日榜单上,创下了最长在榜记录。此外,收录这首歌的专辑在2017年3月4日登上了美国Billboard主专辑榜“Billboard 200”,排名第61位,并连续两周上榜。 在此次榜单中,除了防弹少年团,还有其他多位K-pop艺人入选。BLACKPINK的《DDU-DU DDU-DU》位列第142位,少女时代的《Gee》位列第170位,NewJeans的《Hype Boy》位列第206位。《滚石》对《DDU-DU DDU-DU》评价称,这首歌“完美展现了2010年代K-pop在美国掀起的热潮”。 值得一提的是,21世纪最佳歌曲250首的榜首是Missy Elliott的《Get Ur Freak On》,而碧昂丝的《Crazy in Love》则位列第三。此外,布兰妮·斯皮尔斯、泰勒·斯威夫特等艺人的歌曲也进入了榜单前列。 방탄소년단(BTS) ‘봄날’, 《롤링스톤》 선정 ‘21세기 최고의 노래 250’ 중 37위 올라 《롤링스톤》이 발표한 ‘21세기 최고의 노래 250’ 리스트에서 방탄소년단의 ‘봄날’이 한국 음악 중 가장 높은 순위인 37위에 랭크됐다. 《롤링스톤》은 ‘봄날’을 “21세기 최고의 팝 그룹 중 하나로 자리잡은 방탄소년단의 대표곡”이라며 “상실감 속에서 피어나는 치유와 희망의 감정이 담긴 가사는 깊은 울림을 주며, 이 곡은 BTS가 세계적인 인기를 얻게 된 계기가 된 상징적인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봄날’은 2017년 2월 발매된 정규 2집 리패키지 앨범 ‘YOU NEVER WALK ALONE’의 타이틀곡으로, 록과 일렉트로닉 사운드가 조화를 이룬 얼터너티브 힙합 스타일의 곡이다. 이 곡은 멀어진 관계를 회복하고자 하는 희망과 의지를 담고 있어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얻었다. 이 곡은 멜론에서 누적 재생 수 10억회를 돌파하며 기록을 세웠으며, 발매 이후 7년 11개월 동안 차트에 머무르며 최장기 차트인 기록을 달성했다. 또한, 이 곡이 수록된 앨범은 2017년 3월 빌보드 200 차트에서 61위로 데뷔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리스트에는 방탄소년단 외에도 여러 K팝 아티스트들이 포함됐다. BLACKPINK의 ‘뚜두뚜두’는 142위, 소녀시대의 ‘Gee’는 170위, 뉴진스의 ‘Hype Boy’는 206위에 올랐다. 《롤링스톤》은 ‘뚜두뚜두’에 대해 “K팝이 2010년대 미국에서 일으킨 돌풍을 잘 보여주는 곡”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1위는 미시 엘리엇의 ‘Get Ur Freak On’이 차지했으며, 비욘세의 ‘Crazy in Love’는 3위에 올랐다. 브리트니 스피어스, 테일러 스위프트 등 여러 유명 아티스트의 곡들도 상위권에 자리했다.
  • (영상) 주사기 찌르고 도망…선 넘는 장난친 크리에이터의 최후

    (영상) 주사기 찌르고 도망…선 넘는 장난친 크리에이터의 최후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슈&트렌드 | 케찹(@ccatch_upp)님의 공유 게시물 틱톡에서 활동하던 한 장난 크리에이터가 조회수를 노리고 낯선 사람들을 주사기로 찌르는 영상을 올렸다가, 결국 법의 심판을 받았습니다. 프랑스 남성 크리에이터 ‘일란 M’(27·본명 아민 모히토)은 행인들을 빈 주사기로 찌르는 ‘장난’ 영상을 촬영·게시한 혐의로 지난 6월 26일 체포됐습니다. 그는 모자와 마스크를 착용한 채, 카메라맨이 멀리서 몰래 촬영하는 방식으로 영상을 찍었는데요. 영상에는 갑작스러운 공격에 놀라 공포와 분노를 드러내는 피해자들, 그리고 그 반응을 본 모히토가 달아나는 장면이 차례로 담겨 있었죠. 프랑스 일간지 리베라시옹에 따르면, 당시 프랑스 전역에서는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주사기 공격이 급증하던 시기였습니다. 검찰은 일란의 의도와 관계없이 이런 장난 영상이 주사기 공격 현상을 부추겼다고 판단했죠. 이에 대해 모히토는 “그런 상황인 줄 몰랐다”며 “인터넷에서 본 영상을 따라 한 것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사람들에게 상처를 줄 거라 생각하지 못했다. 오직 나만 생각한 어리석은 행동이었다”고 반성의 뜻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단호했는데요. 지난 10월 3일 모히토에게 징역 12개월(이 중 6개월은 집행유예)의 실형과 1500유로의 벌금, 3년간 무기 소지 금지 명령을 선고했습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온라인에서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6개월은 너무 가볍다“는 것인데요. 네티즌들은 “빈 주사기라도 혐오스러운 행위다. 이런 영상이 퍼지면 실제로 유해 물질을 사용하는 모방 범죄가 생길 수도 있다”, “피해자들은 실제 감염 공포 속에 시달렸을 것”, “이런 어이없는 ‘장난’을 수익으로 연결하는 플랫폼의 구조도 문제” 등 다양한 의견을 내놨습니다.
  • 韩团防弹少年团BTS《春日》入选《滚石》21世纪最佳歌曲250首,位列第37位

    韩团防弹少年团BTS《春日》入选《滚石》21世纪最佳歌曲250首,位列第37位

    据韩联社报道,《滚石》杂志于当地时间8日通过官方网站公布了“21世纪最佳250首歌曲”榜单 BTS的歌曲《春日》成为排名最高的韩国歌曲,位列第37位。 《滚石》对《春日》给予了高度评价,称其为“21世纪最具影响力的流行组合之一防弹少年团的代表作”,并表示“歌曲中传达的在失落中重生的希望与恢复的情感具有超越性的共鸣”。《滚石》还指出,这首歌是“引领防弹少年团走向全球成功的标志性作品,展现了他们音乐中强大的凝聚力”。 《春日》是防弹少年团于2017年2月发行的正规二辑改版专辑《YOU NEVER WALK ALONE》的主打歌。这首歌融合了摇滚和电子元素,属于另类嘻哈风格,表达了等待与久违的朋友重逢并保持希望的信息。 《春日》在韩国Melon音乐平台上成为首支累计播放量突破10亿次的歌曲,并且在公开后的7年零11个月里一直保持在每日榜单上,创下了最长在榜记录。此外,收录这首歌的专辑在2017年3月4日登上了美国Billboard主专辑榜“Billboard 200”,排名第61位,并连续两周上榜。 在此次榜单中,除了防弹少年团,还有其他多位K-pop艺人入选。BLACKPINK的《DDU-DU DDU-DU》位列第142位,少女时代的《Gee》位列第170位,NewJeans的《Hype Boy》位列第206位。《滚石》对《DDU-DU DDU-DU》评价称,这首歌“完美展现了2010年代K-pop在美国掀起的热潮”。 值得一提的是,21世纪最佳歌曲250首的榜首是Missy Elliott的《Get Ur Freak On》,而碧昂丝的《Crazy in Love》则位列第三。此外,布兰妮·斯皮尔斯、泰勒·斯威夫特等艺人的歌曲也进入了榜单前列。 방탄소년단(BTS) ‘봄날’, 《롤링스톤》 선정 ‘21세기 최고의 노래 250’ 중 37위 올라 《롤링스톤》이 발표한 ‘21세기 최고의 노래 250’ 리스트에서 방탄소년단의 ‘봄날’이 한국 음악 중 가장 높은 순위인 37위에 랭크됐다. 《롤링스톤》은 ‘봄날’을 “21세기 최고의 팝 그룹 중 하나로 자리잡은 방탄소년단의 대표곡”이라며 “상실감 속에서 피어나는 치유와 희망의 감정이 담긴 가사는 깊은 울림을 주며, 이 곡은 BTS가 세계적인 인기를 얻게 된 계기가 된 상징적인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봄날’은 2017년 2월 발매된 정규 2집 리패키지 앨범 ‘YOU NEVER WALK ALONE’의 타이틀곡으로, 록과 일렉트로닉 사운드가 조화를 이룬 얼터너티브 힙합 스타일의 곡이다. 이 곡은 멀어진 관계를 회복하고자 하는 희망과 의지를 담고 있어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얻었다. 이 곡은 멜론에서 누적 재생 수 10억회를 돌파하며 기록을 세웠으며, 발매 이후 7년 11개월 동안 차트에 머무르며 최장기 차트인 기록을 달성했다. 또한, 이 곡이 수록된 앨범은 2017년 3월 빌보드 200 차트에서 61위로 데뷔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리스트에는 방탄소년단 외에도 여러 K팝 아티스트들이 포함됐다. BLACKPINK의 ‘뚜두뚜두’는 142위, 소녀시대의 ‘Gee’는 170위, 뉴진스의 ‘Hype Boy’는 206위에 올랐다. 《롤링스톤》은 ‘뚜두뚜두’에 대해 “K팝이 2010년대 미국에서 일으킨 돌풍을 잘 보여주는 곡”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1위는 미시 엘리엇의 ‘Get Ur Freak On’이 차지했으며, 비욘세의 ‘Crazy in Love’는 3위에 올랐다. 브리트니 스피어스, 테일러 스위프트 등 여러 유명 아티스트의 곡들도 상위권에 자리했다.
  • 경기도 가평군 남이섬?···김동연-반크, ‘생성형 AI 오류’ 공동 대응

    경기도 가평군 남이섬?···김동연-반크, ‘생성형 AI 오류’ 공동 대응

    “AI 오류 잡으면 인센티브 도입 등 반크와 협업 추진” 지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가 경기도와 관련된 잘못된 정보를 찾아 바로잡는 ‘글로벌 AI 대사’를 양성하는 등 새로운 공공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김 지사는 13일 경기도청에서 박기태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VANK. Voluntary Agency Network of Korea) 단장과 연구원 등 10명과 함께 ‘생성형 AI 속 경기도 자료 오류 대응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간담회에서는 AI 기술이 생성한 경기도 관련 오류 사례로, 현 강원도 춘천시 남이섬을 경기도 가평군 남이섬이라고 답변하거나 경기도의 광교 청사 이전 연도를 2016년, 2023년 등 제각각으로 안내하는 경우 등이 소개됐다. 또 기후행동 기후소득이나 버스 환승제도, 청년정책 등 경기도 정책에 대한 서술 오류, 경기도 문화유산의 이미지를 변형하거나 역사적 맥락이 축소되는 사례도 다수 확인돼 시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크는 ▲경기도 공식 누리소통망(SNS), 누리집, 앱을 통한 AI 오류 신고 캠페인 전개 ▲AI 오류 신고보상시스템 도입 ▲도내 대학·연구기관의 AI 관련 학과 및 민간기업과 협력 모델 구축 ▲경기도형 AI검증 플랫폼 및 AI 오류 아카이브 구축 등을 내놨다. 특히 생성형 AI 오류를 모니터링하는 ‘글로벌 AI대사’ 양성사업을 제안하며, 청소년·청년 중심의 민간 참여 프로그램 확대도 함께 제의했다. 김 지사는 “반크가 도에서 같이 할 수 있는 좋은 제안을 많이 해주었는데 함께 했으면 좋겠다. AI 오류는 경기도청이나 공공기관이 아니라 일반 도민들이 찾으면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도 고려해 봤으면 한다”며 “오늘 회의를 계기로 실·국별로 구체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을 만들어서 협력하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박기태 반크 단장은 “우리나라 외교관이 2천 명밖에 안 된다. 경기도가 최초로 경기도민들을 글로벌 AI대사로 양성해 전 세계에 잘못 퍼진 AI 관련 오류를 발견하고 시정했으면 한다”라고 밝혔다. 경기도는 생성형 AI 시대의 정보 신뢰도 확보와 윤리적 활용 기반 마련을 위해 반크와 협력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특히 도민이 직접 참여하는 데이터 클라우드소싱 기반의 오류 탐지 시스템과 경기도형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을 통해 행정 혁신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경기도와 반크는 그동안 ‘독도의 날’ 간담회(2021년), ‘청소년·청년 기후대사’ 양성 협약(2024년) 등 협력을 이어왔다.
  • 소영철 서울시의원, 신수중학교 인조잔디 운동장 준공식 참석

    소영철 서울시의원, 신수중학교 인조잔디 운동장 준공식 참석

    서울특별시의회 소영철 의원(국민의힘, 마포구 제2선거구)은 지난 2일 신수중학교 인조잔디 운동장 준공식에 참석해 학생들과 함께 개장을 축하했다. 이번 인조잔디 운동장 조성은 학생들의 안전하고 건강한 체육활동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서울시교육청과 마포구가 공동으로 추진한 사업으로, 총사업비 5억 1100만 원이 투입됐다. 이 가운데 서울시교육청이 2억 5500만 원을 대응투자 예산으로 지원하고, 마포구가 교육경비보조금 2억 5500만 원을 부담해 사업이 완성됐다. 소 의원은 사업 추진 초기부터 교육청과 마포구 간 협의 과정을 적극적으로 조율하며 예산 확보의 근거를 마련했다. 그 결과 학교의 오랜 숙원이었던 운동장 환경 개선이 현실화되어, 학생과 학부모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환경 개선 성과를 이끌어냈다. 인조잔디 운동장은 충격 흡수 효과가 높아 부상 위험을 줄이고, 날씨에 상관없이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어 학생들의 체육활동 공간으로는 물론 지역주민의 생활체육 시설로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준공식에는 소 의원을 비롯해 조정훈 국회의원, 박강수 마포구청장, 신수중학교 교직원과 학부모, 학생, 지역주민 등 500여 명이 참석해 인조잔디 운동장의 새 출발을 함께 축하했다. 소 의원은 “신수중학교 인조잔디 운동장 조성은 교육청과 자치구가 협력해 만들어낸 모범사례로, 아이들이 흙먼지 없이 안전하게 뛰놀 수 있는 환경을 위해 추진된 결과”라며 “앞으로도 교육청과 긴밀히 협력해 더 많은 학교가 쾌적하고 안전한 교육시설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 ‘탈세 벌금 1840억→사망설’ 판빙빙, 9년 만에 ‘좋은 소식’ 전했다

    ‘탈세 벌금 1840억→사망설’ 판빙빙, 9년 만에 ‘좋은 소식’ 전했다

    탈세 논란 이후 자취를 감추며 사망설에 휩싸였던 중국 배우 판빙빙이 금마장 영화제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지난 1일 발표된 ‘제62회 금마장 영화제’ 후보 명단에 따르면, 판빙빙은 영화 ‘지모(地母·Mother Bhumi)’로 여우주연상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대만에서 열리는 금마장은 중화권에서 가장 권위 있는 영화제 중 하나다. 판빙빙이 금마장 후보에 오른 것은 2016년 이후 9년 만이다. 금마장 후보가 공개된 이후 판빙빙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술잔 사진을 올리며 “인생길을 오르며 애쓰는 모든 이들에게. 방금 비행기에서 내려 한 잔. 분주하지만 충만한 여정을 위해 건배합니다. 길은 멀지만, 우리 함께 걸어가요”라고 소감을 밝혔다. 탈세 의혹에 휩싸이면서 오랜 기간 자숙했던 판빙빙이 금마장에서 여우주연상을 손에 쥐고 화려하게 복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지난 2018년 판빙빙은 탈세 혐의로 조사를 받았다. 중국 세무 당국은 판빙빙에게 8억위안(약 1840억원)이 넘는 벌금을 내라고 명령했다. 벌금을 낸 후 활동을 중단한 판빙빙을 두고 일각에서는 망명설, 실종설, 사망설, 구금설 등이 제기되기도 했다. 자숙 4년 만인 2022년 할리우드 영화 ‘355’로 복귀한 판빙빙은 이후 여러 작품에 출연하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지난 2023년 부산국제영화제에 참석한 판빙빙은 “연기자는 때로 자신을 침착하게 가라앉힐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면서 새로운 이야기, 새로운 사람들도 만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실종설 등을 일축했다. 그는 “스스로 마음을 가라앉히고 침착하게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며 “새로운 눈으로 다른 인생을 바라보고, 또 다른 인물을 만나고, 또 다른 느낌을 쌓아가면서 인생을 대할 수 있는 힘이 생겼다”라고 밝혔다. 이어 “공백기 동안 영화를 많이 봤고 영화 수업도 많이 들었다. 시간에 쫓겨 할 수 없었던 일들을 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판빙빙이 출연하는 영화 ‘지모’는 다음 달 개최되는 금마장에서 여우주연상을 비롯해 작품상, 감독상, 영화 음악상 등 총 8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됐다. 또 ‘제38회 도쿄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 공식 초청됐다.
  • ‘케데헌’ 이재, ‘골든’ 첫 라이브 후기…“공황발작으로 목소리 잃었다”

    ‘케데헌’ 이재, ‘골든’ 첫 라이브 후기…“공황발작으로 목소리 잃었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삽입곡(OST) ‘골든’(Golden)을 만든 작곡가 겸 가수 이재(김은재·33)가 최근 미국에서 진행된 첫 라이브 무대의 후기를 전했다. 이재는 영화 속 가상의 아이돌 그룹 ‘헌트릭스’ 멤버 루미의 가창 장면을 더빙하기도 했다. 이재는 13일 방송된 KBS 쿨(Cool)FM ‘이은지의 가요광장’에 출연해 “첫 라이브 당시 엄청나게 떨려서 아침 리허설 때부터 목소리가 안 나왔다”고 밝혔다. 이재는 지난 7일(현지시간) 미 NBC ‘지미 팰런의 투나잇 쇼’에서 ‘헌트릭스’ 가창 더빙을 맡은 오드리 누나·레이 아미와 함께 ‘골든’ 첫 라이브를 펼쳤다. 방송이 나간 뒤 온라인상에서는 애니메이션 속 ‘헌트릭스’가 현실에 나타난 것 같다는 열띤 반응이 쏟아졌다. 그러나 이재는 당일 목 상태가 좋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감기 증세가 있었다는 이재는 “아침 리허설 도중 음 이탈이 나는 바람에 함께 있던 매니저와 약혼자가 모두 놀랐다. 영화(케데헌) 장면처럼 ‘5분만 쉴게요’라고 한 뒤 (현장에서) 나왔다”고 말했다. 이어 “영화 속 루미처럼 목소리를 잃었다”며 “공황발작(panic attack) 증세까지 나타났다”고도 했다. 그런 이재를 달랜 건 매니저의 말 한마디였다고 한다. 그는 매니저가 “고음을 생각지 말고 노래 가사를 생각해라. 네가 힘들었을 때 힘이 된 가사 아니냐. 거기에 집중해라”라고 조언하니 마음이 편해졌다고 회상했다. 이번 라이브 무대에서는 이재의 저음 발성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원곡보다 낮은 조성을 택한 만큼 곡 초반 저음부가 특히 강조됐다. 이에 대해 이재는 “목소리가 낮아서 콤플렉스였다. 예쁘지 않고 어두운 목소리라고 생각했는데, 팬들이 이렇게 사랑해 주시니 감사할 따름”이라고 전했다. 특유의 고음역을 자랑하는 ‘골든’에 대해서는 “가수를 위한 곡이 아니라 영화를 위한 곡인 만큼 캐릭터와 스토리가 더 중요했다”며 “만약 정말 가수만을 위한 노래로 기획했다면 음역이 조금 달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캐릭터(루미)를 고려해 의도적으로 (‘골든’의 음역을) 높게 올린 부분이 있다. 루미의 간절함을 표현하기 위해 비현실적인(unrealistic) 고음부를 넣었다”고 덧붙였다. 이재는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건너간 재미교포다. SM엔터테인먼트 연습생으로 10여년간 활동했으나 데뷔가 무산됐고, 미국으로 귀국해 작곡가의 길을 걸었다. 케데헌의 흥행으로 그가 만든 ‘골든’과 ‘유어 아이돌’(Your Idol)은 최근 빌보드 메인 싱글 차트 ‘핫100’에서 8주 연속 정상에 올랐다.
  • [단독]농어촌 인력난 심화하는데…법만 만들고 대책은 2년째 ‘표류’

    [단독]농어촌 인력난 심화하는데…법만 만들고 대책은 2년째 ‘표류’

    농어촌의 만성적인 일손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특별법이 만들어졌지만, 정작 정부가 2년 가까이 후속 대책 마련에 손 놓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어촌 인력대책이 표류하는 새 인력난은 더욱 악화했다. 13일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제정된 ‘농어업 고용인력 지원 특별법’에 따라 지난해 2월까지 만들어졌어야 할 ‘농어업 고용인력 지원 기본계획’이 아직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법은 두 부처가 5년마다 기본계획을 세우고, 매년 연도별 시행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뒤늦은 실태조사 착수 탓에 진도가 늦어졌다. 두 부처는 지난해 하반기에야 실태조사를 했고, 이를 토대로 현재 기본계획을 세우고 있다. 최종 계획은 이르면 올해 말 나올 전망이다. 특별법은 시행령 등 세부 기준 마련을 위해 1년 유예기간을 뒀지만, 실태조사가 미뤄지면서 연도별 시행계획은커녕 기본계획 수립마저 2년 가까이 늦어진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현장의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농업인 등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기본계획에 새 정부의 정책 아젠다를 반영하다보니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해수부 관계자도 “고용 정책 특성상 관계부처 협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고 말했다. 인력 대책이 표류하는 사이 인력난은 더 심화했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농가 인구는 2010년 306만 3000명에서 지난해 200만명으로 쪼그라들며 200만명대 붕괴를 눈앞에 두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화율도 같은 기간 33.7%에서 55.8%로 치솟으며 농어촌 인력난은 더 악화했다. 농식품부가 지난해 발표한 실태조사에서도 농업인의 49%가 “농업인력 확보가 어렵다”고 했다. 서삼석 의원은 “농어촌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가속하는데 정부의 늑장 대응으로 인력난이 더 심화하고 있다”며 “정부는 기본계획을 조속히 도입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박진만 삼성 감독 “대구에서 시리즈 끝내고 싶다”…앤더슨 겨냥 좌타자 강화

    박진만 삼성 감독 “대구에서 시리즈 끝내고 싶다”…앤더슨 겨냥 좌타자 강화

    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가 발이 빠른 타자인 김지찬과 김성윤을 전진 배치했다. 경기 초반부터 상대를 흔들고, 끈질긴 타격으로 SSG 랜더스 에이스 드루 앤더슨을 조기에 마운드에서 내려가게 한다는 전략이다. 삼성은 13일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리는 2025 KBO리그 포스트시즌 SSG와 준플레이오프(준PO·5전 3승제) 3차전을 맞아 오른손 투수인 앤더슨을 겨냥해 좌타자 중심의 선발 라인업을 짰다. 삼성은 1번 중견수 김지찬, 2번 우익수 김성윤, 3번 지명 타자 구자욱, 4번 1루수 르윈 디아즈, 5번 3루수 김영웅, 6번 유격수 이재현, 7번 좌익수 김태훈, 8번 포수 강민호, 9번 2루수 류지혁 순으로 타선을 구성했다. 강민호와 이재현을 제외하면 모두 왼손 타자들이다. 박진만 삼성 감독은 경기 직전 취재진과 만나 “앤더슨은 KBO리그 올 시즌 최고 투수인데, 투구 수가 많아지면 구위가 떨어질 것으로 본다”며 “(앤더슨의 투구에 따라) 승패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앤더슨은 올 시즌 SSG의 1선발로 활약하며 30경기 12승 7패, 평균자책점 2.25, 탈삼진은 단일 시즌 역대 2위인 245개를 기록했다. 1위는 이 부문 기록을 새로 쓴 한화 이글스 코디 폰세의 252개다. SSG는 애초 이번 시리즈 1차전에 그를 등판시킬 계획이었으나 앤더슨이 장염에 걸리면서 1, 2차전을 모두 쉬었다. 박 감독은 “SSG는 워낙 불펜이 강한 팀이어서 (1~2차전 불펜 가동을) 예상했었고, 항상 선발을 어떻게 (일찍) 내리고 불펜을 공략하느냐가 포인트인데 (앞선) 두 경기 동안 불펜 투수들을 다 상대했기 때문에 (삼성) 선수들 눈에도 익혔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오늘 선발인 원태인과 내일 후라도 선에서 이번 시리즈를 끝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 중국에 ‘매달린’ 트럼프의 굴욕…시진핑, 알고 보니 믿는 구석 있었다 [핫이슈]

    중국에 ‘매달린’ 트럼프의 굴욕…시진핑, 알고 보니 믿는 구석 있었다 [핫이슈]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재점화된 가운데, 중국은 유화 제스처를 보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보란 듯 시장 예상치를 훌쩍 뛰어넘는 무역 실적을 기록했다. 홍콩 명보는 13일(현지시간) “중국이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에 맞서 비장의 카드를 꺼냈다”며 고급 리튬이온 배터리와 인조 다이아몬드 수출 통제를 다음 달 8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전기차와 데이터센터, 재생에너지 저장장치 등 4차 현대 산업의 핵심 소재로 꼽힌다. 미국이 올해 1~7월 수입한 리튬이온 배터리의 65%가 중국산이었다. 인조 다이아몬드 역시 반도체·레이저·정밀기기 등 첨단산업 전반에 필수적인 전략 자원이다. 중국의 리튬이온 배터리와 인조 다이아몬드 수출 통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보낸 유화 제스처와는 사뭇 온도 차를 보이는 조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 중단, 희토류 합금 수출 제한, 미국 선박 항만료 부과 등의 조치에 대응해 지난 10일 중국산 제품에 100% 추가 관세를 예고했다. 여기에는 미국의 기술‧소프트웨어 제재도 포함돼 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트루스소셜에 “미국은 중국을 해치려는 것이 아니라 돕기를 원한다”며 “매우 존경받는 시(시진핑) 주석이 잠시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을 뿐”이라고 언급했다. 또 “중국이 불황을 원치 않듯 나 역시 마찬가지”라며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행 전용기 안에서도 “우리는 중국과 잘 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시 주석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나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 보란 듯 추가 수출 통제를 예고했다. 미‧중 정상회담이 조율 중인 상황에서 중국은 미국을 상대로 압박 공세를 강화하는 모양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번 조치가 미국의 반도체 장비 수출 금지와 퀄컴 인수 제동에 대한 명백한 보복이라고 분석한다. 워싱턴 싱크탱크 CNAS의 에밀리 킬크리스 연구원은 “중국의 리튬이온 배터리 통제는 미국의 AI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직접 제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도 “중국이 인조 다이아몬드를 무기화해 미국의 칩 공급망을 압박하려 한다”고 분석했다. 시진핑, 강경한 보복 대응 내놓을 수 있었던 이유는?트럼프 대통령은 “중국도 불황을 원치 않을 것”이라고 밝혔으나, 중국이 희토류부터 리튬이온 배터리까지 핵심 자원을 동원한 공격적인 조치에 나선 배경 중 하나는 지난달 무역 실적이다. 13일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중국의 9월 수출액(달러 기준)은 3285억 7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8.3% 증가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6.0%)와 8월 수출 증가율(4.4%)을 모두 웃돈 규모다. 같은 기간 9월 수입액은 2381억 2000만 달러로 7.4% 늘었다. 무역 흑자는 904억 5000만 달러(약 129조 4158억 원)로 집계됐다. 올해 1~9월 전체로 보면 수출액은 6.1% 증가했고, 수입액은 1.1% 감소했다. 1~9월 전체 무역 규모는 지난해 대비 3.1% 늘었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의 지난달 무역 실적은 미·중 무역 갈등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이 미국을 대체할 수출 지역을 확보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중국의 9월 대미 수출은 1년 전에 비해 27%나 급감하며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감소세를 이어갔다. 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은 14% 증가했고 아프리카(56%), 아세안(16%) 등도 증가 폭이 컸다. 트럼프 대통령의 꾸준한 압박에도 불구하고 시 주석이 예상보다 강경한 보복 대응을 내놓을 수 있었던 배경인 셈이다. 유럽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은행 중 하나인 프랑스 소시에테 제네랄 소속 경제학자 미셸 람 은 로이터통신에 “미국발 관세에도 중국은 다변화된 수출시장과 강한 경쟁력으로 회복력을 유지하고 있다”며 “미·중 무역 협상에서 중국이 보다 강경한 태도를 보이는 데 힘을 실어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싱크탱크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경제학자인 쉬톈천도 “중국의 직접 수출 비중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부분인 10% 미만”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100% 관세 예고가 중국의 수출 부문에 압박을 더하겠지만 예전만큼 영향이 크지는 않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 백제 시대 얼음 창고…유네스코 세계유산 부소산성서 빙고 발견

    백제 시대 얼음 창고…유네스코 세계유산 부소산성서 빙고 발견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는 유네스코 세계유산(백제역사유적지구)인 부소산성에서 얼음을 넣어 두는 창고인 빙고(氷庫)를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부소산성은 사비 도읍기 역사와 백제 성곽의 발달사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1981년부터 최근까지 17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를 진행했다. 이번에 발견된 빙고는 사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동서 길이는 약 7m, 남북 너비는 약 8m이고 깊이는 2.5m다. 바닥 중앙에는 빙고 안에서 발생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물 저장고로 추정되는 구덩이 흔적도 발견됐다. 연구소는 “빙고는 강력한 왕권과 국가 권력이 있어야만 구축·운영할 수 있었던 특별한 위계적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번 조사에서 건물을 짓기 전 땅의 신에게 안전을 기원하기 위해 묻는 지진구로 보이는 항아리도 발견됐다.
  • 잇몸 붓길래 치약 바꿨는데…9㎝ 종양에 턱뼈 잘려나갔다

    잇몸 붓길래 치약 바꿨는데…9㎝ 종양에 턱뼈 잘려나갔다

    대만에서 한 50대 여성이 1년 동안 잇몸이 붓는 증상이 이어져 병원을 찾은 뒤 양성 종양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여성은 종양을 제거하고 턱뼈까지 절제한 뒤 재건 수술을 통해 얼굴을 되찾았다. 13일 싼리신문 등 대만 언론에 따르면 여성 스모(52) 씨는 1년 전 오른쪽 아래 잇몸이 부어오르는 증상이 나타났다. 아무런 통증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던 스 씨는 잇몸에 염증이 생긴 것이라 생각했다. 기존 사용하던 치약이 맞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에 치약을 바꿔보기도 했지만, 부종이 계속 커져 옆에 있던 아랫니가 뽑혀나가자 심각성을 깨달았다. 지난 3월 병원을 찾은 스 씨는 의료진으로부터 해당 증상이 단순한 잇몸 염증이 아닌 하악골(아래턱 뼈)에 자라난 양성 종양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엑스레이 촬영 결과 하악골에서 9㎝에 달하는 세포종이 발견됐다. 스 씨를 진료한 국립대만대병원은 수술에 나섰다. 먼저 하악골에 생겨난 종양을 제거했는데 이 과정에서 하악골을 12㎝ 가량 절제해야 했다. 의료진은 종아리뼈 일부를 이식해 하악골을 재건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종양으로 인해 뽑혀나간 치아를 대신하기 위해 임플란트 시술 및 틀니 제작에 나섰다. 의료진은 3차원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과 디지털 촬영, 자기공명영상(MRI) 등 자료를 통합해 3D 가상 환자 모델을 구축해 전 과정을 준비한 뒤 수술을 진행했다. 이같은 기술 덕에 수개월에서 길게는 1년이 소요되는 수술을 단 11시간 41분만에 성공적으로 끝냈다. 대만대의대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수술 성공 사례를 공개했다. 수술한 지 4개월이 지난 스 씨는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해 “마스크를 벗을 수 있게 됐다”면서 “정기적으로 구강 검진을 받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 ‘나주영산강축제’ 52만명 몰려 대성황

    ‘나주영산강축제’ 52만명 몰려 대성황

    가을의 정점, 영산강이 사람의 강(江)으로 되살아났다. 홍수를 막던 저류지가 생태와 문화, 관광이 어우러진 대규모 정원으로 변신했고, 이곳을 찾은 52만명의 발길이 ‘도시의 가능성’을 증명했다. ‘2025 나주영산강축제’가 지역 축제의 한계를 넘어선 ‘문화경제 융합형 성공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나주시는 지난 8일부터 12일까지 열린 이번 축제에 역대 최대인 52만명이 방문했다고 13일 밝혔다. ‘영산강의 새로운 이야기, 지금 다시 시작 시즌2’를 주제로 열린 올해 행사는 공간·콘텐츠·운영 측면에서 모두 진화했다. 정원·문화·시민 참여가 조화를 이루며, 단순한 관람형 행사를 넘어 ‘참여형 도시축제’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 지역스토리와 첨단 연출 결합축제 무대는 여름철 홍수 조절용으로 쓰이던 영산강 저류지 50만㎡였다. 나주시는 이 중 28만㎡를 ‘코스모스 단지’로 탈바꿈시켜, 황금빛 강변을 따라 끝없이 펼쳐진 꽃물결을 연출했다. 연꽃 데크길과 징검다리를 연결해 수변 산책 동선을 새로 구성하고, 곳곳에 쉼터와 조형물을 배치해 방문객이 머무는 체험형 공간으로 확장했다. 개막 첫날부터 나주시 인구(11만명)의 1.5배가 넘는 15만명이 몰리며 도심이 들썩였다. 주말에는 주차장 입구에서 입장로까지 긴 행렬이 이어졌다. SNS에는 ‘가을 코스모스 바다’, ‘영산강의 부활’이라는 해시태그가 넘쳐났다. 이처럼 저류지를 정원으로 재구성한 시도는 ‘홍수 대비 시설의 문화적 재활용’이라는 도시계획 모델로서도 의미를 더했다. 올해 축제의 핵심은 자연과 문화의 융합이었다. 나주 출신 고려 태조 왕건의 비 장화왕후의 삶을 새롭게 해석한 창작 뮤지컬 *‘왕후, 장화’*가 주무대에서 상연돼 관객의 호평을 받았다. 지역 정체성과 여성 서사를 결합한 이 공연은 ‘나주 문화콘텐츠 산업화’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 꼽힌다. 밤마다 펼쳐진 300대 드론 라이트쇼와 불꽃 공연은 축제의 하이라이트였다. 하늘 위에서 형성된 드론 이미지가 강의 물결과 어우러지며, 자연을 배경으로 한 첨단예술의 장관을 연출했다. 국악 공연, 시립합창단 무대, 청소년 댄스 페스티벌, K-POP 콘서트까지 세대를 아우르는 공연 라인업도 이어졌다. ■ 시민이 운영하고, 지역이 살아났다운영 체계 역시 진일보했다. 나주시는 교통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진입로를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자원봉사자·시민단체 300여 명이 현장 안전과 질서 유지에 참여했다. 이 같은 ‘시민 주도형 운영’은 축제의 안정적 관리와 높은 만족도를 견인했다는 평가다. 경제적 파급효과도 뚜렷했다. 축제 기간 숙박시설과 음식점이 북적였고, 지역 상권의 매출이 급증했다. 나주시가 마련한 ‘나주사랑상품권 즉석 복권 이벤트’에는 시민과 관광객이 몰리며, 지역 내 소비 순환 구조가 활발해졌다. 또한 ‘영산강 미식관’과 50여 대의 푸드트럭에서는 지역 농특산물을 활용한 메뉴가 인기를 끌었다. 올해 축제는 체험과 교육의 비중을 높였다. 어린이 퀴즈대회, 천연염색, 전통 공예, 보드게임 등 100여 개 체험 부스가 운영됐다. 특히 ‘영산강 주제관’은 강의 생태와 역사, 환경보전을 주제로 한 상설 전시로, 어린이와 청소년의 학습 공간으로 인기를 끌었다. 이 같은 ‘학습형 축제’ 구성은 단순한 흥행을 넘어 지역민의 문화 수준을 높이는 사회적 효과를 창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관람객 급증에 따른 불편도 있었다. 일부 시민들은 진입로 혼잡과 주차공간 부족, 체험부스 대기시간 등을 지적했다. 시는 내년에는 이동 동선을 재조정하고, 대중교통 연계 노선을 신설하는 등 접근성을 대폭 개선하겠다는 방침이다. 윤병태 나주시장은 “영산강 저류지가 본래의 치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생태·문화·관광이 어우러지는 대표 정원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나주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가을축제 도시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52만명이 만들어낸 이번 축제의 흥행은 단순한 기록 이상의 의미를 남겼다. 영산강 저류지를 매개로 한 ‘생태·문화·경제 융합 모델’이 현실에서 작동하며, 지역도시의 새로운 성장 공식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축제를 통해 나주는 ‘홍수의 도시’에서 ‘가을의 도시’로, 기능의 공간에서 감성의 공간으로 거듭났다. 영산강변의 코스모스처럼, 나주의 도시 브랜드도 이제 막 꽃피기 시작했다.
  • 경부고속도 김천 추풍령대교서 트레일러 추락…1명 사망

    경부고속도 김천 추풍령대교서 트레일러 추락…1명 사망

    13일 낮 12시 49분쯤 경북 김천시 경부고속도로 추풍령대교에서 25t 트레일러가 다리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났다. 사고는 해당 도로에서 1차로를 달리던 승용차가 빗길에 미끄러지며 2차로를 주행하던 트레일러를 충돌, 해당 사고 영향으로 트레일러가 다리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경찰은 추정했다. 이 사고로 트레일러 운전자 40대 남성이 사망하고, 승용차 운전자 50대 남성은 경상을 입었다. 경찰은 자세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 구로구, 18일 구로청소년축제 열어

    구로구, 18일 구로청소년축제 열어

    서울 구로구가 오는 18일 구로중학교에서 ‘제10회 구로청소년축제’를 연다고 13일 밝혔다. 구로청소년축제는 기획부터 운영까지 청소년들이 직접 이끌어가는 청소년 주도 축제다. 구로구 관계자는 “학교, 지역사회, 주민이 함께 어울리는 소통의 장이자 다양한 교육과 체험을 제공하는 배움과 성장의 장”이라고 설명했다. 청소년과 교사, 학부모, 주민 등 3000여명이 함께 어울리는 자리로 마련될 예정이다. 유튜버 ‘춤추는 곰돌’이 참여하는 관객 참여형 댄스 프로그램, 청소년 밴드의 무대, 인기 걸그룹 하이키의 초청공연 등이 열린다. 무대 인근에는 등교 과정을 스포츠 형식으로 재해석한 교복 빨리 갈아입기, 신발 갈아신기, 책가방 옮기기를 체험할 수 있는 팝업 부스를 운영한다. 아울러 12개 학교, 32개 과학 동아리가 참여하는 학생과학축전, 실내 스포츠, 인공지능(AI)·가상현실(VR) 체험 등을 체험할 수 있는 진로체험박람회 등 60여개의 부스가 운영된다. 장인홍 구로구청장은 “청소년들이 직접 기획한 이번 축제가 서로 배우고 소통하며 미래를 그려가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며 “참여한 모든 분들이 안전하고 즐겁게 축제를 즐기시길 바란다”고 했다.
  • 반려가족과 함께하는 가을 힐링 반려동물 문화축제 노원 반함

    반려가족과 함께하는 가을 힐링 반려동물 문화축제 노원 반함

    서울 노원구가 오는 25일 마들스타디움 축구장에서 반려동물 문화축제 ‘노원에서 반려동물과 함께 즐겨요’(노원반함)를 연다고 13일 밝혔다. 올해로 8회를 맞는 이번 축제는 ‘배려의 시작, 펫티켓 약속’을 주제로 열린다. 반려인과 비반려인이 함께 참여하며 공존의 가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한층 강화됐다. 메인무대에서는 방송과 유튜브를 통해 잘 알려진 설채현 수의사가 토크콘서트를 연다. ‘건강한 반려생활’을 주제로 돌봄 방법과 펫티켓 실천 방안을 전한다. 행사장 중앙에서는 반려견과 보호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박진감 넘치는 독스포츠 쇼, 펫티켓 운동회가 이어진다. 운동회에 이어서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구호에 맞춰 참가자들이 똥 모양 스티커를 주위 모으는 ‘노원 똥줍킹’ 이벤트가 펼쳐진다. 모두 25개의 체험·홍보 부스가 운영된다. 올해는 견생네컷, 캐리커처, 위생미용 등 인기 부스를 확대했고, 반려동물 건강, 행동 관련 1대1 상담도 진행된다. 노원반려동물문화센터 ‘힐링하시개 댕댕하우스’ 부스에서는 유기 입소견을 소개하고 입양 절차를 안내한다. 체급별로 이용할 수 있는 반려견 전용 놀이터도 마련되고, 가족 단위 참가자를 위한 피크닉존과 푸드존도 운영된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노원반함은 반려인과 비반려인이 함께 어울리며 공존의 가치를 나누는 축제”라며 “앞으로도 사람과 동물이 더불어 살아가는 따뜻한 노원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국내 골프장 캐디 10명 중 8명 성추행 경험…신체 폭행도 13%

    국내 골프장에서 근무하는 캐디 10명 중 8명이 성추행을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부분의 캐디가 반발이나 비하하는 발언을 듣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손솔 의원(진보당)이 13일 공개한 골프장 경기보조원 노동자 인권·안전 실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8.2%가 고객으로부터 성희롱 피해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손 의원이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과 함께한 조사는 올해 9월 22일부터 지난 2일까지 전국 골프장 경기보조원 9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고객으로부터 겪는 인권 침해 행위 중 반말·비하 발언 경험은 97.8%에 달했고 성희롱 발언 88.2%, 욕설과 폭언 75.3%, 성추행 67.7%, 물건 던짐 61.3%, 신체적 위협 32.3%, 신체 폭행 12.9% 등으로 집계됐다. 특히 골프장 사업주가 고객으로부터 인권 침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인 문구 게시나 음성 안내를 취하고 있는지에 대해 44.1%가 아무 조치가 없다고 답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는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해 건강 장해가 발생할 경우 사업주는 업무의 일시적 중단 또는 전환, 휴게 시간의 연장, 건강 장해 관련 치료 및 상담 지원을 하도록 하고 있다. 폭언이나 폭행, 성희롱을 알린 후 사업주가 취한 조치로는 아무 조치가 없다(44.1%), 그냥 참으라고 하거나 방관함(26.9%), 고객에게 사과하라는 응답(2.2%) 등 73.2%가 적절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와 산업안전보건공단은 골프장 내에 안내 문구를 게시하고 예약 시 전화로 응대하는 경우 음성으로 안내, 건강 장해 예방 관련 교육을 하도록 매뉴얼을 마련하고 있다. 골프장 위험 요소와 안전사고에 대해 4점 만점으로 물은 결과 홀 사이 간격이 가까워 날아오는 공에 맞는 사고가 3.48점, 코스 내 단차로 인한 발목 부상 우려가 3.32점, 폭우와 폭설 시 카트 미끄러짐 사고 3.2점, 같은 팀 내에서 공에 맞는 사고 3.06점, 고객의 클럽에 맞는 사고 3.01점 순으로 조사됐다.
  • 천안·아산 등 충남에 몰리는 첨단 기업들…21개사 4448억 투자

    천안·아산 등 충남에 몰리는 첨단 기업들…21개사 4448억 투자

    반도체·자동차·의약품 등 강소기업 등2028년까지 생산시설 신·증설, 이전 등“국가 전략산업 핵심 클러스터 형성” 국내외 반도체·자동차·식품 등 21개 기업이 충남에 생산시설 신증설 등으로 4448억원을 투자한다. 충남도와 천안시, 아산시 등 6개 시군은 13일 도청사에서 웨이비스 등 21개 기업과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21개 기업은 2028년까지 6개 시·군 산업단지 등 30만여㎡ 부지에 생산시설을 신·증설하거나 이전한다. 투자금액은 총 4448억원 규모다. 이들 기업이 계획대로 가동하면 신규 고용 인원은 총 1316명이다. 무기 고주파 반도체 업체 웨이비스는 천안 테크노파크산단에 352억원을 투자해 9399㎡ 부지에 이전한다. 화장품 제조업체 라피끄는 233억원을 들여 4654㎡ 부지에 생산시설을 이전하기로 했다. 아이엘은 150억원을 투자해 천안 수신면 개별 입지 4423㎡에 차량용 LED 공장을 증설한다. 항공용 부품 업체 에스엠테크는 200억원을 투자해 성환읍 개별입지 2만 166㎡에 공장을 짓는다. 건강기능식품 업체인 코스팜은 천안 풍세일반산단 1만 6466㎡ 부지에 240억원을 투자해 도내 생산시설을 옮긴다. 아산 음봉산단에는 일차전지 설비 업체인 비츠로셀이 357억 원을 투자해 1만 5158㎡ 부지에 공장을 신설한다. 전력전자부품·정션박스 자동차 제조업체인 영화테크는 420억원을 투자해 아산테크노벨리 2만 5000㎡ 부지에 중국 생산 시설을 이전한다. 기업들 부지 조성과 설비 등으로 인한 도내 효과는 생산 유발 6130억원, 부가가치 유발 2570억원, 고용 유발 3457명 등으로 예상됐다. 도는 지리적 강점을 바탕으로 우수 인프라 구축과 반도체·디스플레이·자동차 등 국가 전략산업 핵심 클러스터가 형성됐고, 도의 전략적·적극적 투자 유치 정책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했다. 김태흠 지사는 “이번 21개 기업 투자까지 합하면 충남도는 국내외 290개 사로부터 38조원이 투자를 유치한다”며 “천안·아산·서산·당진 일대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과 서해선-KTX 직결 예비 타당성 조사 통과 등 기업 하기 좋은 환경도 계속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기업들이 충남에 확실하게 뿌리내릴 때까지 책임지고 지원 하겠다. 충남도는 기업의 성공을 돕는 최고 협력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부산시 “10년간 적자 절반 보전”…침례병원 공공병원화 탄력받나

    부산시 “10년간 적자 절반 보전”…침례병원 공공병원화 탄력받나

    부산 옛 침례병원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운영하는 보험자병원으로 전환할 경우 부산시가 10년간 적자 절반을 보전하는 방안을 내놓으면서 수년째 답보상태인 공공병원화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13일 부산시 등에 따르면 박형준 부산시장과 백종헌(부산 금정) 국민의힘 국회의원이 지난 10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박 시장은 금정구 옛 침례병원을 보험자병원으로 전환해 개원할 경우 10년간 발생하는 적자의 절반을 시가 부담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침례병원을 보험자병원으로 개원하는 안은 2023년 12월 최종관 문인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 심의위원회에 처음 상정됐지만 두 차례 재논의 결정만 내려진 채 답보 상태다. 관건은 적자 보전 기간으로, 심의위원들은 5~10년간 적자 보전이 필요하다고 봤다. 시는 그간 4년간 적자 절반 보전 안을 제시했는데, 이번에 위원회의 안을 수용한 것이다. 이날 백 의원은 보험자병원 지정을 위한 최종 관문인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 심의위원회를 다음 달에 열어 이 문제를 논의해달라고 요구했다. 정 장관은 즉답하지 않았으나 “건의한 부분을 검토해서 실무 협의를 진행하도록 하겠다”는 취지로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험자병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직접 운영하는 병원으로 낮은 의료비로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경기 고양에 일산 병원이 보험자 병원으로 운영 중이다. 비수도권에는 아직 보험자병원이 없다. 침례병원은 600병상 규모의 지역 대표 종합병원이었으나, 경영악화로 2017년 파산했다. 병원이 문을 닫자 금정구와 북부산 주민 20만명의 의료공백 문제가 불거지면서 지역에서는 공공병원으로 재개원하자는 데 의견이 모였다. 시는 2022년 침례병원 부지를 499억원에 매입하고 건물 리모델링 비용, 의료기기 구매비 지원 등을 약속하면서 공공병원화를 추진해왔다. 지난해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제출된 안을 보며, 시는 총사업비 2774억원 중 2502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