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헬리베붕탄…’ 주기율표에 숨은 원소의 비밀
많은 사람이 학창 시절 화학에 재미를 못 느끼고, 화학 포기자가 된 계기로 ‘수헬리베붕탄질산플네나…’하며 주기율표 속 원소들을 외우는 순간을 언급한다.
학생들에게는 외워야 할 것 중의 하나일지 모르지만, 과학자들에게 주기율표는 물질 탐구를 위한 나침반이자 매우 중요한 지도다. 게다가 주기율표의 한 칸 한 칸에는 수많은 과학자의 땀과 눈물이 담겨 있다. 그렇기 때문에 주기율표와 관련된 책들은 대부분 과학책이다.
여러 주기율표 책 가운데 가장 뛰어난 통찰력을 보여주는 책은 화학자이자 홀로코스트 생존자인 프리모 레비의 ‘주기율표’다. ‘이것이 인간인가’,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의 저자로 유명한 레비의 ‘주기율표’는 주기율표 속 원소 하나에서 꼬리를 물고 연상되는 이야기를 다룬다.
노동자와 사회적 약자의 건강권, 질병의 사회적 요인에 관해 오랫동안 연구한 예방의학자 김명희 박사가 쓴 이 책은 레비의 ‘주기율표’에 대한 오마주이자, 주기율표 속 18개 원소에 대한 새로운 사회의학적 해석을 보여준다. 저자가 선택한 원소들에는 수은, 황, 납, 비소 같이 오랫동안 위험 물질로 알려진 것들뿐만 아니라 얼핏 봐서는 사회와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 감이 잡히지 않는 산소, 은, 탄소, 셀레늄, 수소, 철, 칼슘, 질소 등도 포함됐다.
저자는 주기율표 속 원소에 대해 사회과학적 방법론으로 접근해 과학적 질서 속에 숨겨진 문명과 인간의 모순을 가감 없이 드러낸다. 김 박사는 공장에서 수은 온도계를 만들던 15세 소년이 수은 중독보다 더 무서운 기업과 정부의 무관심에 의해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무섭도록 객관적으로 보여준다.
다양한 연구 자료와 국내외 문헌을 바탕으로 저자는 “인간이 어떤 선택을 하고 무엇을 가치 있게 여기느냐에 따라 주기율표 속 원소가 구원자도, 파괴자도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기후 변화와 마찬가지로 ‘인간’이 모든 문제의 원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