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농약유입… 일부 취수 중단/예천 낙상
◎농약창고 화제로/오염 확대땐 전면 취수 금지
【대구=황경근기자】 환경처는 15일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농약보관 창고에서 일어난 화재로 맹독성 농약이 강으로 흘러들어갔을 것으로 보고 이날 하오 7시20분 경북 예천군 풍양면 낙상취수장의 취수를 중단하도록 경상북도에 긴급 지시했다.
환경처는 또 16일 새벽 완료될 낙상취수장에 대한 수질검사 결과 농약유입이 확인되면 낙상취수장 아랫쪽 낙동강 본류에 있는 선산군 생곡취수장 등 모두 8개 취수장에 대해서도 전면 취수중단 조치를 내릴 방침이다.
낙상취수장 아래에 있는 취수장은 생곡취수장 외에 선산군 해평,구미,구미 광역,칠곡 왜관,고령 다산,대구 강정,달성 논공취수장 등으로 대구·경북 지역 주민 2백만∼3백여만명에 식수를 공급하고 있다.
환경처는 15일 0시30분 쯤 낙상취수장에서 19㎞ 쯤 떨어진 경북 점촌시 점촌동 제일농약사 농약보관 창고에서 화재가 발생,진화과정에서 창고에 있던 농약이 하수도를 통해 낙동강 지천인 영강으로 흘러들어갔다고 밝혔다.낙상취수장은 낙동강 본류에서 3㎞ 떨어진 지점에 있으며 낙동강 본류의 시간당 유속은 1㎞이다.이 취수장의 하루 급수인구는 1천4백여명으로 1일 취수량은 1천톤이다.
환경처는 이날 하오 영강 유입 전 농수로에서 물고기가 폐사한 것을 발견했으나 영강에서는 물고기 폐사가 보고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화재당시 농약창고에는 솔레토 알파스민등 8종의 농약 1천6백톤가량이 보관돼 있었는데 대구지방환경청은 액체상태의 농약 35ℓ와 분말농약 70㎏이 영강으로 유입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대구지방환경청은 보관된 농약의 대부분이 오마이트이었던 점으로 미루어 이 농약이 유입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오마이트는 독성 2급으로 사과 감등 과실수의 진드기등을 방제하는데 쓰인다.