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휴대전화 허용·복무 기간 단축도 탈영 못 줄였다
부적응 1위, 경제적 어려움 2위 출근 거부·외출증 위조 등 다양“체계적 장병 관리 시스템 필요”
최근 5년간 군에서 군무이탈(탈영)로 징계받은 장병이 4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21일 파악됐다. 휴대전화 전면 허용, 복무 기간 단축 등으로 군복무 환경은 개선됐지만 탈영 비율은 과거보다 크게 나아지지 않은 셈이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백선희 조국혁신당 의원이 국방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2024년 탈영으로 징계를 받은 장병은 4088명이었다. 육군이 4037명(간부 340명·병 3697명)으로 압도적이었고 이어 해군·해병대는 29명, 공군은 22명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시기인 2020년 709명, 2021년 548명으로 줄었지만 2022년 805명, 2023년 1066명으로 늘었다. 지난해에는 919명이 징계를 받았다.
지난해 상비병력은 47만명 수준이었다. 전체 60만명 규모를 유지했던 2008년 1011명, 2009년 703명 등의 군무이탈이 발생했던 것과 비교하면 오히려 비율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2020년부터 일과 후 휴대전화 사용이 전면 허용됐고, 육군 기준 병 복무기간이 18개월로 줄었음에도 군무이탈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 셈이다.
출근 거부, 작전지역 이탈, 외출증 위조, 휴가미복귀 등 양상도 다양했다. 특히 육군 한 병사는 지난 4월 휴가 중 미국으로 출국해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군 관계자는 “군무이탈자로 현재 수배 중”이라고 밝혔다.
전체 탈영 인원 중 455명은 형사입건됐다. ‘복무부적응’(234명), ‘경제적 어려움’(64명) 등이 주를 이뤘고 ‘이성 문제’(9명), ‘인사 불만’(7명)도 탈영 요인으로 작용했다. 올해도 9월까지 71명이 형사입건돼 지난해 102명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백 의원은 “복무부적응 장병에 대한 체계적 관리 시스템 구축과 징계 실효성 재점검 등 관리 사각지대를 해소할 실질적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군을 이끄는 간부의 탈영은 조직 신뢰와 기강을 무너뜨리는 더 중대한 사안이다. 간부 복무환경에 대한 점검과 맞춤형 지원 대책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