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연안 침식 위험도 완화… C·D등급 우려 지역 3곳 감소
경북 동해안 주요 연안 가운데 21곳에서 침식이 우려되거나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내 주요 연안 44개 지점을 대상으로 ‘2025년 연안 침식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
조사에서는 드론과 레이저를 이용한 정밀 측정 장비인 라이다, 입체 화상을 기록해 주는 스테레오 카메라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침식 상태를 평가해 A(양호), B(보통), C(우려), D(심각) 4개 등급으로 분류했다.
조사 결과 침식 우려(C등급)·심각(D등급)은 지난해 24곳(54.5%)에서 올해 21곳(47.7%)으로 줄었다.
A등급 지역은 1곳에서 3곳으로 증가했으며, D등급 지역은 6곳에서 4곳으로 감소했다.
이는 태풍 영향 감소와 모래 유입 증가, 연안 정비사업 효과에 따른 자연 회복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 침식 우려·심각(C·D등급) 비율은 울진군(91.7%→75.0%), 포항시(37.5%→25.0%), 울릉군(40.0%→20.0%)에서 감소했고 영덕군(60%)은 지난해 조사 결과와 동일했다.
경주시는 22.2%에서 33.3%로 증가하는 등 일부 해변에서 지속적인 침식이 관측됐다.
등급이 상향된 지역은 온양·산포리(울진), 칠포∼용한·영일대∼두호동(포항), 태하1리(울릉) 등 10곳이며 하향된 지역은 경주 전동·하서1∼수렴과 영덕 남호·원척∼부흥 4곳이다.
도는 내년에 537억원을 투입해 침식 우려가 큰 포항 영일대, 영덕 고래불, 울진 후포면 금음·봉평2리, 울릉도 태하1리 등 16개 해역에 연안 정비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자연 친화형 정비 확대, 드론 기반 상시 모니터링, 취약지역 정밀 조사 등도 병행한다.
최영숙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과학적 자료에 기반한 맞춤형 연안 관리로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해안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