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엉뚱한 곳 날아간 헬기, 무용지물 드론… “순찰차 예비키 못 찾아”
해경, 실종된 지 약 40분 후에야‘연락 두절 접수’ 대통령실 첫 보고수색 보트는 “배터리 부족” 철수50분 지난 뒤 ‘상황지원팀’ 소집인천해양서장 등 3명 대기 발령
갯벌에 고립된 70대를 구하다 순직한 이재석 경사의 행방을 수색하던 당시 구조 헬기는 엉뚱한 지점으로 날아가고 야간 장비가 없는 드론이 투입되는 등 총체적 난맥을 보인 것으로 16일 파악됐다. 해양경찰청은 이 경사와 연락이 끊긴 지 약 40분 후에야 대통령실에 ‘연락두절 신고 접수’라고 첫 상황보고를 한 사실도 드러났다.
서울신문이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해양경찰청 상황보고서 및 무선 기록 등에 따르면 사건 당시인 지난 11일 오전 4시 1분 해경은 인천 영흥도 한 식당 인근 해상에서 이 경사 추정 인물을 포착했다. 하지만 좌표 문제로 구조헬기는 엉뚱한 곳으로 날아가 10분 이상을 허비했다.
그 시점 무전에는 인천해경 측에서 “찍힌 위치가 방향이 잘못됐다. 동서남북 기준으로 재송바람”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이 같은 내용은 상황보고서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또 이 경사 수색 작업은 장비마다 ‘배터리 부족’, ‘엔진 과열’ 현상이 발생한 데다 드론에 야간장비가 탑재되지 않아 난맥을 겪었다. 해경은 당시 동력구조보트 수색에 나섰으나 30분 만에 “배터리 잔량 부족으로 교체 후 다시 수색하겠음”이라며 철수했다. 또 영흥파출소에서 보유한 드론은 야간 장비가 탑재돼 있지 않아 수색에 효율이 떨어졌다고 한다.
무전에는 “엔진이 과열돼 (연구정) 시동이 안 걸린다”, “이제 이동할 건데 지금 (해상 순찰차) 예비키를 잘 못 찾겠다”는 내용도 담겼다. 초기 수색 작업에 투입된 직원은 오전 3시 32분 “동력 서프보드라도 있어야 할 것 같다. 무동력 가지고 막 할 게 아닌 거 같다”는 무전도 남겼다. 이 같은 대화가 오가면서 실질적인 구조 장비가 투입되기까지 40분 가까이 소요됐다.
이 경사 사고 당일인 지난 9일 오전 4시 9분 대통령실 위기관리센터 상황팀·재난안전팀, 국무총리실 외교안보정책관실·안전환경정책관실에 발생 상황보고서를 전파했다.
당시는 영흥파출소 내부에 ‘연락 두절’ 보고가 이뤄졌고 수색 작업이 지연되고 있었지만 보고서에는 ‘오전 3시 30분쯤 파출소 직원이 갯벌활동자와 함께 이동 중 연락두절 신고 접수’라는 내용만 담긴 것이다. 이후 대통령실에는 오전 6시 49분 2차 진행사항 보고(이 경사 실종), 오전 10시 4분 3차 조치 보고(이 경사 병원 이송)가 이뤄졌다.
안전사고 등이 발생했을 때 전문 인력 지원 및 정보 파악 등을 담당하는 ‘상황지원팀’도 이 경사와 무선으로 연락이 끊긴 이후 약 50분이 지나서야 꾸려졌다. 영흥파출소의 상급 기관인 인천해양서는 오전 3시 53분, 중부해경청은 오전 4시 4분, 해경 본청은 오전 4시 48분쯤에야 상황지원팀을 소집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초동 대처 미흡과 늦장 대응의 원인이 무엇인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철저하게 규명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해경은 출동 과정에서 불거진 부실 대응·은폐 의혹과 관련해 A 인천해양서장과 B 영흥파출소장, C 영흥파출소 팀장 등 3명을 대기 발령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